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461A -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461A
KR20200089461A KR1020190006198A KR20190006198A KR20200089461A KR 20200089461 A KR20200089461 A KR 20200089461A KR 1020190006198 A KR1020190006198 A KR 1020190006198A KR 20190006198 A KR20190006198 A KR 20190006198A KR 20200089461 A KR20200089461 A KR 2020008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y device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수
허성수
박유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461A/ko
Publication of KR2020008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Abstract

고화질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고화질 영상을 통신 장치를 통해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물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기, 단말기의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임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단말기의 촬영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임시 파일을 촬영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중계 장치 및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SYSTEM FOR STORING PHOTOGRAPHIC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STORING PHOTOGRAPHIC DATA}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고화질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고화질 영상을 통신 장치를 통해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실내외 모두에서 스마트폰 없이는 원활한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항상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생활할 정도로 스마트폰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세계적으로도 활용도가 높으므로 스마트폰의 보급률도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전화 및 메시지 전송을 통한 타인과의 통신 기능 이외에도 카메라, 인터넷 검색, 동영상 시청, 음악 청취, 헬스 케어, 게임, 일정 관리 및 금융 업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기능이 향상될수록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 역시 점차 고도화되고 있으며, 단순히 영상 촬영을 넘어서 일반 카메라나 캠코더가 구현할 수 있는 촬영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재 스마트폰의 카메라 성능은 프리미엄급 스마트폰 사이에서의 성능 경쟁 뿐 아니라 중저가형 스마트폰 사이에서의 경쟁도 점차 심화되고 있다.
종래에는, 장시간의 동영상 촬영을 위해서는 캠코더나 액션캠 등의 장비를 통해 촬영이 가능했으며, 국내 법규 상 국내에서 카메라 유통 시, 30분 이상 촬영이 가능한 장비는 캠코더로 분류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유통 중인 스마트폰의 경우 캠코더로 분류되지 않아 30분 이상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영상 촬영을 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의 저장 공간의 제약과 영상 데이터의 파일 크기 제한에 따라 장시간 촬영이 불가한 경우도 있으며, 특히 고화질 영상을 촬영할수록 촬영 가능 시간이 짧아지고 영상 저장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현재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파일 저장 공간의 확장 방식은 스마트폰에 마이크로 SD 카드를 삽입하여 추가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의 용량을 가진 메모리를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이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에 제한이 있고, 소형 메모리의 특성상 용량 대비 가격이 기존의 외장 하드 등의 저장 장치보다 비싼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장시간 촬영한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가 아닌 외부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선행문헌 1은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이벤트 시점에 따라 영상 촬영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인식한 문제와 차이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 1에서 개시된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인식한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
선행문헌 2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행문헌 1과 유사하게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함으로서 상기 이벤트 영상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서 인식하는 장기간 촬영 등에 대한 문제점과 인식하는 문제점에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과제해결원리상의 차이가 있다.
KR 10-1533814 B1 KR 10-1580567B1
본 발명은 고화질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화질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의하는 경우 스마트폰으로 장시간 촬영한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창치를 통해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저장공간 제약 없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고화질 촬영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물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임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촬영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임시 파일을 상기 촬영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중계 장치 및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변환된 촬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외부 저장 장치와 유선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저장 장치의 USB 연결 케이블이 상기 입력 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통신 중계 장치와 상기 외부 저장 장치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변환한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캐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명령을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촬영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시작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상기 촬영 시작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종료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상기 촬영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외부 저장 장치의 저장 용량,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의 화질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촬영된 데이터의 저장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의 화질을 선택하는 명령 및 상기 촬영된 데이터의 저장 경로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은,
통신 중계 장치가 단말기의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촬영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전송 받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임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저장된 임시 파일을 상기 촬영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저장 장치는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촬영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촬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 받는 것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 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시작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상기 촬영 시작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종료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상기 촬영 종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저장 장치의 저장 용량,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의 화질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촬영된 데이터의 저장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의 화질을 선택하는 명령 및 상기 촬영된 데이터의 저장 경로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화질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질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의하는 경우 스마트폰으로 장시간 촬영한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가 아닌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 공간 등의 각종 요건에 제약 받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고화질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질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의하는 경우 현대인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장시간 동안 고화질로 영상 촬영을 함으로써, 기존의 캠코더나 액션캠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외부 저장 장치의 저장 용량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의 화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촬영 데이터의 저장 경로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물 제작 중계 방법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물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임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촬영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임시 파일을 상기 촬영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중계 장치 및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은 통신 중계 장치가 단말기의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촬영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전송 받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임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저장된 임시 파일을 상기 촬영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저장 장치는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통신 중계 장치(100)로 전송하는 단말기(1), 단말기(1)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외부 저장 장치(200)로 전송하는 통신 중계 장치(100) 및 통신 중계 장치(100)로부터 전송 받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 장치(200)를 포함한다.
