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175Y1 - 기능성 조끼 - Google Patents

기능성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175Y1
KR200473175Y1 KR2020130006362U KR20130006362U KR200473175Y1 KR 200473175 Y1 KR200473175 Y1 KR 200473175Y1 KR 2020130006362 U KR2020130006362 U KR 2020130006362U KR 20130006362 U KR20130006362 U KR 20130006362U KR 200473175 Y1 KR200473175 Y1 KR 200473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right front
portions
back plate
integr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선
Original Assignee
홍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윤선 filed Critical 홍윤선
Priority to KR2020130006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2Professional or protective garments with pockets for particular uses, e.g. game pockets or with holding means for too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체형의 사람이 범용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되는 등판부(10)와;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좌측 전방부(20)와;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우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우측전방부(30)와;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는 복부측연결부(40)와; 착용자의 등측에서 좌측 및 우축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조끼{FUNCTIONAL VEST}
본 고안은 기능성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체형의 사람에게도 범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실용성을 극대화시킨 기능성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육체적 일을 요구하고 작업장에서는 다양한 기능, 예를 들면 특정 작업 용품을 보관하는 다수의 포켓이 구비된 조끼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조끼가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31919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조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끼는 착용자의 등부분과 가슴 부분을 감싸는 조끼몸체(1)와, 조끼몸체(1)의 전방에 설치되어 다양한 작업 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포켓(2)과, 가슴측 조끼몸체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버튼(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착용자는 원래 복장에 조끼를 착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조끼의 경우 특정 체형을 가진 사람에게만 착용할 수 있어, 체형이 너무 크거나 작은 사람의 경우 착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에게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용시 쾌적함을 증진시킬 수 있고, 다양한 용품을 수납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조끼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되는 등판부(1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좌측 전방부(2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우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우측전방부(30); 상기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상기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는 복부측연결부(40); 상기 착용자의 등측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에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좌측 및 우측 어깨안장부(60)(60')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어깨안장부(60)(60')은, 상기 착용자의 어깨 상부에 안착되는 안장단(61)(61')과, 상기 안장단(61)(6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특정 용품을 고정하기 위한 착탈밴드(62)(62')와, 상기 안장단(61)(61')을 팔뚝에 고정하기 위한 팔뚝고정밴드(63)(63')와, 상기 팔뚝고정밴드(63)(63')에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버클(64)(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10)와 좌측 전방부(20) 및 우측 전방부(30)는, 다수의 통기구멍을 가지며 평면적으로 펼쳐지는 1개의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10)는, 그 내부에 내장된 쿠션부재(11)와, 상기 쿠션부재(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후방포켓(1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조끼의 다른 실시예는,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되는 등판부(1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좌측 전방부(2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우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우측전방부(30); 상기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상기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는 복부측연결부(40); 및 상기 착용자의 등측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를 포함하고; 상기 등판부(10)는, 후방포켓(12)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격쿠션부재(1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복부측연결부(40)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지퍼연결부(41)(41')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지퍼연결부(41)(41')를 덮는 지퍼커버(42)와, 상기 지퍼커버(42)와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중 다른 하나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벨크로(43)(43')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조끼의 또 다른 실시예는,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되는 등판부(1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좌측 전방부(2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우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우측전방부(30); 상기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상기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는 복부측연결부(40); 및 상기 착용자의 등측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측연결부(50)(50')는, 상기 등판부(10)의 중앙에서 하방측으로 연장된 세로보강단(51)과, 상기 세로보강단(5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1버클(52)(52')과, 지퍼연결부(41)(41')의 반대측의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양단에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밴드(53)(53')와, 상기 길이조절밴드(53)(53')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클(52)(52')에 착탈되는 제2버클(54)(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등판부와 좌측 및 우측 전방부가 평면적으로 펼쳐지는 1개의 원단으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좌측 전방부와 우측 전방부를 연결하기 위한 복부측연결부와, 착용자의 등측에서 좌측 및 우축 전방부와 등판부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를 채용함으로써, 크거나 작은 체형의 사람에게도 범용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등판부와 좌측 전방부 및 우측 전방부를 구성하는 원단이 다수의 통기구멍을 가지는 통기원단이기 때문에, 착용시 통기가 원활하여 쾌적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안장부를 채용함으로써, 착용자가 야간작업을 할 때 필요한 용품, 예를 들면 후레쉬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무전기 또는 GPS 등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등판부에 다수의 후방포켓이 설치되고, 좌측 및 우측 전방부에 전방상부포켓 및 허리포켓을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어 실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조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조끼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기능성 조끼를 펼쳐놓은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기능성 조끼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제1,2내측포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후방포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3의 복부측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 3의 기능성 조끼를 착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조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조끼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능성 조끼를 펼쳐놓은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기능성 조끼의 배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제1,2내측포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후방포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3의 복부측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조끼는,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되는 등판부(10)와;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좌측 전방부(20)와;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우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우측 전방부(30)와;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는 복부측연결부(40)와; 착용자의 등측에서 좌측 및 우축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와;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좌측 및 우측 어깨안장부(60)(60');를 포함한다.
