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720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720A
KR20200091720A KR1020190008860A KR20190008860A KR20200091720A KR 20200091720 A KR20200091720 A KR 20200091720A KR 1020190008860 A KR1020190008860 A KR 1020190008860A KR 20190008860 A KR20190008860 A KR 20190008860A KR 20200091720 A KR20200091720 A KR 2020009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protective film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364B1 (ko
Inventor
김한수
신광호
위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판은 제1편광자 및 상기 제1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5° 내지 +5°를 이루고, 상기 제2편광판은 제2편광자 및 상기 제2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5° 내지 +5°를 이루는 것인,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액정 패널의 양쪽면에 배치된 편광판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액정 패널을 통해 출사하는 과정에서 정면으로 투과되는 광 이외에도 측면으로 투과되는 광을 확산시켜 출사함으로써 작동된다. 따라서, 측면에서 나오는 빛은 정면에서 나오는 빛 대비하여 휘도와 명암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측면에서의 명암비 및 휘도를 높이기 위하여 편광판에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패턴층을 부가하거나 광이 액정 패널을 통과하기 전에 광을 확산시키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패턴층을 부가하는 것은 편광판 제조시 별도의 패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번거롭고 복잡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0227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이트 모드의 휘도를 개선하고 블랙 모드에서의 휘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제적이며 간단한 공정으로도 측면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액정표시장치이다.
1.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판은 제1편광자 및 상기 제1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slow axis)은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5° 내지 +5°를 이루고, 상기 제2편광판은 제2편광자 및 상기 제2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5° 내지 +5°를 이룬다.
2.1에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0°를 이루고,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0°를 이룰 수 있다.
3.1-2에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85° 내지 95°를 이룰 수 있다.
4.1-3에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5,000nm 내지 11,000nm일 수 있다.
5.1-4에서,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5,000nm 내지 11,000nm일 수 있다.
6.1-5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하기 식 1의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 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의 차이의 절대값이 0nm 내지 500nm일 수 있다.
[식 1]
|Re(I) - Re(II)|
(상기 식 1에서, Re(I)는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단위:nm),
Re(II)는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단위:nm)).
7.1-6에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중 1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8.1-7에서, 상기 제1편광판은 상기 제1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편광판은 상기 제2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9.8에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10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10.8에서,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이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는 +0.03° 내지 +0.2°일 수 있다.
11.8에서, 상기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10nm 내지 200nm일 수 있다.
12.8에서,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이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는 +0.03° 내지 +0.2°일 수 있다.
13.1-12에서, 상기 액정 패널은 VA 모드의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14.1-13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2편광판의 입사면에 배치된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백색 LED 광원, 양자점 광원, 금속 불화물 적색 형광체 광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측면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화이트 모드의 휘도를 개선하고 블랙 모드에서의 휘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경제적이며 간단한 공정으로도 측면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 중 제1편광자의 흡수축,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제2편광자의 흡수축,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 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 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 또는 "직접적으로 형성"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체 등의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자 보호필름의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식 A로 표시되고,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식 B로 표시되고, "이축성 정도(NZ)"는 하기 식 C로 표시된다:
[식 A]
Re = (nx - ny) x d
[식 B]
Rth = ((nx + ny)/2 - nz) x d
[식 C]
NZ = (nx - nz)/(nx - ny)
(상기 식 A 내지 식 C에서, nx, ny, nz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편광자 보호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편광자 보호필름의 두께(단위:nm)이다).
