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547A -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 Google Patents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547A
KR20200090547A KR1020190007691A KR20190007691A KR20200090547A KR 20200090547 A KR20200090547 A KR 20200090547A KR 1020190007691 A KR1020190007691 A KR 1020190007691A KR 20190007691 A KR20190007691 A KR 20190007691A KR 20200090547 A KR20200090547 A KR 20200090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unting
fastening
piece
moun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953B1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KR102019000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9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25Pers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상체 후면에 위치하는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어깨를 거쳐 양 단부가 상체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 상기 거치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 및 각종 휴대물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물품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물품 거치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켜 활동이나 작업간에 발생하는 휴대물품의 자중에 의한 다방향 힘의 작용으로부터 거치대의 유동을 제어하고, 안정적인 체결력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Mounting Device with Increased Body Adhesion and Apparel with it}
본 발명은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과, 상기 거치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 그리고 각종 휴대물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물품 거치부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작업이나 활동 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방향의 힘으로부터 휴대물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착탈이 편리하도록 제안된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물품들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판매되는 추세이다. 그 예로서 다양한 IoT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은 물론 태블릿 피씨 기타 통신단말기 등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건설 현장을 포함한 각종 노동 현장에서는 여전히 인간의 노동력에 의존하여 생산이나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실외에서 작업하는 노동자들은 산성비를 포함한 국지성 호우나 직사광선 그리고 미세먼지에 노출되어 건강에 위협을 받거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에 당면하게 되고, 양산이나 우산 그리고 작업자용 물품과 같은 휴대물품을 지참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통신장비를 활용하는 일반인들은 물론 노동 현장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을 포함한 현대인들은 지참해야할 휴대물품의 종류와 수가 증가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신체적 한계로 인하여 다량의 휴대물품을 구비하거나 사용함에 있어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휴대물품을 분실할 위험성도 함께 존재한다.
특히, 사용자와 휴대물품의 신체 밀착성이 높지 않아 사용자의 활동이나 작업간에 발생하는 휴대물품의 자중에 의한 힘의 작용방향이 불규칙함에 따라 오히려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휴대물품의 활용도가 낮아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각종 휴대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9021호 '도보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 크레이블'(2015. 01. 21.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관한 발명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벨트와 멜빵의 형상으로 휴대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장착본체를 제작하고, 상기 장착본체에 각종 휴대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크레이들을 결합함으로써 휴대물품의 휴대성을 증진시키고, 양 손의 자유도를 확보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에 착용함에 있어서 자체 탄성력이 확보되지 않은 멜빵을 사용함에 따라 신체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으며, 그 길이를 수시로 조절하여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나아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골격구조의 결합체가 일측에만 구비되어 편심하중이 발생하였고, 추가적으로 견고한 밀착성이 확보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이나 작업간에 휴대물품의 안정적인 고정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507호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2016. 6. 2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선행기술문헌 1의 결합체 구조를 한 쌍의 대칭구조로 형성하고 상호 연결한 결합부를 제공함으로써 휴대물품의 안정적 고정을 꾀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2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격구조를 형성하는 결합부가 일정한 강성을 지니도록 제작됨에 따라 의복에 구비된 상태로 사용함에 있어서 착탈의 곤란함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4001호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2018. 10. 25.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와 절첩식 경첩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가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전체적으로 강성을 지니는 프레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유연한 변형을 꾀하는 것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으며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선행기술문헌 3은 휴대물품을 결합하는 삽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전면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이나 작업에 따른 움직임에 쉽게 이탈되는 등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삽결구가 전체적으로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면 형상을 지니도록 제작됨에 따라 하중을 단면2차 모멘트값이 작아 하중에 취약한 추가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이즈에 맞게 그 형상을 쉽게 변형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신체에 거치대를 착용함에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스스로 간편한 착용이 가능하고,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켜 