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609A - 세제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세제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0609A KR20200090609A KR1020190179998A KR20190179998A KR20200090609A KR 20200090609 A KR20200090609 A KR 20200090609A KR 1020190179998 A KR1020190179998 A KR 1020190179998A KR 20190179998 A KR20190179998 A KR 20190179998A KR 20200090609 A KR20200090609 A KR 202000906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rgent
- partition wall
- container
- storage container
- input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로워에 수용되는 저장 용기는 유입 방지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유입 방지 돌출부는 저장 용기와 드로워에 구비되는 제1 투입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제1 투입 개구부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직접 투입하는 경우, 세제 또는 유연제가 제1 투입 개구부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유입 방지 돌출부에 의해 상기 공간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 및 관리가 어려운 상기 공간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잔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위생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아지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제1 투입 개구부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직접 투입하는 경우, 세제 또는 유연제가 제1 투입 개구부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유입 방지 돌출부에 의해 상기 공간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 및 관리가 어려운 상기 공간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잔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위생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아지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제 투입시 수납통 사이의 공간에 세제가 유입되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세척하거나,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의류를 처리하여 의류의 상태를 좋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는 드라이 클리닝(dry cleaning) 등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물질이 의류 처리 장치에 공급 되어야할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 등이 의류를 세척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의류 처리 장치에 공급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의류 처리 장치를 작동시킬 때마다 수동으로 의류 처리 장치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방식의 의류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의류 처리 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세제 또는 유연제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방식의 의류 처리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03-0004715호는 액체 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구조의 세탁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세제가 수용되는 액체 세제통에 제1 밸브 수단 및 제2 밸브 수단을 구비하여, 액체 세제통 내부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만 액체 세제가 투입되는 구조의 세탁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세탁기는 액체 세제에만 적용될 수 있어, 분말 형태의 세제에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제 또는 유연제를 추가로 투입하기 위한 구조에 대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5-0006260호는 자동 세제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구조의 세탁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세제통에 수용된 세제를 공급받는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자동으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세탁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자동 세제 공급장치는, 각 세제통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해 세제 또는 유연제가 세제통으로 유입되지 못할 경우 세제 공급 장치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흩어져 잔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4-0131809호는 자동 세제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구조의 세탁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세제함이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세제 저장부의 상측을 세제함 커버로 커버하고, 수동 세제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세제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자동 세제 공급 장치 또한 수동 세제 공급 장치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를 여전히 갖는다.
또한, 상술한 수동 세제 공급 장치는 린스나 표백제 등 만을 공급받을 수 있어, 세제를 추가로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구조의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자동 세제 공급 장치와 수동 세제 공급 장치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세척 등의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먼저, 세제 또는 유연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 세제 또는 추가 유연제를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제 또는 유연제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부재와 수동으로 공급하는 부재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세척 등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동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조작 미숙으로 인해 목적한 부재에 유입되지 못한 경우에도, 세제 또는 유연제가 드로워 내에 잔류되지 않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용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세제 또는 상기 유연제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세제 수용부; 및 상기 세제 수용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인 용기 수용부; 상기 용기 수용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투입 개구부; 및 상기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투입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를 구획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격벽부의 상측 면을 덮는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드로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투입 개구부를 향해 상기 격벽부의 두께 이상의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세제 수용부의 상기 공간을 덮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수직면부가 연속되는 부분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세제 수용부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격벽부와 이격되는 측면; 및 상기 격벽부의 상기 상측 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측면에서 상기 격벽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수직면부는, 상기 측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되며, 하측 단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 면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상기 측면의 부분 중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 돌출부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용기 수용부는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투입 개구부는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 용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저장 용기는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수용부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손잡이 홈이 형성된 파지부가 결합되고,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수용부는, 상기 파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지부를 향하는 각 일측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를 향하는 상기 투입 개구부의 일측은,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수용부에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용기 수용부는, 상기 투입 개구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용기 수용부; 및 상기 투입 개구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용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제1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격벽부; 및 상기 파지부를 향하는 일측에서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와 연속되는 제3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제1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 저장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 저장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 용기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3 격벽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2 저장 용기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제3 격벽부의 다른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면부와 이격되고, 상기 투입 개구부에 위치되는 제2 유입 방지 돌출부; 및 상기 수직면부,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 및 상기 제2 유입 방지 돌출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인 삽입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세제 수용부의 일측에는 용기 후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상기 세제 수용부의 일측에 대응되는 일측에는 덮개 후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 후방 돌출부는 상기 용기 후방 돌출부가 돌출되는 길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와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내부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용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세제 또는 상기 유연제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세제 수용부; 및 상기 세제 수용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인 용기 수용부; 상기 용기 수용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투입 개구부; 및 상기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투입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를 구획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세제 수용부의 상기 공간을 덮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수직면부가 연속되는 부분에서, 상기 투입 개구부를 향해 상기 격벽부의 두께 이상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의 상측 면을 덮는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면부와 이격되고, 상기 투입 개구부에 위치되는 제2 유입 방지 돌출부; 및 상기 수직면부,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 및 상기 제2 유입 방지 돌출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인 삽입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세제 수용부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격벽부와 이격되는 측면; 및 상기 격벽부의 상기 상측 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측면에서 상기 격벽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부는, 상기 측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되며, 하측 단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 면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상기 측면의 부분 중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용기 수용부는, 상기 투입 개구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용기 수용부; 및 상기 투입 개구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용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제1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격벽부; 및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와 연속되는 제3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제1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 저장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 저장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 용기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3 격벽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2 저장 용기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제3 격벽부의 다른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파지 홈부가 개방 형성되며, 상기 세제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파지 홈부에 수용되는 용기 후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파지 홈부에 수용되는 덮개 후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 후방 돌출부는 상기 용기 후방 돌출부가 돌출되는 길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드로워가 삽입되거나 인출되고,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공급 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상측 면에는, 상기 파지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처짐 방지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공급 유로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상측 면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기 상측 면을 향해 만곡되는 처짐 방지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상기 처짐 방지 돌출부와 상기 처짐 방지 탄성부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드로워는 세제 또는 유연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저장 용기 및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투입 개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자동으로 공급되면서도, 필요시 추가 세제 또는 추가 유연제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공급될 세제 또는 유연제는 저장 용기에 수용되어, 드로워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수동으로 공급될 세제 또는 유연제는 프레임 상에 형성된 투입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됨과 동시에 사용자는 저장 용기를 분리하여 세척 등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저장 용기에는 투입 개구부를 구획하는 격벽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가 형성된다. 유입 방지 돌출부는 저장 용기와 격벽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실수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 개구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공급하더라도, 저장 용기와 격벽부 사이의 공간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세제 또는 유연제가 드로워 내에 잔류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드로워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잔류하는 세제 또는 유연제 등에 의해 미관이 해쳐지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드로워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드로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드로워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드로워에 저장 용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저장 용기에 구비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저장 용기에 구비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유입 방지 돌출부에 의해 세제의 유입이 방지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유입 방지 돌출부에 의해 세제의 유입이 방지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의 드로워에서 저장 용기가 제거된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돌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유로 공급부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탄성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처짐 방지 탄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처짐 방지 돌출부와 도 16의 처짐 방지 탄성부에 의해 드로워의 처짐이 방지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7의 저장 용기에 구비되는 저장 용기 개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4의 세제 수용부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4의 세제 수용부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결합되었을 때 저장 용기 개방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투입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드로워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드로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드로워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드로워에 저장 용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저장 용기에 구비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저장 용기에 구비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유입 방지 돌출부에 의해 세제의 유입이 방지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유입 방지 돌출부에 의해 세제의 유입이 방지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의 드로워에서 저장 용기가 제거된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돌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유로 공급부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탄성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처짐 방지 탄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처짐 방지 돌출부와 도 16의 처짐 방지 탄성부에 의해 드로워의 처짐이 방지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7의 저장 용기에 구비되는 저장 용기 개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4의 세제 수용부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4의 세제 수용부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결합되었을 때 저장 용기 개방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투입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50)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50)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1)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 또는 도시가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의류 처리 장치"라는 용어는 의류를 세척하거나 건조하는 등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드라이클리닝(dry cleaning) 장치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세제"라는 용어는 의류 또는 섬유 등을 살균, 소독하거나 불순물을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제는 분말 형태의 고체 또는 액체 등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연제"라는 용어는 의류 또는 섬유 등을 부드럽고 연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 또는 약품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용어는 세제 또는 유연제와 혼합되거나, 세제 또는 유연제의 용매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유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물일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의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하우징(10), 도어부(20), 조작부(30), 터브(40), 드로워(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4를 더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드로워(50)가 삽입되는 드로워 결합부(7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드로워 결합부(70)에 삽입된 드로워(50)의 상측에 위치되는 공급 유로부(6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의류 처리 장치(1)의 외측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하우징(10)의 형상은 후술될 터브(4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측에는 후술될 터브(40)가 수용된다. 터브(40) 내부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드럼(42)이 위치된다.
또한, 하우징(10)에는 후술될 드로워(5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전면(11), 측면(12) 및 상측 면(13)을 포함한다.
전면(11)은 하우징(10)의 전방 측 외면을 형성한다. 전면(11)에는 도어부(20)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면(11) 상에서, 도어부(20)의 상측에는 조작부(30) 및 드로워(50)가 위치된다.
