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195A -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195A
KR20200087195A KR1020207016565A KR20207016565A KR20200087195A KR 20200087195 A KR20200087195 A KR 20200087195A KR 1020207016565 A KR1020207016565 A KR 1020207016565A KR 20207016565 A KR20207016565 A KR 20207016565A KR 20200087195 A KR20200087195 A KR 20200087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mpedance
tooth
measuring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겐테
마티아스 빌라모브스키
Original Assignee
필립스-유니버시태트 마르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스-유니버시태트 마르부르크 filed Critical 필립스-유니버시태트 마르부르크
Publication of KR2020008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4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for testing vitality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AC 저항)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임피던스는 주어진 전류 강도에서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또는 주어진 전압에서 전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것은 충치를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는 충치(우식, 우식 병변, 우식 변화; 복수; 우식)를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충치는 치아의 경조직(硬組織), 다시 말하면 법랑질 및/또는 상아질이 손상되는 치아의 질병이다. 상기 치아의 경조직은 또한 단단한 물질 또는 치아의 단단한 물질이라고 언급된다. 탈회(decalcification), 변색, 캐비테이션(cavitation)(치아의 경조직 붕괴) 및 풀파(pulpa) 병변은 우식의 증상이다.
상기 우식이 법랑질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법랑질 우식이라 언급되며, 상기 우식이 또한 상아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상아질 우식이라 언급된다. 상기 우식이 치아의 씹는 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교합면 우식이라 언급되며, 상기 우식이 인접 치아에 인접하는 치아 면들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인접면 우식(approximal caries)이라 언급된다.
치료를 받지 않은 우식이 영향을 받게 되는 치아의 손실로 이어지므로, 가능헌 헌 초기 단계에서 이미 우식을 진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동시에, 과잉 치료를 방지하기 위해 가능하다면 우식 진단 범위 내 오탐(false positive) 결과는 회피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식 진단의 목표는 환자를 적절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높은 특이도(specificity) 및 민감도(sensitivity)에 있다.
임상 검사 중에 작은 우식 변화가 법랑질의 변색과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없기 때문에 치아에 대한 우식 진단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다음 2 가지 위험이 있는데, 첫째, 단지 변색된 지점이 우식으로 잘못 진단되고 결과적으로는 천공되고 충진된 경우에 과잉 치료의 위험이 있고, 둘째, 우식이 식별되지 않고 결과적으로는 치료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경우에 충치가 확인되지 않아 치료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 불충분한 치료의 위험이 있다.
치아의 인접면들에서, 다시 말하면 인접 치아에 인접하는 치아 면들에서 우식을 신뢰 가능하게 진단하거나 우식을 신뢰 가능하게 배제하는 것이 특히 어렵다. 개인 간 차이로 매우 좁을 수 있는 치아 간 공간은 2개의 인접한 치아의 인접면들 간에 위치한다. 치아 간 공간이 작아짐에 따라, 관련 인접면들은 육안 검사를 위한 접근이 더 어려워진다. 인접면 우식은 특히 치아 간 공간이 매우 좁은 경우에 매우 쉽게 간과된다.
최신 기술
우식 진단에는 다음과 같은 장치 또는 방법이 사용된다.
시각 진단: 관찰함으로써 그리고 양호한 조명 하에서, 치아용 거울을 사용하여 변색 및 캐비테이션(치아의 경조직의 붕괴)에 대해 세척 및 건조된 치아가 검사된다.
촉각 프로빙: 치아 프로브에 의해 세척 및 건조된 치아가 감지된다.
광섬유 투과 조명(fiber-optic transillumination: FOTI, 다시 말하면 광선 투과 검사(diaphanoscopy): 치아의 경조직은 냉광(cold light) 프로브를 사용하여 투과 조명된다. 여기서, 회절 광이 사용될 때 건강한 치아의 경조직 및 우식이 있는 치아의 경조직의 거동은 상이하다. 광의 강도 손실로 인해 우식이 있는 물질이 암영(dark shadow)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상아질 우식의 양호한 진단을 허용한다.
x-선 검사: 기존 기술 또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한 x-선 검사는 바이트 윙(bite wing)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인접면들, 다시 말하면 특히 일렬의 치아의 치아가 접촉하는 치아 면들상의 법랑질 우식의 양호한 진단을 허용한다.
레이저에 의한 우식 진단(레이저 형광 측정): 650nm 파장에서의 레이저 형광 소자의 광은 유기 물질 및 무기 물질 양자 모두에 의해 재흡수된다. 레이저 형광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광학 유닛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설계에 전형적인 크기를 지닌다. 치아의 단단한 물질 내 우식 병변이 채용된 레이저에 의해 형광을 내게 되기 때문에, 형광이 존재하면 우식이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교합면 우식 진단에 특히 적합하다.
