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640A -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 Google Patents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640A
KR20200088640A KR1020190005174A KR20190005174A KR20200088640A KR 20200088640 A KR20200088640 A KR 20200088640A KR 1020190005174 A KR1020190005174 A KR 1020190005174A KR 20190005174 A KR20190005174 A KR 20190005174A KR 20200088640 A KR20200088640 A KR 20200088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ch
shovel
shoveling
seedlings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725B1 (ko
Inventor
이희종
김종석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철원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원군 filed Critical 철원군
Priority to KR102019000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7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삽목에 의한 낙엽송 증식 방법에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낙엽송 묘목에서 채취된 삽수를 10~12㎝의 크기로 절단하여 습처리된 박스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절단된 삽수의 하엽을 1~3㎝ 내외로 잎따기를 한 후 2~3시간 동안 물올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통해 처리된 삽수의 기부에 루톤을 바른 후 삽목상에 수직이 되도록 한 상태로 상토에 삽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Plant propagation method of larch seedlings by planting}
본 발명은 낙엽송 삽목 방법을 개선하여 양질의 낙엽송 묘목을 대량증식 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낙엽송(Larix leptolepis(Sieb. et Zucc.) Gordon)은 일본잎갈나무로도 불리는 일본 원산의 낙엽이지는 침엽교목이다. 주로 일본으로부터 들어와 우리나라에 조림되는 수종중의 하나로 수고 30m, 지름이 1m까지 자라며, 목재용도의 건축자재로 쓰이고 있다. 또한 낙엽송은 유목의 생장이 빠른 편이며 중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식재되어 있다. 낙엽송은 그 쓰임이나 용도가 다양하나 종자결실이 5~6년 주기로 풍·흉이 심하여 생산되는 종자량이 부족한 편이다. 또한 생산된 종자의 발아율은 40~50% 내외로 낮은 편이며, 발아를 시키기 위한 조건도 까다로운 편이다. 종자생산은 산림과학원등의 채종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으나 현재 수요를 모두 충당하기에는 부족한 상태이다. 더우기 최근들어 기후 온난화와 중부까지 이어지는 폭염 등으로 인하여 낙엽송 육묘의 실패율이 커지고 있고 현실적으로도 양묘된 우량묘를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더 나아가 북한의 산림자원 복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우량묘의 공급 부족은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낙엽송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 기존에는 채종원을 조성하여 종자를 직접 수확하여 파종하는 방법을 쓰거나, 또는 삽목을 이용하여 모수에서 다량의 삽수를 채취하여 삽목묘를 생산하는 방법이 일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채수목의 묘령이 높아질수록 발근율이 현저히 감소하고 발근되더라도 새로운 줄기를 유도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목재생산에 중요한 직립생장을 어렵게 하고 있는데 삽목묘 초기에 똑바로 생장하지 않고 사립생장(plagiograpic growth)을 하게되어 목재로서의 이용 가치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현재 종자의 풍·흉과 발아율 저하에 관계없이 건전한 양묘를 공급하고, 삽목시 사립생장과 발근이 잘 되지 않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낙엽송 삽목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낙엽송 수종의 삽목에 관한 연구는 '산림과학원'에서 다뤄진 사례가 있으나 삽목의 발근율 저하문제, 사립생장의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발표된 자료를 보면 16년생 낙엽송 접목묘를 단간처리하여 개체당 700여개 삽수를 생산하였으나 발근율은 44.5%로 저조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 밖에 삽목 및 증식 관련 특허문헌들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9889호의 '체세포배 유도법에 의한 낙엽송의 번식 방법',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5263호의 '체세포배 유도법에 의한 리기테다소나무의 번식방법',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1618호의 '삽목을 이용한 눈향나무 증식방법'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낙엽송 묘목 증식 방안으로는 미흡하다. 이에 따라 새로운 낙엽송 삽목 방법을 통하여 종자의 풍·흉과 발아율 저하에 관계없이 건전한 양묘를 공급하고, 삽목시 사립생장과 부족한 발근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낙엽송 삽목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7-0049889(공개일 2007년05월14일)
특허문헌 2.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3-0085263(공개일 2003년11월05일)
