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983A -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983A
KR20200088983A KR1020190005509A KR20190005509A KR20200088983A KR 20200088983 A KR20200088983 A KR 20200088983A KR 1020190005509 A KR1020190005509 A KR 1020190005509A KR 20190005509 A KR20190005509 A KR 20190005509A KR 20200088983 A KR20200088983 A KR 2020008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rotating body
electrical energy
energy
piez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남
임용택
정현태
정종환
주동훈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9000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983A/ko
Publication of KR2020008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01L41/0805
    • H01L41/1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 중에서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는 이송벨트와, 이송벨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회전체에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이송벨트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회전체의 외면에 마련되는 압전소자와,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발전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PIEZOELECTIC EFFECT ELEMENT HARVEST APPRATUS ND POWER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하베스팅은 주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확(harvest)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용하는 것으로, 주로 진동이나 사람의 움직임, 빛, 열, 전자기파와 같이 의도하지 않거나 버려지는 에너지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전기를 얻기 위한 여러 기술들을 의미한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중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는 진동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기술로, 주로 대형 회전기나 구조물의 진동, 다양한 충격 에너지를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사람의 보행 시 지면 충돌 에너지나 도로면의 차량 주행에 따른 지면 충돌 에너지를 압전소자를 통해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고, 보행이 빈번한 구역이나 고속도로 혹은 철도 구간에 충격 에너지 수집하기 위한 구조물을 매설하는 실험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하베스트 기술은 허용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수명이 줄어들 거나 파손되므로 관리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설치 비용이나 관리 비용이 낮으면서 소규모 전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하베스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501023호 (2015.03.04.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물품을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할 때 이송벨트에서 발생되는 미활용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회수할 수 있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회전체에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이송벨트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의 외면에 마련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발전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는,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기; 및 상기 이송벨트 상에 로딩된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 송신기는 상기 압전 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무선 송신기를 통해 송신하거나, 상기 압전 소자의 상기 전기 에너지를 유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이송벨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으로 제공되고, 상기 한 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모터에 구동 연결되는 지지 드럼; 및 상기 이송벨트의 이면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는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고무 재질 또는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압전 시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회전체의 외경면을 따라 복수개의 열을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이용한 전력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작동을 위한 메인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에서 출력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에 서브 에너지로 공급하는 발전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력제어 시스템은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서브 에너지 또는 외부 전원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발전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정류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이송벨트 이동 속도 및 상기 이송벨트에 로딩된 물품의 무게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에서 출력된 전기 에너지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송벨트의 미활용 기계 에너지를 압전소자를 활용한 하베스팅 기술에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회수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송벨트에서 회수된 전기 에너지의 원거리 전력 이송이 가능하고,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외부의 보조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압전소자의 회전량 변화에 따라 에너지 회수량 조절이 가능하고, 장치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산업기기의 회전력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미활용에너지 등을 압전소자를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회수하기 때문에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회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회전체에서, 압전소자와 발전 송신기 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회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회전체에서, 압전소자와 발전 송신기 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는, 이송벨트(110), 회전체(120), 구동모터(130), 압전소자(140), 발전 송신기(150), 속도측정기(160) 및 로드셀(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벨트(110)는 물품의 이송을 위해 회전체(120)를 매개로 지지 프레임에 왕복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은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구성들이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전체적인 뼈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지지 프레임은 