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185A - 볼조인트 - Google Patents

볼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185A
KR20200089185A KR1020190005946A KR20190005946A KR20200089185A KR 20200089185 A KR20200089185 A KR 20200089185A KR 1020190005946 A KR1020190005946 A KR 1020190005946A KR 20190005946 A KR20190005946 A KR 20190005946A KR 20200089185 A KR20200089185 A KR 20200089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dust cover
housing
ball joint
ball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322B1 (ko
Inventor
이규성
김주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9000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3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부재와 볼부재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볼스터드와, 내부에 볼부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볼부재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게재되는 볼시트와, 볼스터드와 하우징 사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볼조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와,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는 커버 본체부를 포함하고, 더스트 커버의 제1 결합부는 볼스터드의 로드부재에 형성된 제1 장착부에 결합되고 더스트 커버의 제2 결합부는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장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착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장착부를 형성하는 리세스 구조의 바닥면은 볼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된 로드부재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볼조인트 {Ball Join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링크 등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볼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조인트의 볼스터드와 더스트 커버 사이의 체결 구조를 개선해 볼조인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볼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볼조인트는 구형의 볼부재를 하우징에 삽입하여 지지시켜 부품들 사이의 상대운동을 보조하는 장치로, 차량의 현가장치나 조향장치 등에 많이 이용된다.
통상적으로, 볼조인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터드(20)의 일단에 구비된 볼부재(22)를 하우징(3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해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볼스터드(20)의 볼부재(22)와 하우징(30) 사이에는 볼시트(40) 등이 게재되어 볼부재의 원활한 이동을 보조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한편, 볼스터드(20)와 하우징(30)의 결합부위 주위에는 더스트 커버(50)가 장착되어 볼조인트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더스트 커버(50)는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52)와,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54)와,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부(56)로 구성되어, 제1 결합부(52)를 볼스터드의 일측에 장착하고 제2 결합부(54)를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해 제1 결합부(52)와 제2 결합부(56) 사이에 형성된 본체부(56)에 의해 볼스터드(20)와 하우징(30) 사이를 밀봉하도록 구성되며, 더스트 커버(50)의 결합부위에는 탄성의 클립링(60) 등이 체결되어 더스트 커버(50)가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링크 등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볼조인트(10)는 차량의 거동에 따라 볼스터드(20)가 회전하게 되면서 볼스터드(20)와 더스트 커버(50)의 접촉부위에서 슬립이 발생해 씰링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볼조인트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면서 볼조인트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혹한지에서 이용되는 차량의 경우에는 고압 세차가 요구되기 때문에 세차 과정에서 고압의 물이 볼조인트 내부로 더욱 유입되기 쉽고, 이로 인해 수분 유입에 의한 볼조인트의 성능 저하나 손상 문제가 보다 발생하기 쉬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볼조인트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볼스터드와 더스트 커버 사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해 차량 작동시 발생하는 볼스터드와 더스트 커버 사이의 슬립으로 인한 수분 유입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볼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부재와 볼부재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볼스터드와, 내부에 볼부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볼부재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게재되는 볼시트와, 볼스터드와 하우징 사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볼조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와,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는 커버 본체부를 포함하고, 더스트 커버의 제1 결합부는 볼스터드의 로드부재에 형성된 제1 장착부에 결합되고 더스트 커버의 제2 결합부는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장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착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장착부를 형성하는 리세스 구조의 바닥면은 볼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된 로드부재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착부를 형성하는 리세스 구조의 바닥면은 볼스터드의 중심축과 5° 내지 20°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의 제1 결합부는, 제1 장착부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제1 씰링면과, 더스트 커버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1 장착부의 일측 측면에 접촉하는 제2 씰링면을 포함하고, 제2 씰링면은 