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484A -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484A
KR20200090484A KR1020190007566A KR20190007566A KR20200090484A KR 20200090484 A KR20200090484 A KR 20200090484A KR 1020190007566 A KR1020190007566 A KR 1020190007566A KR 20190007566 A KR20190007566 A KR 20190007566A KR 20200090484 A KR20200090484 A KR 20200090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model
production system
virtual
virtual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218B1 (ko
Inventor
이부형
민창기
정보성
김석현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2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가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을 3D 모델 제작부(예컨대, 스케치업)에서 임포트(import)하고, VR 기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용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트에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하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상호작용할 수 있는 형태의 가상 모델하우스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VIRTUAL MODEL HOUSE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가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을 3D 모델 제작부(예컨대, 스케치업)에서 임포트(import)하고, VR 기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용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트에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하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상호작용할 수 있는 형태의 가상 모델하우스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모델링 프로그램인 스케치업(SketchUp)은 간편한 인터페이스로 쉽게 모델링할 수 있으며, 3D 웨어하우스 및 익스텐션웨어하우스가 제공된다. 3D 웨어하우스는 스케치업 3D 모델을 스케치업 유저가 자발적으로 업로드하여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공유하는 플랫폼이며, 익스텐션웨어하우스는 스케치업의 플러그인의 공유 플랫폼이다. 특히 3D 웨어하우스의 경우, 세계적으로 유명한 디자인기업들이 온라인 카달로그를 업로드하고 있다. 또한 스케치업은 건축과 인테리어분야에서 모델하우스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며, 좋은 퀄리티를 내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3D 모델링 프로그램인 스케치업은 3D 하우스 모델을 제작하는 기능만 가질 뿐, 3D 하우스 모델에 직접 들어가서 체험할 수 없으며, 문 여닫기, 전등 켜고 끄기 등의 인테리어 기능을 부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6-0060123호 "VR을 이용한 변화된 공간에 대한 가상 이미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6-0072483호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및 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6-0092176호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6-0107000호 "하우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7-0060416호 "건축물 내외부에 대한 VR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에 직접 들어가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트에 인테리어용 컴포넌트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하여 3D 하우스 모델을 유동성 있게 제작할 수 있게 하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3D 하우스 모델에 대한 VR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며 컴포넌트의 드래그 앤 드롭기능을 가지고 있는 VR 기기; 및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을 임포트(import)하고, 상기 VR 기기를 이용하여 기능별로 제작된 아이콘 형태의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상기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터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를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된 씬(Scene)을 상기 VR 기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문이며, 상기 문은 한쪽 미닫이 문, 양쪽 미닫이 문, 회전문 및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한쪽 미닫이 문, 양쪽 미닫이 문 및 회전문은 회전각, 방향, 및 자동 개폐 기능 또는 수동 개폐 기능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셔터는 방향, 및 자동 또는 수동 개폐 기능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전등 스위치이며, 상기 전등 스위치는 하나의 전등 스위치에 여러 개의 전등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에 존재하는 조명 설정값 중에서 필요한 설정값을 별도로 모아 조명을 조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VR 기기의 컨트롤러에 추가하여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조작 기능과 키 매핑 기능을 제공하여 캐릭터 이동 방식, 및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이동 방식은 텔레포트 이동방식, 및 트랙 패드를 이용한 이동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고, 캐릭터의 키(즉, 카메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사용자의 높이에 맞는 시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랙패드를 이용한 이동 방식은 설정값을 통해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3D 하우스 모델에 대한 VR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며 컴포넌트의 드래그 앤 드롭기능을 가지고 있는 VR 기기; 및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을 임포트(import)하고, 상기 VR 기기를 이용하여 기능별로 제작된 아이콘 형태의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상기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터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를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된 씬(Scene)을 상기 VR 기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에 직접 들어가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트에 인테리어용 컴포넌트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하여 3D 하우스 모델을 유동성 있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부(200) 및 VR 기기(220)를 포함한다.
