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504B1 -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504B1
KR102636504B1 KR1020220003515A KR20220003515A KR102636504B1 KR 102636504 B1 KR102636504 B1 KR 102636504B1 KR 1020220003515 A KR1020220003515 A KR 1020220003515A KR 20220003515 A KR20220003515 A KR 20220003515A KR 102636504 B1 KR102636504 B1 KR 102636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downlink
switching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481A (ko
Inventor
김현채
홍훈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16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5112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ublication of KR2022000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TDD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REPEAT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REPEATER}
본 발명은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는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5G NR(New Radio)은 5G 모바일 네트워크를 위해서 3GPP에 의해 개발된 새로운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이다. 5G NR는 새로운 지연 수준, 안정성 및 보안을 낮은 비용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5G NR의 전체 아키텍쳐(architecture)는 대규모 IoT 기기들을 연결하고 헬스, 자동차, 공공 안전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통신 시스템이 5G NR의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다운링크 통신과 업링크 통신의 스위칭 타이밍이 결정이 요구되며. 5G NR 신호를 수신하여 이의 복조과정을 통하여 5G NR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에는 많은 자원이 소요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는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TDD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상기 제1통신 신호로부터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통신 신호의 프리앰블(preamble)을 이용하여 상기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통신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 및 제2통신 신호의 TDD 스위칭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TDD 스위칭 패턴 정보는, 다운링크-업링크 패턴의 주기, 연속되는 다운링크 슬롯들의 개수, 마지막 다운링크 슬롯으로부터 연속되는 다운링크 심볼들의 개수, 상기 다운링크-업링크 패턴의 끝에서부터 연속되는 업링크 슬롯들의 개수, 및 최초 업링크 슬롯으로부터 연속되는 업링크 심볼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설정된 시간 지연값을 보상하여 상기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수신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수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TDD 스위칭 신호를 기존의 TDD 스위칭 신호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이동통신 표준은 LTE 표준 또는 LTE-A 표준이고, 상기 제2이동통신 표준은 5G 표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장치는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기; 및 생성된 상기 TDD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장치는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분석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활용하여 중계 장치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표준의 TDD(Time Division Duplex) 스위칭 패턴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의 일 예시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계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표준에 따라 TDD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 Processor Unit), DSP(Drive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1기지국(100-1), 제2기지국(100-2), 이동통신단말(200),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 및 중계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지국(100-1)과 제2기지국(100-2)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기지국(100-1)은 이전의 통신 표준(예컨대, LTE 표준 또는 LTE-A 표준)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기지국(100-2)는 최신의 통신 표준(예컨대, 5G 표준)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는 제1기지국(100-1)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는 수신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는 중계 장치(400)에 포함되어 중계 장치(400)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의 세부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중계 장치(400)는 제2기지국(100-2)과 이동통신단말(200)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중계 장치(400)는 제2기지국(100-2)으로부터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제1안테나(ANT1)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제2안테나(ANT2)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200)로 중계할 수 있다. 중계 장치(400)는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신호를 제2안테나(ANT2)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제1안테나(ANT1)를 통하여 제2기지국(100-2)으로 중계할 수 있다.