치아에 대한 AC(교류) 저항의 결정(임피던스 측정): 치아의 단단한 물질의 임피던스는 이러한 방법에서 적절한 측정 소자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우식의 경우, 건강한 치아의 단단한 물질과 비교하여 전기 전도도가 상당히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임피던스가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법랑질이 상아질보다 실질적으로 높은 임피던스를 지니므로, 이러한 방법은 특히 법랑질의 우식 병변을 진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우식이 아직 캐비테이션로 이어지지 않고 결과적으로는 시각적으로나 촉각 프로브로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임피던스 측정은 매우 적합한 방법이다.
교류로 작동하는 소자는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측정 소자는 적어도 기준 전극, 측정 전극 및 측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기준 전극은 구강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측정 전극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측정 전극이 우식 변화에 접촉되는 즉시 임피던스가 떨어진다.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는 상기 측정 유닛에 의해 등록되고, 예를 들어 음향 경고 신호 또는 광학 디스플레이를 통해 검사자에게 표시된다. 전기 AC 저항 측정 소자의 포인터는 광학 디스플레이나 아니면 전기 저항이 변할 때 예를 들어 녹색으로부터 적색으로 변하는 발광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상이한 컬러들의 다이오드들을 지니는 LED 스케일일 수 있다.
주로 상기 측정 전극을 사용하여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표면을 감지할 때 균열 및 작은 피트(pit)가 있는 교합면이 검사된다. 상기 측정 전극이 우식이 있는 포인트에 접촉되면, 우석이 있는 포인트에는 치아의 법랑질에 구멍이 많이 나 있기 때문에 임피던스가 낮아진다.
선행기술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시각 진단: 치아 간 공간, 결과적으로는 치아의 인접면들은 시각 진단을 위해 접근할 수 없거나 매우 열악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면 우식은 종종 시각 진단 범위 내에서 간과된다. 이 임상 검사 과정의 유의미(meaningfulness)는 치과 의사의 경험과 컬러 인식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치아의 생리학적 변색은 우식으로 오진될 수 있다.
촉각 프로빙 : 촉각 프로빙 범위 내 서툰 액션은 불량하게 광물 처리된 법랑질의 붕괴 또는 치아에 대해 다른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시각 진단과 비교할 때, 이는 단지 비현실적으로 많은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촉각 프로빙은 이제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간주된다.
광섬유 투과 조명: 우식과는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생리학적 치아 변색은 광섬유 투과 조명의 결과를 변조하고 그럼으로써 오탐 진단이 내려지게 된다.
x-선 검사: 각각의 검사는 방사선 노출을 나타내며 이는 원칙적으로 최대한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 환자의 경우, x-선 검사를 정당화하는 징후가 있어야 한다. x-선 기록이 이루어지는 동안 환자가 조금도 움직여서는 아니 되므로, 비교적 어린 아이나 인지 기능이 제한된 사람의 경우 x-선 기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일단 탈회가 상아질로 상당히 진전되면 변화가 단지 우식이 있는 것으로 진단될 수 있으므로 상아질 우식이 쉽게 간과될 수 있다. 일단 우식 병변이 상아질까지 이를 정도로 이미 너무 깊으면 교합면 우식은 단지 x-선 이미지에서 식별할 수 있다. 이미 존재하는 충전물에 의해 x-선이 흡수 및 산란되기 때문에, 이미 존재하는 충전물 바로 아래 또는 옆에 있는 우식이 항상 x-선 검사 범위 내에서 식별될 수는 없다.
레이저에 의한 우식 진단: 이러한 방법은 설계에 일반적인 크기 때문에 채용된 레이저 형광 소자가 2개의 치아 사이에(다시 말하면, 인접면들을 향해) 배치될 수 없으므로 인접면 우식을 진단하는 데 거의 사용될 수 없다. 우식과는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생리학적 치아 변색은 레이저에 의한 우식 진단 결과를 변조한다. 레이저 형광 소자는 조달 및 작동 면 모두에서 비싸다.
치아에 대한 AC(교류) 저항의 결정(임피던스 측정): 검사되어야 할 치아에 대한 그리고 구강 내에서의 타액(침)의 조성 및 타액의 양은 전기 전도도, 결과적으로는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친다. 비록 우식이 전혀 존재하지 않더라도 많은 타액이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에 있는 경우 임피던스가 떨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전류가 치아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치아 면상의 타액막(saliva film)을 통해 구강으로 흐르기 때문에 오탐 결과가 이루어지고; 따라서 미확인 전기 분로가 종종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환자마다 다른 개별 타액의 전해질 함량은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은 특히 임피던스 측정에 현재 사용되는 측정 소자에 존재한다. 현재 임피던스 측정에 사용되는 측정 소자는 측정 결과의 재현성 측면에서 부족한 것이고, 이로 인해 치과 의사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특히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이 반복되는 경우에 문제가 있다.
우식이 치아 면 상의 균열 및 작은 피트에서 생기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너무 큰 치수를 갖는 측정 전극은 초기 우식 변화를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없다.