VR 기기(220)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3D 모델 제작부(100)(예컨대, 스케치업)에 의해 제작되어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부(200)에 임포트(import)되고 디스플레이되는 3D 하우스 모델에 대한 VR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며, 컴포넌트의 드래그 앤 드롭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컨트롤러, 센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내장되어 있다.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200)는 3D 모델 제작부(100)에 의해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을 임포트하고, VR 기기(220)를 이용하여 인테리어에 사용하기 위해 기능별로 제작된 아이콘 형태의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3D 하우스 모델의 하이어커리 윈도우 또는 씬 윈도우에 있는 오브젝터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문, 전등, 창문, 가구 등의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를 특정 프로젝트 폴더로부터 가져와서 인테리어를 변경할 수 있게 하고, 오브젝트가 포함된 씬(Scene)을 VR 기기(220)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컴포넌트는 한쪽 미닫이 문, 양쪽 미닫이 문, 회전문 및 셔터를 포함하는 문이 될 수 있다. 한쪽 미닫이 문, 양쪽 미닫이 문 및 회전문은 회전각, 방향, 및 자동 개폐 기능 또는 수동 개폐 기능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 있다. 셔터는 방향, 및 자동 또는 수동 개폐 기능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전등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전등 스위치는 하나의 전등 스위치에 여러 개의 전등을 연결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220)에 존재하는 조명 설정값 중에서 필요한 설정값을 별도로 모아 조명을 조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VR 기기(220)의 컨트롤러에 추가하여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조작 기능과 키 매핑 기능을 제공하여 캐릭터 이동 방식, 및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캐릭터 이동 방식은 텔레포트 이동방식, 및 트랙 패드를 이용한 이동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고, 캐릭터의 키(즉, 카메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사용자의 높이에 맞는 시야 환경을 제공한다.
트랙패드를 이용한 이동 방식은 설정값을 통해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200)는 VR 기기(220)에서 사용할 캐릭터 모델과, 인터섹션 기능을 위한 레이캐스트 포인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식 거리 및 조작키에 대한 설정을 인스펙터에 표시함으로써 어떤 VR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호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3D 모델 제작부(100)에 의해 3D 하우스 모델이 제작되고(S10),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부(200)는 3D 모델 제작부(100)에서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을 임포트한다(S20).
이어서,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부(200)는 VR 기기(220)를 이용하여 인테리어에 사용하기 위해 기능별로 제작된 아이콘 형태의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3D 하우스 모델의 하이어커리 윈도우 또는 씬 윈도우에 있는 오브젝터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한다(S30).
또한 선택적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부(200)는 문, 전등, 창문, 가구 등의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를 특정 프로젝트 폴더로부터 가져와서 인테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다음,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부(200)는 이와 같이 기능이 부여되거나 새롭게 변경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씬(Scene)을 VR 기기(220)를 활용해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한다(S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3D 하우스 모델에 대한 VR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며 컴포넌트의 드래그 앤 드롭기능을 가지고 있는 VR 기기; 및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을 임포트(import)하고, 상기 VR 기기를 이용하여 기능별로 제작된 아이콘 형태의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상기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터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를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된 씬(Scene)을 상기 VR 기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에 직접 들어가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트에 인테리어용 컴포넌트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하여 3D 하우스 모델을 유동성 있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3D 모델 제작부
200: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부
220: VR 기기

Claims (6)

  1.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3D 하우스 모델에 대한 VR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며 컴포넌트의 드래그 앤 드롭기능을 가지고 있는 VR 기기; 및
    제작된 3D 하우스 모델을 임포트(import)하고, 상기 VR 기기를 이용하여 기능별로 제작된 아이콘 형태의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상기 3D 하우스 모델의 오브젝터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를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된 씬(Scene)을 상기 VR 기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를 포함하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문이며,
    상기 문은 한쪽 미닫이 문, 양쪽 미닫이 문, 회전문 및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한쪽 미닫이 문, 양쪽 미닫이 문 및 회전문은 회전각, 방향, 및 자동 개폐 기능 또는 수동 개폐 기능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셔터는 방향, 및 자동 또는 수동 개폐 기능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 있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전등 스위치이며,
    상기 전등 스위치는 하나의 전등 스위치에 여러 개의 전등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부에 존재하는 조명 설정값 중에서 필요한 설정값을 별도로 모아 조명을 조작하도록 설정되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VR 기기의 컨트롤러에 추가하여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조작 기능과 키 매핑 기능을 제공하여 캐릭터 이동 방식, 및 조작 가능한 오브젝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이동 방식은 텔레포트 이동방식, 및 트랙 패드를 이용한 이동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고, 캐릭터의 키(즉, 카메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사용자의 높이에 맞는 시야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패드를 이용한 이동 방식은 설정값을 통해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KR1020190007566A 2019-01-21 2019-01-21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KR10228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66A KR102280218B1 (ko) 2019-01-21 2019-01-21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66A KR102280218B1 (ko) 2019-01-21 2019-01-21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484A true KR20200090484A (ko) 2020-07-29
