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449A -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449A
KR20200090449A KR1020190007502A KR20190007502A KR20200090449A KR 20200090449 A KR20200090449 A KR 20200090449A KR 1020190007502 A KR1020190007502 A KR 1020190007502A KR 20190007502 A KR20190007502 A KR 20190007502A KR 20200090449 A KR20200090449 A KR 2020009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ynchronization signal
signal
base station
repeat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0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0449A/ko
Publication of KR2020009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동기화부 및 감시부를 포함한다. 동기화부는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한다. 감시부는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 대한 상태 감시를 수행하며, 상기 상태 감시를 위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한 동기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산출되는 동기 타이밍으로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RELAY SYSTEM FOR IMPROVING ACCURACY OF SYNCHRONIZATION AND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SYSTEM}
본 발명은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 중 일부, 예를 들어 5G(Generation) 시스템은 전송과 수신을 위해 시간 간격을 분할하는 것에 의해서 작동하는 시분할 이중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을 사용하며, 이러한 TDD 시스템에서는 동기 확보가 중요하다.
TDD 시스템에서, 시간 도메인(Time Domain) 상에서 동기가 맞지 않을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Uplink, UL)와 다운링크(Downlink, DL) 사이에 동기 불일치로 인해 기지국 또는 단말 간 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확보를 위해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588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지국들은 유선 백홀(Backhaul)에 동기 신호를 전송하여 기지국 상호간 동기를 맞추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coverage)의 확장을 위해, 기지국(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건물(10)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중계하는 장치인 무선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송출되는 미약한 신호를 링크 안테나(21)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 후 건물 내에 설치된 서비스 안테나(2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물론, 무선 중계기(20)는 서비스 안테나(2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링크 안테나(21)를 통해 기지국(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성상 건물 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 무선 중계기는 유선 백홀을 사용할 수 없는 설치 환경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IEEE 1588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동기를 맞출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이동통신 신호,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등의 신호에서 동기 신호(예를 들어,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를 추출하여 기지국과 무선 중계기간에 동기를 맞추고 있다(Over the air synchronization, OTA synchronization)(도 3 참조). 이 때, 무선 중계기 내에 있는 동기 모듈(sync module)은 기존 방식(OTA synchronization)에 따라 동기 신호 추출을 위해 리스닝 모드(Listening Mode)로만 동작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동기 모듈이 리스닝 모드로만 동작을 하게 되면 단독으로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을 여러 방법을 통해 보상하게 되지만, 실제 기지국과의 동기 정확도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TD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중계기에서 기지국과의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기 정확도가 향상되어 타이밍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 대한 상태 감시를 수행하며, 상기 상태 감시를 위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한 동기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산출되는 동기 타이밍으로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감시부 내에 상기 제2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동기 신호만을 상기 동기 타이밍으로 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기본 동기 타이밍으로 삼아서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기본 동기 타이밍에 대한 미세 조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감시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제2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새로이 수신된 제2 동기 신호를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합쳐서 새로운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동기화부는 리스닝 모드(Listening Mode)로 동작 중에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1 동기 신호는 상기 무선 신호로부터 검출되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이고, 상기 제2 동기 신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동기화 방법은,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동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 상기 제2 동기 신호는,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 대한 상태 감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한 동기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됨 -; 상기 제2 동기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동기 타이밍으로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동기 타이밍으로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제2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합쳐서 새로운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기본 동기 타이밍으로 삼고,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기본 타이밍에 대한 미세 조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되는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전파 지연인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리스닝 모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검출되는 동기 신호에 기반하는 전파 지연을 기본으로 하고 중계기 시스템에 대한 감시를 위한 기지국과의 통신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확보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동기 정확도가 보다 향상되어 타이밍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회로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장비 가격의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부정확한 동기에 의한 UL/DL간 간섭 발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중계기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추출되는 전파 지연을 동기 신호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의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기화부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에서 전파 지연과 타이밍 어드밴스의 연동에 의한 동기화 방식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의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100)은 링크 안테나(110), 서비스 안테나(120), 중계 신호 처리부(130), 감시부(140) 및 동기화부(150)를 포함한다.
중계 신호 처리부(130)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과 이동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무선 신호의 중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중계 신호 처리부(130)는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및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 후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또한,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하여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중계 신호 처리부(130)는 제1 스위치(131), 제2 스위치(132), 다운링크 처리부(133) 및 업링크 처리부(134)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131)는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다운링크 처리부(133)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와 업링크 처리부(13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링크 안테나(110)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분리시킨다.
제2 스위치(132)는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업링크 처리부(134)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와 다운링크 처리부(133)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서비스 안테나(120)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분리시킨다.