현재 임피던스 측정에 사용되는 측정 소자에는 막대형, 원통형 또는 와이어형 측정 전극이 있다. 이러한 전극 형태로 인해, 선행기술의 측정 전극은 치아의 인접면들을 감지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인접면 우식은 현재 알려진 측정 소자를 사용하여 진단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우식 진단을 위해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것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구강에 존재하는 타액의 영향이 감소되어야 한다. 또한, 치과 의사의 혼란을 줄이고 결과적으로는 잘못된 진단을 줄이기 위해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때 측정의 재현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우식의 초기 단계를 신뢰성 있게 식별하기 위해 치아 면상의 균열 및 작은 피트 내 우식을 진단하는 것이 개선되어야 한다. 추가로, 적절한 측정 전극을 사용하여 인접면 우식을 진단하는 것이 용이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제는 청구항 제1항(장치) 및 청구항 제14항(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과제는 선행기술에 대한 이하의 개발에 의해 해결된다.
- 타액의 성가신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전기 저항 ρ > 500 Ω·m 인 절연 겔(9)을 사용함.
- 측정 전극(5)을 보상 전극(6)에 결합하여 측정 전극(5)을 개선함. 결과적으로는, 측정 전극(5)으로부터 치아 면을 통해 측방으로 방출된 전류가 보상 전극(6)을 통해 안내된다. 보상 전극(6)은 측정 전극(5)용 실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 측정 유닛(2)에서 측정 전자기기를 적용함: 록-인 기법(lock-in technique)을 사용하여 교류 측정을 수행한 결과로 비록 매우 적은 양의 전류의 경우에서라도 안정된 측정값이 획득된다. 이는 10nA 내지 2μA의 크기를 지니는 전류의 경우에 안정된 측정값이 획득되는 것을 허용한다.
- 반송파 주파수 측정 기법의 원리에 따라 측정을 수행함.
- 측정 유닛(2)은 함수 생성기에 의해 정의된 정현파 전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정현파 전압은 600Hz의 주파수 및 대략 70mV Urms의 평균 전압을 지닌다. 각각의 경우에 절연 증폭기에 의해, 이러한 전압은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 양자 모두에 인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단단한 물질의 임피던스를 개선된 방식으로 결정한다. 우식의 경우에, 치아의 단단한 물질의 영향을 받는 포인트에서 임피던스가 감소된다. 옴(ohm)의 법칙은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데 적용된다. 임피던스는 주어진 전압에서 측정 전극(5)과 기준 전극(4) 간 전류의 측정값으로부터의 계산에 의해 결정된다. 대안으로, 임피던스는 또한, 측정 전극(5)과 기준 전극(4) 간 주어진 전류에서 측정된 전압 값으로부터의 계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강에 존재하는 타액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검사되어야 할 치아에 존재하는 타액은 초기에 제거되고, 차후에 본 발명에 따라 임피던스를 결정할 때 절연 겔(9)이 상기 치아에 도포된다. 이러한 절연 겔(9)은 단지 낮은 전기 전도성을 지닐 수 있고 무독성이고 제조하기에 저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겔(9)은 전기 저항 ρ > 500 Ω·m 을 지닌다. 절연 겔(9)의 점도는 절연 겔(9)이 검사되어야 할 치아에 부착될 정도로 높아야 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구강 내 다른 모든 구조와는 다른 착색을 지니고 그럼으로써 쉽게 식별 가능하게 된다. 절연 겔(9)이 충분한 양으로 그리고 예상되는 포인트에 도포되었는지는 시각 제어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증류수 100ml + 염료 1ml 당 0.9g의 갈락토오스 폴리머 한천(또는 한천-한천)의 겔-형 제제는 절연 겔(9)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리하게는, 예컨대, 안토시아닌(E163), 브릴리언트 블루 FCF(E133), 인디고 카민(E132) 또는 특허 블루 V(E131)와 같은 청색 식품 착색제가 염료로서 사용된다.
대안으로, 절연 겔(9)은 또한 젤라틴 또는 전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겔(9)은 가요성 백 또는 패드의 형태로 구현되며, 이는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에 압착될 수 있고 치아 면에 부합된다. 이러한 백 또는 패드는 이것이 쉽게 보관될 수 있고 필요할 때 개별 패키징으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적어도 이하의 추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측정 유닛(2): 측정 유닛(2)은 적어도 하나의 함수 생성기, 절연 증폭기, 록-인(lock-in) 증폭기, 전압 표시기, 평가 유닛 및 음향, 광학 및/또는 햅틱 신호를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측정 유닛(2)은 기준 전극(4),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에 접속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접속이 플러그-인 접속이며 그럼으로써 상기 전극들(4, 5, 6)이 환자에게 사용한 후 세척될 수 있고 재사용될 수 있다.