KR102280218B1 KR102280218B1 (ko) 2021-07-21

Family

ID=7189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566A KR102280218B1 (ko) 2019-01-21 2019-01-21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21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676B1 (ko) * 2006-02-24 2007-07-06 조현덕 가상현실 모델하우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JP2012221498A (ja) * 2011-04-08 2012-11-1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ユーザーの視線、及びジェスチャによるフィードバック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131179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이버 모델하우스 시스템
KR20160060123A (ko) 2013-10-25 2016-05-2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온라인 도금 밀착성 판정 장치 및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제조 라인
KR20160072483A (ko) 2014-12-15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60092176A (ko) 2015-01-27 2016-08-04 이한찬 차륜 이동장치용 간이 등반구
KR20160107000A (ko) 2015-03-03 2016-09-13 헬로챗 주식회사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60416A (ko)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계측 오류를 통보하는 디스플레이 계측 장치 및 디스플레이 계측 장치의 계측 오류 통보 방법
KR101752595B1 (ko) * 2016-05-27 2017-06-2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3차원 위치 제어를 위한 스마트폰 컨트롤러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676B1 (ko) * 2006-02-24 2007-07-06 조현덕 가상현실 모델하우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JP2012221498A (ja) * 2011-04-08 2012-11-1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ユーザーの視線、及びジェスチャによるフィードバック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131179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이버 모델하우스 시스템
KR20160060123A (ko) 2013-10-25 2016-05-2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온라인 도금 밀착성 판정 장치 및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제조 라인
KR20160072483A (ko) 2014-12-15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60092176A (ko) 2015-01-27 2016-08-04 이한찬 차륜 이동장치용 간이 등반구
KR20160107000A (ko) 2015-03-03 2016-09-13 헬로챗 주식회사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60416A (ko)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계측 오류를 통보하는 디스플레이 계측 장치 및 디스플레이 계측 장치의 계측 오류 통보 방법
KR101752595B1 (ko) * 2016-05-27 2017-06-2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3차원 위치 제어를 위한 스마트폰 컨트롤러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218B1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44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elements in a virtual architectural visualization
US9940404B2 (en) Three-dimensional (3D) browsing
US201301798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Touring of Model Homes
US20180225885A1 (en) Zone-based three-dimensional (3d) browsing
KR101854613B1 (ko) 웹페이지 기반의 3차원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인테리어 체험 방법
US20160042568A1 (en) Computer system generating realistic virtual environments supporting interaction and/or modification
US11270366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building product literature
US10621786B2 (en) Generating a virtual wall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to simulate art displays
Back et al. The virtual chocolate factory: Building a real world mixed-reality system for industrial collaboration and control
WO2020238022A1 (zh) 三维空间视图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10117582A1 (en) Visualizing Building Interior Information In A User-Customized Manner
CN109254766A (zh) 基于移动端的可视化编程平台及二维图纸三维可视化方法
Racz et al. VR aided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US20210043009A1 (en) Home visualization tool
US20190172260A1 (en) System for composing or modifying virtual reality sequences, method of composing and system for reading said sequences
Salim et al. Form fostering: A novel design approach for interacting with parametric models in the embodied virtuality
KR102280218B1 (ko) 가상 모델하우스 제작 시스템
Walczak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for configuring, promoting and servicing household appliances
Stuerzlinger et al. The design and realization of CoViD: a system for collaborative virtual 3D design
KR20200000288A (ko) 가상현실 모델하우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lein A Gesture Control Framework Targeting High-Resolution Video Wall Displays
Shiratuddin et al. Virtual architecture: Modeling and creation of real-time 3D interactive worlds
Gueye et al. Development of a virtual visit model based on a bim model and a game engine
Krietemeyer An Interactive Simulation Environment for Adaptive Architectural Systems
Knecht et al. Augmented urban model: Bridging the gap between virtual and physical models to support urban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