측면(12)은 하우징(10)의 좌측 및 우측 외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12)에는 하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홈의 형상 및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측면(12) 상에 상기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12)은 우측 면만 도시되었으나, 하우징(10)의 좌측에도 측면(12)이 구비될 수 있음이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측 면(13)은 하우징(10)의 상측 외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13)은 정사각형이나, 그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상술한 전면(11), 측면(12) 및 상측 면(13)에 의해 하우징(10)이 외부와 임의로 연통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부의 물질이 임의로 외부로 유출되거나, 하우징(10) 내부로 외부의 물질이 임의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0)의 하측 외면을 형성하는 하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면(미도시)에는 의류 처리 장치(1)가 배치될 때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한 조절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부(20)는 처리 대상인 의류 또는 섬유 등이 후술될 드럼(42)에 수용되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어부(20)는 전면(11)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부(20)는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21)를 파지한 후, 손잡이(21)에 대향하는 도어부(20)의 일측(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축으로 하여 도어부(20)를 회전시켜 도어부(2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도어부(20)의 상기 일측에는 회전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부재(미도시)는 도어부(20)를 전면(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hinge)(미도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30)는 의류 처리 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조작부(30)를 통해, 세탁, 헹굼, 건조, 살균 등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30)는 전면(11)에 위치되되, 도어부(20)의 상측에 위치된다. 조작부(30)는 사용자가 조작 신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30)는 디스플레이 모듈(31), 다이얼 모듈(32), 조작 버튼 모듈(33) 및 작동 버튼 모듈(3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1)은 사용자가 입력된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31)은 의류 처리 장치(1)가 수행 중인 동작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31)을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 및 현재 의류 처리 장치(1)가 수행 중인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31)을 통해 수행 중인 동작이 완료되기 위한 잔여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이얼 모듈(32) 및 조작 버튼 모듈(33)은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작동 버튼 모듈(34)은 사용자가 의류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위한 작동 신호를 인가받는다.
사용자는 다이얼 모듈(32) 및 조작 버튼 모듈(33)을 통해 원하는 의류 처리 동작을 선택하고, 작동 버튼 모듈(34)을 이용하여 의류 처리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다.
터브(4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다. 터브(40)의 내부에는 드럼(4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터브(40)에는 후술될 드로워(50)로부터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브(40)는 호스 등의 부재(미도시)를 통해 드로워(5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터브(40)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물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브(40)는 호스 등의 부재(미도시)를 통해 공급 유로부(60) 또는 의류 처리 장치(1)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브(40)는 내부에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 원통형이나, 내부에 드럼(42)을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드럼(42)은 처리 대상인 의류 또는 섬유가 수용되어, 세제 또는 유연제 등에 의해 세탁, 살균되거나 헹굼, 건조될 수 있는 공간이다. 드럼(42)은 터브(4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어부(20)가 개방되면, 드럼(42)은 하우징(10)의 외측과 연통된다. 사용자는 도어부(20)를 개방하여 드럼(42)에 처리를 원하는 의류 또는 섬유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도어부(20)가 폐쇄되면, 드럼(42)은 하우징(10)의 외측과 물리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드럼(42) 내부에 수용된 의류 또는 섬유 등을 처리하기 위한 유체, 세제 또는 유연제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드럼(42)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드럼(42)은 내부에 의류 또는 섬유를 수용하고, 이들을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드럼(42)은 터브(40)와 연통된다. 드로워(50)를 통해 공급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는 터브(40)를 통해 드럼(42)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급 유로부(60)를 통해 세제 또는 유연제 및 상기 세제 또는 유연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유체가 터브(40)를 통해 드럼(4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럼(42)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50)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의류 처리 장치(1)에 공급되는 부분이다. 드로워(50)는 후술될 드로워 결합부(70)에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거나, 슬라이드되어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로워(50)는 미리 수용된 세제 또는 유연제를 입력된 조작 신호에 따라 터브(40)에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50)는 의류 처리 장치(1)의 작동시마다 수동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드로워(50)는 상술한 자동 공급 및 수동 공급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로워(50)는 파지부(51), 후술될 프레임(100) 및 저장 용기(200)를 포함한다.
파지부(51)는 드로워(50)의 전방 측 외면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파지부(51)를 파지하여 드로워(50)를 후술될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파지부(51)는 하우징(10)의 전면(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50)가 후술될 드로워 결합부(70)에 삽입되면, 파지부(51)의 전방 측면은 하우징(10)의 전면(11)에 맞추어진다.
파지부(51)에는 손잡이 홈(52)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 홈(52)을 파지하여 드로워(50)를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드로워(50)의 후방 측에는 후술될 프레임(100)이 연장 형성된다. 프레임(100)에는 후술될 저장 용기(200)가 탈거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공급 유로부(60) 및 드로워 결합부(70)를 포함한다.
공급 유로부(60)는 의류 처리를 처리하기 위한 유체를 터브(4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급 유로부(60)는 터브(40)에 직접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 유로부(60)는 별도의 호스(미도시) 등을 통해 터브(4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급 유로부(60)는 드로워(50)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 유로부(60)는 드로워(5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급 유로부(60)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공급 유로부(60)는 터브(40) 및 드로워(50) 모두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호스(미도시) 등이 구비되거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부(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공급 유로부(60)는 후술될 드로워 결합부(70) 내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 결합부(70)에 드로워(50)가 삽입되면, 공급 유로부(60)는 드로워(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방식에 의해, 공급 유로부(60)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드로워 결합부(70)로 유입되기 위해 별도의 동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드로워 결합부(7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공급 유로부(60)는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포함한다.
처짐 방지 개구부(62)는 공급 유로부(60)의 전방 측에 전후 방향, 즉 공급 유로부(6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처짐 방지 개구부(62)는 공급 유로부(6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도 16 내지 도 18 참조).
처짐 방지 개구부(62)는 공급 유로부(6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될 처짐 방지 탄성부(320)의 만곡부(324)가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처짐 방지 개구부(62)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처짐 방지 개구부(6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처짐 방지 개구부(620)의 상기 폭은, 처짐 방지 탄성부(320)의 폭, 특히 만곡부(32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처짐 방지 개구부(620)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처짐 방지 돌출부(310)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공급 유로부(60)에는 처짐 방지 부재(300)를 구성하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드로워 결합부(70)가 소정 거리 인출된 후,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처짐 방지 부재(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드로워 결합부(70)는 드로워(50)가 의류 처리 장치(1)의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드로워 결합부(70)에는 드로워(50)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드로워 결합부(70)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로워(50)가 삽입되면, 파지부(51)는 하우징(10)의 전방 측에 노출되되, 후술될 프레임(100)은 중공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드로워 결합부(70) 내부의 상측에는 공급 유로부(60)가 위치된다. 의류 처리를 위한 유체는 공급 유로부(60)로부터 드로워(50)로 공급될 수 있다.
드로워(50) 및 드로워 결합부(7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50) 및 드로워 결합부(70)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부(미도시)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미도시) 및 가이드 홈부(미도시)에 의해,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50)의 설명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50)는 프레임(100), 저장 용기(200), 처짐 방지 부재(300) 및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드로워(50)의 전방 측을 형성하는 파지부(51)로부터 길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저장 용기(200)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저장 용기(200)에는 탈락된 세제 가루 등이 드로워(50)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입 방지 돌출부(218)가 구비된다.
처짐 방지 부재(300)는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인출되었을 때, 드로워(50)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저장 용기(200)에는 사용자가 저장 용기(2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가 구비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50)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유입 방지 돌출부(218), 처짐 방지 부재(300) 및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에 대해서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프레임(100)의 설명
프레임(100)은 드로워(50)의 후방 측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파지부(51)의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50)는 드로워 결합부(70)에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에 완전히 삽입되면, 프레임(100)은 드로워 결합부(70)의 중공부(미도시)에 수용된다.
즉,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에 완전히 삽입되면, 프레임(100)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의 상측은 개방된다. 즉, 프레임(100)의 상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후술될 저장 용기(200)가 탈거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후술될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연장 방향을 따라 그 폭이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파지부(51)에 인접한 프레임(1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격벽부(110)에 둘러싸인다. 프레임(100)의 상기 일측의 폭은 프레임(100)의 다른 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부분의 후방 측은 경사부(170)에 둘러싸인다. 상기 부분의 폭은 프레임(100)의 상기 일측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경사부(170)에 둘러싸인 공간은 파지부(51)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후방 측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다.
파지부(51)에서 가장 먼 프레임(10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삽입부(180)에 둘러싸인다. 프레임(100)의 상기 타측의 폭은 프레임(100)의 다른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프레임(100)은 연장 방향을 따라 가장 폭이 넓은 일측(즉, 전방 측), 폭이 감소되는 타측(즉, 중간 부분) 및 가장 폭이 좁은 다른 타측(즉, 후방 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상기 일측이 가장 넓은 폭으로 형성됨은, 프레임(100)의 전방 측에 수동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투입되는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가 형성됨에 기인한다.
프레임(100)의 상기 타측이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고, 프레임(100)의 상기 다른 타측이 가장 좁은 폭으로 형성됨은, 사용자가 드로워 결합부(70)에 프레임(10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폭이 가장 좁게 형성되는 프레임(100)의 상기 다른 타측이 가장 먼저 삽입된다. 따라서, 드로워 결합부(70)의 개구부보다 작은 부분이 먼저 삽입되므로, 프레임(10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의 삽입이 진행되면, 프레임(100)의 상기 타측이 삽입된다. 이때, 프레임(100)의 상기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드되어 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격벽부(110), 용기 수용부(120), 제1 투입 개구부(130), 제2 투입 개구부(140), 이탈 방지부(150), 측벽부(160), 경사부(170), 삽입부(180) 및 파지 홈부(190)를 포함한다.
격벽부(110)는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구체적으로, 격벽부(110)는 후술될 용기 수용부(120),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를 구획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격벽부(110)는 프레임(100)의 하측 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벽체의 형태로 구비된다. 격벽부(110)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격벽부(110)는 제1 격벽부(110a), 제2 격벽부(110b) 및 제3 격벽부(110c)를 포함한다.
