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047A -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047A
KR20200091047A KR1020190007506A KR20190007506A KR20200091047A KR 20200091047 A KR20200091047 A KR 20200091047A KR 1020190007506 A KR1020190007506 A KR 1020190007506A KR 20190007506 A KR20190007506 A KR 20190007506A KR 20200091047 A KR20200091047 A KR 20200091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collection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223B1 (ko
Inventor
신호철
Original Assignee
신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철 filed Critical 신호철
Priority to KR102019000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2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 복수의 전시 서버(400)로 이루어진 전시 서버 그룹(400g), 복수의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 이루어진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500g)을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영상 정보(소장품 이미지 및 소장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를 포함), 단말식별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소장품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 단말식별 ID를 하나의 '소장품 유닛 정보'로 저장하는 소장품 접수 모듈(321); 및 소장품 접수 모듈(3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소장품 유닛 정보로부터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각 정보인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와, 사전에 각 전시 서버(400)에 대해서 설정된 전시 카테고리, 전시 위치, 서비스업종분류와 매칭되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시 서버 그룹(400g)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에서 추출하는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개인이 소장하는 특정의 소장품(예로써, 장난감 로봇, 밀리터리 모형, rc카/헬기/비행기, 각종 피규어를 비롯한 수석, 그림, 서예작품 등)을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의 특정 공간(서버를 활용하여 사업을 수행할 업체에서 공간 제공)을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료 징수 또는 판매 또는 임대 등이 가능할 수 있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소장품을 전시하여 온라인 상에서 관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매입, 임대 계약 체결을 위해 먼 거리를 갈 필요가 없이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오프라인 관람시를 대비하여 복수의 파라미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전시 서버를 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Exhibition space provision system of private collection based on online platfor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이 소장하는 특정의 소장품(예로써, 장난감 로봇, 밀리터리 모형, rc카/헬기/비행기, 각종 피규어를 비롯한 수석, 그림, 서예작품 등)을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의 특정 공간(서버를 활용하여 사업을 수행할 업체에서 공간 제공)을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료 징수 또는 판매 또는 임대 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이나 단체가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소장품들은 소장품 자체의 의미, 특성, 희귀성, 사회성, 문화성, 보존상태 등에 따라 사회, 문화 및 경제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전시될 기회가 없고, 수집가의 수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소장품의 종류와 수량이 늘어나 개별적인 보관장소가 좁아져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보관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장품의 보존상태가 악화되고 훼손되어 소장품으로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일부 소규모 상설 전시장들이 각기 상이한 원격지에 운영되고 특정 소장품들이 전시되고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으나, 이곳에 전시되는 전시품은 소규모 전시장 운영자가 소유한 소장품 등 상설 전시장 소유자와 특정한 관계에 있는 특정 소장품으로 한정되어 고정적으로 전시되고 있으며, 다른 테마의 소장품이 순환되며 전시될 수 있는 기회는 전혀 없다.