단말기(1)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이 가능한 단말기(1)를 전제로 설명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1)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단말기(1)는 그 기능이 향상될수록 내장된 카메라 기능도 점차 고도화되고 있으며, 단순히 사진이나 영상 촬영을 넘어서 일반 카메라나 캠코더가 구현할 수 있는 촬영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 촬영 또는 영상 촬영을 하는 경우에도 촬영된 데이터는 통상 스마트폰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지만, 스마트폰의 저장 공간의 제약과 영상 데이터의 파일 크기 제한에 따라 마이크로 SD 카드를 스마트폰에 삽입하여 추가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로 SD 카드는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비용을 내고 구매해야 하고, 스마트폰이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에 제한이 있으므로 고화질 또는 고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에 의하면, 단말기(1)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중계 장치(100)로 전송하고, 통신 중계 장치(100)는 통신 중계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저장 장치(20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단말기(1)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외부 저장 장치(200)에 저장되어 단말기(1)의 저장 공간 및 데이터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이 제어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1) 상에 설치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1) 상에 설치되는 루트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한 것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무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상에서 유료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단말기(1) 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가격을 지불하여야 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케이션의 제작사는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자체는 무료이지만, 이후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여야 하는 것처럼 무료인 부분과 유료인 부분이 구분되는 부분 유료화 방식으로 수익모델이 설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말기(1)는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CP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입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1)의 통신부(5)를 통해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등일 수도 있다.
단말기(1)는 통신 중계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의 통신부(5)와 통신 중계 장치(100)의 통신 모듈(110)은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의 통신부(5)는 통신 중계 장치(100) 및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중계 장치(10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 역시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세대 이동통신, 5세대 이동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터넷망과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중계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입력 포트(140)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200)는 입력 포트(140)를 통해 통신 중계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포트(140)는 통신 중계 장치(100) 상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입력 포트(140) 각각에 외부 저장 장치(200) 복수 개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포트(140)는 USB 단자가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마이크로 5핀 단자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입력 포트이면 그 형태에 제한은 없다.