구동모터(130)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01)과, 구동모터(1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인 이송벨트(110), 회전체(120), 발전 송신기(150), 속도측정기(160) 및 로드셀(170) 등이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벨트(110)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송벨트(110)는 회전체(120)에 의해 하부 프레임(102)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체(120)의 작동시, 왕복 회전이 가능한 루프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회전체(120)는 이송벨트(110)를 지지하는 지지 드럼(121) 및 지지 롤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드럼(121)은 이송벨트(1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 드럼(121)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모터(130)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롤러(122)는 이송벨트(110)의 이면을 지지하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롤러(122)는 이송벨트(110)의 이면(하면)을 균형있게 지지하기 위해, 이송벨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130)는 회전체(120)의 지지 드럼(121)에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구동 연결수단을 통해 구동 연결되어, 회전체(1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지지 드럼(121)이 회전되면, 지지 드럼(121)의 회전에 의해 이송벨트(110)가 왕복 회전될 수 있고, 이때, 이송벨트(110)를 지지하는 회전체(120)의 지지 롤러(122)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압전소자(140)는 회전체(120)의 외면에 구비되어, 이송벨트(110)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압전소자(壓電素子)는 소정의 결정판(結晶板)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음의 전하가 나타나는 현상을 나타내는 소자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120)의 외면에 구비된 압전소자(140)는, 물품의 무게가 가해진 이송벨트(110)가 회전체(120)를 이동할 때, 이송벨트(110)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 압전소자(140)는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고무 재질 또는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압전 시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압전소자(140)가 압전 시트 형태로 제공되면, 압전 시트가 완충재 역할을 제공하므로, 압전소자(140)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140)는 회전체(120)의 외경면을 따라 복수개의 열을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압전소자(140)가 회전체(120)의 외경면에서 복수개 열을 이루므로, 이송벨트(110)에 의한 물품의 이송 작동시, 이송벨트(110)에 의한 압전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발전 송신기(150)는 압전소자(140)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임시 저장할 수 있고, 임시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유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소자(140)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는, 부도체(143)에 지지되는 제 1 전선(141) 및 제 2 전선(142)을 통해, 회전체(120)의 단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발생전류 연결링(144) 및 연결선 고정브라켓(146)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선(145)을 통해 발전 송신기(150)로 이동될 수 있다.
발전 송신기(150)에서 송신된 전기 에너지는, 속도측정기(160), 로드셀(170) 및 후술하는 컨트롤러(200)에 전달되어, 속도측정기(160), 로드셀(170) 및 컨트롤러(200)의 작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속도측정기(160)는 이송벨트(110)의 이송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속도측정기(160)의 작동 전원은, 발전 송신기(150)의 전기 에너지가 서브 에너지로 공급이 가능한 경우, 발전 송신기(15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속도측정기(160)에서 측정된 이송벨트(110)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컨트롤러(200)에 인가될 수 있다.
로드셀(170)은 이송벨트(110) 상에 로딩된 물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로드셀(170)의 작동 전원은, 발전 송신기(150)의 전기 에너지가 서브 에너지로 공급이 가능한 경우, 로드셀(170)은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전 송신기(15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로드셀(170)에서 측정된 물품의 무게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컨트롤러(200)에 인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제어 시스템(10)은,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 전원 공급 장치(500), 컨트롤러(200), 발전 저장 장치(300) 및 전력 변환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는 이송벨트(110), 회전체(120), 구동모터(130), 압전소자(140), 발전 송신기(150), 속도측정기(160) 및 로드셀(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이송벨트(110), 회전체(120), 구동모터(130), 압전소자(140), 발전 송신기(150), 속도측정기(160) 및 로드셀(170) 구성은, 상술한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이송벨트(110), 회전체(120), 구동모터(130), 압전소자(140), 발전 송신기(150), 속도측정기(160) 및 로드셀(170)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 공급 장치(500)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메인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 전원 공급 장치(500)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구동모터(130), 압전소자(140), 발전 송신기(150), 속도측정기(160) 및 로드셀(170)의 작동에 필요한 메인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 전원 공급 장치(500)는 시스템 전원 패널(510)과 연결되어, 발전 저장 장치(300)의 전기 에너지로는 부족한 에너지를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발전 송신기(150)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서브 에너지로 공급이 가능한 경우, 발전 송신기(150)는 전원 공급 장치(500)에 대신하여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 송신기(150)는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속도측정기(160), 로드셀(170) 및 컨트롤러(200)에 공급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00)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 과정을 모니터(6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러(200)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이송벨트(110)의 이동 속도 및 이송벨트(110)에 로딩된 물품의 무게에 따라,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에서 출력된 전기 에너지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벨트(110)의 이동 속도 및 이송벨트(110)에 로딩된 물품의 무게에 따라, 압전소자(140)에서 변환가능한 전기 에너지의 양은 변경될 수 있는데, 컨트롤러(200)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송벨트(110)의 이동 속도 및 물품의 무게에 따라 압전소자(140)에서 생산 가능한 전기 에너지의 양을 예측할 수 있고, 이송벨트(110)의 이동 속도 및 물품의 무게를 통해 예측된 