제1 격벽부(110a)는 저장 용기(20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후술될 용기 수용부(120)의 제1 용기 수용부(120a)와 제1 투입 개구부(130)를 구획한다. 또한, 제1 격벽부(110a)는 제1 용기 수용부(120a)와 제2 투입 개구부(140)를 구획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격벽부(110a)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 격벽부(110a)는 제2 격벽부(110b)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격벽부(110a) 및 제2 격벽부(110b)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격벽부(110b)는 후술될 용기 수용부(120)의 제2 용기 수용부(120b)와 제1 투입 개구부(130)를 구획한다. 또한, 제2 격벽부(110b)는 제2 용기 수용부(120b)와 제2 투입 개구부(140)를 구획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격벽부(110b)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2 격벽부(110b)는 제1 격벽부(110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격벽부(110b) 및 제1 격벽부(110a)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격벽부(110c)는 제1 격벽부(110a)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격벽부(110a)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제2 격벽부(11b)를 향해 연장된다. 또는, 제3 격벽부(110c)는 제2 격벽부(110b)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2 격벽부(110b)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제1 격벽부(110b)를 향해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격벽부(110a)와 제3 격벽부(110c)는 서로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며 접하고, 제2 격벽부(110b)와 제3 격벽부(110c) 또한 서로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며 접한다.
제1 격벽부(110a)와 제3 격벽부(110c) 사이의 각도 및 제2 격벽부(110b)와 제3 격벽부(110c)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각도들은 후술될 저장 용기(200)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부(110)에 의해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은 제1 용기 수용부(120a),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 제2 용기 수용부(120b)로 구획된다.
다시 말하면,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 사이에 위치된다.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보면, 프레임(100)의 전방 측 및 좌측에는 제1 용기 수용부(120a)가 위치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전방 측 및 우측에는 제2 용기 수용부(120b)가 위치된다.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 사이에 위치된다. 즉,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에 감싸지는 형태이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저장 용기(200)의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는 각각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에 수용된다.
이 때, 제1 저장 용기(200a)와 격벽부(110) 사이의 공간 및 제2 저장 용기(200b)와 격벽부(110) 사이의 공간에 세제 가루 등이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는 세제 가루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 방지 돌출부(218)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용기 수용부(120)는 후술될 저장 용기(200)가 프레임(100)에 수용되는 공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술될 저장 용기(200)는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로 복수 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용기 수용부(120)는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를 포함한다.
용기 수용부(120)의 개수 및 형상은 후술될 저장 용기(200)의 개수 및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는 격벽부(110)에 의해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제1 용기 수용부(120a)와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제1 격벽부(110a) 및 제3 격벽부(110c)에 의해 구획된다.
또한, 제2 용기 수용부(120b)와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제2 격벽부(110b) 및 제3 격벽부(110c)에 의해 구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용기 수용부(120a)와 제2 용기 수용부(120b)의 전방 측은 서로 연통된다. 대안적으로, 별도의 구획 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제1 용기 수용부(120a)와 제2 용기 수용부(120b)가 물리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투입 개구부(1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제1 투입 개구부(130)에 투입된 세제는 공급 유로부(60)로부터 공급된 유체와 혼합되어 터브(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투입 개구부(130)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미도시)에 의해 터브(40)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투입 개구부(130)는 격벽부(110)에 의해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제1 투입 개구부(130)의 전방 측은 제2 격벽부(110b)에 의해 구획된다. 또한, 제1 투입 개구부(130)의 좌측 및 우측은 각각 제1 격벽부(110a) 및 제2 격벽부(110b)에 의해 구획된다.
제1 투입 개구부(130)는 제2 투입 개구부(140) 및 이탈 방지부(15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이탈 방지부(150)는 드로워(50)가 의류 처리 장치(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정의하므로,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의 후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투입 개구부(130)는 투입 속도 조절 판(132)을 포함한다.
투입 속도 조절 판(132)은 제1 투입 개구부(130)에 투입되어 터브(40)로 유입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의 양을 조절한다. 투입 속도 조절 판(13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제1 격벽부(110a) 및 제2 격벽부(110b)에 결합된다.
투입 속도 조절 판(132)은 제1 투입 개구부(130)의 하측 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투입 속도 조절 판(132)의 하측과 제1 투입 개구부(130)의 하측 면 사이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통과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1 투입 개구부(130)에 유체가 유입되면, 제1 투입 개구부(130)에 공급된 세제 또는 유연제와 유체가 혼합된다. 유체와 혼합된 세제 또는 유연제는, 투입 속도 조절 판(132)과 제1 투입 개구부(130)의 하측 면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터브(40)로 유입될 수 있다.
투입 속도 조절 판(132)은 제1 격벽부(110a) 및 제2 격벽부(110b)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 상태에 따라 터브(40)로 유입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와 유체의 혼합물의 양이 변경될 수 있다.
제2 투입 개구부(14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유연제 또는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제2 투입 개구부(140)에 투입된 유연제 또는 세제는 터브(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투입 개구부(140)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미도시)에 의해 터브(40)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투입 개구부(140)에 투입된 유연제 또는 세제는 공급 유로부(60)로부터 공급된 유체와 혼합되어 터브(40)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투입 개구부(140)는 격벽부(110)에 의해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제2 투입 개구부(140)의 좌측은 제1 격벽부(110a)에 의해 구획된다. 또한, 제2 투입 개구부(140)의 우측은 제2 격벽부(110b)에 의해 구획된다.
또한, 제2 투입 개구부(140)는 별도의 구획 부재에 의해 제1 투입 개구부(130)와 구획된다.
제2 투입 개구부(140)의 전방 측에는 제1 투입 개구부(130)가 위치된다. 또한, 제2 투입 개구부(140)의 후방 측에는 이탈 방지부(150)가 위치된다.
제2 투입 개구부(140)와 제1 투입 개구부(13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150)는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의 후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후술될 경사부(170)에 비해, 파지부(51)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즉,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경사부(17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이는, 경사부(170)에 의해 프레임(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가 감소됨에 기인한다. 즉,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프레임(100)이 보다 넓은 폭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측벽부(16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경사부(170)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는 측벽부(160) 사이에 배치된다.
이탈 방지부(150)는 드로워(50)가 의류 처리 장치(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소정 거리를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50)는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이탈 방지부(150)에 의해 인출되는 방향으로의 추가 이동이 제한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00) 및 드로워 결합부(70)에는 처짐 방지 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50)는 드로워 결합부(70) 내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공급 유로부(60) 또는 드로워 결합부(70) 내부의 상측 면에 형성된 이탈 방지 부재(미도시)에 걸림으로써, 상기 소정 거리를 정의할 수 있다.
드로워(50)가 이탈 방지부(150)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 거리만큼 인출된 경우, 처짐 방지 부재(300)에 의해 드로워(50)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탈 방지부(150)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 방지부(15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이탈 방지부(15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부(150)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이탈 방지부(150)가 원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50)가 의류 처리 장치(1)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는 이탈 방지부(150)를 가압함으로써, 이탈 방지부(150)에 의한 인출 거리의 제한 없이 드로워(5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위해, 이탈 방지부(150)는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누름 부재(미도시) 및 누름 부재(미도시)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50)는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에 비해, 파지부(51)와 더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방지부(150)는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의 후측에 위치된다.
이탈 방지부(150)는 제1 경사부(170a)와 제2 경사부(170b)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150)의 후방 측(즉, 파지부(51)에 반대되는 방향)은 제1 경사부(170a)와 제2 경사부(17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제1 경사부(170a) 및 제2 경사부(170b)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150)는 드로워(5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정의한다.
사용자가 최대 거리만큼 드로워(50)를 인출하였을 때, 제1 투입 개구부(130) 또는 제2 투입 개구부(140)가 노출되어 세제 또는 유연제가 공급될 수 있게 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경사부(170)에 비해 프레임(10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워(50)를 분리하지 않고도 세제 또는 유연제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이탈 방지부(150)는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의 후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는 폭 방향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측벽부(160)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탈 방지부(150)는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의 후방 측에서, 경사부(17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방지부(150)는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이탈 방지부(150)의 좌측에는 제1 격벽부(110a)가 위치되고, 이탈 방지부(150)의 우측에는 제2 격벽부(110b)가 위치된다.
더 나아가, 이탈 방지부(150)의 후측에는 후술될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가 위치된다.
즉, 이탈 방지부(150)는 좌측, 우측 및 후방 측이 후술될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의 외측 면은 측벽부(160), 경사부(170) 및 삽입부(180)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부(160)는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의 외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벽부(160)는 좌측의 제1 측벽부(160a) 및 우측의 제2 측벽부(160b)를 포함한다.
제1 측벽부(160a)는 제1 격벽부(110a)와 함께 제1 용기 수용부(120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측벽부(160a)와 제1 격벽부(110a) 사이의 공간이 제1 용기 수용부(120a)의 일부이다.
제2 측벽부(160b)는 제2 격벽부(110b)와 함께 제2 용기 수용부(120b)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제2 측벽부(160b)와 제2 격벽부(110b) 사이의 공간이 제2 용기 수용부(120b)의 일부이다.
제1 측벽부(160a)와 제2 측벽부(160b)는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측벽부(160a)와 제2 측벽부(160b)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측벽부(160a) 및 제2 측벽부(160b)는 제1 경사부(170a) 및 제2 경사부(170b) 사이의 거리 및 제1 삽입부(180a) 및 제2 삽입부(180b)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거리로 이격된다.
이는,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드로워(50)의 제1 삽입부(180a) 및 제2 삽입부(180b)가 가장 먼저 드로워 결합부(70)에 삽입된다.
드로워(50)가 삽입됨에 따라 프레임(100)의 폭이 점차 증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드로워(50)를 용이하게 드로워 결합부(70)에 삽입할 수 있다.
