KR20200093383A - 살균 유닛 - Google Patents

살균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383A
KR20200093383A KR1020190010795A KR20190010795A KR20200093383A KR 20200093383 A KR20200093383 A KR 20200093383A KR 1020190010795 A KR1020190010795 A KR 1020190010795A KR 20190010795 A KR20190010795 A KR 20190010795A KR 20200093383 A KR20200093383 A KR 2020009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disposed
support member
partition wal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383A/ko
Publication of KR2020009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은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내에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자외선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부다 상기 유로부의 중심과 인접한 제 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된다.

Description

살균 유닛{STERILIZATION UNIT}
실시예는 살균 유닛에 관한 것이다.
GaN, AlGaN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는 넓고 조정이 용이한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져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3족-5족 또는 2족-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같은 발광소자는 박막 성장 기술 및 소자 재료의 개발로 황색,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등 다양한 파장 대역의 빛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3족-5족 또는 2족-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색을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백색 광원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 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 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특히,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의 경우 상기 발광소자의 활성층에서 상대적으로 세기가 큰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발광소자는 상대적으로 짧은 피크 파장대역, 예컨대 약 400nm 이하의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활성층은 이에 대응하는 밴드갭 에너지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파장대역에서 단파장의 경우 살균 및 정화 등에 사용되며 장파장의 경우 노광기 또는 경화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세균, 진드기, 전염성 질병 등의 유해 생물을 살균하거나, 또는 오염된 물 등의 유체를 정화하기 위해 자외선 파장의 광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일례로, 유로를 포함하는 장치 내부에 UV 램프를 배치하여 공기나 물 등의 유체를 살균하고 있다. 자세하게, 상기 UV 램프는 상기 유로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상기 자외선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입사되어 상기 유체를 살균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 내부 또는 상기 유로 내부에 360도 방향으로 발광하는 UV 램프를 설치하여 상기 유로 및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고, 상기 자외선이 입사되는 상기 유로 및 상기 유체를 살균하였다. 그러나, 상기 UV 램프는 일반적으로 바(bar) 형태를 가지며 부피가 크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유로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UV 램프는 상기 유로 및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자외선을 균일하게 조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UV 램프는 인체에 유해한 수은(Hg)을 포함하며 상기 UV 램프가 파손될 경우 내부에 포함된 수은이 유로 및 유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UV 램프가 유로 내부 등과 같이 고온 고습의 환경에 배치되거나 수분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될 경우 상기 UV 램프의 방수 및 방습 기능 저하로 동작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살균 유닛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유로부에 공급된 유체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유로부에 공급된 유체의 유동 경로 및 체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살균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광원부의 방열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유로부에 입사되는 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살균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방수 및 방습 특성이 개선된 살균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소형화할 수 있고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살균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은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내에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자외선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부다 상기 유로부의 중심과 인접한 제 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은 유로부 및 상기 유로부 내에 배치되는 격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전체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부 내에서 상기 유체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체가 광원부의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부를 통과하는 유체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은 상기 유로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약 1.89 dose(mJ/cm2) 이상의 자외선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에 포함된 대장균, 살모넬라 및 리스테리아 등의 유해 세균을 99% 이상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은 상기 유로부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방열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광원부가 상기 유로부에 균일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광원부의 방열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살균 유닛은 방열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향상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는 반사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방열부에 반사되어 상기 유로부 내에 재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개선된 광 효율을 가져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는 상기 유로부 외측 둘레에서 상기 유로부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부가 고온 또는 고습의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 및 습기가 상기 광원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은 소형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유입부 및 유출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 상기 살균 유닛이 적용되는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다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도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살균 유닛의 유동 해석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에 적용된 발광소자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수평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 및 상기 x축 방향과 수직인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상기 x축 및 y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의 하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은 유로부(100), 지지 부재(50), 유입부(310), 유출부(320), 격벽 부재(200), 광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는 내부에 공기나 물 등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는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이 오픈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부(100)는 도 4와 같이 상하부가 모두 오픈된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는 내측면(101) 및 외측면(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 내측면(101)은 상기 중공을 구성하는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면일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면(102)은 상기 유로부(100)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면으로 상기 내측면(101)과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면(101)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면(102)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는 투광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로부(100)는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는 글래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는 상기 광원부(40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에 손상되지 않고 자외선 광을 투과시켜 줄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부(100)는 석영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부(100)는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파장의 광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자외선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100)는 불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부(100)는 불소 수지계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외선 광을 투과시킬 수 있고 개선된 방수, 방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 상에는 지지 부재(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50)는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부재(50)는 오픈된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00)의 