특허문헌 3.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2-0021618(공개일 2012년03월09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낙엽송 삽목번식에 있어서 실생묘를 반숙지 삽목 방법을 이용하여 사립생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생장 및 재배환경을 조절하여 발근율을 높여 부족한 낙엽송 양묘 공급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낙엽송 묘목에서 채취된 삽수를 10~12㎝의 크기로 절단하여 습처리된 박스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절단된 삽수의 하엽을 1~3㎝ 내외로 잎따기를 한 후 2~3시간 동안 물올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통해 처리된 삽수의 기부에 루톤을 바른 후 삽목상에 수직이 되도록 한 상태로 상토에 삽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낙엽송 묘목은 3년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수가 삽목되는 상토는,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피트모스를 포함하며, PH는 5.0~5.5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목상은 처음 3일간 암처리를 실시하고, 3~5일후에는 아침 저녁으로 반차광, 7일이후 70% 차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목상의 습도는, 처음 10일간은 90%이상으로 유지하고, 타이머 작동에 의한 미세분무 장치를 통해 20~30분간격으로 미세분무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목상에 7~10일간격으로 영양제와 다찌까렌을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목상에 대하여 삽목 20~22일후 부터는 50%차광을 하고 삽목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목상에 대하여 삽목 40~50일경부터는 12~15시까지만 차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낙엽송 삽목방법을 개선하여 양질의 낙엽송 묘목을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다. 낙엽송 종자의 풍흉에 관계없이 양묘를 생산할 수 있다. 기존의 실생묘를 이용하고 실생묘도 사용할 수 있다. 약 2~3년생 어린 실생묘 이용으로 기존 낙엽송 삽목시 사립생장하여 목재로서의 이용가치 회손을 막을 수 있다. 낙엽송 삽목시 발근율이 약 40%에 그치던 것을 90%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북한의 산림자원 복원과 탄소배출권 상쇄제도에 부합되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낙엽송 삽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낙엽송을 삽목한 낙엽송의 삽목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진과 같이 삽목된 낙엽송을 생장시켜 삽목에 사용하기 위한 낙엽송 묘목을 나타낸 사진의 예시이다.
도 3은 도 2의 사진과 같이 생장된 낙엽송 묘목으로부터 채취된 삽수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삽수의 하엽을 잎따기하여 제거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엽이 제거된 삽수를 박스에 투입된 물에 일부가 잠기도록 하여 물올림 처리하는 상태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삽수를 삽목상에 수직이 되도록 삽목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생장된 낙엽송 묘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기타 대조군에 따라 생장된 낙엽송 묘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생장된 묘목의 사진이다.
도 10은 루톤을 미처리한 상태에서 생장된 묘목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엽송 삽목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낙엽송 삽목 방법을 개선하여 양질의 낙엽송 묘목을 증식 하도록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삽목을 실시하면 기존 실생묘 방식을 통한 양묘와 더불어 5~10배 이상의 묘목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삽목의 문제점이 었던 발근율 저하와 사립생장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낙엽송 묘목에서 삽수를 채취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채취된 삽수를 10~12㎝의 크기로 절단하여 습처리된 박스에 투입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절단된 삽수의 하엽을 2~2.5㎝ 내외로 잎따기를 한 후 IBA 100PPM에 2~3시간 동안 물올림 처리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처리된 삽수의 기부에 루톤을 처리한 후 삽목상에 수직이 되도록 한 상태로 배수가 양호한 상토에 삽목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삽목된 삽수의 생장을 관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제1 단계: 낙엽송 묘목에서 삽수의 채취
낙엽송 묘목에서 삽수를 채취하는 제1 단계에서는, 3년생 이하 어린묘에서 삽수를 채취하여야만 사립생장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도 1 내지 도 3의 사진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낙엽송 삽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낙엽송을 삽목한 낙엽송의 삽목 사진이다. 낙엽송 삽목의 적당한 시기는 육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생육 환경이 비교적 양호한 시기인 6월30일~7월10일 시기가 바람직한 삽목 시기로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진과 같이 삽목된 낙엽송을 생장시켜 삽목에 적당한 낙엽송 묘목을 나타낸 사진의 예시이다. 도 2의 사진과 같이 삽목에 적당한 낙엽송 묘목은 새로나온 신초가 약간 경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의 묘목으로서 녹색과 갈색의 중간 정도 낙엽송 묘목이 바람직한 묘목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사진과 같이 생장된 낙엽송 묘목으로부터 채취된 삽수의 사진이다. 도 3의 사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삽수는 삽목된 낙엽송에서 웃자라지 않은 3년생 이하의 묘일 수 있다. 따라서, 3년생 이하의 어린묘에서 삽수를 채취하여야만 사립생장의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
제2 단계: 채취된 삽수를 절단하여 습처리된 박스에 투입
제2 단계에서는 도 3의 사진과 같이 제1 단계에서 채취된 삽수를 10~12㎝의 크기로 절단하여 습처리된 박스에 투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10~12㎝ 크기로 절단되어 채취된 삽수가 스치로폼 재료로된 박스에 투입된 예로 나타나 있다. 채취된 삽수를 습처리된 박스에 투입하는 이유는 10~12㎝정도의 크기로 절단된 삽수가 시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삽수의 채취 시간은 오전 9시 이전까지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3 단계: 채취된 삽수를 2~3시간 동안 물올림 처리
제3 단계에서는 제2 단계에서 절단된 삽수의 하엽을 2~2.5㎝ 내외로 잎따기를 한 후 2~3시간 동안 물올림 처리하여 물이 충분히 흡수 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삽수의 하엽을 2~2.5㎝ 내외로 잎따기 하여 제거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엽이 제거된 삽수를 아이스 박스에 투입된 물(또는 IBA100PPM)에 일부가 잠기도록 하여 물올림 처리하는 상태의 사진이다. 여기서, 물올림 시 호르몬제를 투입할 수 있다.