경사부(170)에 인접한 측벽부(160)의 단부의 상측 면에는 후술될 처짐 방지 돌출부(310)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경사부(170)는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의 외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경사부(170)는 측벽부(160)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측벽부(160)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경사부(170)는 측벽부(160)와 둔각을 형성하며 후방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170)는 좌측의 제1 경사부(170a) 및 우측의 제2 경사부(170b)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170a)는 제1 격벽부(110a)와 함께 제1 용기 수용부(120a)의 일부를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제1 경사부(170a)와 제1 격벽부(110a) 사이의 공간이 제1 용기 수용부(120a)의 일부이다.
제2 경사부(170b)는 제2 격벽부(110b)와 함께 제2 용기 수용부(120b)의 일부를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제2 경사부(170b)와 제2 격벽부(110b) 사이의 공간이 제2 용기 수용부(120b)의 일부이다.
제1 경사부(170a) 및 제2 경사부(170b)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경사부(170a)의 제1 측벽부(160a)를 향하는 단부 및 제2 경사부(170b)의 제2 측벽부(160b)를 향하는 단부 사이의 거리가 제1 경사부(170a)의 대향하는 단부 및 제2 경사부(170b)의 대향하는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연장된다.
즉, 제1 경사부(170a) 및 제2 경사부(170b)는 프레임(100)이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삽입부(180)는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의 외측 면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한다. 삽입부(180)는 경사부(170)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경사부(170)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180)는 경사부(170)와 둔각을 형성하며 후방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부(180)는 좌측의 제1 삽입부(180a) 및 우측의 제2 삽입부(180b)를 포함한다.
제1 삽입부(180a)와 제2 삽입부(180b) 사이에는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의 나머지 일부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삽입부(180a)와 제2 삽입부(180b) 사이의 공간이 제1 용기 수용부(120a) 및 제2 용기 수용부(120b)의 후방 측 나머지 일부이다.
제1 삽입부(180a) 및 제2 삽입부(180b)는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제1 삽입부(180a)와 제2 삽입부(180b) 사이의 거리가 제1 측벽부(160a)와 제2 측벽부(160b)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배치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삽입부(180a) 및 제2 삽입부(180b)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파지 홈부(190)는 프레임(100)의 후방 측 면에 형성된다. 파지 홈부(190)는 용기 수용부(120)에 수용된 후술될 저장 용기(200)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홈부(190)는 프레임(100)의 후방 측 면에 관통 형성되되, 상측이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된다(도 14 참조).
상기 개구부를 통해, 후술될 저장 용기(200)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는 파지 홈부(190)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가 프레임(100)에 걸리지 않고, 저장 용기(200)가 원활하게 프레임(10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파지 홈부(190)는 후술될 저장 용기(200)의 세제 배출구(236)가 터브(40)와 연통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2) 저장 용기(200)의 설명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는 세제의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입 방지 돌출부(218), 소정 거리 인출된 후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 방지 부재(300) 및 저장 용기(200)의 용이한 개방을 위한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 방지 돌출부(218), 처짐 방지 부재(300) 및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저장 용기(200)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수용된다. 저장 용기(200)는 내부에 수용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터브(40)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장 용기(200)는 프레임(100)의 용기 수용부(120)에 수용된다. 저장 용기(200)가 수용되면, 저장 용기(200)의 적어도 일측은 격벽부(1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저장 용기(200)는 어느 정도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저장 용기(200)는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 중 어느 하나에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 중 다른 하나에는 유연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저장 용기(200)의 개수 및 저장 용기(200)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장 용기(200)는 총 네 개 구비되어, 세 개의 저장 용기(200)에는 세제가 수용되고, 나머지 한 개의 저장 용기(200)에는 유연제가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저장 용기(200)는 전방 측의 폭이 가장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졌다가, 다시 폭이 넓어지되, 전방 측의 폭보다는 작은 다각형의 형상이다.
저장 용기(200)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용기(200)가 수용되는 용기 수용부(120)의 형상도 저장 용기(20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용기(200)가 용기 수용부(120)에 수용되면, 제1 저장 용기(200a)는 제3 격벽부(110c)의 적어도 일부 및 제1 격벽부(110a)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제2 저장 용기(200b)는 제3 격벽부(110c)의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격벽부(110b)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저장 용기(200)는 덮개부(210), 마개부(220) 및 세제 수용부(230)를 포함한다.
덮개부(210)는 저장 용기(200)의 상측 외면을 형성한다. 덮개부(210)는 후술될 세제 수용부(23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덮개부(210)는 세제 수용부(230)의 뚜껑 역할을 수행한다. 덮개부(210)는 세제 수용부(23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부(210)의 형상은 후술될 세제 수용부(230)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저장 용기(200)는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덮개부(210)는 제1 저장 용기(200a)에 구비되는 제1 덮개부(210a) 및 제2 저장 용기(200b)에 구비되는 제2 덮개부(210b)를 포함한다.
덮개부(210)는 평면부(211) 및 수직면부(212)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부(210)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를 포함하고, 유입 방지 돌출부(218)에 의해 격벽부(11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평면부(211)는 덮개부(210)의 상측 면을 구성한다. 덮개부(210)가 후술될 세제 수용부(230)와 결합되면, 평면부(211)는 세제 수용부(23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한다.
이를 위해, 평면부(211)의 형상은 세제 수용부(230)의 상측 개구부를 형성하는 세제 수용부(230)의 측면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면부(212)는 덮개부(210)가 후술될 세제 수용부(2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수직면부(212)는 평면부(211)의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면부(212)는 평면부(211)에 대해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수직면부(212)의 연장 길이는 후술될 세제 수용부(230)로부터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지지 돌출부(239)의 위치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덮개부(210)가 후술될 세제 수용부(230)와 결합되면, 수직면부(212)의 내측 면은 후술될 세제 수용부(230)의 외측 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즉, 수직면부(212)가 세제 수용부(230)의 외측 면을 감싸면서 덮개부(210)와 세제 수용부(230)가 결합된다.
이 때, 수직면부(212)의 하측 단부는 지지 돌출부(239)의 상측 면과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덮개부(210)와 세제 수용부(2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마개부(220)는 덮개부(210)의 개구부(미도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저장 용기(200)가 프레임(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마개부(220)를 이용하여 덮개부(210)의 개구부(미도시)를 개방함으로써 세제 또는 유연제를 저장 용기(2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마개부(220)는 제1 마개부(220a) 및 제2 마개부(220b)를 포함한다. 제1 마개부(220a)는 제1 덮개부(210a)에, 제2 마개부(220b)는 제2 덮개부(210b)에 각각 구비된다.
마개부(220)의 개수는 저장 용기(200)의 개수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마개부(220)는 덮개부(21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마개부(220)는 덮개부(21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저장 용기(200)가 드로워(50)에 결합된 상태에서 드로워(50)가 슬라이드되어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짧은 거리만큼만 인출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저장 용기(200)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세제 수용부(230)는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용한다. 세제 수용부(230)의 내부에는 공간에 형성된다.
세제 수용부(230)의 상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 수용부(230)에 수용된 세제 또는 유연제는 사용자가 조작부(30)를 통해 인가한 조작 신호에 따라 터브(40)에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 수용부(230)는 호스(미도시) 등을 통해 터브(4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세제 수용부(230)의 외측 면은 덮개부(210)의 수직면부(21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덮개부(210)가 세제 수용부(230)에 결합되면, 덮개부(210)의 수직면부(212)는 세제 수용부(230)의 외측 면의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저장 용기(200)는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세제 수용부(230)는 제1 저장 용기(200a)에 구비되는 제1 세제 수용부(230a) 및 제2 저장 용기(200b)에 구비되는 제2 세제 수용부(230b)를 포함한다.
세제 수용부(230)는 제1 측면(231), 제2 측면(232), 제3 측면(233), 제4 측면(234), 제5 측면(235), 세제 배출구(236), 세제 공간부(238) 및 지지 돌출부(239)를 포함한다.
제1 측면(231) 내지 제5 측면(235)은 세제 수용부(230)가 서로 마주하는 측의 면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측면(231) 내지 제5 측면(235)은 각 세제 수용부(230a, 2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측면이다.
제1 측면(231)은 격벽부(110)의 제3 격벽부(110c)와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측면(231)은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측면(232)은 제1 측면(231)의 단부로부터 제1 측면(23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측면(232)과 제1 측면(231) 사이의 각도는 직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제2 측면(232)은 격벽부(110)의 제1 격벽부(110b)와 마주한다.
제3 측면(233)은 제2 측면(232)의 단부로부터 제2 측면(23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측면(233)과 제2 측면(232) 사이의 각도는 직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또한, 제3 측면(233)은 제1 측면(231)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측면(234)은 제3 측면(233)의 단부로부터 제3 측면(233)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측면(234)과 제3 측면(233) 사이의 각도는 직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또한, 제4 측면(234)은 제2 측면(232)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5 측면(235)은 제1 측면(231)의 단부로부터 제1 측면(23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5 측면(235)과 제1 측면(231) 사이의 각도는 직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또한, 제5 측면(235)은 제2 측면(232) 및 제4 측면(234)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는 않았으나, 제2 세제 수용부(230b) 또한 제1 측면(231) 내지 제5 측면(235)을 포함한다.
제1 세제 수용부(230a) 및 제2 세제 수용부(230b)의 제2 측면(232), 제4 측면(234) 및 제5 측면(235)은 서로 마주한다. 특히, 제1 세제 수용부(230a) 및 제2 세제 수용부(230b)의 제2 측면(232)은 제1 투입 개구부(13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세제 배출구(236)는 세제 수용부(230)에 수용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터브(40)로 유입되기 위해 배출되는 통로이다. 세제 배출구(236)는 세제 수용부(230)를 터브(40)와 연통시킨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세제 배출구(236)는 세제 수용부(230)의 후방 측면의 하측에 위치된다.