활동이나 작업간에 발생하는 휴대물품의 자중에 의한 다방향 힘의 작용으로부터 거치대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휴대물품과 거치대의 결합력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 상체 후면에 위치하는 중심부(11)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어깨를 거쳐 양 단부(12)가 상체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10); 상기 거치편(10)의 일측 단부(12)에 형성되는 체결부(20); 및 각종 휴대물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물품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0)에 체결되는 물품 거치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이 거치편(10)의 후면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거쳐 타단이 거치편(10)의 양측 단부(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 조절되는 한 쌍의 탄성 밴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밴드(40)의 타단에는 각각 제1 체결구(41)(41')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편의 양측 단부(12)에는 각각 제2 체결구(13)(1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구(41)(41')가 제2 체결구(13)(13')에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 밴드(40)에는 각각 길이 조절구(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탄성 밴드(40)는 사용자 상체 전면에서 상호 교차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의 중심부(11)에는 힌지(11a)가 구비되어 한 쌍의 거치편 바디(10a)가 힌지(11a)를 중심으로 사용자 신체에 따라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0)는 거치편(10)에 결합되는 플랫 베이스(21)의 상부로 체결편(22)이 돌출되어 일측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체결편(22)이 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22)의 종단면은 상대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안정적인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작업용 의복(C)은, 상기 의복(C)의 일측에는 개폐구(OP)가 형성되어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10)이 삽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 후면에 위치하는 중심부(11)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어깨를 거쳐 양 단부(12)가 상체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의복(C)이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거치편(10)의 일측 단부(12)에는 체결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에는 각종 휴대물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물품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물품 거치부(3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0)는 거치편(10)에 결합되는 플랫 베이스(21)의 상부로 체결편(22)이 돌출되어 일측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되, 상기 의복(C)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체결편(22)이 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에 의하면,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을 사용자 상체 후면에 위치하는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어깨를 거쳐 양 단부가 상체 전면에 위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이즈에 맞게 그 형상을 쉽게 변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체에 거치대를 착용함에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거치편의 후면측에 고정된 탄성 밴드의 타단을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거쳐 거치편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 조절함으로써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켜 활동이나 작업간에 발생하는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착용자는 스스로도 간편한 착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한 쌍의 탄성 밴드가 사용자 상체 전면에서 상호 교차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신체 밀착성이 보다 견고하게 확보된 안정적인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체결부를 제작함에 있어 플랫 베이스의 상부로 체결편이 돌출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휴대물품이 구비되는 거치부에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휴대물품의 자중에 의한 다방향 힘의 작용으로부터 휴대물품과 거치대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체결편은 종단면이 상대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2차단면 모멘트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작업용 거치대를 의복의 내부에 개폐구를 바탕으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착용감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으며 거치대의 착용시 심미성이 저하하지 않도록 패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를 착용한 상태와 탈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형상의 중심부를 지니는 작업용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와 물품 거치부의 체결방법을 도시한 분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를 다양한 방식으로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거치대를 구비한 의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M)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편(10)과 체결부(20) 및 물품 거치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편(10)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사용자 상체 후면에 위치하는 중심부(11)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어깨를 거쳐 양 단부(12)가 상체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편(10)의 일측 단부(12)에 형성되는 체결부(20)는 각종 휴대물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물품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물품 거치부(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면적이 비교적 넓게 형성되도록 납작한 단면을 지니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 상체 후면은 물론 전면에 걸쳐 거치편(10)이 거치됨에 따라 착용 후 사용자의 활동이나 작업에 따른 움직임에도 유동하거나 이탈됨이 없이 어깨에 안정적인 안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10)을 신체에 누름으로써 신체 밀착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은 전체 또는 일부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그 