제4 단계 : 삽수의 기부에 루톤을 바른 후 상토에 삽목
제4 단계에서는, 삽수의 기부에 루톤을 바른 후 삽목상에 수직이 되도록 한 상태로 상토에 삽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삽수를 삽목상에 수직이 되도록 삽목한 상태의 사진이다. 상토는 배수가 양호한 용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수가 삽목되는 상토는 바람직하게는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피트모스가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삽수는 물올림 시 호르몬제를 투입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삽수는 기부에 루톤을 바른 후 삽목상에 수직이 되도록 심는다. 여기서, 삽목상의 상토는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피트모스를 1:1:1의 혼합비로 고루 섞어 조제할 수 있으며, PH는 5.0~5.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피트모스가 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상토는 양호한 배수 촉진성, 적정한 통풍성을 제공하여 묘목 증식에 유리한 생육 환경을 제공하고, 배수가 양호하여 삽수의 곧고 바른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루톤은 아토닉·지베렐린·토마토톤 등의 생장촉진제와 에테폰 등 의 착색촉진제와 구별되는 발근촉진제로 선택될 수 있다.
제5 단계 : 삽목 50일 이후에 일반관리로 전환
상기 제5 단계는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목은 처음 3일간 암처리를 실시하고, 3~5일후에는 아침 저녁으로 반차광, 7일이후 70%를 차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에서 삽목상의 습도는, 처음 10일간은 90%이상으로 유지하고, 타이머 작동에 의한 미세분무 장치를 통해 20~30분간격으로 미세분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에서, 삽목상에 7~10일간격으로 영양제와 다찌까렌을 살포하여 부족할 수 있는 영양을 충분히 공급하고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에서, 삽목상에 대하여 삽목 20~22일후 부터는 50%차광을 하고 삽목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에서, 삽목상에 대하여 삽목 40~50일경부터는 12~15시까지만 차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5 단계에서, 삽목상에 대하여 삽목 50일이후에는 일반관리로 전환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을 통한 삽수의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목의 발근율을 알기 위해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발근율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1
채취장소 : 산림조합 육묘장 2-0묘
채취일시 : 2018. 06. 29(9시 이전)
삽목일시 : 2018. 07. 03
방법 : 나무 수간을 제외한 측지만 제거(녹색에서 갈색으로 변해가는 지점 약10㎝ 내외 절단)
채취 후 아이스 박스에 넣어 30분 이내에 기부 아래의 하엽들을 약 2㎝ 제거하고 바로 물올림(IBA100PPM)을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물올림과 호르몬제 공급을 실시한 후 삽목 직전에 루톤을 바르고 삽목상에 가식하였다.
가식 후 충분히 물을 주고 다시 검은 비닐로 감싸서 습도를 90%이상 유지하고 햇빛이 들어가지 않게 처리하였다.
상기 실시예1(A)과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대조군(B/C/D/E)을 아래와 같이 하여 삽목하였다.