본 명세서에서 범위 기재시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X≤ 및 ≤Y)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기재할 때 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은 "+", 반 시계 방향은 "-"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경제적이고 간단한 공정으로 측면 명암비를 현저하게 높은 액정표시장치를 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액정 패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되는 제1편광판과 액정 패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되는 제2편광판을 포함하고, 제1편광판은 제1편광자 및 제1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되는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제1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5° 내지 +5°를 이루고, 제2편광판은 제2편광자 및 제2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되는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제2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5° 내지 +5°를 이룸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제1편광판, 제2편광판 중 1종 이상이 패턴층 등의 명암비 개선층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편광판 중 패턴층을 부가하거나 등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편광자의 흡수축과 편광자의 보호 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편광자의 일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접착된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점착시키기 전에 재단하는 과정에서 편광자의 흡수축과 편광자 보호 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 조절 및 재단 공정만으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이고 간단한 공정으로 화이트 모드에서 휘도를 개선하고 블랙 모드에서의 휘도를 낮춤으로서 측면 명암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상기 명암비 개선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고굴절층과 저굴절층 및 고굴절층과 저굴절층 사이에 형성된 패턴부를 포함하는 패턴층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100), 액정 패널(100)의 상부면(액정 패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판(200), 액정 패널(100)의 하부면(액정 패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판(300)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편광판(200)과 제2편광판(300)은 각각 점착층에 의해 액정 패널(100)에 점착될 수 있다. 점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점착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점착층은 측면 휘도와 측면 명암비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1편광판(200)은 제1편광자(210), 제1편광자(210)의 상부면(제1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 및 제1편광자(210)의 하부면(제1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을 포함한다. 제2편광판(300)은 제2편광자(310), 제2편광자(310)의 하부면(제2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 및 제2편광자(310)의 상부면(제2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편광자(210)에는 제1편광자의 흡수축(211)이 있고,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에는 지상축(221)이 있다. 제1편광자의 흡수축(211)을 0°라고 할 때,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의 지상축(221)이 제1편광자의 흡수축(211)과 이루는 각도(이하, "제1 각도"라고 할 수도 있음)는 -5° 내지 +5°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편광자(310)에는 제2편광자의 흡수축(311)이 있고, 제2편광자(310)의 제1보호필름(330)에는 지상축(331)이 있다. 제2편광자(310)의 흡수축(311)을 0°라고 할 때,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의 지상축(331)이 제2편광자(310)의 흡수축(311)과 이루는 각도(이하, "제2 각도"라고 할 수도 있음)는 -5° 내지 +5°이다.
상술한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범위을 모두 만족함으로써 측면 예를 들면 극각 60° 및 방위각 전체에서 명암비와 휘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각도는 -3° 내지 +3°, 구체적으로 -1° 내지 +1°, 더 구체적으로 -0.5° 내지 +0.5°, 0°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2 각도는 -3° 내지 +3°, 구체적으로 -1° 내지 +1°, 더 구체적으로 -0.5° 내지 +0.5°, 0°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 상기 제2 각도는 각각 제1편광판, 제2편광판을 제조할 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편광자 제1보호 필름의 지상축을 상술한 각도로 맞추어 접착시킨 다음 재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편광자와 편광자 제1보호 필름의 롤투롤로 접착될 수 있다.
제1편광자(210)의 제1보호필름(220)은 제1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제1편광자(210)의 흡수축과 제1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되는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를 조절하였다. 제1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되는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과 제1편광자의 흡수축 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측면 명암비 및 측면 휘도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다.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5,000nm 내지 11,0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편광판 적용시 무지개 무라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각도를 가졌을 때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보호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는 6,000nm 내지 10,000nm, 6,000nm 내지 9,000nm, 7,000nm 내지 9,000nm가 될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은 상술한 면내 위상차 Re를 가지면서 지상축을 갖는다면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은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MD 1축 연신 또는 TD 1축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MD와 TD 순차 또는 동시 2축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TD 1축 연신 필름으로서 상술한 면내 위상차 Re를 확보하기가 쉽다. 연신은 건식 연신 또는 습식 연신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건식 연신시 연신 온도는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가 될 수 있고 습식 연신시 연신 온도는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연신비는 2배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3배 내지 6배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은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가 5,000nm 내지 11,0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편광판 적용시 무지개 무라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각도를 가졌을 때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는 7,000nm 내지 9,000nm, 8,000nm 내지 9,000nm가 될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은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 NZ가 1.3 내지 1.7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편광판 적용시 무지개 무라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각도를 가졌을 때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 NZ는 1.4 내지 1.6이 될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제2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제2편광자(310)의 흡수축과 제2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되는 제1보호필름(330)의 지상축 간의 각도를 조절하였다. 제2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되는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과 제2편광자의 흡수축 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측면 명암비 및 측면 휘도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다.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5,000nm 내지 11,0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편광판 적용시 무지개 무라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각도를 가졌을 때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는 6,000nm 내지 10,000nm, 6,000nm 내지 9,000nm, 7,000nm 내지 9,000nm가 될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상술한 면내 위상차 Re를 가지면서 지상축을 갖는다면 제조방법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상술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에서 상술된 제조 방법에서 연신 온도, 연신비 또는 연신 방법을 동일하게 하거나 다르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TD 1축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가 5,000nm 내지 11,0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무지개 무라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각도를 가졌을 때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는 7,000nm 내지 9,000nm, 8,000nm 내지 9,000nm가 될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 NZ가 1.3 내지 1.7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무지개 무라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각도를 가졌을 때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 NZ는 1.4 내지 1.6이 될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은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 대비 동일하거나 다른 면내 위상차 Re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식 1의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과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 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의 차이의 절대값은 0nm 내지 500nm, 바람직하게는 0nm 내지 100nm, 더 바람직하게는 0nm 내지 5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제적으로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 개선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식 1]
|Re(I) - Re(II)|
(상기 식 1에서, Re(I)는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단위:nm),
Re(II)는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단위:nm)).