더스터 커버를 볼스터드 및 하우징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씰링면과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씰링면은 더스터 커버를 볼스터드 및 하우징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더스트 커버의 중심축에 수직한 직선에 대하여 5° 내지 20°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의 제1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1 씰링면은 더스터 커버를 볼스터드 및 하우징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더스트 커버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의 제1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2 씰링면에는 제2 씰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하는 씰링립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의 제1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1 씰링면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의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외측면에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클립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볼조인트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링크에 이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볼조인트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더스트 커버가 체결되는 볼스터드의 장착부에 볼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구조를 형성해 더스트 커버가 볼스터드의 일측으로 보다 밀착되어 장착되며, 나아가 차량의 회전에 의해 볼스터드가 회전하게 되면 볼스터드에 형성된 경사구조에 의해 더스트 커버가 축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스터드의 일측면으로 강하게 밀착하게 됨으로써 볼조인트 내부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볼조인트는 볼스터드에 체결되는 더스트 커버의 결합부 상부면을 경사진 구조로 형성하고 있어, 더스트 커버를 볼스터드에 형성된 장착부에 체결할 때 더스트 커버가 압축되면서 장착되어 보다 강한 밀착력으로 결합됨에 따라 더스트 커버의 씰링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볼스터드에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의 상부 씰링면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하는 씰링립을 추가로 구비해 씰링립을 통해 수분 등의 유입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볼스터드의 외주면에 접하는 측면 씰링면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홈을 형성해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볼스터드와 더스트 커버 사이의 공간을 통해 볼스터드 내부로 유입될 위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는 종래의 볼조인트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볼스터드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하우징 및 볼시트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더스트 커버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종래의 볼조인트[도 7의 (a)]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도 7의 (b)]에서 볼스터드가 회전할 때 볼조인트에 인가되는 힘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1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볼조인트는 차량의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암과 스테빌라이져를 접속시키는 스테빌라이져 링크 등에 이용되어 상호 연결되는 부품들 사이에서 다양한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100)는 구형의 볼부재를 포함하는 볼스터드(200)와, 볼스터드가 장착되는 하우징(300)과, 볼스터드[구체적으로는, 볼스터드의 볼부재(210)]와 하우징(300) 사이에 게재되는 볼시트(400)와, 볼스터드(200)와 하우징(300)의 결합부 주위를 둘러싸는 더스트 커버(5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볼스터드(200)는 하우징(300)에 지지되어 볼스터드(200)에 연결되는 부품을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재로, 대략 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부재(210)와 볼부재(210)로부터 일측방향을 따라 대략 막대 형상으로 연장하는 로드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부재(220)는 외주면에 후술하는 더스트 커버(5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제1 장착부(2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로드부재(220)의 일측 단부[볼부재(210)의 반대측 단부]에는 볼조인트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부품이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부재(220)에 형성되는 장착부[제1 장착부(230)]는 로드부재(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 구조, 예컨대 바닥면(230a)과 양측 측면(230b, 230c)으로 이루어지는 리세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장착부(230)를 형성하는 리세스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달리 제1 장착부(230)를 형성하는 리세스 구조는 바닥면(230a)과 일측 측면(230b)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삼각형 구조의 리세스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부재(220)에 형성되는 장착부[제1 장착부(230)]의 리세스 구조를 형성하는 바닥면(230a)은 로드부재(220)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볼부재(210)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로드부재(220)에 형성되는 장착부[제1 장착부(230)]는 리세스 구조의 바닥면(230a) 전부 또는 일부가 직경이 축소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로드부재(220)에 형성되는 장착부[제1 장착부(230)]는 볼부재(210)로부터 이격될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경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의 볼조인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커버가 볼스터드(로드부재)의 원통형 외주면에 접촉하여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작동에 따라 볼스터드가 회전할 때 축방향에 수직한 힘(Fr)만 발생하는데 반해[도 7의 (a)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경우에는 더스트 커버가 볼스터드(로드부재)의 직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에 접촉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차량의 작동에 따라 볼스터드가 회전하면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힘(Fr) 뿐만 아니라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힘(Fa)도 함께 발생하게 되므로[도 7의 (b) 참조], 차량 작동에 의해 볼스터드가 회전하게 되면 더스트 커버가 축방향 힘을 받아 더스트 커버의 일측면이 볼스터드의 로드부재에 형성된 장착부[제1 장착부(230)]의 일측면[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장착부(230)에서 볼부재(210)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측면(230b)]에 밀착하여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더스트 커버의 씰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부재(220)에 형성되는 장착부[제1 장착부(230)]를 형성하는 리세스 구조의 바닥면(230a)은 볼스터드의 중심축에 대해 5°내지 20° 범위의 경사각(α)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1 장착부(230)를 형성하는 로드부재(220)의 외주면을 5° 미만의 경사각(α)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되면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힘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 더스트 커버의 밀착성 향상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고 이로 인해 통상의 볼조인트와 유사하게 씰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장착부(230)를 형성하는 로드부재(220)의 외주면을 20°를 초과하는 경사각(α)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되면 끝단쪽 로드부재(220)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게 되어 볼스터드의 강성이 저하되는 등의 다른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로드부재(200)에 형성되는 장착부의 경사구조를 소정의 범위(5° 내지 20°의 경사각)로 제어하고 있어 볼스터드와 더스트 커버 사이의 슬립 문제를 해소하고 볼조인트에 보다 향상된 씰링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0)은 볼스터드(200)의 볼(210)을 수용해 볼스터드(200)를 지지하는 부재로, 중심부에 수용공간(310)을 구비해 볼스터드(200)의 볼(2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300)의 일측에는 개구부(320)가 형성되어 볼스터드(200)의 로드부재(220)가 하우징(3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더스트 커버(500)의 일단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제2 장착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부[제2 장착부(330)]는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 구조로 형성되어, 리세스 내에 후술하는 더스트 커버(500)의 결합부[제2 결합부(520)]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볼시트(400)는 하우징(300) 내에 형성된 수용공간(310)에서 볼부재(210)와 하우징(300) 내주면 사이에 게재되어 볼부재(2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볼시트(400)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탄성률이 높은 합성 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시트(400)의 내주면에는 볼부재(210)의 표면이 접촉하는 궤도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볼시트(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도 좋고, 볼부재(210)를 감싸는 베어링 시트와 이를 둘러싸는 몰딩부재가 결합되는 구조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더스트 커버(500)는 볼스터드(200)와 하우징(300) 사이의 결합부분을 둘러싸 볼조인트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더스트 커버(500)는 연질의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단부가 볼스터드(20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하우징(3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볼스터드와 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부 주위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볼스터드에 체결되는 제1 결합부(510)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2 결합부(520)와, 제1 결합부(510)와 제2 결합부(520) 사이에 구비되는 커버 본체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는 볼스터드(200)의 로드부재(220)에 형성된 장착부[예컨대, 로드부재(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장착부(23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510)는 외측에 체결홈[제1 체결홈(512)]이 형성되어 클립링(600)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홈[제1 체결홈(512)]에 끼워 더스트 커버(500)를 볼스터드(200)의 로드부재(220) 상에 안정적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는 로드부재(220)에 형성된 리세스 형상의 장착부[제1 장착부(230)]에서 외주면[리세스의 바닥면(230a)]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제1 씰링부(514)와 리세스 형상의 장착부[제1 장착부(230)]의 일측 측면[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볼부재(21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230b)]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제2 씰링부(5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를 볼스터드 및 하우징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에 형성되는 제1 씰링부(514)는 더스트 커버(500)의 축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씰링부(516)는 더스트 커버(500)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즉, 제1 씰링부(514)와 제2 씰링부(516)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통상의 볼조인트에 이용되는 더스트 커버에서와 같이 볼스터드에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의 결합부를 더스트 커버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씰링면과 더스트 커버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씰링면으로 형성하게 되면, 클립링 등을 이용해 더스트 커버를 