이러한 전시장 운영상황에서 수집 전문가의 소장품을 전시하여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개별 전시장을 마련하거나, 또는 관람객이 많이 집결되는 전시장소에 고액의 전시장 임차비를 지급하여야 하는 등 경제적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 한계점 등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98368호 "박물관 전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GUIDE SYSTEM FOR OBJECTS IN MUSIU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이 소장하는 특정의 소장품(예로써, 장난감 로봇, 밀리터리 모형, rc카/헬기/비행기, 각종 피규어를 비롯한 수석, 그림, 서예작품 등)을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의 특정 공간(서버를 활용하여 사업을 수행할 업체에서 공간 제공)을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료 징수 또는 판매 또는 임대 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소장품을 전시하여 온라인 상에서 관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매입, 임대 계약 체결을 위해 먼 거리를 갈 필요가 없이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오프라인 관람시를 대비하여 복수의 파라미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전시 서버를 선정하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 복수의 전시 서버(400)로 이루어진 전시 서버 그룹(400g), 복수의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 이루어진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500g)을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영상 정보(소장품 이미지 및 소장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를 포함), 단말식별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소장품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 단말식별 ID를 하나의 '소장품 유닛 정보'로 저장하는 소장품 접수 모듈(321); 및 소장품 접수 모듈(3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소장품 유닛 정보로부터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각 정보인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와, 사전에 각 전시 서버(400)에 대해서 설정된 전시 카테고리, 전시 위치, 서비스업종분류와 매칭되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시 서버 그룹(400g)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에서 추출하는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개인이 소장한 객체인 소장품이 피규어, 스태츄, 모형, RC 카/헬기/비행기, 실제 차량, 예술 작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명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1차로 추출하고,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가 복수인 경우,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 및 목적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비스업종분류에 해당하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목적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제 1 분석을 수행하고,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가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 해당하는 위치 영역 내에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가 있는지에 대한 제 2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제 1 분석 결과 서비스업종분류에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서버식별 ID를 2차로 추출하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없는 경우,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3차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은,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영상 정보(소장품 이미지 및 소장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를 포함), 단말식별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소장품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 단말식별 ID를 하나의 '소장품 유닛 정보'로 저장하는 제 1 단계; 및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소장품 유닛 정보로부터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각 정보인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와, 사전에 각 전시 서버(400)에 대해서 설정된 전시 카테고리, 전시 위치, 서비스업종분류와 매칭되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시 서버 그룹(400g)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에서 추출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인이 소장한 객체인 소장품이 피규어, 스태츄, 모형, RC 카/헬기/비행기, 실제 차량, 예술 작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명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1차로 추출하고,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가 복수인 경우,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 및 목적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비스업종분류에 해당하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목적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제 1 분석을 수행하고,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가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 해당하는 위치 영역 내에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가 있는지에 대한 제 2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제 1 분석 결과 서비스업종분류에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서버식별 ID를 2차로 추출하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없는 경우,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3차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운영사와 협약된 특정업체가 광고요청을 한 경우, 운영사에서는 광고수수료를 지급받고 상기 방문객이 온라인 상의 전시공간으로 입장할 때 광고를 관람하여 관람료 또는 판매 또는 임대료 등을 할인받을 것인지, 광고를 관람하지 않고 평상적으로 입장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개인이 소장하는 특정의 소장품(예로써, 장난감 로봇, 밀리터리 모형, rc카/헬기/비행기, 각종 피규어를 비롯한 수석, 그림, 서예작품 등)을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의 특정 공간(서버를 활용하여 사업을 수행할 업체에서 공간 제공)을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료 징수 또는 판매 또는 임대 등이 가능할 수 있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소장품을 전시하여 온라인 상에서 관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매입, 임대 계약 체결을 위해 먼 거리를 갈 필요가 없이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오프라인 관람시를 대비하여 복수의 파라미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전시 서버를 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 중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 복수의 전시 서버(400)로 이루어진 전시 서버 그룹(400g), 복수의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 이루어진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500g)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 복수의 전시 서버(400)로 이루어진 전시 서버 그룹(400g), 복수의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 이루어진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500g),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서,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은 각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개인이 소장하는 특정의 소장품(예로써, 장난감 로봇, 밀리터리 모형, rc카/헬기/비행기, 각종 피규어를 비롯한 수석, 그림, 서예작품 등)을 인터넷에 해당하는 네트워크(200) 상의 특정 공간, 즉, 서버를 활용하여 사업을 수행할 업체에서 공간 제공을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료 징수 또는 판매 또는 임대 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 중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소장품 접수 모듈(321),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 캐릭터 사업화 모듈(324), 관람/판매/임대 제공 모듈(325) 및 VR/AR 제공 모듈(326)을 포함할 수 있다.