통신 중계 장치(100)는 단말기(1)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 데이터를 입력 포트(140)를 통해 유선 연결된 외부 저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중계 장치(100)와 외부 저장 장치(200)는 입력 포트(140)를 통한 유선 연결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 중계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저장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명령을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부(10) 및 외부 저장 장치(200)의 저장 용량 및 단말기(1)로부터 촬영된 데이터의 저장 경로 정보 등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100)는 통신 중계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단말기(1)로부터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변환한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캐시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의 제어 흐름도에 기초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외부 저장 장치의 저장 용량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의 화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촬영 데이터의 저장 경로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0)는 외부 저장 장치(200)의 저장 용량,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의 화질에 관한 정보 및 촬영 데이터의 저장 경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00).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1)의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단말기(1)의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의 화질을 선택하는 명령 및 촬영된 데이터의 저장 경로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101). 즉,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10)에 대한 터치 명령 입력을 통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0)는 물리적인 버튼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0)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개시된 발명의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0)에는 통신 중계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저장 장치(200)의 저장 용량(21)을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통신 중계 장치(10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입력 포트(140)를 통해 복수 개의 외부 저장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0)에는 복수 개의 외부 저장 장치(200) 각각의 저장 용량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단말기(1)의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복수 개의 외부 저장 장치(200)들 중에 단말기(1)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외부 저장 장치(200)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4에서처럼 Device 1(16GB), Device 2(64GB), Device 3(256GB)에 대해 디스플레이부(20)의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터치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외부 저장 장치(200)의 저장 용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0)에는 단말기(1)를 통해 촬영할 영상 또는 사진의 촬영 화질 및 해상도를 나타내는 화면(22, 23)이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를 통해 촬영되는 사진 또는 영상의 화질 및 해상도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용량이 달라지므로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사진 촬영 또는 영상 촬영을 수행하기 전에 촬영될 사진 또는 영상의 화질 및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0)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터치 명령을 입력 함으로써 단말기(1)가 촬영할 영상 촬영 화질 및 해상도를 선택하는 명령 또는 사진 촬영 화질 및 해상도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0)에는 단말기(1)를 통해 촬영할 영상 또는 사진의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경로를 선택하는 화면(24)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1)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지만 고화질 및 고용량 데이터에 대해 저장 공간의 확장을 위해 외부 저장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촬영 데이터의 저장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0)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터치 명령을 입력 함으로써 단말기(1)로부터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의 저장 경로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단말기(1)를 통해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S102), 촬영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1)의 통신부(5)를 통해 통신 중계 장치(100)로 촬영 시작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S103).
통신 중계 장치(100)는 단말기(1)로부터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S104), 사용자는 단말기(1)를 통해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S105).
단말기(1)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촬영 데이터 또는 사진 촬영 데이터를 통신 중계 장치(1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6). 즉, 단말기(1)는 통신부(5)의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중계 장치(100)로 촬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통신 중계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을 통해 단말기(1)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중계 장치(100)는 제어부(120)의 통제 하에 단말기(1)로부터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임시 파일로 변환하여 캐시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S107).
즉, 통신 중계 장치(100)는 단말기(1)로부터 전송 받는 영상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130)내에 임시로 저장하기 위해 임시 파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임시 파일을 통신 중계 장치(100) 내의 고속 기억 장치 또는 버퍼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함으로써, 통신 중계 장치(100)의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1)로부터 전송 받는 영상 데이터의 용량이 큰 경우에도 통신 중계 장치(100)의 처리속도가 느려지지 않도록 캐시 메모리(130)에 임시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단말기(1)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사진 데이터는 통신부(5)를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 중계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고,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임시 파일로 변환되어 캐시 메모리(130)내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통신 중계 장치(100)는 단말기(1)로부터 전송 받는 영상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130)에 임시 파일 형태로 저장하지 않고, 외부 저장 장치(200)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중계 장치(100)는 단말기(1)로부터 전송 받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 저장 장치(2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 역할만 하고, 외부 저장 장치(200)가 통신 중계 장치(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 저장 장치(200)에 별도로 마련된 버퍼 메모리에 임시파일 형태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통신 중계 장치(100)는 캐시 메모리(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외부 저장 장치(200)에 임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메모리 공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단말기(1)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사진 데이터는 통신부(5)를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 중계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고, 통신 중계 장치(100)를 거친 영상 데이터는 외부 저장 장치(200)로 바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임시 파일로 변환된 후 외부 저장 장치(200)의 임시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외부 저장 장치(200)에 임시 파일 형태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단말기(1)의 촬영 종료와 동시에 외부 저장 장치(200)에 임시 파일이 아닌 촬영 데이터 자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를 통해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종료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S108), 촬영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1)의 통신부(5)를 통해 통신 중계 장치(100)로 촬영 종료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S109).