상하부의 오픈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50)는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 부재(51) 및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는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오픈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는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 오픈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50)는 열전도 특성이 우수하고 상기 광원부(40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에 손상되지 않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부재(5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50)는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Stainless), 크롬(Cr), 몰리브덴(Mo), 은(Ag), 금(Au) 및 구리(Cu) 중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50)는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Stainless), 크롬(Cr), 몰리브덴(Mo), 은(Ag), 금(Au) 및 구리(Cu) 중 선택되는 2원 이상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50)는 글래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50)는 상기 광원부(40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 파장에 의한 손상 없이 자외선 광을 투과시켜 줄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부재(50)는 석영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50)는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파장의 광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50)는 불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50)는 불소 수지계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외선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50)는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되는 광에 손상되지 않는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가 상기 유로부(100)의 오픈 영역을 통해 상기 유로부(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은 향상된 신뢰성, 방수 및 방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살균 유닛(1000)은 상기 유로부(100)와 연결되는 유입부(310) 및 유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유로부(100) 내에 공기나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과 마주하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상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3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입부(3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310)가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복수 개가 제공될 경우 상기 유입부(310)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유입부(310)들은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 형상의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유로부(100)를 유동한 공기나 물 등의 유체를 상기 유로부(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부(310)와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출부(32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중첩될 수 있다. 일례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의 중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유로부(100)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유로부(100)의 외부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와 인접한 상기 유로부(100) 내부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영역의 유체를 상기 유로부(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에는 광원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유로부(100)와 이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유로부(100)를 유동하는 유체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에 포함된 수분 및 습기 등이 상기 광원부(40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회로기판(410) 및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되는 발광소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10)은 상기 발광소자(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10)은 절연체 상에 회로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10)은 수지 재질의 PCB(Printed circuit board), 금속 코어를 갖는 PCB(MCPCB, Metal Core PCB), 비연성 기판(nonflexibl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세라믹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10)은 수지 재질의 층이나 세라믹 계열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재질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고내열성, 고 내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재질은, 동시 소성되는 저온 소성 세라믹(LTCC: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또는 고온 소성 세라믹(HTCC: 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10) 내에는 다수의 비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비아 구 조는 상기 발광소자(420)가 배치된 상기 회로기판(410)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 형성된 전극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는 보호 소자, 트랜지스터, 변압 조절기 및 저항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상기 회로기판(41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과 마주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발광소자(420)는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면(102)과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상기 유로부(100)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여 상기 유로부(100) 및 상기 유로부(1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 바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발광소자(420)는 별도의 패키지 형태로 제공되지 않고, 상기 발광소자(420)의 발광 칩이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 바로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발광소자(420)는 발광 칩(470) 및 상기 발광 칩(470)을 수용하는 패키지 몸체(480)를 포함하는 패키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회로기판(41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 칩(470)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상기 회로기판(410)의 일면 상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420)가 배치될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420)는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소자(420)의 개수는 상기 유로부(100)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발광소자(420)의 개수는 상기 발광소자(420)의 지향각 및 상기 유로부(100)의 크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부(100)가 도 1과 같이 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420)는 z축 방향으로 이격하며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부(100) 내에 일정한 에너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소자(420)는 자외선 발광소자로 약 400nm 이하의 광을 발광할 수 있고, UV-A, UV-B 및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UV-A 발광소자는 방출되는 광에서 약 315nm 내지 약 400nm 대역의 파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발광소자로, UV 경화, 잉크 경화, 리소그래피, 광촉매 등의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UV-B 발광소자는 방출되는 광에서 약 280nm 내지 약 315nm 대역의 파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발광소자로 피부 질환 등의 의학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UV-C 발광소자는 방출되는 광에서 약 200nm 내지 약 280nm 대역의 파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발광소자로 살균, 소독, 공기 정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UV-C 발광소자는 약 300nm 내지 약 400nm 대역의 파장의 광(근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소자 대비 약 1000배 이상의 살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420)는 방출하는 광에서 약 280nm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UV-C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 및 상기 유로부(100)를 유동하는 유체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에는 방열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방열부(500)는 상기 유로부(100) 및 상기 광원부(4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방열부(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500)는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고, 중공을 포함하는 다각 기둥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열부(500)는 도 2와 같이 다각 기둥, 예컨대 육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중공을 구성하는 상기 방열부(50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회로기판(410)의 타면은 상기 방열부(500)의 내측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방열부(5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살균 유닛(1000) 내에서 설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열부(500)는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방열부(5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부(500)는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Stainless), 