소장품 접수 모듈(321)은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영상 정보(소장품 이미지 및/또는 소장품 동영상),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 등), 단말식별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소장품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 단말식별 ID를 하나의 '소장품 유닛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장품의 예로는 개인이 소장한 객체로 피규어, 스태츄, 모형, RC 카/헬기/비행기, 실제 차량, 예술 작품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정보,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음향 인식장치로 인식되는 음향 정보로 수집품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소장품 접수 모듈(3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소장품 유닛 정보로부터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정보와 사전에 각 전시 서버(400)에 대해서 설정된 전시 카테고리, 전시 위치, 서비스업종분류와 매칭되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시 서버 그룹(400g)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에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명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1차로 추출한다.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가 복수인 경우,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 및 목적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비스업종분류에 해당하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목적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제 1 분석을 수행하고, 또한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가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 해당하는 위치 영역 내에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가 있는지에 대한 제 2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시 서버(400)에 대해 선정시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가 최대한 가까운 곳을 분석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에서의 소장품에 대한 배송이 가장 근거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후술하는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에 의한 관람시에도 소장품에 대한 실제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제 1 분석 결과 서비스업종분류에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서버식별 ID를 2차로 추출하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없는 경우,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3차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제 1 분석 결과 서비스업종분류에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서버식별 ID를 2차로 추출하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최종 서버식별 ID로 선정할 수 있으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복수인 경우에는 다시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3차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3차 추출을 위해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최종 서버식별 ID로 선정하며, 반대로 복수인 경우, 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의 중심 위치로부터 가까운 설치 장소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최종 서버식별 ID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가 하나도 없는 경우, 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의 테두리로부터 가장 가까운 설치 장소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최종 서버식별 ID로 선정할 수 있다.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은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에 의해 선정된 최종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실사 모션 영상 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제작하도록 하는 영상 요청을 소장품 유닛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시 서버(400)는 소장품 유닛 정보에서 소장품 영상 정보를 추출한 뒤, 소장품 영상 정보가 소장품 이미지 및/또는 소장품 동영상 정보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 전의 사전 단계로, 소장품 영상 정보의 소장품 이미지 및/또는 소장품 동영상 정보에서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명과 매칭되는 개인 소장품 영상 객체에 대한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전시 서버(400)는 추출된 개인 소장품 영상 객체에 대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에 대한 생성을 수행한 뒤,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를 활용한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시 서버(400)는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에 제공하여,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에 의해 소장품 식별 ID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유닛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도록 하고, 전시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전시 웹 페이지 상에 소장품 유닛 정보 중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와 함께 게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시 서버(400)는 소장품의 예로는 개인이 소장한 객체로 피규어, 스태츄, 모형 등인 경우, 소장품의 여러 자세에 대한 3D소장품 모델링을 활용하여 제작된 플래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캐릭터 사업화 모듈(324)은 전시 서버(400)에 의한 전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이상의 조회수가 기록되어 전시 서버(400)로부터 통지된 개인 소장품에 해당하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식별 ID를 수신한 뒤, 수신된 소장품 식별 ID에 해당하는 소장품을 소지한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캐릭터 사업화 의뢰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릭터 사업화 모듈(324)은 캐릭터 사업화 의뢰에 응답과 미리 설정된 금액에 대한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금융 결제가 수행된 경우,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에 의해 생성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를 활용한 게임 캐릭터 컨텐츠, AR 캐릭터 컨텐츠, VR 캐릭터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개인 소장품을 캐릭터로 하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복수의 게임 명, 복수의 AR 컨텐츠, 복수의 VR 컨텐츠 등과 같은 컨텐츠 명 정보를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캐릭터 사업화 모듈(324)은 제공된 복수의 컨텐츠 명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선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선택된 컨텐츠 명 정보에 해당하는 캐릭터 컨텐츠(게임 캐릭터 컨텐츠, AR 캐릭터 컨텐츠, VR 캐릭터 컨텐츠 등)에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에 의해 생성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를 적용하여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를 생성한 뒤, 소장품 식별 ID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유닛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람/판매/임대 제공 모듈(325)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를 추출하고, '소장품 유닛 정보'의 목적 정보에 해당하는 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 등을 추출한 뒤, 목적 정보와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를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식별 ID와 함께 사전에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전시한 전시 서버(400)로 전송하여,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 1 목적 선택 정보, 그리고, 관람, 판매, 임대 중 하나의 목적 정보에 대한 제 2 목적 선택 정보를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부터의 신청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시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부터의 액세스 이후, 제 1 목적 선택 정보, 제 2 목적 선택 정보를 수신한 뒤, 제 1 및 제 2 목적 선택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람/판매/임대 제공 모듈(325)로 반환함으로써, 관람/판매/임대 제공 모듈(325)에 의해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제 1 및 제 2 목적 선택 정보에 대한 전송을 통해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응답에 따라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와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개인 소장품에 대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 또는 실제의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관람, 판매, 임대 계약 중 하나에 대해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된 소장품 유닛 정보 중 위치 정보는 전시를 위한 공간 설정에 사용되며, 개인, 또는 특정 단체, 또는 지자체 등과의 계약을 통한 사전에 설정된 미리 설정된 공간으로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와의 임대 계약을 위해 설정된 장소일 수 있다.