볼스터드에 체결할 때 클립링의 체결력에 의해 탄성 재질의 더스트 커버가 조여지면서 제2 씰링면의 끝단이 클립링 쪽을 향해 당겨져 제2 씰링면이 볼스터드에 형성된 장착부에 완전히 밀착하여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게 되어 더스트 커버의 씰링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볼스터드에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의 결합부[제1 결합부(510)]의 제2 씰링면(516)을 더스트 커버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아니라 이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어 더스트 커버의 결합부[제1 결합부(510)]를 볼스터드에 형성된 장착부[제1 장착부(23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2 씰링면(516)이 장착부[제1 장착부(230)]를 형성하는 리세스의 측면[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리세스의 측면(230b)]에 보다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볼조인트의 씰링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더스트 커버에 형성된 이러한 경사 구조는 전술한 볼스터드의 경사 구조와 상호작용해 더스트 커버를 볼스터드에 장착할 때 보다 강한 밀착력 및 접촉력을 발생시켜 볼조인트의 씰링성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를 볼스터드 및 하우징에 장착하기 이전 상태에서 더스트 커버(500)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510)의 제1 씰링면(514)은 더스트 커버의 축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씰링면(516)은 축방향에 수직한 직선과 5° 내지 20° 범위의 경사각(β)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2 씰링면(516)이 5° 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게 되면 클립링 장착시 여전히 클립링(600)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2 씰링면(516)이 당겨져 볼스터드의 장착부와 완전한 밀착 구조를 형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제2 씰링면(516)이 20° 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게 되면 더스트 커버의 제1 결합부(510)를 볼스터드에 형성된 제1 장착부(230)에 조립할 때 제1 결합부(510)가 너무 크게 가압되어 제1 결합부(5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홈(512)이 작아지면서 클립링(600) 장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더스트 커버(500)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510)의 제2 씰링면(516)을 축방향에 수직한 직선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5° 내지 20°의 경사각)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제어해 더스트 커버(500)가 강한 밀착력을 받으면서 조립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에 형성되는 제2 씰링면(516)에는 제2 씰링면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하는 씰링립(516a)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씰링립(516a)은 볼스터드의 로드부재(220)에 형성된 장착부[제1 장착부(230)]의 측면과 상호작용해 더스트 커버 내부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더스트 커버(500)를 볼스터드(200)에 결합할 때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를 보다 강하게 가압해 더스트 커버(500)가 볼스터드(200)에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에 구비되는 제1 씰링면(514)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홈(514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스터드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1 씰링면(514)에 리세스홈(514a)을 형성하게 되면 볼스터드의 외주면과 제1 씰링면 사이에 빈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볼스터드와 더스트 커버 사이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위험을 보다 감소시키고 더욱 향상된 씰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의 제2 결합부(520)는 하우징(300)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부[예컨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장착부(33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부(520)는 외측에 체결홈[제2 체결홈(522)]이 형성되어 클립링(600)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홈[제2 체결홈(522)]에 삽입해 더스트 커버를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500)의 제2 결합부(520)의 경우에도 단부에 경사진 구조의 씰링면(524)을 형성해 제1 결합부와 유사하게 더스트 커버(500)가 하우징(20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에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볼조인트
200: 볼스터드
210: 볼부재
220: 로드부재
230: 제1 장착부
230a: (제1 장착부의) 바닥면
230b, 230c: (제1 장착부의) 측면
300: 하우징
310: 수용공간
320: 개구부
330: 제2 장착부
400: 볼시트
500: 더스트 커버
510: 제1 결합부
512: (제1 결합부의) 체결홈
514: 제1 씰링면
514a: 리세스홈
516: 제2 씰링면
516a: 씰링립
520: 제2 결합부
522: (제2 결합부의) 체결홈
524: (제2 결합부의) 씰링면

Claims (10)

  1. 볼부재(210)와 상기 볼부재(21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하는 로드부재(220)를 포함하는 볼스터드(200)와,
    내부에 상기 볼부재(2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0)을 구비하는 하우징(300)과,
    상기 볼부재(210)와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 사이에 게재되는 볼시트(400)와,
    상기 볼스터드(200)와 상기 하우징(300) 사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커버(500)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510)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520)와, 제1 결합부(510)와 제2 결합부(520) 사이에 구비되는 커버 본체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는 상기 볼스터드(200)의 로드부재(220)에 형성된 제1 장착부(230)에 결합되고,