다운링크 처리부(133)는 제1 스위치(13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한 증폭 및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 후 제2 스위치(132)로 전달한다. 이러한 다운링크 처리부(133)는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모듈(도시되지 않음, IF(Intermediate Frequency) 모듈(도시되지 않음) 및 선형전력증폭기(Linear Power Amplifier, LPA) 모듈(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업링크 처리부(134)는 제2 스위치(13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한 증폭 및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 후 제1 스위치(131)로 전달한다. 이러한 업링크 처리부(134)도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모듈(도시되지 않음, IF(Intermediate Frequency) 모듈(도시되지 않음) 및 선형전력증폭기(Linear Power Amplifier, LPA) 모듈(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감시부(140)는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의 신호와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로 사용하여, 중계 시스템(100)에 대한 상태 감시를 수행한다. 감시부(140)의 주요 감시 기능으로는 DL/UL AMP 관련 파라미터 제어, Tx 출력 감시, 시스템 이득 제어 등이 있다.
특히, 감시부(140)는 중계기 제어 서버(도시되지 않음)와의 연동을 위해 감시 파라미터 송신/제어를 받게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감시부(140)는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감시부(140)가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송신한 무선 프레임이 기지국에 수신될 때 기지국에서 예상된 타이밍보다 늦거나 빠를 때 기지국은 무선 프레임을 좀 더 빠르게 또는 늦게 전송하라고 송수신간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취하게 된다. 기지국에서의 이러한 기능을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라고 하며, 감시부(140)는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되는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무선 프레임의 전송 시기를 조절한다.
동기화부(150)는 리스닝 모드로 동작하여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을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무선 프레임 타이밍, UL/DL 천이 시간 등을 추출하며, 감시부(140)에 의해 확보되어 있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전달받아서, 전파 지연과 타이밍 어드밴스를 함께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1 스위치(131)와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2 스위치(132)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한편, 동기화부(150)는 한 번의 전파 지연 검출 후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변동이 있는 경우,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변동을 반영하여 중계기 시스템(100)의 동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기화부(150)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부(150)는 검출부(151), 전파 지연 산출부(152), 타이밍 어드밴스 획득부(153) 및 동기 처리부(154)를 포함한다.
검출부(151)는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동기 신호로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등이 있으며, 검출부(151)는 이러한 동기 신호 외에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는데 필수적인 시스템 정보인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검출한다. 이러한 PSS, SSS, MIB 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파 지연 산출부(152)는 검출부(151)에 의해 검출된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전파 지연을 산출한다. 여기서, 산출되는 전파 지연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 산출되는 전파 지연과 동일하다.
타이밍 어드밴스 획득부(153)는 감시부(140) 내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어드밴스가 있는 경우 감시부(140)로부터 타이밍 어드밴스를 획득한다. 타이밍 어드밴스 획득부(153)는 주기적으로 감시부(140)의 타이밍 어드밴스가 변경되는지를 확인하여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타이밍 어드밴스를 획득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감시부(140)로 타이밍 어드밴스가 전달되는 때에 감시부(140)가 직접 타이밍 어드밴스 획득부(153)로 해당 타이밍 어드밴스를 전달할 수 있다. 즉, 감시부(140)에서 타이밍 어드밴스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되는 타이밍 어드밴스가 타이밍 어드밴스 획득부(153)로 전달되도록 한다.
동기 처리부(154)는 전파 지연 산출부(152)에 의해 산출되는 전파 지연과 타이밍 어드밴스 획득부(153)에서 획득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전달받아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합하여 새로운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고, 산출된 동기 타이밍을 사용하여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32)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기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전파 지연이 산출된 후 다음의 전파 지연 산출 전에 적어도 1회의 타이밍 어드밴스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적용하여 다시 새로운 동기 타이밍을 산출함으로써 전파 지연을 초기값으로 하고 타이밍 어드밴스로서 미세 조정(기지국 동기와의 차, 즉 ±)이 수행되는 동기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에 리스닝 모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검출되는 동기 신호에 기반하는 전파 지연을 기본으로 하고 중계기 시스템에 대한 감시를 위한 기지국과의 통신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확보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동기 정확도가 보다 향상될 뿐만 아니라 주변 회로의 단순화로 인해 장비 단가 절감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에서의 동기화 방법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중계기 시스템(100), 구체적으로는 동기화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중계기 시스템(100)의 동기화부(150)는 동기 신호 검출을 위해 리스닝 모드로 동작한다(S100).
그 후,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중계를 위해 중계기 시스템(100)의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PSS, SSS, MIB 등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S110),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위한 전파 지연을 산출한다(S120).
그 후, 감시부(140) 내에 획득된 타이밍 어드밴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S130), 만약 타이밍 어드밴스가 존재하면 해당 타이밍 어드밴스를 획득한다(S140).