형상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신체에 작업용 거치대(M)를 착용함에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편(10)의 중심부(11)에는 힌지(11a)가 구비되어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거치편 바디(10a)가 힌지(11a)를 중심으로 사용자 신체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전체적인 사용자 상체의 넓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거치편 바디(10a)의 간격을 힌지(11a)를 바탕으로 각도 조절하고, 신체에 보다 세부적인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거치편(10)을 신체에 대응되도록 누름으로써 견고한 고정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의 상체 전면측과 후면측 사이에 위치하는 어깨부(14)에 힌지(14a)를 구비함으로써 상체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거치편(10)의 전면측과 후면측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어깨부(14) 자체를 가요성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기대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편(10)의 중심부(11)는 변형이 용이하도록 단면 형상을 원형이나 상대적으로 원형에 가깝도록 제작된 가요성 재질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거치편(10)을 사용자의 상체에 대응되도록 변형함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11)의 변형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신속한 착용을 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용 거치대(M)는 일단이 거치편(10)의 후면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거쳐 타단이 거치편(10)의 양측 단부(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밴드(4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탄성 밴드(40)가 사용자 상박의 하부인 겨드랑이를 지나도록 구비되고, 상기 거치편(10)에 있어서 어깨부(14)와의 유기적 관계를 바탕으로 어깨를 감싸 전면측에 위치하는 단부(12)와 결속되어 전체적으로 상박를 감싸도록 구비됨에 따라 작업용 거치대(M)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탄성 밴드(40)를 스스로 체결할 수 있어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한 착용이 가능한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 밴드(4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유연하게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 밴드(40)는 탄성력에 의하여 장력에 의하여 유연하게 길이 변형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탄성 밴드(40)에는 각각 길이 조절구(42)가 구비되어 상기 길이 조절구(42)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탄성 밴드(4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밴드(40)의 타단에는 각각 제1 체결구(41)(41')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편(10)의 양측 단부(12)에는 각각 제2 체결구(13)(1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구(41)(41')가 제2 체결구(13)(13')에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구(41)(41')와 제2 체결구(13)(13')는 상호 착탈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컨데 클립 구조나 고리 구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편(10)을 중심부(11)를 기준으로 각각 한 쌍의 거치편 바디(10a)라 정의하고, 이를 착용자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는 경우, 좌측 거치편 바디(10a)의 후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밴드(40)의 제1 체결구(41)는 좌측 거치편 바디(10a)의 단부(12)에 구비된 제2 체결구(13)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우측 거치편 바디(10a)의 후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밴드(40)의 제1 체결구(41')는 우측 거치편 바디(10a)의 단부(12)에 구비된 제2 체결구(13')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거치편 바디(10a)의 후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밴드(40)의 제1 체결구(41)는 우측 거치편 바디(10a)의 단부(12)에 구비된 제2 체결구(13')에 체결되고, 우측 거치편 바디(10a)의 후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밴드(40)의 제1 체결구(41')는 좌측 거치편 바디(10a)의 단부(12)에 구비된 제2 체결구(13)에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탄성 밴드(40)는 사용자 상체 전면에서 상호 교차하도록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신체 밀착성이 보다 견고하게 확보된 안정적인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의 양측 단부(12)에는 각각 가이드공(1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측 거치편 바디(10a)의 후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밴드(40)의 제1 체결구(41)는 좌측 거치편 바디(10a)의 단부(12)에 구비된 가이드공(13a)을 관통하여 우측 거치편 바디(10a)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체결구(13)에 체결될 수 있으며, 반대로 우측 거치편 바디(10a)의 후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밴드(40)의 제1 체결구(41)는 우측 거치편 바디(10a)의 가이드공(13a)을 관통하여 좌측 거치편 바디(10a)의 제2 체결구(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체결구(13)와 가이드공(13a)은 별도의 구성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상기 가이드공(13a)이 제2 체결구(13)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 밴드(40)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41)는 착탈 가능한 고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3a)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부(20)는 거치편(10)에 결합되는 플랫 베이스(21)의 상부로 체결편(22)이 돌출되어 일측 방향으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22)이 만곡 형성되는 방향은 사용자가 거치편(10)을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체결편(22)이 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활동이나 작업간에 휴대물품의 자중 방향이나 그 반대 반향으로 이탈될 가능성이 크다. 