B 대조군 : 하엽제거+물올림 2시간+루톤+부직포 설치(삽목상)
C 대조군 : 하엽제거 안함+물올림 2시간+루톤+부직포 설치(삽목상)
D 대조군 : 하엽제거 안함+물올림 2시간+부직포 설치(삽목상)
E 대조군 : 하엽제거+물올림 2시간+부직포 설치(삽목상)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삽목 완료 후 약 1개월이 경과한 2018년 08월 04일 실시예 1과 기타 각 대조군(B/C/D/E)을 평가한 결과 도 7 및 도 8의 사진과 같이 생장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생장된 낙엽송 묘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기타 대조군에 따라 생장된 낙엽송 묘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의 사진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생육된 낙엽송 묘목은 건강하게 생육되었다. 이와 달리 대조군인 B,C,D,E 묘목은 도 8의 사진과 같이 줄기와 잎이 고르게 생육되지 못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묘목과 대조군에 따른 묘목의 발근율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1과 대조군의 발근율 비교 평가결과
구분 실시예1(A) 대조군(B) 대조군(C) 대조군(D) 대조군(E)
발근율(%) 94.3 65 66.7 76.2 34.3
A 실시예 1 : 하엽제거+물올림 2시간+루톤+부직포 설치 안함(삽목상)
B 대조군 : 하엽제거+물올림 2시간+루톤+부직포 설치(삽목상)
C 대조군 : 하엽제거 안함+물올림 2시간+루톤+부직포 설치(삽목상)
D 대조군 : 하엽제거 안함+물올림 2시간+부직포 설치(삽목상)
E 대조군 : 하엽제거+물올림 2시간+부직포 설치(삽목상)
시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1의 발근율은 상기 표 1과 같이 94.3%로 평가되었다. 나머지 대조군 B는 65%, C는 66.7%, D는 76.2%, E는 34.3%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시험 및 평가결과는 상기 실시예1은 반정도 경화된 튼튼하게 자란 2년생 실생 낙엽송 묘목에서 5~8개의 삽수를 12㎝내외로 조제하여 하엽을 2㎝정도 제거한 후 물올림(IBA100PPM)을 2시간 동안 충분히 실시하고, 이후 낙엽송 묘목에서 절단된 기부에 루톤을 충분히 도포하고 배수를 지연시키는 부직포 등을 깔지 않고 배수가 양호한 상토에 삽목을 실시하여 얻어진 발근율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삽목상에 삽수를 삽목할 때 수직이 되도록 삽목할 수 있어 사립생장을 방지하여 곧고 수직으로 생장된 묘목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생장 호르몬 등을 물올림으로 처리할 때 추가로 루톤을 처리하지 않으면 뿌리 발달이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루톤 미처리구간에서는 뿌리가 1~2가닥 정도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추가로 루톤 처리구간에서는 뿌리 발달이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생장된 묘목의 사진이다. 도 10은 루톤을 미처리한 상태에서 생장된 묘목의 사진이다. 도 9 및 도 10의 사진으로 비교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1과 같이 물올림과 별도로 루톤을 처리하지 않으면 대조군C/D와 같이 뿌리가 1~2가닥 정도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물올림과 별도로 루톤을 처리할 때 발육상태가 왕성하고 건강한 묘목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삽목을 실시하면 기존 실생묘 방식을 통한 양묘와 더불어 5~10배 이상의 묘목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삽목의 문제점이었던 발근율 저하의 문제와 사립생장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Claims (8)

  1. 낙엽송 묘목에서 채취된 삽수를 10~12㎝의 크기로 절단하여 습처리된 박스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절단된 삽수의 하엽을 1~3㎝ 내외로 잎따기를 한 후 2~3시간 동안 물올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통해 처리된 삽수의 기부에 루톤을 바른 후 삽목상에 수직이 되도록 한 상태로 상토에 삽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엽송 묘목은 3년이하의 것인,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수가 삽목되는 상토는,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피트모스를 포함하며, PH는 5.0~5.5로 조절된,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목상은 처음 3일간 암처리를 실시하고, 3~5일후에는 아침 저녁으로 반차광, 7일이후 70% 차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목상의 습도는, 처음 10일간은 90%이상으로 유지하고, 타이머 작동에 의한 미세분무 장치를 통해 20~30분간격으로 미세분무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목상에 7~10일간격으로 영양제를 살포하거나 다찌까렌을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목상에 대하여 삽목 20~22일후 부터는 50%차광을 하고 삽목상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목상에 대하여 삽목 40~50일경부터는 12~15시까지만 차광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KR1020190005174A 2019-01-15 2019-01-15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KR102183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74A KR102183725B1 (ko) 2019-01-15 2019-01-15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74A KR102183725B1 (ko) 2019-01-15 2019-01-15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40A true KR20200088640A (ko) 2020-07-23