VR/AR 제공 모듈(326)은 관람/판매/임대 제공 모듈(325)에 의한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 간의 관람, 판매, 임대 계약 중 하나에 대해서 설정이 완료되고, 제 1 목적 선택 정보로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 중 AR 캐릭터 컨텐츠 및/또는 VR 캐릭터 컨텐츠가 선택되고, 제 2 목적 선택 정보로 관람이 선택된 경우, AR 캐릭터 컨텐츠 및/또는 VR 캐릭터 컨텐츠에 대한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 상에서 영상 및 음향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게 직접적으로 방문하지 않고도 VR 영상 또는 AR 영상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장품 접수 과정(S11), 전시 서버 선택 제공 과정(S12), 소장품 모델링 생성 및 게시 과정(S13), 캐릭터 컨텐츠 생성 및 게시 과정(S14) 및 소장품 관람, 판매, 임대 제공 과정(S15)을 포함하 수 있다.
각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을 살펴보면, 소장품 접수 과정(S11)에 있어서,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하나의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영상 정보(소장품 이미지 및/또는 소장품 동영상),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 등), 단말식별 ID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소장품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 단말식별 ID를 하나의 '소장품 유닛 정보'로 저장한다.
단계(S11) 이후, 전시 서버 선택 제공 과정(S12)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단계(S11)에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소장품 유닛 정보로부터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각 정보와 사전에 매칭되는 전시 카테고리, 전시 위치, 서비스업종분류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시 서버 그룹(400g)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에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명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1차로 추출한다.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가 복수인 경우,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 및 목적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비스업종분류에 해당하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목적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제 1 분석을 수행하고, 또한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가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 해당하는 위치 영역 내에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가 있는지에 대한 제 2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제 1 분석 결과 서비스업종분류에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서버식별 ID를 2차로 추출하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없는 경우,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3차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제 1 분석 결과 서비스업종분류에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서버식별 ID를 2차로 추출하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최종 서버식별 ID로 선정할 수 있으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복수인 경우에는 다시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3차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3차 추출을 위해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최종 서버식별 ID로 선정하며, 반대로 복수인 경우, 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의 중심 위치로부터 가까운 설치 장소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최종 서버식별 ID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가 하나도 없는 경우, 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의 테두리로부터 가장 가까운 설치 장소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최종 서버식별 ID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 이후, 소장품 모델링 생성 및 게시 과정(S13)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단계(S12)에서 선정된 최종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서버(400)에 대한 실사 모션 영상 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제작하도록 하는 영상 요청을 소장품 유닛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시 서버(400)는 소장품 유닛 정보에서 소장품 영상 정보를 추출한 뒤, 소장품 영상 정보가 소장품 이미지 및/또는 소장품 동영상 정보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 전의 사전 단계로, 소장품 영상 정보의 소장품 이미지 및/또는 소장품 동영상 정보에서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명과 매칭되는 개인 소장품 영상 객체에 대한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전시 서버(400)는 추출된 개인 소장품 영상 객체에 대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에 대한 생성을 수행한 뒤,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를 활용한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에 대한 생성 과정과,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를 활용한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 생성 과정은 전시 서버(400) 상에서 인력에 의해 수작업으로 수행하거나, 소장품 정보에서 소장품 명에 따라 미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소장품의 구성 요소 정보에 대한 추출 과정과, 추출된 구성 요소 정보에 대해서 소장품 영상 정보에서의 형태 및 색상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한 