즉, 상하방향으로 체결편이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활동이나 작업에 의하여 쉽게 이탈될 수 있으나, 상하방향이 아닌 측방향으로 상기 체결편(22)을 형성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다방향 힘의 작용으로부터 휴대물품과 본 발명의 거치대(10) 간의 체결력을 확보함에 있어 안정적인 결합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체결편(22)의 종단면은 상대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안정적인 결합력이 확보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체결편(22) 자체의 상하 하중방향에 대한 2차단면 모멘트를 증가시켜 부재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허리에 추가적으로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대(10)의 하부로 멜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멜빵과 벨트의 결속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작업용 거치대(M)의 유동을 보다 견고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작업용 거치대를 구비한 작업용 의복(C)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복(C)의 일측에는 개폐구(OP)가 형성되어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10)이 삽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계절이나 날씨 또는 취향에 따라 의복(C)의 내부에 거치대(M)가 구비된 상태로 활동 및 작업을 수행하거나 의복(C)에서 상기 거치대(M)만을 분리한 상태로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 후면에 위치하는 중심부(11)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어깨를 거쳐 양측 단부(12)가 상체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의복(C)이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치편(10)의 일측 단부(12)에는 체결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에는 각종 휴대물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물품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물품 거치부(30)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체결부(20)는 거치편(10)에 결합되는 플랫 베이스(21)의 상부로 체결편(22)이 돌출되어 일측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체결편(22)이 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편(22)은 의복(C)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30)를 체결함에 있어서 작업성을 꾀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편(22)만이 의복(C)의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사용 태양에 따라서는 상기 체결편(22)에 회사의 상호나 각종 로고를 기재하여 심미성을 확보하거나, 소속감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거치대(M)의 일단이 거치편(10)의 후면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거쳐 타단이 거치편(10)의 양측 단부(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밴드(4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상기 탄성 밴드(40)도 의복(C)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탄성 밴드(4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구(41)(41')와 상기 거치편(10)의 양측 단부(12)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체결구(13)(13')는 각각 의복(C)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품 거치부(30)는 수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32)에 휴대물품의 전체 또는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용부(32)에는 볼 하우징(32a)이 형성되어 휴대물품의 볼 조인트(J)가 볼 하우징(32a) 내부에 마찰 결합되되, 외력에 의하여 3차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거치편(10)의 단부에 물품 거치부(30)를 매개로 결합되는 휴대물품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물품은 우산, 양산 등을 포함할 수 있어 사용상의 용이성과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M) 및 이를 구비한 의복(C)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작업용 거치대 C:의복
10:거치편 10a:거치편 바디
11:중심부 11a:힌지
12:단부 13,13':제2 체결구
13a:가이드공 14:어깨부
14a:힌지 20:체결부
21:플랫 베이스 22:체결편
30:물품 거치부 31:끼움홈
32:수용부 32a:볼 하우징
40:탄성 밴드 41,41':제1 체결구
42:길이 조절구 OP:개폐구

Claims (9)

  1. 사용자 상체 후면에 위치하는 중심부(11)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어깨를 거쳐 양 단부(12)가 상체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10);
    상기 거치편(10)의 일측 단부(12)에 형성되는 체결부(20); 및
    각종 휴대물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물품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0)에 체결되는 물품 거치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거치편(10)의 후면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거쳐 타단이 거치편(10)의 양측 단부(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 조절되는 한 쌍의 탄성 밴드(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40)의 타단에는 각각 제1 체결구(41)(41')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편의 양측 단부(12)에는 각각 제2 체결구(13)(1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구(41)(41')가 제2 체결구(13)(13')에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 밴드(40)에는 각각 길이 조절구(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탄성 밴드(40)는 사용자 상체 전면에서 상호 교차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10)의 중심부(11)에는 힌지(11a)가 구비되어 한 쌍의 거치편 바디(10a)가 힌지(11a)를 중심으로 사용자 신체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는 거치편(10)에 결합되는 플랫 베이스(21)의 상부로 체결편(22)이 돌출되어 일측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체결편(22)이 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22)의 종단면은 상대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안정적인 결합력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8. 휴대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작업용 의복(C)에 있어서,
    상기 의복(C)의 일측에는 개폐구(OP)가 형성되어 가요성 재질의 거치편(10)이 삽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 후면에 위치하는 중심부(11)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어깨를 거쳐 양 단부(12)가 상체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의복(C)이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거치편(10)의 일측 단부(12)에는 체결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에는 각종 휴대물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물품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물품 거치부(3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지대를 구비한 의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는 거치편(10)에 결합되는 플랫 베이스(21)의 상부로 체결편(22)이 돌출되어 일측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되, 상기 의복(C)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체결편(22)이 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를 구비한 의복.