제1안테나(ANT1)는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라고 호칭될 수 있으며, 제2안테나(ANT2)는 서비스 안테나(service antenna) 또는 커버리지 안테나(coverage antenna)라고 호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중계 장치(400)의 제1안테나(ANT1)는 제2기지국(100-2)과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로 대체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중계 장치(400)의 세부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표준의 TDD(Time Division Duplex) 스위칭 패턴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의 일 예시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는 수신기(310), 프레임 시작점 검출기(320), 스위칭 신호 생성기(330), 메모리(340), 스위칭 신호 보상기(350), 및 수신기 에러 검출기(3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310)는 제1기지국(100-1)으로부터 전달된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310)는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구성, 예컨대 모뎀(MODEM)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임 시작점 검출기(320)는 수신기(310)를 통하여 수신된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의 프레임 시작점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 시작점 검출기(320)는 제1통신 신호의 프리앰블(preamble)을 이용하여 프레임 시작점, 즉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 시작점 검출기(320)는 제1통신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추출하여 추출된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프레임 시작점, 즉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 생성기(330)는 프레임 시작점 검출기(320)에 의해 검출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TDD 스위칭 신호는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400)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칭 신호 생성기(330)는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 및 제2통신 신호의 TDD 스위칭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400)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으며, TDD 스위칭 패턴 정보는 한 주기 내애서의 다운링크 슬롯들, 다운링크 심볼들, 엄링크 슬롯들, 및 업링크 심볼들이 할당되는 패턴에 관한 정보를 폭 넓게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TDD 스위칭 패턴 정보는 다운링크-업링크 패턴의 한 주기(PRD), 연속되는 다운링크 슬롯들의 개수(N-SLTDL), 마지막 다운링크 슬롯으로부터 연속되는 다운링크 심볼들의 개수(N-SYMDL), 다운링크-업링크 패턴의 끝에서부터 연속되는 업링크 슬롯들의 개수(N-SLTUL), 및 최초 업링크 슬롯으로부터 연속되는 업링크 심볼들의 개수(N-SYMUL)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TDD 스위칭 패턴 정보는, 제1기지국(100-1)로부터 전송된 제1통신 신호에 포함되어 수신기(310)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TDD 스위칭 패턴 정보는, 제1기지국(100-1)과 연결된 원격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메모리(340)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 내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처리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 보상기(350)는 프레임 시작점 검출기(320)에 의해 검출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시간 지연값을 보상하여 보상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스위칭 신호 생성기(3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 신호 생성기(330)는 시간 지연값이 보상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칭 신호 보상기(350)에서 사용되는 시간 지연값은 메모리(340)에 기설정된 값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칭 신호 보상기(350)에서 사용되는 시간 지연값은 중계 장치(400)에서 발생하는 지연값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수신기 장애 검출기(360)는 수신기(310)의 제1통신 신호의 수신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 장애 검출기(360)는 수신기(310)에서 제1통신 신호가 정해진 시간 구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 장애 검출기(360)는 프레임 시작점 검출기(320)에 의해서 제1통신 신호로부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수신기 장애 검출기(360)는 장애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스위칭 신호 생성기(330)로 전달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 신호 생성기(330)는 새로운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기존의 TDD 스위칭 신호를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존의 TDD 스위칭 신호는 메모리(3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계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표준에 따라 TDD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중계 장치(400)는 스위치 컨트롤러(410), 제1스위칭 회로(420), 제2스위칭 회로(430), 다운링크 처리 회로(440), 및 업링크 처리 회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컨트롤러(410)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에 의해 생성된 TDD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TDD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1스위칭 회로(420)와 제2스위칭 회로(4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TDD 스위칭 신호가 업링크에서 다운링크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일 때, 스위치 컨트롤러(410)는 제1스위칭 회로(420)와 제2스위칭 회로(430)를 업링크 처리 회로(450)와 연결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TDD 스위칭 신호가 다운링크에서 업링크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일 때, 스위치 컨트롤러(410)는 제1스위칭 회로(420)와 제2스위칭 회로(430)를 다운링크 처리 회로(44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제1스위칭 회로(420)는 TDD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1안테나(ANT1)와 다운링크 처리 회로(440) 또는 제1안테나(ANT1)와 업링크 처리 회로(45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2스위칭 회로(430)는 TDD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2안테나(ANT2)와 다운링크 처리 회로(440) 또는 제2안테나(ANT1)와 업링크 처리 회로(45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운링크 처리 회로(440)는 다운링크 통신에서 제1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제1통신 신호를 처리하여 제2안테나(ANT2)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다운링크 처리 회로(440)는 저잡음 증폭기, 감쇠기, 필터, 및 고출력 증폭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처리 회로(450)는 업링크 통신에서 제2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된 제1통신 신호를 처리하여 제1안테나(ANT1)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업링크 처리 회로(450)는 저잡음 증폭기, 감쇠기, 필터, 및 고출력 증폭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중계 장치(400)는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라 전송되는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할 수 있으며, 제2통신 신호의 프레임 듀레이션(frame duration) 내에서 다운링크와 업링크를 반복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다운링크에서 업링크로 전환되는 다운링크-업링크 스위칭 포인트(DL/UL switching point)와 업링크에서 다운링크로 전환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포인트(UL/DL switching point)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로부터 전송된 TDD 스위칭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는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01).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는 수신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02).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는 획득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503).