등판부(10)와 좌측 전방부(20) 및 우측 전방부(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기구멍(h)을 가지며 평면적으로 펼쳐지는 1개의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다. 즉 등판부(10), 좌측 전방부(20) 및 우측 전방부(30)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 1개의 통기원단으로 된 것이다.
등판부(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기능성 조끼를 착용하였을 때 등측으로 쿠션을 인가하기 위한 쿠션부재(11)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쿠션부재(11)에 의하여, 본 기능성 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낭을 메더라도, 배낭의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등판부(10)의 상부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다양한 용품이 내장되는 다수의 후방포켓(12)이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쿠션부재(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방포켓(12)은 포켓몸체(12a)와 용품의 출입을 위한 덮개(12b)로 구성되며, 이때 덮개(12b)는 포켓몸체(12a)로부터 인위적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이중안전장치가 되어 있다. 이러한 이중안전장치로, 포켓몸체(12a)와 덮개(12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착탈되는 벨크로(12c) 및 단추(12d)로 구성된다.
등판부(10)에 있어서 후방포켓(12)의 양 가장자리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격쿠션부재(13)(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격쿠션부재(13)(13')는, 착용자가 배낭등을 맬 경우 그 배낭에 인가되는 무게를 지탱하여, 배낭의 무게에 의하여 후방포켓(12)에 내장된 용품이 강하게 눌리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의 내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포켓(2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포켓(21)(31)은 항상 개방되어 있어 자주 사용되는 용품들이 수납된다.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의 상부측에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상부포켓(22)(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상부포켓(22)(32)은, 도 6의 후방포켓(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포켓몸체, 덮개, 벨크로 및 단추로 구성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의 허리측에는, 도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허리포켓(23)(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허리포켓(23)(33)은, 후방포켓(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포켓몸체, 덮개, 벨크로 및 단추로 구성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부측연결부(40)는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복부측연결부(40)는, 도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지퍼연결부(41)(41')와,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지퍼연결부(41)(41')를 덮는 지퍼커버(42)와, 지퍼커버(42)와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중 다른 하나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벨크로(43)(4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부측연결부(40)에 의하여,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는 지퍼연결부(41)(41')에 의하여 1 차로 연결되고, 벨크로(43)(43') 및 지퍼커버(42)에 의하여 2 차로 연결되므로, 외부에서 격한 야외할동중에도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가 분리되는 않는다.