그리고, 상기 단계(S120)에서 산출된 전파 지연과 상기 단계(S140)에서 획득된 타이밍 어드밴스를 합쳐서 새로운 동기 타이밍을 산출한 후(S150),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32)에게 적용한다(S160).
그런데, 상기 단계(130)에서 감시부(140) 내에 타이밍 어드밴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존과 같이 전파 지연만을 동기 타이밍으로 하여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32)에게 적용한다(S160).
한편, 상기 단계(S120)에서 한 번의 전파 지연이 산출된 후 다음 번의 전파 지연 산출까지의 기간 사이에 감시부(140)가 기지국과의 연동을 통해 획득하는 타이밍 어드밴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동기화부(150)에서 전파 지연이 변경되기 전에 감시부(140)에서 새로운 타이밍 어드밴스가 수신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에서의 동기화 방법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중계기 시스템(100), 구체적으로는 감시부(140) 및 동기화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감시부(14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타이밍 어드밴스가 수신되면(S200), 감시부(140)는 기존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비교하여 타이밍 어드밴스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10).
만약 새로운 타이밍 어드밴스가 기존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달라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감시부(140)는 변경된 타이밍 어드밴스를 동기화부(150)로 전달하면서 타이밍 어드밴스의 변경을 통지한다(S220).
동기화부(150)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타이밍 어드밴스와 기존의 전파 지연을 합쳐서 새로운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고(S230), 산출된 동기 타이밍을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32)에 적용한다(S2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 대한 상태 감시를 수행하며, 상기 상태 감시를 위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한 동기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감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산출되는 동기 타이밍으로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계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감시부 내에 상기 제2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동기 신호만을 상기 동기 타이밍으로 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계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기본 동기 타이밍으로 삼아서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기본 동기 타이밍에 대한 미세 조정을 수행하는,
    중계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제2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새로이 수신된 제2 동기 신호를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합쳐서 새로운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계기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리스닝 모드(Listening Mode)로 동작 중에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중계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신호는 상기 무선 신호로부터 검출되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이고,
    상기 제2 동기 신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인,
    중계기 시스템.
  7.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동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 상기 제2 동기 신호는,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 대한 상태 감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한 동기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됨 -;
    상기 제2 동기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동기 타이밍으로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동기 타이밍으로 사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제2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합쳐서 새로운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기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합쳐서 동기 타이밍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기본 동기 타이밍으로 삼고,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기본 타이밍에 대한 미세 조정을 수행하는,
    동기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되는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전파 지연인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KR1020190007502A 2019-01-21 2019-01-21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KR20200090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02A KR20200090449A (ko) 2019-01-21 2019-01-21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02A KR20200090449A (ko) 2019-01-21 2019-01-21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449A true KR20200090449A (ko) 2020-07-29

Family

ID=7189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502A KR20200090449A (ko) 2019-01-21 2019-01-21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04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89A1 (ko) 2020-07-21 2022-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생성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89A1 (ko) 2020-07-21 2022-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생성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569B1 (ko)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중계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5291709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内の中継局における電力制御
US8953503B2 (en) Isolation measurement and self oscillation prevention in TDD-OFDM repeater for wireless broadband distribution to shadowed areas
US8175028B2 (en) Isolation measurement and self-oscillation prevention in TDD-OFDM repeater for wireless broadband distribution to shadowed areas
RU24071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адаптивной оценки и подавления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и использующее его радиоретранс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уплексной связи с времен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KR1009208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동기 방법, 이를 위한기지국, 메인 유닛, 및 리모트 유닛
KR101217966B1 (ko) 조정되지 않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 통신 네트워크들 간의 동기화
JP5163916B2 (ja) 移動無線通信装置及び関連する動作方法
WO20100518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KR20200090449A (ko)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JP2010004515A (ja) 中継送受信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CN114222932A (zh) 集成网络中的接入方法
KR102372870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동기를 획득하는 중계 장치 및 그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53434B1 (ko) 동기 신호를 이용한 무선중계기의 이득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0211910B2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repeater
US9479370B2 (en) Radio relay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cesser for controlling radio relay apparatus
KR101840657B1 (ko)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KR20200056821A (ko) Lte 시분할 다중화 방식의 구성정보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
KR102636504B1 (ko)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EP3573255B1 (en) Repeat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repeater
KR100596724B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 기반 소형 알에프 중계기용 동기장치및 방법
KR101162342B1 (ko) 업링크 블록 현상을 빠르게 회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101282538B1 (ko) 레인징 상향신호 사전 왜곡 시스템 및 방법
JP2009171228A (ja) 基準信号発生器、基地局システム及び信号伝送方法
KR20230052761A (ko) 아이솔레이션 측정 제어 방법 및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