크롬(Cr), 몰리브덴(Mo), 은(Ag), 금(Au) 및 구리(Cu) 중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500)는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Stainless), 크롬(Cr), 몰리브 덴(Mo), 은(Ag), 금(Au) 및 구리(Cu) 중 선택되는 2원 이상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500)는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여 방열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500)는 광 반사 특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레로, 상기 방열부(500)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구리(Cu), 스테인리스(Stainless) 등의 반사성이 우수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400)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는 상기 유로부(100)에 입사되고 상기 유로부(100)를 통과하여 상기 방열부(500)에 입사될 수 있고, 상기 방열부(500)에 반사되어 상기 유로부(100)에 재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은 향상된 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살균 유닛(1000)은 상기 유로부(100) 내에 배치되는 격벽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200)는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에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200)는 글래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200)는 상기 광원부(40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 파장에 의한 손상 없이 자외선 광을 투과시켜 줄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격벽 부재(200)는 석영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격벽 부재(200)는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파장의 광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 부재(200)는 불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 부재(200)는 불소 수지계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외선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200)는 상기 유로부(100)보다 낮은 수직 방향 높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 부재(5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격벽 부재(20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격벽 부재(200)는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배치되는 제 1 격벽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고정되어 설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유로부(100)와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가 결합할 때 상기 유로부(100)의 오픈 영역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유로부(1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유로부(100)와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가 난류(turbulent flow)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층류(laminar flow)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유로부(100)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 부재(50)의 일면 상에서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의 하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수평 방향 너비는 상기 유로부(100)의 수평 방향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수직 방향 높이는 상기 유로부(100)의 수직 방향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와 이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제 1 외측면(211) 및 제 1 내측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면(211)은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외측면으로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면(101)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면(212)은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중공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내측면으로 상기 제 1 외측면(211)과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면(212)은 상기 유출부(320)의 외측면(321)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유닛(1000)은 상기 제 1 격벽부(210)와 상기 지지 부재(50) 사이의 제 1 개구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31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에 제공되어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유로부(100)보다 수직 방향 높이가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격벽부(210)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사이에는 제 1 개구부(215)로 정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215)는 상기 유로부(100)내에서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보다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215)는 상기 제 1 격벽부(210)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는 상기 유로부(100)의 중공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로부(100)는 상기 격벽 부재(200)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부(100)는 상기 제 1 격벽부(210)에 의해 구분되는 제 1 유로(110) 및 제 2 유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로부(100)는 상기 유로부(100)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면(101) 및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외측면(211) 사이의 제 1 유로(1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내측면(212) 및 상기 유출부(320)의 외측면(321) 사이의 제 2 유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유입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유입부(310)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부(310)와 중첩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제 1 유로(110)보다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110) 및 상기 제 2 유로(120) 사이에는 상기 제 1 개구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215)에 의해 상기 제 1 유로(110) 및 상기 제 2 유로(120)는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유출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유로(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제 2 유로(12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부(320)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유로(12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제 4 유로(14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310)를 통해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 1 유로(110), 상기 제 1 개구부(215) 및 상기 제 2 유로(120) 순서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유출부(320)를 통해 상기 살균 유닛(1000)의 상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입부(310)를 통해 상기 제 1 유로(110)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 1 개구부(215)를 통해 상기 제 2 유로(12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에 위치한 유출부(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는 수평 방향 너비로 정의되는 제 1 너비(d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너비(d1)는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면(101) 및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외측면(211)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상기 제 1 너비(d1)는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120)는 수평 방향 너비로 정의되는 제 2 너비(d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너비(d2)는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내측면(212) 및 상기 유출부(320)의 외측면(321)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상기 제 2 너비(d2)는 일정할 수 있다.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제 2 유로(12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제 1 너비(d1)를 가지는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제 1 유로(110)보다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2 너비(d2)를 가지는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너비(d1) 및 상기 제 2 너비(d2)는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너비(d1)는 상기 제 2 너비(d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 및 상기 제 2 유로(120)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유로(110)의 수평 방향 단면적은 상기 제 2 유로(120)의 수평 방향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유로(110)를 유동한 물이 상기 제 1 개구부(215)를 통해 상기 제 2 유로(120)로 유동 시 난류(turbulent flow)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층류(laminar flow)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은 상기 유로부(100) 내에 격벽 부재(200)를 배치하여 유체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의 유체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가 상기 광원부(400)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어 상기 유체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다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단면도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살균 유닛의 유동 해석에 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격벽 부재가 복수의 