허리측연결부(50)(50')는 착용자의 등측에서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한다. 이러한 허리측연결부(50)(5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10)의 중앙에서 하방측으로 연장된 세로보강단(51)과, 세로보강단(5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1버클(52)(52')과, 지퍼연결부(41)(41')의 반대측의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양단에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밴드(53)(53')와, 길이조절밴드(53)(53')에 연결되어 제1버클(52)(52')에 착탈되는 제2버클(54)(54')를 포함한다. 이러한 허리측연결부(50)(50')에 의하여, 등판부(10)와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가 연결되며, 이때 길이조절밴드(53)(53')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을 가진 사람에게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어깨안장부(60)(60')은 착용자가 야간작업을 할 때 필요한 용품, 예를 들면 후레쉬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무전기 또는 GPS 등이 착탈된다. 이러한 좌측 및 우측 어깨안장부(60)(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어깨 상부에 안착되는 안장단(61)(61')과, 안장단(61)(6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특정 용품을 고정하기 위한 착탈밴드(62)(62')와, 안장단(61)(61')을 팔뚝에 고정하기 위한 팔뚝고정밴드(63)(63')와, 팔뚝고정밴드(63)(63')에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버클(64)(6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후레쉬나 무전기와 같은 용품은 착탈밴드(62)(62')에 착탈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기능성 조끼를 착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3의 기능성 조끼를 착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기능성 조끼에서, 등판부(10)를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에 대하여 접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다음, 복부측연결부(40)의 지퍼연결부(41)(41')를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를 연결하면, 도 9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다음, 허리측연결부(50)(50')의 세로보강단(5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1버클(52)(52')과,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양단에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밴드(53)(53')에 연결된 제2버클(54)(54')괴 연결하면, 도 10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길이조절밴드(53)(53')를 적절히 늘리거나 좁혀 다양한 체형의 착용자에게 맞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조끼에 따르면, 등판부(10)와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가 평면적으로 펼쳐지는 1개의 원단으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기 위한 복부측연결부(40)와, 착용자의 등측에서 좌측 및 우축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를 채용함으로써, 크거나 작은 체형의 사람에게도 범용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등판부(10)와 좌측 전방부(20) 및 우측 전방부(30)를 구성하는 원단이 다수의 통기구멍(h)을 가지는 통기원단이기 때문에, 착용시 통기가 원활하여 쾌적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안장부(60)(60')를 채용함으로써, 착용자가 야간작업을 할 때 필요한 용품, 예를 들면 후레쉬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무전기 또는 GPS 등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등판부(10)에 다수의 후방포켓(12)이 설치되고,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에 전방상부포켓(22)(32) 및 허리포켓(23)(33)을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등판부 11 ... 쿠션부재
12 ... 후방포켓 12a ... 포켓몸체
12b ... 덮개 12c ... 벨크로
12d ... 단추 13, 13' ... 이격쿠션부
20, 30 ... 좌측 및 우측 전방부 21, 31 ... 내측포켓
22, 32 ... 전방상부포켓 23, 33 ... 허리포켓
40 ... 복부측연결부 41, 41' ... 지퍼연결부
42 ... 지퍼커버 43, 43' ... 벨크로
50, 50' ... 허리측연결부 51 ... 세로보강단
52, 52' ... 제1버클 53, 53' ... 길이조절밴드
54, 54' ... 제2버클 60, 60' ... 좌측 및 우측 어깨안장부
61, 61' ... 안장단 62, 62' ... 착탈밴드
63, 63' ... 팔뚝고정밴드 64, 64' ... 버클

Claims (7)

  1. 삭제
  2.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되는 등판부(1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좌측 전방부(2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우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우측전방부(30);
    상기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상기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는 복부측연결부(40);
    상기 착용자의 등측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에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좌측 및 우측 어깨안장부(60)(60')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어깨안장부(60)(60')은, 상기 착용자의 어깨 상부에 안착되는 안장단(61)(61')과, 상기 안장단(61)(6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특정 용품을 고정하기 위한 착탈밴드(62)(62')와, 상기 안장단(61)(61')을 팔뚝에 고정하기 위한 팔뚝고정밴드(63)(63')와, 상기 팔뚝고정밴드(63)(63')에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버클(64)(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10)와 좌측 전방부(20) 및 우측 전방부(30)는, 다수의 통기구멍을 가지며 평면적으로 펼쳐지는 1개의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10)는,
    그 내부에 내장된 쿠션부재(11)와, 상기 쿠션부재(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후방포켓(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끼.
  5.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되는 등판부(1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좌측 전방부(2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우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우측전방부(30);
    상기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상기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는 복부측연결부(40); 및
    상기 착용자의 등측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를 포함하고;
    상기 등판부(10)는, 후방포켓(12)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격쿠션부재(1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측연결부(40)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지퍼연결부(41)(41')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지퍼연결부(41)(41')를 덮는 지퍼커버(42)와, 상기 지퍼커버(42)와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중 다른 하나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착탈되는 벨크로(4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끼.