    상기 더스트 커버(500)의 제2 결합부(520)는 상기 하우징(300)에 형성된 제2 장착부(330)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장착부(230)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장착부(230)를 형성하는 리세스 구조의 바닥면(230a)은 상기 볼부재(210)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된 로드부재(220)의 외주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볼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230)를 형성하는 리세스 구조의 바닥면(230a)은 볼스터드(200)의 중심축과 5° 내지 20°의 경사각(α)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볼조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는, 상기 제1 장착부(230)의 바닥면(230a)에 접촉하는 제1 씰링면(514)과, 더스트 커버(50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착부(230)의 일측 측면에 접촉하는 제2 씰링면(516)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씰링면(516)은 더스터 커버(500)를 볼스터드(200) 및 하우징(300)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씰링면(514)과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볼조인트.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씰링면(516)은 더스터 커버(500)를 볼스터드(200) 및 하우징(300)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더스트 커버(500)의 중심축에 수직한 직선에 대하여 5° 내지 20°의 경사각(β)을 갖도록 형성되는,
    볼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에 형성되는 제1 씰링면(514)은 더스트 커버(500)를 볼스터드(200) 및 하우징(300)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더스트 커버(500)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볼조인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에 형성되는 제2 씰링면(516)에는 제2 씰링면(516)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하는 씰링립(516a)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볼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에 형성되는 제1 씰링면(514)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홈(514a)이 구비되는,
    볼조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0)의 제1 결합부(510) 및 제2 결합부(520)는 외측면에 체결부재(600)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구비하는,
    볼조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600)는 탄성력을 갖는 클립링인,
    볼조인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링크에 이용되는,
    볼조인트.
KR1020190005946A 2019-01-16 2019-01-16 볼조인트 KR10265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46A KR102654322B1 (ko) 2019-01-16 2019-01-16 볼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46A KR102654322B1 (ko) 2019-01-16 2019-01-16 볼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85A true KR20200089185A (ko) 2020-07-24
KR102654322B1 KR102654322B1 (ko) 2024-04-04

Family

ID=7189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946A KR102654322B1 (ko) 2019-01-16 2019-01-16 볼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054A1 (ko) * 2021-12-13 2023-06-22 주식회사 일진 볼스터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05Y2 (ja) * 1990-07-13 1995-03-06 武蔵精密工業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
KR20120000957A (ko) * 2010-06-28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JP2014105803A (ja) * 2012-11-28 2014-06-09 Somic Ishikawa Inc ボールジョイント
WO2017086142A1 (ja) * 2015-11-16 2017-05-26 Nok株式会社 ダストカバー及び密封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05Y2 (ja) * 1990-07-13 1995-03-06 武蔵精密工業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
KR20120000957A (ko) * 2010-06-28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JP2014105803A (ja) * 2012-11-28 2014-06-09 Somic Ishikawa Inc ボールジョイント
WO2017086142A1 (ja) * 2015-11-16 2017-05-26 Nok株式会社 ダストカバー及び密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054A1 (ko) * 2021-12-13 2023-06-22 주식회사 일진 볼스터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322B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5318C2 (ru) Подшипник
US8550741B2 (en) Bal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671678A (en) Resilient radial sliding bearing
CN107614900B (zh) 球窝接头
CN109072968B (zh) 用于插槽组件的护罩
US20130287478A1 (en) Ball joint
JP2008524531A (ja) 有利には車両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ボールジョイント
JP4118690B2 (ja) 玉継ぎ手
US3292957A (en) Sealed ball-type joints and the like
US20140044384A1 (en) Direct acting endlink seal
US8657519B2 (en) Ball joint
KR20200089185A (ko) 볼조인트
US10718372B2 (en) Dust boot for a moveable joint
JPWO2017154672A1 (ja) ダストカバー及び密封構造
US20070144849A1 (en) Connecting bearing for a vibration damper
US20050051974A1 (en) Ball socket ring seal
CN110177954B (zh) 球接头及防尘罩
JP6119965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JP2012229734A (ja)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KR200314142Y1 (ko) 볼조인트
JP7267593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ダストカバー
JP6899299B2 (ja) ダストカバー
JP2014211182A (ja)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JPH08303448A (ja) ジョイント用カバー
WO2019058830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