통신 중계 장치(100)는 단말기(1)로부터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S110), 통신 중계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캐시 메모리(130)에 실시간으로 저장된 임시 파일을 다시 촬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111).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중계 장치(100)가 단말기(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임시 파일 형태로 저장하지 않고 외부 저장 장치(200)로 바로 전송하여 외부 저장 장치(200)의 임시 메모리에 임시 파일 형태로 저장된 경우에는, 외부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임시 파일이 다시 촬영 데이터로 변환되어 최종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통신 중계 장치(100)는 변환된 촬영 데이터를 입력 포트(14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 저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112). 물론, 통신 중계 장치(100)는 변환된 촬영 데이터를 통신 모듈(110)을 통해 외부 저장 장치(20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외부 저장 장치(200)는 통신 중계 장치(100)로부터 전송 받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113).
이와 같이, 단말기(1)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 촬영 데이터 또는 사진 촬영 데이터는 통신 중계 장치(100)를 거쳐 외부 저장 장치(200)로 전송되어 외부 저장 장치(200)에 저장됨으로써, 촬영 데이터가 고화질 데이터 또는 고용량 데이터일지라도 외부 저장 장치(200)의 저장 공간을 통해 저장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단말기
5 : 통신부
10 : 인터페이스부
20 : 디스플레이부
100 : 통신 중계 장치
110 : 통신 모듈
120 : 제어부
130 : 캐시 메모리
140 : 입력 포트
200 : 외부 저장 장치

Claims (10)

  1.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임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촬영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임시 파일을 상기 촬영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중계 장치; 및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변환된 촬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외부 저장 장치와 유선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저장 장치의 USB 연결 케이블이 상기 입력 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통신 중계 장치와 상기 외부 저장 장치가 유선 연결되는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를 변환한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캐시 메모리;를 포함하는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6. 통신 중계 장치가 단말기의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촬영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전송 받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임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저장된 임시 파일을 상기 촬영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저장 장치는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촬영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촬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 받는 것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 받는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시작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상기 촬영 시작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종료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 상기 촬영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20190006198A 2019-01-17 2019-01-17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KR20200089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98A KR20200089461A (ko) 2019-01-17 2019-01-17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98A KR20200089461A (ko) 2019-01-17 2019-01-17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61A true KR20200089461A (ko) 2020-07-27

Family

ID=7189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98A KR20200089461A (ko) 2019-01-17 2019-01-17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946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814B1 (ko) 2014-03-13 2015-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80567B1 (ko) 2014-02-17 2015-12-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567B1 (ko) 2014-02-17 2015-12-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101533814B1 (ko) 2014-03-13 2015-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680B1 (ko) 맞춤형 화질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1456B1 (ko) 2-단계 모션 보상을 가진 콘볼루션 뉴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비디오 슈퍼 해상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22158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hotograph with variable image quality
US20160037067A1 (en) Method for genera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47104B1 (ko) 전자 장치 및 복수의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CN103051840A (zh) 一种预览拍摄的方法及其系统
WO2016009699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810604B (zh) 文档拍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2272673A (zh) 用于为本人自动拍摄照片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6006588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ble with external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23036595A (ja) スマートフォン、スマートフォン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38130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mage
CN111314606B (zh) 拍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252649A1 (zh) 一种视频的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3364975B (zh) 一种图像的融合方法及电子设备
KR20200089461A (ko) 무선 통신을 통한 촬영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촬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2028125B1 (ko) Ip주소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66331B1 (ko) 촬영 후 빠른 재생을 구현하는 단말기 및 방법
KR101612852B1 (ko) 디바이스 검색 방법 및 디바이스 검색 시스템
CN116668836B (zh) 拍照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15802144B (zh) 视频拍摄方法及相关设备
US201301635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N117956264A (zh) 拍摄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16420158A (zh) 用于生成其中被摄体已经被捕获的图像的设备和方法
JP5473034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