격벽부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살균 유닛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격벽 부재(200)는 상기 지지 부재(5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격벽 부재(200)는 상기 지지 부재(50) 상에 배치되는 제 1 격벽부(210), 제 2 격벽부(220) 및 제 3 격벽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격벽부(210, 220, 230) 각각은 상기 지지 부재(50) 상에 고정되어 설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및 제 3 격벽부(210, 23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와 이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격벽부(220)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와 이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격벽부(210, 220, 230)는 상기 유로부(100)와 상기 지지 부재(50)가 결합할 때 상기 유로부(100)의 오픈 영역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3 격벽부(210, 23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및 상기 유로부(100) 결합 시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오픈 영역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 2 격벽부(220)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및 상기 유로부(100) 결합 시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 오픈 영역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격벽부(210, 220, 230) 각각은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내지 제 3 격벽부(210, 220, 230)는 상기 유로부(1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격벽부(210, 220, 230)는 상기 유로부(100)와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유로부(100)와 마주하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일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수평 방향 너비는 상기 유로부(100)의 수평 방향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수직 방향 높이는 상기 유로부(100)의 수직 방향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와 이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부(210)는 제 1 외측면(211) 및 제 1 내측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면(211)은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외측면으로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면(101)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면(212)은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중공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내측면으로 상기 제 1 외측면(211)과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면(212)은 후술할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외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격벽부(220)는 상기 유로부(100)와 상기 유로부(100)와 마주하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의 일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격벽부(220)는 상기 제 1 격벽부(210)보다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수평 방향 너비는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수평 방향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수직 방향 높이는 상기 유로부(100)의 수직 방향 높이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수직 방향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격벽부(22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와 이격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격벽부(220)는 제 2 외측면(221) 및 제 2 내측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면(221)은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외측면으로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내측면(212)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내측면(222)은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중공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내측면으로 상기 제 2 외측면(221)과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내측면(222)은 후술할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외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격벽부(23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일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격벽부(230)는 상기 제 2 격벽부(220)보다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수평 방향 너비는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수평 방향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수직 방향 높이는 상기 유로부(100)의 수직 방향 높이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격벽부(210, 220)의 수직 방향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격벽부(230)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와 이격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격벽부(230)는 제 3 외측면(231) 및 제 3 내측면(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외측면(231)은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외측면으로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제 2 내측면(222)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3 내측면(232)은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중공을 구성하는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내측면으로 상기 제 3 외측면(231)과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3 내측면(232)은 상기 유출부(320)의 외측면(321)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유닛(1000)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살균 유닛(1000)은 상기 복수의 격벽부(210, 220, 230) 각각과 상기 지지 부재(50)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격벽부(210)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사이에는 제 1 개구부(215)로 정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215)는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개구부(215)는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보다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격벽부(220) 및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사이에는 제 2 개구부(225)로 정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부(225)는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개구부(225)는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보다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격벽부(230)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사이에는 제 3 개구부(235)로 정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개구부(235)는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개구부(235)는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보다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215, 225, 235)는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개구부(215)는 상기 제 1 격벽부(210)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 2 개구부(225)는 상기 제 2 격벽부(220) 및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개구부(235)는 상기 제 3 격벽부(230)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개구부(215, 225, 235) 각각의 수직 방향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격벽부(210)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격벽부(220) 및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격벽부(220) 및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3 격벽부(230)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사이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부(100)를 유동하는 유체는 일정한 유동 속도를 가질 수 있고,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00)는 복수의 격벽부들(210, 220, 230)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부(100)는 복수의 격벽부들(210, 220, 230)에 의해 구분되는 제 1 내지 제 4 유로(110, 120, 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면(101) 및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외측면(211)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유입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유입부(310)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내측면(212) 및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제 2 외측면(221)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부(310)와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유로(110)보다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 외측에는 상기 제 1 유로(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제 2 유로(12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유로(130)는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제 2 내측면(222) 및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제 3 외측면(231)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 3 유로(13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부(310)와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유로(120)보다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 