KR102183725B1 KR102183725B1 (ko) 2020-11-27

Family

ID=7189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74A KR102183725B1 (ko) 2019-01-15 2019-01-15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72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7845A (ja) * 1992-02-18 1993-09-07 Oji Paper Co Ltd 植物のさし木の発根を促進する方法
KR19980015999A (ko) * 1996-08-26 1998-05-25 황진선 진달래과 황철쭉의 삽목번식 방법
KR20030085263A (ko) 2002-04-29 2003-11-05 대한민국(관리부서:산림청 임업연구원) 체세포배 유도법에 의한 리기테다소나무의 번식방법
JP2003339227A (ja) * 2002-05-29 2003-12-02 Oji Paper Co Ltd 木本性植物の挿し木苗製造方法
KR20070049889A (ko) 2005-11-09 2007-05-1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체세포배 유도법에 의한 낙엽송의 번식 방법
KR20120021618A (ko) 2010-08-11 2012-03-09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삽목을 이용한 눈향나무 증식방법
JP2015027262A (ja) * 2013-07-30 2015-02-12 住友林業株式会社 山林樹木挿し木苗の育苗方法
KR20150025092A (ko) * 2013-08-28 2015-03-10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미세 삽목을 이용한 포플러류의 무성번식 방법
JP2016073259A (ja) * 2014-10-09 2016-05-12 住友林業株式会社 山林樹苗の挿し木用育苗ベンチ及び育苗方法
KR20160069170A (ko) * 2014-12-08 2016-06-16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삽목을 이용한 화백의 증식방법
JP2017147966A (ja) * 2016-02-24 2017-08-31 日本製紙株式会社 マツ科樹木の挿し木苗の生産方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7845A (ja) * 1992-02-18 1993-09-07 Oji Paper Co Ltd 植物のさし木の発根を促進する方法
KR19980015999A (ko) * 1996-08-26 1998-05-25 황진선 진달래과 황철쭉의 삽목번식 방법
KR20030085263A (ko) 2002-04-29 2003-11-05 대한민국(관리부서:산림청 임업연구원) 체세포배 유도법에 의한 리기테다소나무의 번식방법
JP2003339227A (ja) * 2002-05-29 2003-12-02 Oji Paper Co Ltd 木本性植物の挿し木苗製造方法
KR20070049889A (ko) 2005-11-09 2007-05-1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체세포배 유도법에 의한 낙엽송의 번식 방법
KR20120021618A (ko) 2010-08-11 2012-03-09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삽목을 이용한 눈향나무 증식방법
JP2015027262A (ja) * 2013-07-30 2015-02-12 住友林業株式会社 山林樹木挿し木苗の育苗方法
KR20150025092A (ko) * 2013-08-28 2015-03-10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미세 삽목을 이용한 포플러류의 무성번식 방법
JP2016073259A (ja) * 2014-10-09 2016-05-12 住友林業株式会社 山林樹苗の挿し木用育苗ベンチ及び育苗方法
KR20160069170A (ko) * 2014-12-08 2016-06-16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삽목을 이용한 화백의 증식방법
JP2017147966A (ja) * 2016-02-24 2017-08-31 日本製紙株式会社 マツ科樹木の挿し木苗の生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725B1 (ko)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4489B (zh) 柚木容器育穗快繁育苗方法
CN104584976A (zh) 一种葡萄种植方法
CN111758529A (zh) 中山杉温室容器扦插育苗方法及基质
CN111972204A (zh) 一种新型立地式控根容器栽培蓝莓的方法
CN101406149A (zh) 果树快速育苗一年出圃技术
CN101480160A (zh) 果树快速育苗一年出圃技术
CN107333550B (zh) 一种通关藤种子育苗方法
KR100805889B1 (ko) 죽절초의 조기 결실을 위한 번식방법
CN108283067A (zh) 促进茶树扦插苗生长的方法
CN107593130A (zh) 薰衣草嫩枝扦插方法
CN101743908A (zh) 红花银桦组培快繁及栽培方法
CN105993522A (zh) 一种提高鹅掌楸扦插生根成活的方法
CN110547149A (zh) 一种杂交苎麻种子穴盘浅覆土育苗的方法
CN106342635A (zh) 橡皮树种植的方法
CN115005003A (zh) 一种成活率高的核桃育苗种植方法
CN111656978B (zh) 一种远缘杂种夏腊梅的扦插繁殖方法
CN105309150A (zh) 一种葫芦的种植方法
CN103749129A (zh) 一种红花天料木无性快繁方法
KR102183725B1 (ko) 삽목에 의한 낙엽송 묘목 증식 방법
CN1169419C (zh) 雪莲温室育苗人工栽培的方法
CN113575589A (zh) 一种促进南瓜生根的外源激素配方及其应用方法
CN112586209A (zh) 一种光叶野牡丹快速繁殖方法
CN112154871A (zh) 一种马利筋的种苗繁育方法
CN105248232A (zh) 金银花育苗方法
CN108040871A (zh) 一种利用低糖组培技术培育矾根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