대비 과정을 통한 추출, 추출된 구성 요소에 대한 2D에서 폴리곤을 활용한 3D 맵핑 과정을 통한 생성 과정에 의해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생성을 수행한 뒤,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에 대한 소장품 명 별로 데이터베이스(330)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 중 하나의 캐릭터 위치 및 형태에 대한 맵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전시 서버(400)는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에 제공하여,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에 의해 소장품 식별 ID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유닛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도록 하고, 전시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전시 웹 페이지 상에 소장품 유닛 정보 중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와 함께 게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 이후의 캐릭터 컨텐츠 생성 및 게시 과정(S14)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전시 서버(400)에 의한 전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이상의 조회수가 기록되어 전시 서버(400)로부터 통지된 개인 소장품에 해당하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식별 ID를 수신한 뒤, 수신된 소장품 식별 ID에 해당하는 소장품을 소지한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캐릭터 사업화 의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캐릭터 사업화 의뢰에 응답과 미리 설정된 금액에 대한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금융 결제가 수행된 경우,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에 의해 생성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를 활용한 게임 캐릭터 컨텐츠, AR 캐릭터 컨텐츠, VR 캐릭터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개인 소장품을 캐릭터로 하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복수의 게임 명, 복수의 AR 컨텐츠, 복수의 VR 컨텐츠 등과 같은 컨텐츠 명 정보를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제공된 복수의 컨텐츠 명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선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선택된 컨텐츠 명 정보에 해당하는 캐릭터 컨텐츠(게임 캐릭터 컨텐츠, AR 캐릭터 컨텐츠, VR 캐릭터 컨텐츠 등)에 소장품 모델링 모듈(323)에 의해 생성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를 적용하여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를 생성한 뒤, 소장품 식별 ID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유닛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4) 이후의 소장품 관람, 판매, 임대 제공 과정(S15)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를 추출하고, '소장품 유닛 정보'의 목적 정보에 해당하는 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 등을 추출한 뒤, 목적 정보와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를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식별 ID와 함께 사전에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전시한 전시 서버(400)로 전송하여,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 1 목적 선택 정보, 그리고, 관람, 판매, 임대 중 하나의 목적 정보에 대한 제 2 목적 선택 정보를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부터의 신청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시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부터의 액세스 이후, 제 1 목적 선택 정보, 제 2 목적 선택 정보를 수신한 뒤, 제 1 및 제 2 목적 선택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람/판매/임대 제공 모듈(325)로 반환함으로써, 관람/판매/임대 제공 모듈(325)에 의해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제 1 및 제 2 목적 선택 정보에 대한 전송을 통해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응답에 따라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와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개인 소장품에 대한 3D 소장품 모델링 정보, 실사 모션 영상 및/또는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을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 또는 실제의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관람, 판매, 임대 계약 중 하나에 대해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된 소장품 유닛 정보 중 위치 정보는 전시를 위한 공간 설정에 사용되며, 개인, 또는 특정 단체, 또는 지자체 등과의 계약을 통한 사전에 설정된 미리 설정된 공간으로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와의 임대 계약을 위해 설정된 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 간의 관람, 판매, 임대 계약 중 하나에 대해서 설정이 완료되고, 제 1 목적 선택 정보로 개인화된 캐릭터 컨텐츠 중 AR 캐릭터 컨텐츠 및/또는 VR 캐릭터 컨텐츠가 선택되고, 제 2 목적 선택 정보로 관람이 선택된 경우, AR 캐릭터 컨텐츠 및/또는 VR 캐릭터 컨텐츠에 대한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 상에서 영상 및 음향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게 직접적으로 방문하지 않고도 VR 영상 또는 AR 영상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징 : 1. 개인이 소장하는 특정의 소장품(예로써, 장난감 로봇, 밀리터리 모형, rc카/헬기/비행기, 각종 피규어를 비롯한 수석, 그림, 서예작품 등)을 인터넷의 특정 공간(서버를 활용하여 사업을 수행할 업체에서 공간 제공)을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료 징수 또는 판매 또는 임대 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함.