3 유로(130)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유로(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제 3 유로(13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140)는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제 3 내측면(232) 및 상기 유출부(320)의 외측면(321)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14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부(310)와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3 유로(130)보다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140)의 외측에는 상기 제 3 유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유로(130)는 상기 제 4 유로(14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140)는 상기 유출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부(32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부(310)와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4 유로(140)보다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인접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출부(32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의 외측에는 상기 제 4 유로(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140)는 상기 제 4 유로(14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215)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110, 120)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110, 1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부(225)는 상기 제 2 및 제 3 유로(120, 130) 사이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유로(120, 13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3 개구부(235)는 상기 제 3 및 제 4 유로(130, 140) 사이에서 상기 제 3 및 제 4 유로(130, 1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310)를 통해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는 도 7 과 같이 상기 제 1 유로(110), 상기 제 1 개구부(215), 상기 제 2 유로(120), 상기 제 2 개구부(225), 상기 제 3 유로(130), 상기 제 3 개구부(235) 순서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유출부(320)를 통해 상기 살균 유닛(1000)의 상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는 복수의 격벽부(210, 220, 230)에 의해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상부 및 하부 방향을 반복하며 유동할 수 있고 증가된 유동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부(100)에 유입된 유체의 체류 시간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110)는 수평 방향 너비로 정의되는 제 1 너비(d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너비(d1)는 상기 유로부(100)의 내측면(101) 및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외측면(211)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20)는 수평 방향 너비로 정의되는 제 2 너비(d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너비(d2)는 상기 제 1 격벽부(210)의 제 1 내측면(212) 및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제 2 외측면(221)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3 유로(130)는 수평 방향 너비로 정의되는 제 3 너비(d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너비(d3)는 상기 제 2 격벽부(220)의 제 2 내측면(222) 및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제 3 외측면(231)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140)는 수평 방향 너비로 정의되는 제 4 너비(d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4 너비(d4)는 상기 제 3 격벽부(230)의 제 3 내측면(232) 및 상기 유출부(320)의 외측면(321)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너비(d1, d2, d3, d4) 각각은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일정한 수평 방향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내지 제 4 유로(110, 120, 130, 140) 각각은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4 너비(d1, d2, d3, d4)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대적으로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가까운 유로의 너비는 상기 유로부(100)의 중심과 먼 유로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유로(110, 120, 130, 140)의 너비는 제 1 너비(d1), 제 2 너비(d2), 제 3 너비(d3) 및 제 4 너비(d4) 순서로 진행할수록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유로(110, 120, 130, 140) 각각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내지 제 4 유로(110, 120, 130, 140) 각각의 수평 방향 단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는 도 8과 같이 일정한 속도로 유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을 해석 소프트웨어(S/W) FloEFD를 이용하여 유동 해석한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에서 적색(Red)에 가까울수록 상기 살균 유닛(10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속도가 빠른 것을 의미하며 청색(Blue)에 가까울수록 유체의 유동 속도가 느린 것을 의미한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는 층류(laminar flow)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 내부 예컨대 상기 제 1 내지 제 4 유로(110, 120, 130, 140) 내에서 균일한 속도로 유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기 격벽 부재(200)가 제 1 내지 제 3 격벽부(210, 220, 230)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100)가 제 1 내지 제 4 유로(110, 120, 130, 140)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격벽부 및 상기 유로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유로부(100)에 입사되는 조도 값, 상기 유로부(100)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격벽부 및 상기 유로의 수는 변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상기 유체의 유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거나 상기 발광소자(420)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거나, 고출력의 발광소자(420)가 배치될 경우, 요구되는 유동 경로의 길이는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격벽부 및 상기 유로의 수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와 반대일 경우 요구되는 유동 경로의 길이는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격벽부 및 상기 유로의 수는 보다 증가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유입부 및 유출부가 동일한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된 예를 설명한다. 이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의 살균 유닛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은 상기 유로부(100)와 연결되는 유입부(310) 및 유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및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 중 선택되는 하나의 지지 부재(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00)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부(310)가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복수 개가 제공될 경우 상기 유입부(310)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유입부(310)들은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 형상의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유입부(310)와 동일한 지지 부재(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부(310)가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배치될 경우,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의 중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유로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유로부(100)의 외부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52)와 인접한 상기 유로부(100)의 내부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부 지지 부재(5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20)는 상기 유로부(100)의 상부 영역의 유체를 상기 유로부(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310)를 통해 상기 유로부(100)의 하부 영역에 공급된 유체는 도 8과 같이 상기 제 1 유로(110), 상기 제 1 개구부(215), 상기 제 2 유로(120), 상기 제 2 개구부(225) 및 제 3 유로(130) 순서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유출부(320)를 통해 상기 살균 유닛(1000)의 하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실시예는 상기 유입부(310) 및 상기 유출부(320)를 동일한 지지 부재(50) 상에 배치하여 상기 살균 유닛(1000)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의 유동 경로 및 체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 유닛(1000)에 공급된 유체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의 살균 유닛(1000)이 동작할 때, 상기 광원부(400)의 발광소자(420)는 발광하여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자외선은 상기 유로부(100)에 입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유로부(100) 및 상기 유로부(1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에 자외선 에너지가 인가될 수 있고, 인가되는 자외선 에너지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E = mW * T
(E= 에너지(dose, mJ/cm2), mW= 조사 대상에 입사되는 조도(mW/cm2), T: 발광소자의 발광 시간(s))
즉,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유로부(100) 및 상기 유체 등과 같은 조사 대상에 입사되는 자외선 에너지는 입사되는 조도 값과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표 1은 입사된 자외선 에너지 값에 대한 미생물의 살균력을 평가한 데이터이다.