제1편광자(210)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221)과 제2편광자(310)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331)은 8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88° 내지 92°, 더 바람직하게는 89.5° 내지 90.5°, 가장 바람직하게는 90°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무지개 무라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각도, 제2각도를 가졌을 때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 개선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두께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고 면내 위상차 구현에 용이할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동일하거나 이종의 재질로 제조된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보호필름의 투습도가 낮아 고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220)은 제1편광자(210)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고,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330)은 제2편광자(310)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접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접착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2편광자(310)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켜 액정 패널로 출사시킨다. 제2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하여 제조되는 폴리엔계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40㎛, 예를 들면 5㎛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제1편광자(210)는 액정 패널로부터 입사된 광을 편광시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 쪽으로 출사시킨다. 제1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하여 제조되는 폴리엔계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편광자는 제2편광자 대비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40㎛, 예를 들면 5㎛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제1편광자의 흡수축(211)을 0°라고 할 때, 제1편광자의 흡수축(211)과 제2편광자의 흡수축(311)이 이루는 각도는 8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87° 내지 93°, 더 바람직하게는 9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편광판(200)은 제1편광자(210)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을 포함한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은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제1편광판의 고온 및/또는 고온 고습에서 장기간 방치할 경우 휨을 방지하거나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10nm 내지 300nm,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50nm, 더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편광판의 광 효율을 높이고 액정표시장치의 측면 명암비 상승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은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가 10nm 내지 300nm,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5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효율을 높이고 액정표시장치의 측면 명암비 상승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은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 NZ가 2.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0, 더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2.9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효율을 높이고 액정표시장치의 측면 명암비 상승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도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상술한 MD 1축 연신 필름, TD 1축 연신 필름 또는 MD와 TD 2축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MD와 TD 2축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도 지상축과 진상축(fast axis)을 갖는다.
제1편광자의 흡수축(211)을 0°라고 할 때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의 진상축(fast axis)이 제1편광자의 흡수축(211)과 이루는 각도는 +0.03°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5°, 더 바람직하게는 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 효율이 높고, 액정표시패널의 명암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1편광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은 두께가 1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고 면내 위상차 구현에 용이할 수 있다.
제2편광판(300)은 제2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을 포함한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제2편광판의 고온 및/또는 고온 고습에서 장기간 방치할 경우 휨을 방지하거나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10nm 내지 300nm,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50nm, 더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편광판의 광 효율을 높이고 액정표시장치의 측면 명암비 상승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은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가 10nm 내지 300nm,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5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효율을 높이고 액정표시장치의 측면 명암비 상승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은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 NZ가 2.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2.9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효율을 높이고 액정표시장치의 측면 명암비 상승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도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상술한 MD 1축 연신 필름, TD 1축 연신 필름 또는 MD와 TD 2축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MD와 TD 2축 연신 필름이 될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도 지상축과 진상축을 갖는다.
제2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이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는 +0.03°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5°, 더 바람직하게는 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 효율이 높고, 액정표시패널의 명암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은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과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의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2편광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320)은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230)과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고 면내 위상차 구현에 용이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접착층에 의해 제1편광자에 접착될 수 있고,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접착층에 의해 제2편광자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액정 패널(100)은 제2편광판으로부터 입사된 편광을 받아 제1편광판으로 출사시킨다. 액정 패널은 액정층을 포함하고 액정층 내의 액정이 전계 온 오프 시에 배향을 달리함으로써 화면을 구현한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정 패널은 액정층, 액정층의 일면에 배치된 제1기판, 액정층의 다른 일면에 배치된 제2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은 화면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칼라 필터, TFT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액정 패널(100)은 액정층 내 액정 타입에 따라 TN, STN, IPS 또는 VA 액정 모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정 패널은 VA 액정 모드의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제2편광판의 하부면 즉 제2편광판 중 제2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광 입사면 쪽에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광원은 연속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백색 LED(White LED) 광원, 양자점(QD, quantum dot) 광원, 금속 불화물 적색 형광체 광원 구체적으로 KSF(K2SiF6:Mn4 +) 형광체 또는 KTF(K2TiF6:Mn4 +) 형광체 함유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광원과 제2편광판 사이에 도광판, 확산판, 집광시트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1)제1편광판 제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PS60, Kuraray사, 두께:60㎛)을 60℃에서 3배 연신하고 요오드를 흡착시킨 후 56℃의 붕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하여 편광자(두께:25㎛)를 제조하였다.