2. 공간을 제공하는 업체에서는 소장품을 모델링하여 실사모션 또는 관련영상으로 제작하는 서비스 제공(예를 들어 건담의 여러 자세를 영상으로 제작하여 플래시 영상 또는 기타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관람의 수준을 향상시킴)
3. 항목 2에서 더 발전하여 특정의 게임을 제작하고, 각 게임에 전술된 실사모션을 주인공 캐릭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
4. 전시 공간은 개인, 또는 특정 단체, 또는 지자체 등에 임대할 수 있도록 함.
5. 전문 전시 공간 이므로 기본적인 개인의 블로그나 웹 사이트에 비해 영상적으로, 음향적으로 우수할 수 있도록 공간을 꾸며 제공할 수 있도록 함.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추가실시예>
본 발명의 추가실시예는 온라인 상의 전시공간으로 방문하는 방문객이 협약된 특정업체의 광고를 일정시간 관람한 후 전시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하여 방문객이 지불하게 되는 관람료 또는 판매 또는 임대료 등을 할인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운영사와 협약된 특정업체가 광고요청을 한 경우, 운영사에서는 광고수수료를 지급받고 상기 방문객이 온라인 상의 전시공간으로 입장할 때 광고를 관람하여 관람료 또는 판매 또는 임대료 등을 할인받을 것인지, 광고를 관람하지 않고 평상적으로 입장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에 설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업체에서는 온라인 상의 광고수행을 할 수 있게 되며, 방문객은 전시공간의 관람료 또는 전시공간 내의 전시물에 대한 구입 또는 임대료 등에 대한 비용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고, 운영사에서는 이에 따른 별도의 부가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100 :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100g :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
200 : 네트워크
300 : 전시 공간 제공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소장품 접수 모듈
322 : 전시 공간 제공 모듈
323 : 소장품 모델링 모듈
324 : 캐릭터 사업화 모듈
325 : 관람/판매/임대 제공 모듈
326 : VR/AR 제공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전시 서버
400g : 전시 서버 그룹
500 :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
500g :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

Claims (11)

  1. 복수의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 복수의 전시 서버(400)로 이루어진 전시 서버 그룹(400g), 복수의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500)로 이루어진 관람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500g)을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는,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영상 정보(소장품 이미지 및 소장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를 포함), 단말식별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소장품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 단말식별 ID를 하나의 '소장품 유닛 정보'로 저장하는 소장품 접수 모듈(321);
    소장품 접수 모듈(3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소장품 유닛 정보로부터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각 정보인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와, 사전에 각 전시 서버(400)에 대해서 설정된 전시 카테고리, 전시 위치, 서비스업종분류와 매칭되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시 서버 그룹(400g)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에서 추출하는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인이 소장한 객체인 소장품이 피규어, 스태츄, 모형, RC 카/헬기/비행기, 실제 차량, 예술 작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명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1차로 추출하고,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가 복수인 경우,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 및 목적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비스업종분류에 해당하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목적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제 1 분석을 수행하고,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가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 해당하는 위치 영역 내에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가 있는지에 대한 제 2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시 공간 제공 모듈(322)은,
    제 1 분석 결과 서비스업종분류에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서버식별 ID를 2차로 추출하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없는 경우,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3차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6.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전시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장품 영상 정보(소장품 이미지 및 소장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소장품에 대한 전시, 판매, 임대를 포함), 단말식별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소장품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소장품 영상 정보,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 단말식별 ID를 하나의 '소장품 유닛 정보'로 저장하는 제 1 단계; 및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소장품 유닛 정보로부터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각 정보인 소장품 명, 위치 정보, 목적 정보와, 사전에 각 전시 서버(400)에 대해서 설정된 전시 카테고리, 전시 위치, 서비스업종분류와 매칭되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시 서버 그룹(400g)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에서 추출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개인이 소장한 객체인 소장품이 피규어, 스태츄, 모형, RC 카/헬기/비행기, 실제 차량, 예술 작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소장품 유닛 정보'의 소장품 명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1차로 추출하고,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가 복수인 경우,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 및 목적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서버식별 ID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비스업종분류에 해당하는 '소장품 유닛 정보'의 목적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제 1 분석을 수행하고, 1차로 추출된 서버식별 ID를 갖는 전시 서버(400)가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 해당하는 위치 영역 내에 '소장품 유닛 정보'의 위치 정보가 있는지에 대한 제 2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가, 제 1 분석 결과 서비스업종분류에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서버(400)에 대한 서버식별 ID를 2차로 추출하며, 2차로 추출되는 서버식별 ID가 없는 경우, 제 2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전시 서버(400)의 서버식별 ID를 3차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운영사와 협약된 특정업체가 광고요청을 한 경우, 운영사에서는 광고수수료를 지급받고 상기 방문객이 온라인 상의 전시공간으로 입장할 때 광고를 관람하여 관람료 또는 판매 또는 임대료 등을 할인받을 것인지, 광고를 관람하지 않고 평상적으로 입장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전시 공간 제공 서버(300)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방법.