미생물 UV Dose (mJ/cm2)
0
(0 min)
0.332
(0.5 min)
0.63
(1 min)
1.89
(3 min)
3.15
(5 min)
E. coli O 157:H7
(대장균)
0% 97.64% 99.97% > 99.99% > 99.99%
S. Typhimurium(살모넬라) 0% 97.81% 99.78% > 99.99% > 99.99%
L. monocywogenes(리스테리아) 0% 59.57% 88.25% 99.97% > 99.99%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미생물에 약 0.63mJ/cm2의 자외선 에너지를 가할 경우, 대장균(E. coli O 157:H7) 및 살모넬라(S. Typhimuriu)는 약 99% 이상 살균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리스테리아(L. monocywogenes)는 약 88% 이상 살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에 약 1.89mJ/cm2의 자외선 에너지를 가할 경우, 대장균, 살모넬라 및 리스테리아가 약 99% 이상 살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에 약 3.15mJ/cm2의 자외선 에너지를 가할 경우, 대장균, 살모넬라 및 리스테리아가 약 99.99% 이상 살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은 상기 유로부(100)를 유동하는 유체에 약 1.89 dose(mJ/cm2) 이상의 자외선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유로부(100)에 존재하거나 상기 유체에 포함된 대장균, 살모넬라 및 리스테리아를 약 99% 이상 살균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은 상기 유로부(100) 내에 배치되는 격벽 부재(200)에 의해 상기 유로부(100)에 공급된 유체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부(100)를 유동하는 유체는 증가된 유동 경로를 가지며 상기 유로부(100) 내에서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부(100) 및/또는 유체에 설정된 자외선 에너지를 인가할 경우 요구되는 발광소자(420)의 전체 개수는 감소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의 발광소자(420)를 이용하여 상기 유로부(100)를 유동하는 유체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400)의 방수, 방습 및 방열 특성을 개선할 수 있어 상기 광원부(400)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은 정수기(미도시) 등과 같이 유로를 포함하는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수기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을 가지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정수기에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필터부로부터 정화된 물을 외부로 출수하는 취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취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수기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유동하는 정수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수관은 상기 살균 유닛(1000)의 유입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취출부는 상기 정수기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외부로 출수하는 취출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취출관은 상기 살균 유닛(1000)의 유출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를 통해 정수된 물은 상기 살균 유닛(1000)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수될 수 있고, 상기 살균 유닛(1000)을 통과하는 과정에 효과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살균 유닛(1000)은 소형으로 구현하여 상기 정수기의 필터부로부터 공급된 물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켜 살균 유닛(1000)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정수된 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필터부 및 취출부의 배치에 따라 상기 유입부(310) 및 상기 유출부(3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 상기 정수기 등과 같은 소형 장치 내부에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발광소자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소자(420)는 리세스(481)를 포함하는 패키지 몸체(480), 상기 리세스(481)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485, 486, 487), 상기 복수의 전극(485, 486, 487)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 상에 배치되는 발광 칩(470), 상기 리세스(481) 상에 배치되는 투명 윈도우(4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470)은 자외선 파장부터 가시광선 파장의 범위 내에서 선택적인 피크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칩(470)은 약 10nm 내지 400nm 영역대의 자외선 파장을 발광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발광 칩(470)은 UV-A, UV-B 및 UV-C 영역대의 자외선 파장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470)은 Ⅱ족과 Ⅵ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 또는 Ⅲ족과 Ⅴ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AlInGaN, InGaN, AlGaN, GaN, GaAs, InGaP, AllnGaP, InP, InGaAs와 같은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470)의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및 활성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활성층은 InGaN/GaN, InGaN/AlGaN, InGaN/InGaN, GaN/AlGaN, InAlGaN/InAlGaN, AlGaAs/GaAs, InGaAs/GaAs, InGaP/GaP, AlInGaP/InGaP, InP/GaAs와 같은 페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480)는 절연 재질 예컨대, 세라믹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소재는 동시 소성되는 저온 소성 세라믹(LTCC: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또는 고온 소성 세라믹(HTCC: 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재질은 예를 들면, AlN 일 수 있으며, 열 전도도가 140W/mK 이상인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480)는 단차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상부 둘레는 단차 구조(48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 구조(480a)는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상면보다 낮은 영역으로 상기 리세스(481)의 상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차 구조(480a)의 깊이는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상면으로부터의 깊이로서, 상기 투명 윈도우(482)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리세스(481)는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상부 영역의 일부가 개방된 영역으로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세스(481)의 