실시 예에 따라,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300)는 획득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 및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의 TDD 스위칭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TDD 스위칭 패턴 정보는, 다운링크-업링크 패턴의 한 주기(PRD), 연속되는 다운링크 슬롯들의 개수(N-SLTDL), 마지막 다운링크 슬롯으로부터 연속되는 다운링크 심볼들의 개수(N-SYMDL), 다운링크-업링크 패턴의 끝에서부터 연속되는 업링크 슬롯들의 개수(N-SLTUL), 및 최초 업링크 슬롯으로부터 연속되는 업링크 심볼들의 개수(N-SYMUL)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중계 장치(400)는 생성된 TDD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S504).
실시 예에 따라, 제1기지국(100-1)은 이전의 통신 표준(예컨대, LTE 표준 또는 LTE-A 표준)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기지국(100-2)는 최신의 통신 표준(예컨대, 5G 표준)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1, 100-2 : 기지국
200 : 이동통신단말
300 :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
400 : 중계 장치

Claims (11)

  1. 중계 장치와 연결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에 있어서,
    제1기지국으로부터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수신된 상기 제1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제1이동통신 표준과 다른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2통신 신호를 중계하고,
    상기 TDD 스위칭 신호는,
    제2기지국과 통신단말 사이에서, 상기 중계 장치의 제2통신 신호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되,
    상기 제1이동통신 표준은 LTE 표준 또는 LTE-A 표준이고, 상기 제2이동통신 표준은 5G 표준인,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1통신 신호의 프리앰블(preamble)을 이용하여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통신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프레임 시작점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기는,
    상기 획득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통신 신호의 TDD 스위칭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TDD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DD 스위칭 패턴 정보는,
    다운링크-업링크 패턴의 주기, 연속되는 다운링크 슬롯들의 개수, 마지막 다운링크 슬롯으로부터 연속되는 다운링크 심볼들의 개수, 상기 다운링크-업링크 패턴의 끝에서부터 연속되는 업링크 슬롯들의 개수, 및 최초 업링크 슬롯으로부터 연속되는 업링크 심볼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DD 스위칭 패턴 정보는,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통신 신호에 포함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에 시간 지연값을 보상하고, 보상된 제1통신 신호의 시작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기로 전달하는 스위칭 신호 보상기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신호가 정해진 시간 구간 내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수신기 장애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기는,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TDD 스위칭 신호를 기존의 TDD 스위칭 신호로 유지시키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
  8. 기지국과 통신단말 간의 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상기 통신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를 다운링크 처리 회로 또는 업링크 처리 회로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칭 회로;
    상기 제2 안테나를 상기 다운링크 처리 회로 또는 상기 업링크 처리 회로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칭 회로; 및
    업링크-다운링크 스위칭 신호 생성기로부터, 제1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제1통신 신호에 기초한 TDD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TDD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통신단말 사이에서 중계되는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제1이동통신 표준과 상이한 제2이동통신 표준에 따른 통신 신호이되,
    상기 제1이동통신 표준은 LTE 표준 또는 LTE-A 표준이고, 상기 제2이동통신 표준은 5G 표준인,
    중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는,
    상기 TDD 스위칭 신호가 업링크에서 다운링크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를 상기 업링크 처리 회로와 연결시키는,
    중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는,
    상기 TDD 스위칭 신호가 다운링크에서 업링크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를 상기 다운링크 처리 회로와 연결시키는,
    중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처리 회로 및 상기 업링크 처리 회로 각각은,
    저잡음 증폭기, 감쇠기, 필터, 및 고출력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계 장치.