  7.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되는 등판부(1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좌측 전방부(20);
    상기 등판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우측 전방측에 위치되는 우측전방부(30);
    상기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상기 좌측 전방부(20)와 우측 전방부(30)를 연결하는 복부측연결부(40); 및
    상기 착용자의 등측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와 등판부(10)를 연결하는 허리측연결부(50)(50');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측연결부(50)(50')는, 상기 등판부(10)의 중앙에서 하방측으로 연장된 세로보강단(51)과, 상기 세로보강단(5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1버클(52)(52')과, 지퍼연결부(41)(41')의 반대측의 좌측 및 우측 전방부(20)(30) 양단에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밴드(53)(53')와, 상기 길이조절밴드(53)(53')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클(52)(52')에 착탈되는 제2버클(54)(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끼.
KR2020130006362U 2013-07-31 2013-07-31 기능성 조끼 KR200473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62U KR200473175Y1 (ko) 2013-07-31 2013-07-31 기능성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62U KR200473175Y1 (ko) 2013-07-31 2013-07-31 기능성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175Y1 true KR200473175Y1 (ko) 2014-08-13

Family

ID=5198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362U KR200473175Y1 (ko) 2013-07-31 2013-07-31 기능성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773B1 (ko) * 2016-01-15 2018-01-09 최동섭 방호복
WO2021010675A1 (ko) * 2019-07-12 2021-01-21 신왕수 앞 쳐짐을 방지하는 작업용 조끼
KR200493389Y1 (ko) * 2020-09-17 2021-03-19 손재영 조임밴드 걸림방지기능이 구비된 작업조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671B1 (ko) * 1990-06-11 1998-10-15 엘. 드월 테리 등보호용 조끼
KR200329487Y1 (ko) * 2003-07-11 2003-10-10 주식회사 라페스포츠 레저스포츠용 안전 자켓
KR200424919Y1 (ko) * 2006-04-14 2006-08-29 장원경 밀착형 냉각 조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671B1 (ko) * 1990-06-11 1998-10-15 엘. 드월 테리 등보호용 조끼
KR200329487Y1 (ko) * 2003-07-11 2003-10-10 주식회사 라페스포츠 레저스포츠용 안전 자켓
KR200424919Y1 (ko) * 2006-04-14 2006-08-29 장원경 밀착형 냉각 조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773B1 (ko) * 2016-01-15 2018-01-09 최동섭 방호복
WO2021010675A1 (ko) * 2019-07-12 2021-01-21 신왕수 앞 쳐짐을 방지하는 작업용 조끼
KR200493389Y1 (ko) * 2020-09-17 2021-03-19 손재영 조임밴드 걸림방지기능이 구비된 작업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3473B2 (en) Shoulder strap retention device and method
US8032951B1 (en) Detachable pocket system
US8123581B2 (en) Avalanche rescue device
US10973309B2 (en) Jacket and combination backpack
US7574750B2 (en) Combination snowsuit and carrier for baby/infant
GB2476076A (en) Baby carrier with a pair of crossed slings
CA3017511C (en) Hands-free item carrying device
US20080023515A1 (en) Mommy tool belt
US20170055683A1 (en) Torso harness with bounce-minimizing pocket
US20190038044A1 (en) Stretchable Straps for Infant Carriers
US20150374043A1 (en) Ergonomic weight-distributing vest
US20200229615A1 (en) Multifunctional infant carrier
KR200473175Y1 (ko) 기능성 조끼
KR20110126069A (ko) 배낭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US5691028A (en) Removable sleeve for padding a hazardous-duty garment strap
US20160120251A1 (en) Belt with pockets concealed by flaps
ES2881329T3 (es) Dispositivo portador para llevar una funda de pistola dentro de la pernera de pantalones
US8317271B1 (en) Chair occupant support vest
US20110215126A1 (en) Convertible adjustable strap and harness system
US10986904B1 (en) Hands free umbrella apparatus
KR101471337B1 (ko) 기능성 가방
KR20160115160A (ko) 위치변경 가능한 가방
CN216493585U (zh) 一种多功能执勤马甲
JP3195625U (ja) リュックサ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