KR1020190007506A 2019-01-21 2019-01-21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5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06A KR102205223B1 (ko) 2019-01-21 2019-01-21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06A KR102205223B1 (ko) 2019-01-21 2019-01-21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047A true KR20200091047A (ko) 2020-07-30
KR102205223B1 KR102205223B1 (ko) 2021-01-20

Family

ID=7183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506A KR102205223B1 (ko) 2019-01-21 2019-01-21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2708A (zh) * 2021-09-14 2021-12-21 杭州阶形网络科技有限公司 通知信息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710A (ko) * 2014-01-06 2015-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80009625A (ko) * 2016-07-19 2018-01-29 유양하 중고차 방문판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70A (ko) * 2017-07-10 2019-01-18 강태구 예술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710A (ko) * 2014-01-06 2015-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80009625A (ko) * 2016-07-19 2018-01-29 유양하 중고차 방문판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70A (ko) * 2017-07-10 2019-01-18 강태구 예술 정보 제공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98368호 "박물관 전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GUIDE SYSTEM FOR OBJECTS IN MUSIUM AND METHOD OF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2708A (zh) * 2021-09-14 2021-12-21 杭州阶形网络科技有限公司 通知信息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822708B (zh) * 2021-09-14 2024-03-08 每日互动股份有限公司 通知信息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223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1174B2 (ja) 仮想プラノグラム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12684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uter aided event and venue setup and modeling and interactive maps
US101275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mpressions tracking and analysis, location information, 2D and 3D mapping, mobile mapping, social media, and user behavior and information for generating mobile and internet posted promotions or offers for, and/or sales of, products and/or services
AU2009268765B2 (en) Claiming real estate in panoramic or 3D mapping environments for advertising
KR101792842B1 (ko) 온라인 전시회 관리 방법 및 그 서버
JP2007500883A (ja) 情報表示
US11636510B2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med products for dynamically tracking delivery and performance of digital advertisements in electronic digital displays
EP3195631A1 (en) Geographical location based application
US11244350B1 (en) Digital space estate management and intelligent content distribution
CN103907137A (zh) 虚拟广告平台
KR102205223B1 (ko) 온라인 기반 개인 소장품의 전시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21516A (zh) 一种全域旅游公共服务平台及其管理系统
KR102288283B1 (ko) 에티슈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30093927A (ko) 대중교통 검색 기반의 지도형 광고제공시스템 및 광고제공방법, 그리고 대중교통 검색 기반의 지도형 광고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Bratec The digital economy of tourism
Eraqi et al. Information Systems and Tourism Marketing: New challenges for tourism business sector in Egypt
US98867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ixel-based watermarking
Satterlee E-commerce: A knowledge base
Chodak The Future of E-commerce
KR20060093947A (ko) 가상 도시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20210240876A1 (en) Miniature Facility Operation Method, Miniature Facility Control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Miniature Facility Control Program,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Miniature Facility Remote Control Program, Miniature Facility Control System, and Miniature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KR20230043559A (ko)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40023297A (ko) 메타 시공간 제품좌표 생성장치 기반의 메타 시공간 제품 매매장치 및 방법, 메타 시공간 제품 검색 및 접속장치
Fowler Parametric media: A strategic market analysis and marketing plan for a digital signage, interactive kiosk and content company
AU2013267002A1 (en) System for Concurrent Optimization of Business Economics and Customer Val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