KR1020220003515A 2018-05-25 2022-01-10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36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9902 2018-05-25
KR1020180059902 2018-05-25
KR1020190061617A KR102351120B1 (ko) 2018-05-25 2019-05-27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617A Division KR102351120B1 (ko) 2018-05-25 2019-05-27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481A KR20220009481A (ko) 2022-01-24
KR102636504B1 true KR102636504B1 (ko) 2024-02-15

Family

ID=6861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15A KR102636504B1 (ko) 2018-05-25 2022-01-10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01970B2 (ko)
KR (1) KR1026365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95B1 (ko) * 2015-01-09 2015-11-06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이동통신 중계기의 tdd 타임스위칭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117B1 (en) * 2000-01-07 2002-08-20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handover in a hybrid GSM/CDMA network
AU2003904167A0 (en) * 2003-08-08 2003-08-21 Clipsal Intergrated Systems Pty Ltd Radio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protocol using an automatic repeater
KR20060005925A (ko) * 2004-07-14 2006-0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Tdd방식과 ofdm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의 rf 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칭타이밍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2007180597A (ja) * 2004-09-01 2007-07-12 Nokia Corp 中継器及び中継方法
KR100842534B1 (ko) * 2006-12-14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치제어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93746A (ko) * 2007-04-18 2008-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잡음 증폭기를 상하향 공용으로 구성하는 시분할 이중화방식의 원격 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 유선 중계 방법
US9119061B2 (en) * 2012-03-20 2015-08-25 Farrokh Mohamadi Integrated wafer scale, high data rate, wireless repeater placed on fixed or mobile elevated platforms
WO2016164584A1 (en) * 2015-04-08 2016-10-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te operation in unlicensed bands
AU2018276386A1 (en) * 2017-05-30 2019-12-12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Expand dynamic of TDD signal detection and expand robustness against volatile signals
US20190196555A1 (en) * 2017-06-16 2019-06-27 Wilson Electronics, Llc Multiple donor antenna repe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95B1 (ko) * 2015-01-09 2015-11-06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이동통신 중계기의 tdd 타임스위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1970B2 (en) 2021-08-24
US20190363864A1 (en) 2019-11-28
KR20220009481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6533B (zh) 利用波束成形信号初始附着在通信系统中的方法和系统
JP580966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8755328B2 (en) Relay device, relay system, relay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US8897205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lay control method, relay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10129843B2 (en) Synchronization signa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610929B1 (ko)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동기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2239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8825041B2 (en) Relay device, re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37561A1 (en) Rf repeater used for time division duplexing and method thereof
KR102636504B1 (ko)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5174799B2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及び中継装置
KR102351120B1 (ko)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72870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동기를 획득하는 중계 장치 및 그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9192486A1 (zh) 通信链路定时方法、装置、通信节点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357210B (zh) 一种处理设备及其方法
US8792413B2 (en) Relay station,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12222797A (ja) 無線通信装置、通信用半導体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200090449A (ko)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KR20200096366A (ko) 중계기에서의 tdd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JP5533308B2 (ja) 中継装置及び同期維持方法
KR101162342B1 (ko) 업링크 블록 현상을 빠르게 회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101952725B1 (ko) 무선 프레임의 제어 신호를 이용한 서브 프레임 주기 결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090114271A (ko) 복수의 기지국으로 레인징 신호를 전송하는 레인징 시스템
KR20160092491A (ko) 이동무선백홀 망에서의 고속 이동체 단말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JP2009112034A (ja) 無線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