KR1020190007691A 2019-01-21 2019-01-21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KR10215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691A KR102155953B1 (ko) 2019-01-21 2019-01-21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691A KR102155953B1 (ko) 2019-01-21 2019-01-21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547A true KR20200090547A (ko) 2020-07-29
KR102155953B1 KR102155953B1 (ko) 2020-09-14

Family

ID=7189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691A KR102155953B1 (ko) 2019-01-21 2019-01-21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9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239Y1 (ko) * 2000-05-31 2001-06-15 송석달 하중받이 어깨걸이가 부착된 가방
KR20050111807A (ko) * 2004-05-24 2005-11-29 김도일 소물품 휴대장치
KR101183408B1 (ko) * 2012-03-29 2012-09-14 백문현 휴대가능한 단말기 거치대
KR101436349B1 (ko) * 2014-01-08 2014-09-05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인체 근육에 밀착되어 착용하는 다용도 거치대
KR101607657B1 (ko) * 2015-12-10 2016-03-30 노현태 하중분산과 자세교정의 기능성 밴드 배낭
KR20180112422A (ko) * 2017-04-04 2018-10-12 홍충기 피복용 우산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239Y1 (ko) * 2000-05-31 2001-06-15 송석달 하중받이 어깨걸이가 부착된 가방
KR20050111807A (ko) * 2004-05-24 2005-11-29 김도일 소물품 휴대장치
KR101183408B1 (ko) * 2012-03-29 2012-09-14 백문현 휴대가능한 단말기 거치대
KR101436349B1 (ko) * 2014-01-08 2014-09-05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인체 근육에 밀착되어 착용하는 다용도 거치대
KR101607657B1 (ko) * 2015-12-10 2016-03-30 노현태 하중분산과 자세교정의 기능성 밴드 배낭
KR20180112422A (ko) * 2017-04-04 2018-10-12 홍충기 피복용 우산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953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3136A1 (en) Pants cuff supports
CA2110787A1 (en) Mounting means for removably securing functional items to support articles
US20140250640A1 (en) Device for securing an article of clothing
US8241090B2 (en) Bra strap holder
US20160058137A1 (en) Eyeglass holder
US20090255094A1 (en) Retainer for bag shoulder strap
CN101607129A (zh) 高尔夫球杆袋及其制造方法
KR101335507B1 (ko)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KR20200090547A (ko)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KR20170053558A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200473175Y1 (ko) 기능성 조끼
KR200432814Y1 (ko) 우산 결속용 멜빵
US7500273B2 (en) Single strap overalls
JP3213966U (ja) ポール身体装着保持装具
KR101471337B1 (ko) 기능성 가방
KR101967792B1 (ko) 휴대물품 거치장치
US20050060846A1 (en) Short lengh wearable hat hanger
JP6644393B1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WO2014170850A2 (en) Garment strap retainer
CN213756942U (zh) 表带及穿戴设备
KR102342744B1 (ko) 사용이 편리한 휴대폰 보관케이스
KR19980068972U (ko) 멜빵
CN212787463U (zh) 一种方便携带手机的运动衣
KR101519988B1 (ko) 클립을 이용한 허리 벨트 착용 방법
KR20170133248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