세제 수용부(230)에 수용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세제 수용부(230)의 하측 내면은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 수용부(230)에는 별도의 패킹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패킹 부재(미도시)는 세제 또는 유연제를 배출할 필요가 없는 경우 세제 수용부(230)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를 포함하는 바, 세제 수용부(230) 또한 제1 세제 수용부(230a) 및 제2 세제 수용부(230b)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세제 공간부(238)는 세제 수용부(2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세제 공간부(238)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수용된다.
세제 공간부(238)는 제1 세제 공간부(238a) 및 제2 세제 공간부(238b)를 포함하여, 제1 세제 수용부(230a) 및 제2 세제 수용부(230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제 공간부(238)의 하측 면, 즉 세제 수용부(230)의 하측 내면은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제 공간부(238)에 수용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원활하게 세제 배출구(236)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세제 수용부(230)는 지지 돌출부(239)를 포함한다.
지지 돌출부(239)는 덮개부(210)가 세제 수용부(230)에 결합될 때, 덮개부(210)의 하측 방향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즉, 지지 돌출부(239)의 상측 면이 덮개부(210)의 수직면부(212)의 하측 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덮개부(210)의 하측 방향의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또한, 지지 돌출부(239)에 의해 덮개부(210)의 수직면부(212)가 지지됨에 따라, 덮개부(210)와 세제 수용부(2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돌출부(239)는 세제 수용부(230)의 양 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지지 돌출부(239)는 세제 수용부(230)의 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50)에 구비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50)는 세제가 프레임(100)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 방지 돌출부(218)를 포함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설명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의 덮개부(210)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를 포함한다.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저장 용기(200)가 프레임(100)의 용기 수용부(120)에 삽입 결합된 후, 저장 용기(200)에 인접한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용기 수용부(120)에 삽입된 저장 용기(200)의 격벽부(110)에 인접한 측, 즉 격벽부(110)를 향하는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덮개부(210)의 평면부(211)로부터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덮개부(210)의 평면부(211)와 수직면부(212)가 접하는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평면부(211)와 같은 평면에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는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완전히 덮거나,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덮고 제1 투입 개구부(130) 측으로 좀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돌출 길이는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길이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지지 돌출부(239)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제1 저장 용기(200a)가 제1 용기 수용부(120a)에 삽입된 모습을 좌측 및 우측 방향의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저장 용기(200b)가 제2 용기 수용부(120b)에 삽입된 경우에도 동일한 구조가 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저장 용기(200a)가 제1 용기 수용부(120a)에 수용되면, 제1 세제 수용부(230a)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1 덮개부(210a)의 수직면부(212)는 제1 격벽부(110a)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수직면부(212)는 제1 저장 용기(200a)에 인접한 제1 격벽부(110a)의 일측 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 때, 수직면부(212)가 제1 격벽부(110a)와 밀착되지 않는 경우, 수직면부(212)와 제1 격벽부(110a) 사이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되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가사, 수직면부(212)와 제1 격벽부(110a)가 밀착된다 하더라도 미세한 크기의 세제 분말 또는 유연제가 수직면부(212)와 제1 격벽부(110a)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덮개부(210a)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제1 격벽부(110a)의 상측 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직면부(212)와 제1 격벽부(110a)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제1 덮개부(210a)의 상측으로부터 탈락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상기 공간 사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외측 상면, 즉 제1 격벽부(110a)를 향하는 일측 상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모서리 부분에 탈락되는 경우에도, 라운드지게 형성된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모서리 부분의 형상에 의해 세제 또는 유연제는 원활하게 제1 투입 개구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제1 저장 용기(200a)가 제1 용기 수용부(120a)에 삽입된 모습을 전방 측 및 후방 측 방향의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저장 용기(200b)가 제2 용기 수용부(120b)에 삽입된 경우에도 동일한 구조가 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저장 용기(200a)가 제1 용기 수용부(120a)에 수용되면, 제1 세제 수용부(230a)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1 덮개부(210a)의 수직면부(212)는 제3 격벽부(110c)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 때, 수직면부(212)가 제3 격벽부(110c)와 밀착되지 않는 경우, 수직면부(212)와 제3 격벽부(110c) 사이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되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가사, 수직면부(212)와 제3 격벽부(110c)가 밀착된다 하더라도 미세한 크기의 세제 분말 또는 유연제가 수직면부(212)와 제3 격벽부(110c)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덮개부(210a)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제3 격벽부(110c)의 적어도 일부의 상측 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직면부(212)와 제3 격벽부(110c)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제 덮개부(210a)의 상측으로부터 탈락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상기 공간 사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외측 상면, 즉 제3 격벽부(110c)를 향하는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의 일측 상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모서리 부분에 탈락되는 경우에도, 라운드지게 형성된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모서리 부분의 형상에 의해 세제 또는 유연제는 원활하게 제1 투입 개구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210)의 수직면부(212)는 덮개부(210)의 외측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수직면부(212)는 덮개부(210)의 평면부(211)의 모든 모서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즉, 제1 저장 용기(200a)가 접하게 되는 제1 격벽부(110a) 및 제3 격벽부(110c) 모두의 상측 면은 제1 덮개부(210a)가 구비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격벽부(110a) 및 제3 격벽부(110c)와 수직면부(212) 사이의 공간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저장 용기(200b)의 제2 덮개부(210b)에도 상술한 유입 방지 돌출부(218)가 구비된다.
제2 덮개부(210b)에 구비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제3 격벽부(110c)의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격벽부(110b)의 상측 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격벽부(110b)의 상측 면은 제1 덮개부(210a)에 구비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 및 제2 덮개부(210b)에 구비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에 의해 모두 덮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 수용부(120b)에 수용된 제2 저장 용기(200b)가 접하게 되는 제2 격벽부(110b) 및 제3 격벽부(110c)의 상측 면은 제2 덮개부(210b)가 구비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격벽부(110b) 및 제3 격벽부(110c)와 수직면부(212) 사이의 공간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설명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상술한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 및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는 덮개부(210)의 평면부(211)와 수직면부(212)가 접하는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는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는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의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는 격벽부(110)의 일면, 즉 저장 용기(200)에 인접한 격벽부(110)의 일면의 반대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와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 및 수직면부(212) 사이에는 하측이 개방된 삽입 공간부(217)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덮개부(210)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평면부(211) 및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를 포함하고, 평면부(211)와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가 접하는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면부(212) 및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덮개부(210)는 시계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된 'F'자 형상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저장 용기(200)가 용기 수용부(120)에 삽입되면 수직면부(212)는 격벽부(1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 때,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는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덮는다. 또한, 수직면부(212)에 인접한 격벽부(110)의 일측에 대향하는 반대측에는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가 인접하게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 예에서 격벽부(110)는 삽입 공간부(217)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격벽부(110)와 수직면부(212) 사이의 공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외측 상면, 즉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와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가 접하는 단부의 제3 격벽부(110c)를 향하는 일측 상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모서리 부분에 탈락되는 경우에도, 라운드지게 형성된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모서리 부분의 형상에 의해 세제 또는 유연제는 원활하게 제1 투입 개구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투입 개구부(130)에는 투입 속도 조절 판(1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에는 투입 속도 조절 판(132)이 삽입될 수 있는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는 제1 용기 수용부(120a)에 수용된 제1 저장 용기(200a)가 제1 격벽부(110a)에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제1 저장 용기(200a)가 제2 격벽부(110b) 및 제3 격벽부(110c)에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에도 상술한 과정을 통해 세제 또는 유연제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용기 수용부(120b)에 수용된 제2 저장 용기(200b)가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격벽부(110a), 제2 격벽부(110b) 및 제3 격벽부(110c)의 경우에도 상술한 과정을 통해 세제 또는 유연제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효과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에 따른 효과가 보다 명확하게 이해되도록, 도 2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투입 장치의 문제점을 먼저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투입 장치는,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용하기 위한 세제 수용 부재(S)를 포함한다. 세제 수용 부재(S)는 세제 투입 장치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세제 수용 부재(S)에 인접하게, 별도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개구부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할 때,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해 개구부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흩어질 수 있다. 이 때, 세제 수용 부재(S)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gap)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제 또는 유연제가 상기 공간(gap)에 잔류하거나 점착될 수 있다. 이는 미관상 보기 안 좋을 뿐만 아니라, 점착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오염될 수 있어 위생상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사용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해 흩어진 세제 또는 유연제가 드로워(50)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200)에서 세제 또는 유연제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 과정을 도시한다.
또한,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유입 방지 돌출부(218)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200)에서 세제 또는 유연제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 과정을 도시한다.
저장 용기(200)가 용기 수용부(120)에 수용되면, 저장 용기(200)의 일측은 격벽부(1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덮개부(210)의 수직면부(212)는 세제 수용부(230)와 격벽부(110) 사이에 위치된다. 이 때, 수직면부(212)의 일측은 세제 수용부(230)에 접하고, 수직면부(212)의 반대측은 격벽부(110)에 접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10)의 평면부(2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는 격벽부(110)의 상측 면을 덮도록 위치된다.
사용자가 제1 투입 개구부(130)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할 때, 일부의 세제 또는 유연제는 제1 투입 개구부(130)를 향하지 못하고 덮개부(210)를 향할 수 있다.