함수 생성기에 의해, 측정 유닛(2)은 상기 측정 유닛에 접속된 전극들(4, 5, 6)에 인가되는 AC 전압을 제공한다. 측정 유닛(2)은 측정 전극(5)으로부터 치아를 통해 기준 전극(4)으로 흐르는 전류 강도를 측정한다. 결과적인 전류 강도로부터, 측정 유닛(2)의 평가 유닛은 주어진 전압에서 임피던스의 레벨을 결정한다. 변형 실시 예에서, 측정 유닛(2)은 주어진 전류 강도에서 전압을 측정한다. 어느 경우든, 측정 유닛(2)의 평가 유닛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의 적어도 2개의 다른 위치에서 임피던스의 레벨 및 변화를 캡처한다.
따라서, 측정 유닛(2)의 평가 유닛은 임피던스의 변화를 등록하고, 측정 결과를 처리 및 평가하며, 출력 수단, 예를 들어 음향 경고 신호 및/또는 광 표시 및/또는 햅틱 표시를 통해 적절한 피드백을 검사자에게 제공한다. 측정 유닛(2)의 출력 수단은 측정 유닛(2)에 접속 가능하다.
치아의 임피던스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된 전류는 매우 적다. 양호한 평가를 위해 록-인 증폭기가 사용된다. 이는 적은 측정 전류의 경우 고장을 회피한다. 록-인 증폭기 및 그와 함께 가능한 록-인 기법의 결과로서, 비록 10nA 내지 2μA 의 매우 적은 전류의 경우라도 안정된 측정값이 획득된다.
핸들(3): 핸들(3)은 검사 중에 측정 유닛(2)을 구비한 장치(1)가 유지될 수 있고 장치(1)의 전극들(4, 5, 6)이 구강 내에나 또는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핸들(3)은 전기 절연 재료,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표면을 지닌다.
측정 유닛(2)은 핸들(3)과 측정 유닛(2)이 단지 공통 하우징만을 요구하도록 핸들(3)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한 실시 예에서, 핸들(3)은 측정 유닛(2) 내 전극들(4, 5 및 6)의 유리한 플러그-인 접속이 용이해지도록 설계된다.
기준 전극(4): 이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구강 내 임의의 포인트에 배치된다. 이는 전기 도체를 통해 측정 유닛(2)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기준 전극(4)은 플러그를 통해 측정 유닛(2)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결과적으로는, 기준 전극(4)이 환자에게 사용한 후에 쉽게 변경될 수 있다. 기준 전극(4)은 쉽게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측정 전극(5): 이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는 전기 도체를 통해 측정 유닛(2)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측정 전극(5)은 플러그를 통해 측정 유닛(2)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결과적으로는, 측정 전극(5)은 환자에게 사용한 후에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측정 전극(5)은 쉽게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측정 전극(5)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의 제 1 위치에 있는 측정 전극(5)과 기준 전극(4) 간에 교류가 흐를 수 있는 방식으로 기준 전극(4)에 대해 배치된다.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면은 측정 전극(5)을 사용하여 감지된다. 결과적으로, 측정 전극(5)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위치로 이동된다. 측정 전극(5)이 치아에 접촉되는 포인트에서, 이는 절연 겔(9)을 보상 전극(6)과 함께 치아 면으로부터 변위시키고 회로가 기준 전극(4)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치아 상의 포인트가 우식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 경우, 온전한 법랑질과 온전한 상아질이 600 kΩ 이상의 높은 전기 저항을 지니므로 임피던스가 매우 높다. 측정 전극(5)이 우식 변화 영역에 접촉되는 즉시, 임피던스는 480 kΩ 미만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는 전류의 측정에 의해 측정 유닛(2)에 의해 결정, 처리 및 평가되어 검사자에게 출력된다.
보상 전극(6): 이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는 전기 도체를 통해 측정 유닛(2)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보상 전극(6)은 플러그를 통해 측정 유닛(2)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결과적으로는, 보상 전극(6)은 환자에게 사용한 후에 쉽게 변화될 수 있다. 보상 전극(6)은 쉽게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보상 전극(6)은 측정 전극(5)과 동일한 전위에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측정 전극(5)과 동일한 전위를 지닌다. 보상 전극(6)은 측정 전극(5)에 구조적으로 결합 된다. 이는 측정 전극(5)을 실드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은 절연 층(7)(절연 층, 절연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절연 층(7)은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 사이에 도포된다.