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하기 표 1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80㎛ TA044, Toybo사)을 접착제로 접착시켰다. 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시클릭올레핀폴리머(COP) 필름(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 52nm, 두께: 52㎛, ZB12, Zeon사)을 접착제로 접착시켜 제1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편광판에서 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PET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0°로 하였다.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과 제1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0.03° 내지 +0.2°에서 조절하였다.
(2)제2편광판의 제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PS60, Kuraray사, 두께:60㎛)을 60℃에서 3배 연신하고 요오드를 흡착시킨 후 40℃의 붕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하여 편광자(두께:25㎛)를 제조하였다.
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하기 표 1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80㎛, TA044, Toybo사)을 접착제로 접착시켰다. 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시클릭올레핀폴리머(COP) 필름(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 52nm, 두께: 52㎛, ZB12, Zeon사)을 접착제로 접착시켜 제2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2편광판에서 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PET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0°로 하였다.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과 제2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0.03° 내지 +0.2°에서 조절하였다.
(3)액정표시장치의 제조
VA 모드의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패널(삼성 디스플레이 LCD Cell, LSY460HN01)의 광 출사면에 상기 제조한 제1편광판을 점착시키고 상기 액정 패널의 광 입사면에 상기 제조한 제2편광판을 점착시켰다. 이때, 제1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2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90°이었다. 제2편광판의 하부면에 광원으로 백색 LED 광원(WLED 광원)을 배치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으로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6600nm인 PET 필름(두께: 60㎛, TA044, Toybo사),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으로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6600nm인 PET 필름(두께: 60㎛, TA044, Toybo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1편광판 중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제1각도), 제2편광판 중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제2각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제1편광판 중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제1각도), 제2편광판 중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제2각도)를 하기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과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제1편광판 중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제1각도), 제2편광판 중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제2각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2에서, 제1편광판 중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제1각도), 제2편광판 중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 간의 각도(제2각도)를 하기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에스피텍사 LCD 패턴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White Full 255 스케일의 백색 화면을 구동하였다. 정면에서 ELDIM사 EZ CONTRAST XW 886 휘도계를 사용하여 화이트 모드에서의 휘도와 블랙 모드에서의 휘도를 측정하였으며, 블랙 모드에서의 휘도에 대한 화이트 모드에서의 휘도의 비율로 명암비를 계산하였다. 경사 방향으로 극각 60° 및 방위각 45°, 135°, 225° 및 315°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이트 모드에서의 휘도와 블랙 모드에서의 휘도를 측정하였으며 블랙 모드에서의 휘도에 대한 화이트 모드에서의 휘도의 비율로 명암비를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명암비 및 화이트 모드에서의 휘도를 하기 표 1,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에서 명암비 비, 휘도 비는 각각 비교예 1에 대한 명암비, 휘도에 대한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에서 명암비, 휘도의 상승 또는 감소 비율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비교예 5에서 명암비 비, 휘도 비는 각각 비교예 2에 대한 명암비, 휘도에 대한 실시예 2,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비교예 5에서 명암비, 휘도의 상승 또는 감소 비율로 계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1 3 4 1 3
제1편광판 제1각도
(°)
+90 +90 +5 0 -5
Re(nm) 8500 8500 8500 8500 8500
제2편광판 제2각도
(°)
+90 0 +5 0 -5
Re(nm) 8500 8500 8500 8500 8500
(60°, 45°) 명암비 74.13 74.26 107.25 89.82 108.12
명암비 비 - 0.18% 44.69% 21.18% 45.87%
휘도 63 79 74 84 79
휘도 비 - 26% 18% 34% 26%
(60°, 135°) 명암비 76.83 73.13 112.17 83.36 108.22
명암비 비 - -4.82% 45.99% 8.49% 40.85%
휘도 68 79 77 82 73
휘도 비 - 16% 14% 21% 7%
(60°, 225°) 명암비 75.50 71.99 110.68 88.53 107.54
명암비 비 - -4.65% 46.59% 17.26% 42.43%
휘도 65 78 73 80 75
휘도 비 - 19% 11% 23% 15%
(60°, 315°) 명암비 67.86 67.54 103.38 79.45 102.00
명암비 비 - -0.47% 52.35% 17.08% 50.32%
휘도 64 78 76 86 73
휘도 비 - 23% 19% 35% 14%
비교예 실시예
2 4 5 5 2 6
제1편광판 제1각도
(°)
+90 +90 0 +5 0 -5
Re(nm) 6600 6600 6600 6600 6600 6600
제2편광판 제2각도
(°)
+90 0 +90 +5 0 -5
Re(nm) 6600 6600 6600 6600 6600 6600
(60°, 45°) 명암비 67.68 56.75 58.00 105.12 78.26 108.59
명암비 비 - -16% -14% 55% 16% 60%
휘도 66 77 71 75 83 81
휘도 비 - -8% 8% 14% 25% 22%
(60°, 135°) 명암비 68.32 59.40 60.47 107.22 80.15 106.23
명암비 비 - -13% -11% 57% 17% 55%
휘도 61 76 65 78 81 73
휘도 비 - 16% 7% 29% 33% 20%
(60°, 225°) 명암비 70.98 55.65 59.21 109.35 78.14 107.78
명암비 비 - -22% -17% 54% 10% 52%
휘도 66 75 70 76 81 75
휘도 비 - 25% 6% 15% 23% 14%
(60°, 315°) 명암비 65.66 55.92 57.23 103.08 74.37 104.75
명암비 비 - -15% -13% 57% 13% 60%
휘도 62 76 66 78 80 76
휘도 비 - 14% 6% 26% 29% 23%
*제1각도: 제1편광판에서 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PET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