이 때, 덮개부(210)에 향한 세제 또는 유연제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로 인해 수직면부(212)와 격벽부(11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제 또는 유연제는 평면부(211) 상에 잔류하거나, 유입 방지 돌출부(218)의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에 부딪히고 제1 투입 개구부(130)로 유입된다.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의 외측 단부의 상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탈락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더욱 원활하게 제1 투입 개구부(130)로 진입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수직면부(212)와 격벽부(110) 사이의 공간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 방지 돌출부(218)가 제1 유입 방지 돌출부(218a) 및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도 상술한 과정을 통해 세제 또는 유연제가 수직면부(212) 및 격벽부(1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2 유입 방지 돌출부(218b)는 제1 투입 개구부(130)를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면부(212) 및 격벽부(110) 사이의 공간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짐 방지 부재(300)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50) 및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 처리 장치(1)의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인출된 후 드로워(5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 방지 부재(3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짐 방지 부재(3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처짐 방지 부재(300)는 드로워(50)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돌출부(310) 및 공급 유로부(60)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유로부(60)는 드로워 결합부(70) 내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 결합부(70)에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구비된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드로워(50)의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인출된 드로워(50)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처짐 방지 돌출부(310)가 형성되는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로워(5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파지부(51), 파지부(51)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좌측 및 우측 벽면을 형성하는 측벽부(160), 경사부(170) 및 삽입부(180)를 포함한다.
측벽부(16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측벽부(160a)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 측벽부(160b)를 포함한다.
또한 경사부(17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경사부(170a)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 경사부(170b)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삽입부(18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삽입부(180a)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 삽입부(180b)를 포함한다.
제1 측벽부(160a), 제1 경사부(170a) 및 제1 삽입부(180a)와 제2 측벽부(160b), 제2 경사부(170b) 및 제2 삽입부(180b) 사이에는 저장 용기(200)가 수용되는 용기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측벽부(160)와 경사부(170)가 접하는 부분에 인접한 측벽부(160)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처짐 방지 돌출부(310)의 위치는 통상의 사용시에 드로워(50)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사용 과정에서 드로워(50)가 인출되는 거리는 제1 투입 개구부(130) 또는 제2 투입 개구부(140)가 노출되는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저장 용기(200)에 수용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는 의류 처리 과정 진행시 터브(40)에 자동으로 공급됨을 전제한다. 따라서, 저장 용기(200)에 수용된 세제 또는 유연제를 이용하여 의류 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드로워(50)가 인출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드로워(50)를 인출한 상황은, 제1 투입 개구부(130) 또는 제2 투입 개구부(140)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수동으로 투입되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50)가 인출되는 거리는 사용자가 제1 투입 개구부(130) 또는 제2 투입 개구부(140)를 통해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는 거리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경사부(170) 또는 경사부(170)를 향하는 측벽부(160)의 일측 또는 경사부(170)를 향하는 삽입부(18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벽부(160a) 및 제2 측벽부(160b) 사이의 거리가 가장 길게 형성된다. 드로워(50)가 인출된 후 하측으로 처지는 상황을 고려하면, 각 처짐 방지 돌출부(310) 사이의 거리가 길게 형성될수록 드로워(5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서로 이격되는 거리가 가장 길게 형성되는 측벽부(160)에 위치된다.
이때, 드로워(50)는 사용자가 제1 투입 개구부(130) 및 제2 투입 개구부(140)를 통해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인출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측벽부(160) 중 가장 후방 측, 즉 측벽부(160)가 경사부(170)와 접하는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측벽부(160)의 상측 면을 따라 연장된다. 처짐 방지 돌출부(310)의 후방 측 단부는 측벽부(160)와 경사부(170)가 접하는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제1 측벽부(160a) 및 제2 측벽부(160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제1 면(312), 제2 면(314) 및 제3 면(316)을 포함한다.
제1 면(312)은 처짐 방지 돌출부(310)의 가장 전방 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면(312)은 측벽부(160)의 상측 면으로부터 측벽부(160)의 상측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상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면(312)과 측벽부(160)의 상측 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면(312)은 측벽부(160)의 상측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면(312)이 측벽부(160)의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승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드로워 결합부(70)에 삽입되었던 드로워(50)가 원활하게 슬라이드되어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312)의 상기 구조에 의해, 드로워(50)가 인출될 경우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제1 면(312)을 따라 상측으로 원활하게 압축될 수 있다.
제1 면(312)은 측벽부(160)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측, 그리고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제1 면(312)은 측벽부(160)의 상측 면으로부터 측벽부(160)와 경사부(170)가 접하는 부분을 향해 연장된다.
제2 면(314)은 제1 면(312)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제1 면(31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면(314)은 제1 면(312)과 둔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면(314)은 측벽부(160)의 상측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2 면(314)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314)이 측벽부(160)의 상측 면과 이루는 각도는 변경 가능하다. 다만, 후술될 처짐 방지 탄성부(320)와 접촉되어, 드로워(50)가 하측으로 처지지 않을 수 있는 각도이면 족하다.
제3 면(316)은 제2 면(314)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제2 면(314)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면(316)은 제2 면(314)과 둔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제1 면(312)이 측벽부(160)의 상측 면과 이루는 각도 및 제3 면(316)이 측벽부(160)의 상측 면과 이루는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면(312)이 제2 면(314)과 이루는 각도 및 제3 면(316)이 제2 면(314)과 이루는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로워(50)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드로워(5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드로워(50)에 작용되는 힘은 동일한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50)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제3 면(316)의 후방 측 단부, 즉, 제3 면(316)이 제2 면(314)과 접하는 단부에 대향하는 측의 단부는 측벽부(160)와 경사부(170)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면(316)이 측벽부(160)의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에 원활하게 슬라이드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3 면(316)의 상기 구조에 의해, 드로워(50)가 삽입될 경우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제3 면(316)을 따라 상측으로 원활하게 압축될 수 있다.
처짐 방지 돌출부(3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처짐 방지 돌출부(310)의 면의 적어도 일부가 후술될 처짐 방지 탄성부(320)와 접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 예에서,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측벽부(160)의 상측 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일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일의 면은 후술될 처짐 방지 탄성부(320)에 접촉되어 드로워(50)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처짐 방지 돌출부(310)와 접촉되어, 처짐 방지 돌출부(310)에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드로워(50)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공급 유로부(60)의 전방 측에 형성된 처짐 방지 개구부(62)에 위치된다. 따라서, 드로워(50)가 삽입되면,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파지부(5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통해 공급 유로부(60)의 하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유로부(60)는 드로워 결합부(70) 내부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에 결합되면, 공급 유로부(60)는 드로워 결합부(7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공급 유로부(60)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드로워(50)에 형성된 처짐 방지 돌출부(310)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며, 변형된 형상으로부터 원 형상으로 돌아오려는 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드로워(50)가 소정 거리만큼 인출된 경우 처짐 방지 돌출부(31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처짐 방지 돌출부(310)가 처짐 방지 탄성부(3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드로워(50)가 인출되는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거리는, 파지부(51)와 처짐 방지 돌출부(310) 사이의 거리로도 정의될 수 있다.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 만곡부(324) 및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를 포함한다.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공급 유로부(60)의 전방 측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가 공급 유로부(60)에 접하는 부분(제1 부분)의 폭은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가 만곡부(324)와 연결되는 부분(제2 부분)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의 폭은 처짐 방지 개구부(62)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제2 부분의 폭은 처짐 방지 개구부(62)의 폭과 같거나 더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가 공급 유로부(60)의 상측에 결합된 후, 만곡부(324)가 공급 유로부(60)의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만곡되는 경우에도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가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통해 하측으로 임의 이동되지 않는다.
만곡부(324)는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의 제2 부분, 즉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의 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만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만곡부(324)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가 연장 형성된다.
만곡부(324)는 공급 유로부(60)의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만곡된다. 이 때, 만곡부(324)는 만곡부(324)가 처짐 방지 돌출부(310)와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만곡부(324)의 만곡 정도는 측벽부(160)의 상측 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부(324)가 측벽부(160)의 상측 면에 접한 상태에서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에 소량의 탄성력이 저장되거나, 탄성력이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만곡부(324)의 폭은 처짐 방지 개구부(62)의 폭과 같거나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부(324)는 제1 만곡부(324a) 및 제2 만곡부(324b)를 포함한다.
제1 만곡부(324a)는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측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제1 만곡부(324a)는 공급 유로부(60)의 전방의 하측으로 만곡되도록 연장된다.
제2 만곡부(324b)는 제1 만곡부(324a)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제1 만곡부(324a)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측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제2 만곡부(324b)는 공급 유로부(60)의 후방의 상측으로 만곡되도록 연장된다.
제2 만곡부(324b)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가 연장된다.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공급 유로부(60)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가 공급 유로부(60)에 접하는 부분(제3 부분)의 폭은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가 만곡부(324)와 연결되는 부분(제4 부분)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부분의 폭은 처짐 방지 개구부(62)의 폭과 같거나 더 작도록 형성되고, 제4 부분의 폭은 처짐 방지 개구부(62)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가 공급 유로부(60)의 상측에 결합된 후, 만곡부(324)가 공급 유로부(60)의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만곡되는 경우에도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가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통해 하측으로 임의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제1 처짐 방지 결합부(322) 및 제2 처짐 방지 결합부(326)는 공급 유로부(60)의 상측 면에 위치되고, 만곡부(324)는 공급 유로부(60)의 처짐 방지 개구부(62)를 관통하여 공급 유로부(60)의 상측 면보다 낮게 위치된다.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탈착 가능하게 공급 유로부(6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분리 가능하게 공급 유로부(60)에 결합된다. 따라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의 탄성력이 감소된 경우, 처짐 방지 탄성부(320)를 교환하는 것만으로도 드로워(5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처짐 방지 부재(300)에 의해 드로워(50)의 처짐이 방지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드로워(50)는 드로워 결합부(70)에 결합된 후, 슬라이드되어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드로워(50)가 소정 거리만큼 슬라이드되어 인출되면, 이탈 방지부(150)가 드로워 결합부(70) 또는 공급 유로부(60)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 부재(미도시)와 접하게 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에 따라, 드로워(50)는 별도 조작 없이는 더 이상 슬라이드되어 인출될 수 없게 된다.
상기 위치에서, 측벽부(160)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돌출부(310)와 공급 유로부(60)에 구비되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접촉된다.