전기 절연과 함께 기계적 연결을 이루는 이러한 구조적 배치는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을 둘러싸는 절연 겔(9)에 측정 전극(5)에서와 동일한 전위가 존재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치아 면 상에 흐르는 전류가 단지 보상 전극(6)으로부터 발생하지만 측정 전극(5)으로부터 발생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따라서, 보상 전극(6)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의 포인트에서의 법랑질 및 도포된 절연 겔(9)이 측정 전극(5)과 동일한 전위를 지니게 한다. 이는 측정 전극(5)으로부터 구강으로 결과적으로는 치아 면을 통해 기준 전극(4)으로 전류를 생성하는 전기장의 생성을 방지한다. 이러한 원치 않는 전류가 임피던스 결정의 재현성 및 정확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러한것이 억제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절연 층(7): 절연 층(7)은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어떠한 전류도 이러한 전극들 간에 흐르지 않는 형태로 상기 전극들 사이에 도포된다. 절연 층(7)은 예컨대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적합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절연 겔(9)과 함께, 절연 층(7)은 치아 면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측정 전극(5)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측정의 재현성 및 정확도를 상당히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된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타액의 개별적으로 상이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검사되어야 할 치아가 가능한 한 건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송풍기는 타액막을 건조할 목적으로 치아 상에 송풍할 수 있다. 건조 후에, 예컨대, 코튼 롤 또는 덴탈 댐이 새로운 타액의 접근을 방지한다.
- 검사되어야 할 치아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겔(9)에 의해 적셔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러한 치아는 100ml 증류수 + 1ml 염료 당 0.9g 한천-한천으로 이루어진 겔-형 제제를 사용하여 적셔진다. 적심(wetting)은 치아의 전체 가시 면 상에나 또는 아니면 단지 검사되어야 할 포인트에서만 구현된다.
- 이는 표준화되고 비교 가능한 측정 조건을 만들어낸다. 특히, 자연적이고 전기적으로 잘 전도되는 타액의 허용이 방지되고, 상기 타액은 전류의 측정, 결과적으로는 구강, 결과적으로는 기준 전극(4)에 대한 분로로서의 임피던스의 결정을 잠재적으로 방해한다.
- 기준 전극(4)은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구강 내 임의의 포인트에 배치된다. 이러한 포인트는 어떠한 병변(예컨대, 염증, 궤양 또는 종양 변화)도 지니고 있어서는 아니 된다. 이러한 포인트는 기준 전극(4)의 적용 전에 진료를 받지 않고 결과적으로는 타액에 의해 적셔져 있다. 검사되어야 할 치아와 기준 전극(4) 간 조직의 전기 저항이 치아의 단단한 물질의 전기 저항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기 때문에, 기준 전극(4)과 검사된 치아 간 공간 거리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전극(4)이 배치되는 구강 내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 측정 전극(5)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포인트에 적용되고 상기 치아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면은 측정 전극(5)을 사용하여 감지된다. 그러한 프로세스에서, 측정 전극(5)은 치아의 접촉 포인트에서 절연 겔(9)을 변위시키고; 상기 절연 겔은 결과적으로 측정 전극(5) 주위에 벽-형 절연 층을 형성한다.
- 측정 전극(5)에 대한 보상 전극(6)의 기계적 연결의 결과로서, 보상 전극(6)은 또한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포인트에 동시 적용되고 절연 겔(9)은 보상 전극(6) 주위에 벽-형 절연 층을 형성한다. 말하자면,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은 절연 겔(9)에 침지되고 결과적으로는 치아 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는 측정 전극(5)과 기준 전극(4) 간 회로를 폐쇄한다.
- 측정 전극(5)과 기준 전극(4) 간에 전기 AC 전압(U)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AC 전압(U)은 600 내지 2000Hz의 주파수를 지닌다. 바람직하게는, 그의 최대 진폭은 대략 200mV이다. 바람직하게는, 그의 평균 진폭(Urms)은 대략 70mV이다.
- 마찬가지로, 측정 전극(5)에서의 전압에 상응하는 진폭, 주파수 및 위상 각을 갖는 AC 전압이 보상 전극(6)에 인가된다.
- 측정 유닛(2)은 이제 정전압에서 측정 전극(5)을 통해 흐르고 치아를 통해 기준 전극(4)으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이러한 전류는 측정값으로서 사용되며, 이로부터 측정 유닛(2)은 임피던스를 결정한다. 적은 전류는 큰 임피던스에 상응하고, 많은 전류는 작은 임피던스에 상응한다.
- 대안으로, 측정 유닛(2)은 일정한 전류 강도에서 측정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한다. 이러한 전압은 측정 유닛(2)이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측정값으로서 사용된다.
- 임피던스(Z)는 옴의 법칙 Z = U/I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전극(6)의 배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겔(9)의 사용의 결과로서, 측정 전극(5)으로부터의 전류는 단지 측정 전극(5)의 팁을 통해 검사되어야 할 치아로 이어질 수 있고 치아 면을 통해 치은(gingiva)으로 결과적으로는 구강내 기준 전극(4)으로 측방으로 이어질 수 없다. 결과적으로, 방해 전기장 및 원치 않는 전류는 방지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양호한 재현성 및 정확성을 달성하며, 그 결과로서 정밀한 진행 시험이 용이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선행기술로부터의 임피던스의 결정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개선된 특이성 및 감도가 달성된다.
다른 실시 예들
일 실시 예에서, 기준 전극(4)은 구부러진 스테인레스 와이어로서 구현된다.