전기 에너지의 양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발전 저장 장치(300)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에서 출력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전기 에너지 중 적어도 일부를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에 서브 에너지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 송신기(150)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서브 에너지로 공급이 가능한 경우, 발전 송신기(150)는 전원 공급 장치(500)에 대신하여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변환 장치(400)는 발전 저장 장치(30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정류함으로써,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100)의 서브 에너지 또는 외부 전원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 송신기(150)는 무선 송신기(151)를 이용하여 압전소자(140)에서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발전 저장 장치(3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발전 저장 장치(300)에는 무선 송신기(151)에서 송신된 전기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송신기(301)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송벨트의 미활용 기계 에너지를 압전소자를 활용한 하베스팅 기술에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회수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고, 이송벨트에서 회수된 전기 에너지의 원거리 전력 이송이 가능하고,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외부의 보조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압전소자의 회전량 변화에 따라 에너지 회수량 조절이 가능하고, 장치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산업기기의 회전력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미활용에너지 등을 압전소자를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회수하기 때문에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110 :이송벨트
120 :회전체 130 :구동모터
140 :압전소자 150 :발전 송신기
160 :속도측정기 170 :로드셀
200 :컨트롤러 300 :발전 저장 장치
400 :전력 변환 장치 500 :전원 공급 장치
600 :모니터

Claims (9)

  1.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회전체에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이송벨트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의 외면에 마련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발전 송신기;를 포함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기; 및
    상기 이송벨트 상에 로딩된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송신기는
    상기 압전 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무선 송신기를 통해 송신하거나, 상기 압전 소자의 상기 전기 에너지를 유선으로 송신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이송벨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으로 제공되고, 상기 한 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모터에 구동 연결되는 지지 드럼; 및
    상기 이송벨트의 이면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고무 재질 또는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압전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회전체의 외경면을 따라 복수개의 열을 이루며 이격 배치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작동을 위한 메인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에서 출력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에 서브 에너지로 공급하는 발전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이용한 전력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서브 에너지 또는 외부 전원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발전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정류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더 포함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이용한 전력제어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의 이송벨트 이동 속도 및 상기 이송벨트에 로딩된 물품의 무게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에서 출력된 전기 에너지를 예측하는,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
KR1020190005509A 2019-01-16 2019-01-16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 KR20200088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09A KR20200088983A (ko) 2019-01-16 2019-01-16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09A KR20200088983A (ko) 2019-01-16 2019-01-16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983A true KR20200088983A (ko) 2020-07-24

Family

ID=7189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09A KR20200088983A (ko) 2019-01-16 2019-01-16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9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23B1 (ko) 2013-07-01 2015-03-13 박준형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23B1 (ko) 2013-07-01 2015-03-13 박준형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an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rotational motion system
KR101305208B1 (ko) 진동형 압전모듈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US20100215434A1 (en) Wireless sensor with kinetic energy power arrangement
CN1054461A (zh) 夯实道碴床的连续走行式线路施工机械
CN112533704B (zh) 越野生产线
CN109487779A (zh) 土壤压实设备
CN101873081B (zh) 一种用于公交汽车的压力发电系统
US11398732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tracked vehicle
KR20200088983A (ko) 압전소자 하베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시스템
CN103889786A (zh) 车辆充电装置
JP6554446B2 (ja) 電気駆動式作業機械の移動用システム
JP2001169602A (ja) 歩行型管理機
CN203268845U (zh) 剪板机用多驱动辊送料装置
CN106826816B (zh) 防索虚牵装置及包含该装置的冗余驱动并联机器人
US3939935A (en) Electric power means for vehicles
US20150014454A1 (en) Driving of jaw crusher elements
JP2013252833A (ja) 搬送台車
JP7103779B2 (ja) 無線給電装置
JP2018145750A (ja) 作業機械への電力供給方法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50093091A (ko)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적용 이동체
Kar et al. Cost effectiveness of piezo electric energy harvesting
CN208361746U (zh) 高边坡物料吊运机
CN102261848B (zh) 炉前移动式共振给料机
CN211544862U (zh) 一种节能型矿用运输设备
CN105217267A (zh) 矿用移动式柔性胶带运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