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564A -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 Google Patents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564A
KR20200092564A KR1020190009626A KR20190009626A KR20200092564A KR 20200092564 A KR20200092564 A KR 20200092564A KR 1020190009626 A KR1020190009626 A KR 1020190009626A KR 20190009626 A KR20190009626 A KR 20190009626A KR 20200092564 A KR20200092564 A KR 20200092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ano
sound
midi
display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지은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양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은 filed Critical 양지은
Priority to KR102019000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2564A/ko
Publication of KR2020009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16Means for indicating which keys, frets or strings are to be actuated, e.g. using lights or le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acoustic input signals, e.g. by using the results of pitch or rhythm extraction or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involving timing of operations, e.g. performing an action within a time slo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61LED, i.e. using a light-emitting diode as ind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판독부에 의하여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에 있어서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를 보고 미디 컨트롤러를 눌러서 신호를 전달 할 수 있게 피아노 건반 모양으로 구성 된 압력감지 센서로 구성한 미디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에 표시 및 출력이 될 수 있게 미디 음원 데이터를 로드하여 미디 음원 모듈을 통하여 음성 출력을 하고 미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형상화하여 표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미디 데이터 재생부,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입력 판독부, 미디음원 모듈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음파의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게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파적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다이나믹 유닛으로 구성한 스피커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 판독부에 의하여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Piano education software that can check the accent expression based on the rhythm game}
본 발명은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에 있어서,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를 보고 미디 컨트롤러를 눌러서 신호를 전달 할 수 있게 피아노 건반 모양으로 구성 된 압력감지 센서로 구성한 미디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에 표시 및 출력이 될 수 있게 미디 음원 데이터를 로드하여 미디 음원 모듈을 통하여 음성 출력을 하고 미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형상화하여 표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미디 데이터 재생부,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입력 판독부, 미디음원 모듈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음파의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게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파적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다이나믹 유닛으로 구성한 스피커로 구성 하여서,
입력 판독부에 의하여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는 사용자가 재생되고 있는 음원에 맞추어 피아노 연주를 하여 정확도를 체크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미디 컨트롤러, 미디 데이터 재생부, 입력 판독부, 스피커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는 미디 데이터 재생부를 통하여 음원을 재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 및 스피커 출력을 하면 미디 컨트롤러를 통하여 맞추어 입력된 데이터를 입력 판독부가 판별하여 사용자가 재생되고 있는 음원에 맞추어 피아노 연주를 하여 정확도를 체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는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080099726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가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를 보고 미디 컨트롤러를 눌러서 신호를 전달 할 수 있게 피아노 건반 모양으로 구성 된 압력감지 센서로 구성한 미디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에 표시 및 출력이 될 수 있게 미디 음원 데이터를 로드하여 미디 음원 모듈을 통하여 음성 출력을 하고 미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형상화하여 표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미디 데이터 재생부,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입력 판독부, 미디음원 모듈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음파의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게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파적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다이나믹 유닛으로 구성한 스피커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를 보고 미디 컨트롤러를 눌러서 신호를 전달 할 수 있게 피아노 건반 모양으로 구성 된 압력감지 센서로 구성한 미디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에 표시 및 출력이 될 수 있게 미디 음원 데이터를 로드하여 미디 음원 모듈을 통하여 음성 출력을 하고 미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형상화하여 표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미디 데이터 재생부,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입력 판독부, 미디음원 모듈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음파의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게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파적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다이나믹 유닛으로 구성한 스피커로 구성 함으로써, 입력 판독부에 의하여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개념도
즉, 본 발명은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1)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를 보고 미디 컨트롤러를 눌러서 신호를 전달 할 수 있게 피아노 건반 모양으로 구성 된 압력감지 센서로 구성한 (2)미디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에 표시 및 출력이 될 수 있게 미디 음원 데이터를 로드하여 미디 음원 모듈을 통하여 음성 출력을 하고 미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형상화하여 표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3)미디 데이터 재생부,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4)입력 판독부, 미디음원 모듈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음파의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게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파적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다이나믹 유닛으로 구성한 (5)스피커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디스플레이부는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4)입력 판독부는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에 있어서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1)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를 보고 미디 컨트롤러를 눌러서 신호를 전달 할 수 있게 피아노 건반 모양으로 구성 된 압력감지 센서로 구성한 (2)미디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에 표시 및 출력이 될 수 있게 미디 음원 데이터를 로드하여 미디 음원 모듈을 통하여 음성 출력을 하고 미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형상화하여 표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3)미디 데이터 재생부,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4)입력 판독부, 미디음원 모듈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음파의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게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파적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다이나믹 유닛으로 구성한 (5)스피커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기존 채점 소프트웨어는 Note의 Pitch, Attack Timing, Release Timing은 체크하나, 강약에 해당하는 Velocity 의 체크는 해주지 않음으로, 피아노 교습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1)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4)입력 판독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 디스플레이부, 2: 미디 컨트롤러, 3: 미디 데이터 재생부, 4: 입력 판독부, 5: 스피커