일 실시 예에서, 기준 전극(4)은 티타늄, 은 또는 철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 실시 예에서, 기준 전극(4)은 탄소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 전극(5)은 티타늄, 은 또는 철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측정 전극(5)은 탄소로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대략 600Hz의 주파수 및 대략 200mV의 최대 진폭에서의 AC 전압이 측정 전극(5)에 인가된다. 따라서, 평균 진폭(Urms)은 대략 70mV이다.
일 실시 예에서, 보상 전극(6)은 티타늄, 은 또는 철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보상 전극(6)은 탄소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 전극(5)은 치아 면의 불규칙성(균열, 작은 피트)을 보상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측정 전극(5)은 테이퍼링 단부가 팁을 향해 연장되는 세장(細長) 전극으로서 구현된다. 이는 심지어 치아 면의 가장 작은 함몰부에서 측정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이는 치아 면의 균열 또는 작은 피드에서 우식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매우 작은 변화에서 측정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1.5mm 미만의 직경을 지니는 측정 전극(5)은 이러한 목적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 전극(5) 및 그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보상 전극(6)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된다. 이는 또한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인접면들에서의 치아 간 공간들에서 측정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평면막의 캐리어 재료의 경우, 플라스틱 또는 매우 낮은 전기 전도성을 지니는 임의의 다른 물질,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캐리어 재료는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절연 층(7)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평면막의 캐리어 재료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럼으로써 치과 진료 스태프가 평면막을 통해 치아 면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캐리어 재료(다시 말하면, 절연 층(7)) 내에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이 가공되어 있다. 이 경우에,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은 내마모성 재료, 예를 들어 티타늄, 은 또는 철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 또는 탄소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평면막으로서 구현된 측정 전극(5) 및 그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보상 전극(6)은 강화 에지를 지닌다. 이는 2개의 치아 사이에(다시 말하면, 치아 간 영역에서) 평면막으로서 구현된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배치를 단순화시킨다. 마찬가지로, 이는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필름(5) 및 보상 전극(6)의 구겨짐(crumpling)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평면막의 강화 에지는 보상 전극(6)으로서 구현된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평면막의 강화 에지는 측정 전극(5)으로서 구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평면막은 2개의 측정 전극(5) 및 2개의 보상 전극(6)을 지니며, 이들은 측정 유닛(2)에 의해 서로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는, 2개의 인접한 치아 사이에 있는 치아 간 공간에 평면막을 배치한 다음에, 하나의 치아가 제1 측정 전극(5) 및 제1 보상 전극(6)을 사용하여 먼저 검사될 수 있고, 이어서 다른 하나의 치아가 제2 측정 전극(5) 및 제2 보상 전극(6)을 사용하여 검사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인접한 치아의 인접면들을 검사할 때 평면막이 단지 치아 간 영역 내에만 한 번 배치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는 특히 치아 간 영역이 좁은 경우 환자와 치과 의사에게 유리하다.
일 실시 예에서, 보상 전극(6)은 원통형 튜브로서 구현되고,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이는 원통형으로 감긴 와이어로서 구현된다. 양자 모두의 실시 예에서, 보상 전극(6)은 중앙에 배치된 측정 전극(5)을 둘러싸고 있으며 양자 모두가 절연 층(7)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보상 전극(6) 및 측정 전극(5)이 서로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보상 전극(6)이 측정 전극(5)에 대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는 측정 전극(5)에나 또는 보상 전극(6)에 탄성 요소(8)를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유리하게는, 외부에 배치된 보상 전극(6)은 스프링(8)을 통해 중앙에 배치된 측정 전극(5)에 연결된다. 여기서, 이러한 2개의 전극이 절연 층(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이하의 이점이 달성된다. 측정 전극(5)이 검사되어야 할 치아에서의 균열 또는 작은 피트들(다시 말하면, 우식이 바람직하게 발생하는 장소)로 압착되면, 보상 전극(6)의 팁은 측정 전극(5)의 팁을 따르고 양자 모두의 전극은 치아 면에 가깝게 적용된다. 결과적으로는 잘못된 측정 및 측정 변동이 줄어들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극들(4, 5, 6)은 일회용 전극으로서 구현된다. 이 경우에, 전극들(4, 5, 6)은 플러그-인 접속을 통해 측정 유닛(2)에 유리하게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측정 유닛(2)은 핸들(3)과 측정 유닛(2)만이 공통 하우징을 요구하도록 핸들(3) 내에 통합된다.
도 1은 종단면으로 보여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단면으로 보여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단면으로 보여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종단면으로 보여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종단면으로 보여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6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개략도이다.
도 7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개략도이다.