즉, 상술한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로부터 인출되는 소정 거리는, 드로워(50)의 처짐 방지 돌출부(310)와 공급 유로부(60)의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접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드로워(50)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파지부(51)의 무게 및 처짐 방지 돌출부(310)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프레임(100)의 무게에 의해, 드로워(50)는 하측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이 때, 프레임(100)은 탄성이 없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무게들에 의해, 드로워(50)는 드로워(50)의 전방 측의 하측 단부와 드로워 결합부(70)의 전방 측의 하측 단부를 축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처짐 방지 돌출부(310)는 처짐 방지 탄성부(320)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탄성 등의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처짐 방지 탄성부(320)의 만곡부(324)가 측벽부(160)의 상측 면에 접한 상태 또는 상측 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상태에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에 저장된 복원력이 최소가 된다.
즉, 드로워(50)의 인출이 진행됨에 따라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처짐 방지 돌출부(310)의 제1 면(312) 및 제2 면(314)에 차례로 접촉되는 과정에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에 저장되는 탄성력은 점점 증가한다.
즉,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에 삽입되어 처짐 방지 탄성부(320)의 만곡부(324)가 측벽부(160)의 상측 면에 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되는 상태에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처짐 방지 돌출부(310)에 인가하는 탄성력이 최소가 된다.
또한, 드로워(50)의 인출이 진행됨에 따라 처짐 방지 탄성부(320)의 만곡부(324)가 제1 면(312) 및 제2 면(314)에 접촉되면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처짐 방지 돌출부(310)에 인가하는 탄성력이 점점 증가된다.
다시 말하면, 처짐 방지 탄성부(320)의 만곡부(324)가 제2 면(314)에 접촉될 때,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처짐 방지 돌출부(310)에 인가하는 탄성력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는 처짐 방지 돌출부(310)가 가하는 힘의 반대 방향, 즉 처짐 방지 돌출부(310)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처짐 방지 돌출부(31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처짐 방지 돌출부(310)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어, 드로워(50)가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드로워(50)는 하측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과정은, 드로워(50)를 드로워 결합부(7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5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제3 면(316) 및 제2 면(314)에 차례로 접하는 과정에서 처짐 방지 탄성부(320)에 저장되는 복원력이 점점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하기 위해 드로워(50)를 소정 거리, 즉 이탈 방지부(150)와 이탈 방지 부재(미도시)가 맞닿게 되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는 거리 또는 처짐 방지 돌출부(310)와 처짐 방지 탄성부(320)가 접하게 되는 거리까지 인출시키더라도, 드로워(50)는 하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의 설명
도 5, 도 8 및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는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 용기(200)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부(230) 및 세제 수용부(23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부(210)를 포함한다.
이 때, 덮개부(210)의 수직면부(212)는 세제 수용부(230)의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덮개부(210)의 평면부(211)와 수직면부(212)가 접하는 단부는 별도의 돌출부 없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210)는 유입 방지 돌출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유입 방지 돌출부(218)는 격벽부(110)에 인접한 덮개부(210)의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저장 용기(200)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에서 덮개부(210)를 이동시켜 세제 수용부(230)를 개방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덮개부(210)의 수직면부(212) 및 세제 수용부(230)의 지지 돌출부(239)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틈에 손톱 등을 삽입한 후 덮개부(210)를 들어올림으로써 세제 수용부(230)를 개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는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를 포함하여, 상술한 불편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세제 수용부(23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는 저장 용기(200)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으로부터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는 덮개 전방 돌출부(410), 덮개 후방 돌출부(420), 용기 전방 돌출부(430) 및 용기 후방 돌출부(4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는 제1 저장 용기(200a) 및 제2 저장 용기(200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저장 용기(200a)에는 제1 덮개 전방 돌출부(410a), 제1 덮개 후방 돌출부(420a), 제1 용기 전방 돌출부(430a) 및 제1 용기 후방 돌출부(430a)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저장 용기(200b)에는 제2 덮개 전방 돌출부(410b), 제2 덮개 후방 돌출부(420b), 제2 용기 전방 돌출부(430b) 및 제2 용기 후방 돌출부(430b)가 구비된다.
상기 각 제1 및 제2 유입 방지 돌출부(410a, 410b, 420a, 420b, 430a, 430b, 440a, 440b)는 그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덮개 전방 돌출부(410), 덮개 후방 돌출부(420), 용기 전방 돌출부(430) 및 용기 후방 돌출부(440)로 설명한다.
덮개 전방 돌출부(410) 및 덮개 후방 돌출부(420)는 덮개부(210)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으로부터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도 19에는 덮개 후방 돌출부(420)만이 도시되었으나, 덮개 전방 돌출부(410) 또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덮개 후방 돌출부(4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덮개 후방 돌출부(420)는 덮개부(210)의 후방 측 수직면부(212)의 단부로부터 수직면부(2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즉, 덮개 후방 돌출부(420)는 수직면부(212)가 세제 수용부(230)의 지지 돌출부(239)와 접하는 단부로부터 수직면부(2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 후방 돌출부(420)는 수직면부(212)에 대해 수직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덮개 후방 돌출부(420)는 수직면부(212)로부터 수평하게 후방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덮개 후방 돌출부(420)의 하측 면은 후술될 용기 후방 돌출부(440)의 상측 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210)와 세제 수용부(2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덮개 후방 돌출부(420)의 돌출 거리는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덮개 후방 돌출부(420)는 후술될 용기 후방 돌출부(440)보다 더 긴 거리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덮개 후방 돌출부(420)를 파지하고 덮개부(210)를 들어올림으로써, 세제 수용부(23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후방 측에는 파지 홈부(190)가 형성된다. 덮개 후방 돌출부(420)는 파지 홈부(19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덮개 후방 돌출부(420)가 프레임(100)에 의해 간섭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덮개 후방 돌출부(420)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200)가 세제 수용부(23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덮개 전방 돌출부(410)는 덮개부(210)의 전방 측 수직면부(212)의 단부로부터 수직면부(2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덮개 후방 돌출부(4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용기 전방 돌출부(430) 및 용기 후방 돌출부(440)는 세제 수용부(230)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으로부터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도 19에서는 용기 후방 돌출부(440)만이 도시되었으나, 용기 전방 돌출부(430) 또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용기 후방 돌출부(4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용기 후방 돌출부(440)는 덮개부(210)의 후방 측 수직면부(212)에 접하는 세제 수용부(230)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세제 수용부(230)의 후방 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 후방 돌출부(440)는 세제 수용부(230)의 후방 측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용기 후방 돌출부(440)는 세제 수용부(230)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후방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용기 후방 돌출부(440)의 상측 면은 덮개 후방 돌출부(420)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210)와 세제 수용부(2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용기 후방 돌출부(440)의 돌출 거리는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용기 후방 돌출부(440)는 덮개 후방 돌출부(420)보다 더 짧은 거리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덮개 후방 돌출부(420)를 파지하고 덮개부(210)를 들어올림으로써, 세제 수용부(23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즉, 저장 용기(200)가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된 상황을 가정하면, 덮개부(210)가 세제 수용부(23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 용기(200)를 분리하기 위해 세제 수용부(230)를 하측으로 당기기보다는 덮개부(210)를 상측으로 당기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덮개 후방 돌출부(420)의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용기 후방 돌출부(440)의 돌출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될 때,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후방 측에는 파지 홈부(190)가 형성된다. 용기 후방 돌출부(440)는 파지 홈부(19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 후방 돌출부(440)가 프레임(100)에 의해 간섭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용기 후방 돌출부(440)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200)가 세제 수용부(23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용기 전방 돌출부(430)는 세제 수용부(230)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세제 수용부(230)의 전방 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용기 후방 돌출부(44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술한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의 덮개 전방 돌출부(410) 및 용기 전방 돌출부(430)의 경우, 프레임(100)의 전방 측에는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돌출 길이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드로워(50)가 드로워 결합부(70)에 결합된 후, 프레임(100)의 후방 측에는 유로 형성 부재 등의 다양한 부재가 위치된다. 따라서, 덮개 후방 돌출부(420) 및 용기 후방 돌출부(440)의 경우, 돌출 길이가 제한되어야 한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드로워 결합부(70)에 결합된 드로워(5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저장 용기(200)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덮개 후방 돌출부(420) 및 용기 후방 돌출부(440)는 상술한 파지 홈부(190)에 의해 프레임(10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된다.