바닥은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단차 구조(480a)보다 더 깊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 구조(480a)의 위치는 상기 리세스(481)의 바닥 상에 배치된 발광 칩(470)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의 높이를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세스(481)가 개방된 방향은 발광 칩(47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방출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481)는 탑뷰 형상이 다각형,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481)는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처리된 형상 예컨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세스(481)는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단차 구조(480a)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481)의 하부 너비는 상기 리세스(481)의 상부 너비와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거나 상부 너비가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481)의 측벽(481a)은 상기 리세스(481)의 하면의 연장 선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481) 내에는 서브 리세스(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세스(481)의 하면은 상기 리세스(481)의 하면보다 수직 방향으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세스에는 보호 소자(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세스(481)의 수직 방향 높이는 상기 보호 소자의 수직 방향 두께와 대응되거나 더 클 수 있다. 즉, 상기 보호 소자의 상면이 상기 리세스의 하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하여 상기 보호 소자에 의한 광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지향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481)에는 복수 개의 전극(485, 486, 487)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전극(485, 486, 487)은 상기 발광 칩(47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극(485, 486, 487)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485, 486, 487)은 백금(Pt),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탄탈늄(Ta)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극(485, 486, 487) 중 적어도 하나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485, 486, 487)이 다층으로 형성될 경우, 최상층에는 본딩 특성이 좋은 금(Au)이 배치될 수 있고, 최하층에는 상기 패키지 몸체(480)와의 접착성이 좋은 티타늄(Ti), 크롬(Cr), 탄탈늄(Ta)의 재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의 중간층에는 백금(Pt), 니켈(Ni), 구리(Cu)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485, 486, 487)은 상기 발광 칩(470)이 배치되는 제 1 전극(485), 상기 제 1 전극(485)과 이격되는 제 2 전극(486) 및 제 3 전극(487), 상기 서브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제 4 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485)은 상기 리세스(481)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전극(486) 및 상기 제 3 전극(487)은 상기 제 1 전극(485)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485) 및 제 2 전극(486) 중 어느 하나는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발광 칩(470)은 제 1 내지 제 3 전극(485, 486, 487) 중 복수의 전극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 1 전극(485) 및 상기 제 4 전극은 제 1 극성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486) 및 상기 제 3 전극(487)은 제 2 극성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의 극성은 전극 패턴이나 각 소자와의 연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칩(470)은 상기 리세스(48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470)은 상기 제 1 전극(485)과 전도성 접착제로 본딩될 수 있고, 제 와이어 등을 포함하는 1 연결부재로 상기 제 2 전극(48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470)은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486) 또는 제 3 전극(48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470)의 연결 방식은 와이어 본딩, 다이 본딩, 플립 본딩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고, 본딩 방식에 따라 칩 종류 및 칩의 전극 위치는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보호소자는 상기 제 4 전극에 본딩될 수 있고 와이어 등을 포함하는 제 2 연결 부재로 상기 제 3 전극(487)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보호 소자는 상기 리세스(481) 내에서 제거되어 상술한 회로기판(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하면에는 복수의 패드(491, 49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하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패드(491) 및 제 2 패드(49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491, 492)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로 배치되어 전류 경로를 분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480) 내에는 연결 패턴(48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패턴(489)은 상기 리세스(481)와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하면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485)의 일부는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 패턴(489)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 패턴(489)을 통해 다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패턴(489)은 상기 제 1 전극(485), 상기 제 4 전극 및 상기 제 1 패드(49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486), 상기 제 3 전극(487) 및 상기 제 2 패드(49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상기 리세스(481) 상에는 투명 윈도우(48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는 글래스(glass) 재질 예컨대, 석영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명 윈도우(482)는 상기 발광 칩(470)으로부터 방출된 광 예컨대, 자외선 파장에 의해 분자 간의 결합 파괴와 같은 손해 없이 투과시켜 줄 수 있는 재질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는 외측 둘레가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단차 