도 8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개략적인 예시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1은 종단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측정 유닛(2)과 핸들(3)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은 서로 연결되고 검사되어야 할 치아(개략적으로 예시됨) 상에 배치된다. 보상 전극(6)은 치아와의 접촉 포인트에서 튜브형(원통형) 실시 예를 지니며, 결과적으로는 측정 전극(5)을 실드(shield)한다. 기준 전극(4)은 구강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절연 겔(9)은 아직 치아의 면에 적용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종단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측정 유닛(2)은 핸들(3) 내에 통합되어 있고, 그래서 단지 하나의 공통 하우징만이 필요하다.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은 서로 연결되고 검사되어야 할 치아(개략적으로 예시됨) 상에 배치된다. 보상 전극(6)은 치아와의 접촉 포인트에서 튜브형(원통형) 실시 예를 지니며, 결과적으로는 측정 전극(5)을 실드한다. 기준 전극(4)은 구강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절연 겔(9)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전체 표면에 적용되어 있다.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이 치아와 접촉하는 포인트에서, 이들은 절연 겔(9)을 변위시킨다. 결과적으로는, 절연 겔(9)은 측정 전극(5) 주위와 보상 전극 주위에 벽-형 에지를 형성한다.
도 3은 종단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적인 예를 보여준다. 측정 유닛(2)은 핸들(3) 내에 통합되어 있고, 그래서 단지 하나의 공통 하우징만이 필요하다.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은 서로 연결되고 검사되어야 할 치아(개략적으로 예시됨) 상에 배치된다. 보상 전극(6)은 치아와의 접촉 포인트에서 원통형으로 감긴 와이어로서 구현되고 결과적으로는 측정 전극(5)을 실드한다. 기준 전극(4)은 구강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절연 겔(9)은 아직 치아의 면에 적용되어 있지 않다.
도 4는 종단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측정 유닛(2)은 핸들(3) 내에 통합되어 있고, 그래서 단지 하나의 공통 하우징만이 필요하다.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은 서로 연결되고 검사되어야 할 치아(개략적으로 예시됨) 상에 배치된다. 측정 전극(5)은 탄성 요소(8)를 사용하여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결과적으로는, 측정 전극(5)이 보상 전극(6)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배치를 지닌다. 탄성 요소(8)로서 스프링이 제공된다. 검사되어야 할 치아에서의 균열 또는 작은 피트(다시 말하면, 우식이 바람직하게 발생하는 장소) 내에 측정 전극(5)가 압착되는 경우, 보상 전극(6)의 팁은 측정 전극(5)의 팁을 따르고 양자 모두의 전극은 치아 면에 가깝게 적용된다. 보상 전극(6)은 치아와의 접촉 포인트에서 원통형으로 감긴 와이어로서 구현되고 결과적으로는 측정 전극(5)을 실드한다. 기준 전극(4)은 구강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절연 겔(9)은 아직 치아의 면에 적용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종단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측정 유닛(2)은 핸들(3) 내에 통합되어 있고, 그래서 단지 하나의 공통 하우징만이 필요하다. 측정 전극(5)과 보상 전극(6)은 서로 연결되고 검사되어야 할 치아(오른쪽 치아, 개략적으로 예시됨) 상에 배치된다.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되고 결과적으로는 오른쪽 치아의 인접면들을 검사하기 위해 치아 간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기준 전극(4)은 구강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절연 겔(9)은 아직 치아의 면에 적용되어 있지 않다.
한 대표적인 실시 예로서, 도 6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동시에, 평면막은 절연 층(7)을 나타낸다. 측정 전극(5)은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 예에서 직사각형인 평면 전극으로서 구현된다. 와이어형 전극으로서, 보상 전극(6)은 평면막에서 설정된다. 보상 전극(6)은 측정 전극(5)을 실드하도록 직사각형 측정 전극(5) 주위에 배치된다.
한 대표적인 실시 예로서, 도 7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 양자 모두는 평면막에서 직선 와이어형 전극으로 설정된다. 동시에, 평면막은 절연 층(7)을 나타낸다.
한 대표적인 실시 예로서, 도 8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동시에, 평면막은 절연 층(7)을 나타낸다. 측정 전극(5)은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 예에서 원형인 평면 전극으로서 구현된다. 와이어형 전극으로서, 보상 전극(6)은 평면막에서 설정된다. 보상 전극(6)은 측정 전극(5)을 차폐하도록 원형 측정 전극(5) 주위에 배치된다.