이 때, 덮개 후방 돌출부(420)와 용기 후방 돌출부(440)는 프레임(100)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공급 유로부(60)와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덮개 후방 돌출부(420)와 용기 후방 돌출부(440)의 돌출 거리는, 덮개부(210)의 후방 측면 및 덮개부(210)의 후방 측면에 대향하는 공급 유로부(60)의 전방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장 용기 개방 부재(400)가 구비된 경우에도, 의류 처리 장치(1)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 부재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 처리 장치
10: 하우징
11: 전면
12: 측면
13: 상측 면
20: 도어부
21: 손잡이
30: 조작부
31: 디스플레이 모듈
32: 다이얼 모듈
33: 조작 버튼 모듈
34: 작동 버튼 모듈
40: 터브
42: 드럼
50: 드로워
51: 파지부
52: 손잡이 홈
60: 공급 유로부
62: 처짐 방지 개구부
70: 드로워 결합부
100: 프레임
110: 격벽부
110a: 제1 격벽부
110b: 제2 격벽부
110c: 제3 격벽부
120: 용기 수용부
120a: 제1 용기 수용부
120b: 제2 용기 수용부
130: 제1 투입 개구부
132: 투입 속도 조절 판
140: 제2 투입 개구부
150: 이탈 방지부
160: 측벽부
160a: 제1 측벽부
160b: 제2 측벽부
170: 경사부
170a: 제1 경사부
170b: 제2 경사부
180: 삽입부
180a: 제1 삽입부
180b: 제2 삽입부
190: 파지 홈부
190a: 제1 파지 홈부
190b: 제2 파지 홈부
200: 저장 용기
200a: 제1 저장 용기
200b: 제2 저장 용기
210: 덮개부
210a: 제1 덮개부
210b: 제2 덮개부
211: 평면부
212: 수직면부
217: 삽입 공간부
218: 유입 방지 돌출부
218a: 제1 유입 방지 돌출부
218b: 제2 유입 방지 돌출부
220: 마개부
220a: 제1 마개부
220b: 제2 마개부
230: 세제 수용부
230a: 제1 세제 수용부
230b: 제2 세제 수용부
231: 제1 측면
232: 제2 측면
233: 제3 측면
234: 제4 측면
235: 제5 측면
236: 세제 배출구
236a: 제1 세제 배출구
236b: 제2 세제 배출구
238: 세제 공간부
238a: 제1 세제 공간부
238b: 제2 세제 공간부
239: 지지 돌출부
300: 처짐 방지 부재
310: 처짐 방지 돌출부
312: 제1 면
314: 제2 면
316: 제3 면
320: 처짐 방지 탄성부
322: 제1 처짐 방지 결합부
324: 만곡부
324a: 제1 만곡부
324b: 제2 만곡부
326: 제2 처짐 방지 결합부
400: 저장 용기 개방 부재
410: 덮개 전방 돌출부
410a: 제1 덮개 전방 돌출부
410b: 제2 덮개 전방 돌출부
420: 덮개 후방 돌출부
420a: 제1 덮개 후방 돌출부
420b: 제2 덮개 후방 돌출부
430: 용기 전방 돌출부
430a: 제1 용기 전방 돌출부
430b: 제2 용기 전방 돌출부
440: 용기 후방 돌출부
440a: 제1 용기 후방 돌출부
440b: 제2 용기 후방 돌출부
S: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수용 부재
Gap: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수용 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10: 하우징
11: 전면
12: 측면
13: 상측 면
20: 도어부
21: 손잡이
30: 조작부
31: 디스플레이 모듈
32: 다이얼 모듈
33: 조작 버튼 모듈
34: 작동 버튼 모듈
40: 터브
42: 드럼
50: 드로워
51: 파지부
52: 손잡이 홈
60: 공급 유로부
62: 처짐 방지 개구부
70: 드로워 결합부
100: 프레임
110: 격벽부
110a: 제1 격벽부
110b: 제2 격벽부
110c: 제3 격벽부
120: 용기 수용부
120a: 제1 용기 수용부
120b: 제2 용기 수용부
130: 제1 투입 개구부
132: 투입 속도 조절 판
140: 제2 투입 개구부
150: 이탈 방지부
160: 측벽부
160a: 제1 측벽부
160b: 제2 측벽부
170: 경사부
170a: 제1 경사부
170b: 제2 경사부
180: 삽입부
180a: 제1 삽입부
180b: 제2 삽입부
190: 파지 홈부
190a: 제1 파지 홈부
190b: 제2 파지 홈부
200: 저장 용기
200a: 제1 저장 용기
200b: 제2 저장 용기
210: 덮개부
210a: 제1 덮개부
210b: 제2 덮개부
211: 평면부
212: 수직면부
217: 삽입 공간부
218: 유입 방지 돌출부
218a: 제1 유입 방지 돌출부
218b: 제2 유입 방지 돌출부
220: 마개부
220a: 제1 마개부
220b: 제2 마개부
230: 세제 수용부
230a: 제1 세제 수용부
230b: 제2 세제 수용부
231: 제1 측면
232: 제2 측면
233: 제3 측면
234: 제4 측면
235: 제5 측면
236: 세제 배출구
236a: 제1 세제 배출구
236b: 제2 세제 배출구
238: 세제 공간부
238a: 제1 세제 공간부
238b: 제2 세제 공간부
239: 지지 돌출부
300: 처짐 방지 부재
310: 처짐 방지 돌출부
312: 제1 면
314: 제2 면
316: 제3 면
320: 처짐 방지 탄성부
322: 제1 처짐 방지 결합부
324: 만곡부
324a: 제1 만곡부
324b: 제2 만곡부
326: 제2 처짐 방지 결합부
400: 저장 용기 개방 부재
410: 덮개 전방 돌출부
410a: 제1 덮개 전방 돌출부
410b: 제2 덮개 전방 돌출부
420: 덮개 후방 돌출부
420a: 제1 덮개 후방 돌출부
420b: 제2 덮개 후방 돌출부
430: 용기 전방 돌출부
430a: 제1 용기 전방 돌출부
430b: 제2 용기 전방 돌출부
440: 용기 후방 돌출부
440a: 제1 용기 후방 돌출부
440b: 제2 용기 후방 돌출부
S: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수용 부재
Gap: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수용 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Claims (19)
- 내부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용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세제 또는 상기 유연제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세제 수용부; 및
상기 세제 수용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인 용기 수용부;
상기 용기 수용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투입 개구부; 및
상기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투입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를 구획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격벽부의 상측 면을 덮는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드로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투입 개구부를 향해 상기 격벽부의 두께 이상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드로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세제 수용부의 상기 공간을 덮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수직면부가 연속되는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는,
드로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부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격벽부와 이격되는 측면; 및
상기 격벽부의 상기 상측 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측면에서 상기 격벽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드로워.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부는,
상기 측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되며, 하측 단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 면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상기 측면의 부분 중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을 감싸는,
드로워.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 돌출부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드로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용부는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투입 개구부는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 용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저장 용기는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드로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손잡이 홈이 형성된 파지부가 결합되고,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수용부는,
상기 파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지부를 향하는 각 일측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를 향하는 상기 투입 개구부의 일측은,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수용부에 둘러싸이는,
드로워.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용부는,
상기 투입 개구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용기 수용부; 및
상기 투입 개구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용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제1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격벽부; 및
상기 파지부를 향하는 일측에서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와 연속되는 제3 격벽부를 포함하는,
드로워.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제1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 저장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 저장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 용기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3 격벽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2 저장 용기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제3 격벽부의 다른 일부를 덮는,
드로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면부와 이격되고, 상기 투입 개구부에 위치되는 제2 유입 방지 돌출부; 및
상기 수직면부,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 및 상기 제2 유입 방지 돌출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인 삽입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드로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부의 일측에는 용기 후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상기 세제 수용부의 일측에 대응되는 일측에는 덮개 후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 후방 돌출부는 상기 용기 후방 돌출부가 돌출되는 길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드로워.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와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내부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수용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세제 또는 상기 유연제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세제 수용부; 및
상기 세제 수용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인 용기 수용부;
상기 용기 수용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투입 개구부; 및
상기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투입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를 구획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세제 수용부의 상기 공간을 덮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수직면부가 연속되는 부분에서, 상기 투입 개구부를 향해 상기 격벽부의 두께 이상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의 상측 면을 덮는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면부와 이격되고, 상기 투입 개구부에 위치되는 제2 유입 방지 돌출부; 및
상기 수직면부,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 및 상기 제2 유입 방지 돌출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인 삽입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의류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부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격벽부와 이격되는 측면; 및
상기 격벽부의 상기 상측 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측면에서 상기 격벽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부는,
상기 측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되며, 하측 단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 면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상기 측면의 부분 중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을 감싸는,
의류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용부는,
상기 투입 개구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용기 수용부; 및
상기 투입 개구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용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제1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용기 수용부와 상기 투입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격벽부; 및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와 연속되는 제3 격벽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제1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 저장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 저장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 용기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3 격벽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2 저장 용기의 상기 제1 유입 방지 돌출부는,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제3 격벽부의 다른 일부를 덮는,
의류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파지 홈부가 개방 형성되며,
상기 세제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파지 홈부에 수용되는 용기 후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파지 홈부에 수용되는 덮개 후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 후방 돌출부는 상기 용기 후방 돌출부가 돌출되는 길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드로워가 삽입되거나 인출되고,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공급 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상측 면에는,
상기 파지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처짐 방지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공급 유로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상측 면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기 상측 면을 향해 만곡되는 처짐 방지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상기 처짐 방지 돌출부와 상기 처짐 방지 탄성부가 접촉되는,
의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666 | 2019-01-21 | ||
KR20190007666 | 2019-01-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0609A true KR20200090609A (ko) | 2020-07-29 |
Family
ID=7189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9998A KR20200090609A (ko) | 2019-01-21 | 2019-12-31 | 세제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90609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715A (ko) | 2001-07-06 | 2003-01-1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세탁기의 액체세제 자동 투입장치 |
KR20140131809A (ko) | 2013-05-06 | 2014-1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KR20150006260A (ko) | 2013-07-08 | 2015-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
2019
- 2019-12-31 KR KR1020190179998A patent/KR2020009060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715A (ko) | 2001-07-06 | 2003-01-1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세탁기의 액체세제 자동 투입장치 |
KR20140131809A (ko) | 2013-05-06 | 2014-1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KR20150006260A (ko) | 2013-07-08 | 2015-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40919B2 (en) |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US9663886B2 (e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dispensing drawer | |
US11408111B2 (en) | Easy-to-open storage contain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 |
EP3786336B1 (en) | Detergent supply device | |
JP2020195578A (ja) | 衣類処理装置 | |
KR20190009620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00090609A (ko) | 세제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
JP7498600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1544759B1 (ko) |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
KR20200090610A (ko) | 처짐이 방지될 수 있는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
JP7391555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20130082336A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KR20190009619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74433B1 (ko) |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 |
KR101989891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 |
KR20220041369A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3136703A (zh) | 衣物处理设备 | |
KR101161507B1 (ko) | 세탁기,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 | |
US12031262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AU2023222923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EP2889419B1 (en) | Laundry washing machine | |
KR101938246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3690116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210026227A (ko) |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
KR20210027021A (ko) |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