구조(480a)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와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단차 구조(480a) 사이에는 접착층(483)이 배치되며, 상기 접착층(483)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는 상기 리세스(481)의 바닥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의 하면 면적은 상기 리세스(481)의 바닥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윈도우(482)은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단차 구조(480a)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는 상기 발광 칩(47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가 상기 발광 칩(47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발광 칩(47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 아래의 공간은 빈 공간이거나 비금속 또는 금속 화학 원소가 채워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투명 윈도우(482) 상에는 렌즈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윈도우(482) 상에는 별도의 렌즈를 결합하여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480)의 측면에는 몰딩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소자(420)의 측면에는 몰딩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420)의 신뢰성 및 방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내에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자외선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부다 상기 유로부의 중심과 인접한 제 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되는 살균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는, 수평 방향 너비가 서로 다르고, 수평 방향 단면적이 동일한 살균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부보다 낮은 수직 방향 높이를 가지는 격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격벽부를 포함하는 살균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와 결합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부는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는 살균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유로보다 상기 유로부의 중심과 인접한 제 3 유로; 및
    상기 제 3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유로보다 상기 유로부의 중심과 인접한 제 4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제 2 및 제 3 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격벽부; 및 상기 제 3 및 제 4 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격벽부를 포함하는 살균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유로 각각의 수평 방향 너비는 서로 동일한 살균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제 1 유로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유로부 내에서 상기 제 1 유로, 상기 제 2 유로, 상기 제 3 유로 및 상기 제 4 유로 순서로 유동하고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 유닛.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유로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유로부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살균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상부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는 살균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소자는 방출하는 광에서 280nm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살균 유닛.
KR1020190010795A 2019-01-28 2019-01-28 살균 유닛 KR20200093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95A KR20200093383A (ko) 2019-01-28 2019-01-28 살균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95A KR20200093383A (ko) 2019-01-28 2019-01-28 살균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383A true KR20200093383A (ko) 2020-08-05

Family

ID=7204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795A KR20200093383A (ko) 2019-01-28 2019-01-28 살균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3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05B1 (ko) * 2020-08-19 2021-07-29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공기 순환 기능을 구비한 자외선 살균 장치
WO2024025324A1 (ko) * 2022-07-27 2024-02-01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05B1 (ko) * 2020-08-19 2021-07-29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공기 순환 기능을 구비한 자외선 살균 장치
WO2024025324A1 (ko) * 2022-07-27 2024-02-01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823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source module having thereof
US10260734B2 (en) Light source unit
WO2017043357A1 (ja) 殺菌装置
CN111201201B (zh) 辐照装置和方法
KR20200029137A (ko) 자외선 조사 장치 및 자외선 조사 방법
KR102588815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20200093383A (ko) 살균 유닛
US20200321493A1 (en) Uv solid state output device
KR20200120259A (ko) 살균 유닛
KR20200099341A (ko) 탈취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KR20200074605A (ko) 살균 유닛
JP2020000285A (ja) 流体殺菌装置
KR20210004549A (ko) 살균 유닛
KR20210001543A (ko) 살균 유닛
KR20200068343A (ko) 살균 장치
KR20200089856A (ko) 살균 유닛
KR102665669B1 (ko)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2016213213A (ja) 発光モジュール
KR20180129719A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광원 모듈
KR20200119086A (ko) 수전
KR20200081854A (ko) 살균 유닛
KR20200041195A (ko)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00047982A (ko)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600659B1 (ko)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00079829A (ko) 조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