*제2각도: 제2편광판에서 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PET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
상기 표 1,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측면 명암비와 측면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1각도, 제2각도를 벗어나는 비교예의 액정표시장치는 측면 명암비를 개선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판은 제1편광자 및 상기 제1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slow axis)은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5° 내지 +5°를 이루고,
    상기 제2편광판은 제2편광자 및 상기 제2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5° 내지 +5°를 이루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0°를 이루고,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0°를 이루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지상축은 85° 내지 95°를 이루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5,000nm 내지 11,000nm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5,000nm 내지 11,000nm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하기 식 1의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 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의 차이의 절대값이 0nm 내지 500nm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식 1]
    |Re(I) - Re(II)|
    (상기 식 1에서, Re(I)는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단위:nm),
    Re(II)는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단위:nm)).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2편광자의 제1보호필름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중 1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은 상기 제1편광자의 광 입사면에 배치된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편광판은 상기 제2편광자의 광 출사면에 배치된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10nm 내지 300nm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1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이 상기 제1편광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는 +0.03° 내지 +0.2°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10nm 내지 200nm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을 0°라고 할 때 상기 제2편광자의 제2보호필름의 진상축이 상기 제2편광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는 +0.03° 내지 +0.2°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VA 모드의 액정을 포함하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2편광판의 입사면에 배치된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백색 LED 광원, 양자점 광원, 금속 불화물 적색 형광체 광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KR1020190008860A 2019-01-23 2019-01-23 액정표시장치 KR102362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60A KR102362364B1 (ko) 2019-01-23 2019-01-23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60A KR102362364B1 (ko) 2019-01-23 2019-01-23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720A true KR20200091720A (ko) 2020-07-31
KR102362364B1 KR102362364B1 (ko) 2022-02-11

Family

ID=7183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860A KR102362364B1 (ko) 2019-01-23 2019-01-23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720A (ko) * 2004-06-22 2007-03-2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9163A (ko) * 2004-09-22 2007-06-1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KR101737679B1 (ko) * 2011-11-29 2017-05-1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JP2017223940A (ja) * 2016-06-09 2017-12-2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セット
KR20190002116A (ko) * 2017-06-29 2019-0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720A (ko) * 2004-06-22 2007-03-2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9163A (ko) * 2004-09-22 2007-06-1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KR101737679B1 (ko) * 2011-11-29 2017-05-1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JP2017223940A (ja) * 2016-06-09 2017-12-2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セット
KR20190002116A (ko) * 2017-06-29 2019-0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364B1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34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78282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54261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JP5745686B2 (ja) 光学積層体を有する有機elディスプレイ素子
KR102643461B1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JP6030519B2 (ja) 液晶表示装置
JPWO2014196637A1 (ja) 光学シート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3235272A (ja) 多層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TW201606392A (zh) 液晶顯示裝置
WO2013021818A1 (ja) 光学積層体、光学積層体のセット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液晶パネル
WO2015037369A1 (ja)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光透過率改善方法
KR20130061277A (ko)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5892B1 (ko)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US10606113B2 (en) Display device
KR102143271B1 (ko)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202306069U (zh) 立体图像显示装置
US8083886B2 (en)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lm laminates
KR10158768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36236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37551B1 (ko) Ips 모드용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2315475B1 (ko) 광학 부재
KR20200092159A (ko) 액정표시장치
KR101589347B1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202013028A (zh) 疊層以及包括其的液晶顯示器
KR10265945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