Claims (3)

  1. 피아노 리듬게임 소프트웨어 장치에 있어서,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1)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를 보고 미디 컨트롤러를 눌러서 신호를 전달 할 수 있게 피아노 건반 모양으로 구성 된 압력감지 센서로 구성한 (2)미디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에 표시 및 출력이 될 수 있게 미디 음원 데이터를 로드하여 미디 음원 모듈을 통하여 음성 출력을 하고 미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형상화하여 표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3)미디 데이터 재생부,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한 (4)입력 판독부, 미디음원 모듈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음파의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게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파적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다이나믹 유닛으로 구성한 (5)스피커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2. 제 1항에 있어서,
    (1)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음원에 맞추어 강약 정도를 보면서 연주 입력을 할 수 있게 피아노 노트를 건반 사이즈에 맞추어 바 형태로 구성하고 강약의 정도를 색깔 및 크기로 표현하여 리듬에 맞추어 상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3. 제 1항에 있어서,
    (4)입력 판독부를 통하여 입력된 노트의 강세 표현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게 밸로시티 값을 판독하여 입력값과의 차이를 구분하여 차등화된 점수 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 산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KR1020190009626A 2019-01-25 2019-01-25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KR20200092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26A KR20200092564A (ko) 2019-01-25 2019-01-25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26A KR20200092564A (ko) 2019-01-25 2019-01-25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64A true KR20200092564A (ko) 2020-08-04

Family

ID=7204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626A KR20200092564A (ko) 2019-01-25 2019-01-25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25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692A (ko) 2021-11-18 2023-05-25 유상목 피아노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아노 연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726A (ko) 2007-05-10 2008-11-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726A (ko) 2007-05-10 2008-11-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692A (ko) 2021-11-18 2023-05-25 유상목 피아노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아노 연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mada et al. A rhythm practice support system with annotation-free real-time onset detection
CN102129798B (zh) 微电脑控制的数码弦乐器
KR101538317B1 (ko) 영어 리터러시 자동측정 시스템
US20110159471A1 (en) Audio/video teaching system
KR20200092564A (ko) 게임처럼 배울수있는 교육용 피아노
CN105632298A (zh) 多功能声学演示器
JP2006276693A (ja) 歌唱評価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34486A (ko) 음악교습에 사용되는 건반장치
WO2010139002A1 (en) Music game improvements
CN205692552U (zh) 一种新型教学用钢琴
JP2006133521A (ja) 語学学習機
KR20140142794A (ko) 음악교습에 사용되는 건반장치
JP4839967B2 (ja) 指導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6017622A1 (ja) リファレンス表示装置、リファレンス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40260A (ja) 楽曲練習支援装置、動的時間整合モジュールおよびプログラム
EP3889953A1 (en) Practice apparatus
JP4862413B2 (ja) カラオケ装置
JP2014092550A (ja) シャウト技法による歌唱を評価する音声評価装置
KR101002643B1 (ko)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Voigt Hearing what you see: A case for the use of ancillary gesture in individual percussion performance
JP2008040258A (ja) 楽曲練習支援装置、動的時間整合モジュール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627409A (zh) 一种钢琴弹奏的教学辅助系统
JP5092311B2 (ja) 音声評価装置
JP2006023758A (ja) 発音評価装置
JP2007225916A (ja) オーサリング装置、オーサリ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