한 대표적인 실시 예로서, 도 9는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개략적인 예시를 통한 단면을 보여준다. 동시에, 평면막은 절연 층(7)을 나타낸다. 상기 평면막의 2개의 대향면 상에서,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은 평면막에서 각각 직선 와이어형 전극으로 설정된다. 측정 유닛(2)의 적절한 프로그래밍은 한쪽의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 또는 다른 한쪽의 측정 전극(5) 및 보상 전극(6)의 측정을 위한 활성화 및 사용을 야기한다. 이는 하나의 평면막이 상기 평면막을 교체할 필요없이 2개의 인접한 치아를 검사할 수 있게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장치
2 측정 유닛
3 핸들
4 기준 전극
5 측정 전극
6 보상 전극
7 절연 층
8 보상 전극(6)을 측정 전극(5)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탄성 요소, 예를 들어 스프링
9 절연 겔

Claims (15)

  1.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1)로서,
    - AC 전압을 생성하는 측정 유닛(2);
    - 상기 측정 유닛(2)에 접속된 기준 전극(4);
    - 상기 측정 유닛(2)에 접속된 측정 전극(5);
    - 상기 측정 유닛(2)에 접속된 보상 전극(6);
    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 전극(5)과 상기 기준 전극(4)은 교류가 상기 측정 전극(5) 및 상기 기준 전극(4) 사이에 제1 위치에서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에 흐를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측정 유닛(2)은 결과적인 전류 강도로부터 상기 임피던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전극(5)과 상기 보상 전극(6)은 동일한 전위에 있고,
    상기 측정 전극(5)과 상기 보상 전극(6) 사이에 절연 층(7)이 도포되어 2개의 전극을 서로 절연시키게 되며,
    상기 측정 유닛(2)은 검사되어야 할 치아의 적어도 2개의 위치에서의 상기 결정 동안 임피던스의 변화를 캡처하는 평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유닛(2)은 상기 임피던스 및/또는 상기 임피던스의 변화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에 접속 가능하며,
    상기 장치(1)는 상기 장치(1)가 상기 결정 동안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결정 동안 상기 측정 유닛(2)을 유지하는 핸들(3)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1)는 상기 측정 전극(5)이 구강 내 타액으로부터 절연되도록 배치되는 절연 겔(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겔(9)은 ρ> 500 Ω·m 인 전기 저항(ρ)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겔(9)은 한천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겔(9)은 염료, 바람직하게는 청색 염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2)의 출력 수단은 광학 표시 및/또는 음향 표시 및/또는 햅틱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극(4), 상기 측정 전극(5) 및/또는 상기 보상 전극(6)은 티타늄, 은 또는 철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 또는 탄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5) 및 상기 보상 전극(6)은 평면막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층(7)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3)는 전기 절연 재료,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5)은 탄성 요소(8)를 사용하여 탄성 방식으로 장착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보상 전극(6)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5)은 테이퍼링 단부(tapering end)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극(4)은 구부러진 스테인리스 와이어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2)은 단지 하나의 공통 하우징만이 요구되도록 상기 핸들(3) 내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를 사용하여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1. 검사되어야 할 치아로부터 타액을 제거하는 단계;
    2. 상기 검사되어야 할 치아에 절연 겔(9)을 도포하는 단계;
    3. 측정 전극(5)을 상기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의 제1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측정 전극(5)은 상기 치아 상에 직접 입사됨 -;
    4. 구강 내 임의의 포인트에 기준 전극(4)을 배치하는 단계;
    5. 측정 유닛(2)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전극(5)과 상기 기준 전극(4) 사이에 AC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6. 결과적인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7. 상기 AC 전압 및 상기 결과적인 전류로부터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단계;
    8. 검사되어야 할 치아 상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위치에서 단계 3 내지 7을 반복하는 단계;
    9. 임피던스가 프로세스에서 변경되어 캡처되었는지, 적어도 2개의 임피던스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방법.
  15.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기 위해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207016565A 2017-11-10 2018-11-09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871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6496.5 2017-11-10
DE102017126496.5A DE102017126496A1 (de) 2017-11-10 2017-11-10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Impedanz an einem Zahn
PCT/EP2018/080717 WO2019092164A2 (de) 2017-11-10 2018-11-0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impedanz an einem zah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195A true KR20200087195A (ko) 2020-07-20

Family

ID=6520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565A KR20200087195A (ko) 2017-11-10 2018-11-09 치아에 대한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69363A1 (ko)
EP (1) EP3706627A2 (ko)
JP (1) JP7028970B2 (ko)
KR (1) KR20200087195A (ko)
CN (1) CN111565635A (ko)
DE (1) DE102017126496A1 (ko)
WO (1) WO2019092164A2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7161A (en) * 1961-05-22 1965-09-21 Dcd Res Corp Ionization dental system
EP0000556B1 (en) * 1977-06-22 1981-03-11 C. Johan Masreliez Testing device for testing the dental pulp of a tooth
US4215698A (en) * 1978-06-08 1980-08-05 Abcor, Inc. Dental-caries detector
US4447206A (en) * 1982-01-18 1984-05-08 Junji Ushiyama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pical constriction in root canal of tooth
CN86202428U (zh) * 1986-04-24 1987-10-03 河北省滦南县医院 口腔阻抗测定仪
GB8706872D0 (en) * 1987-03-23 1987-04-29 Nat Res Dev Prophylactic/therapeutic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DE3719911C2 (de) * 1987-06-15 1994-02-10 Michael Dr Med Gente Vorrichtung zum Bestimmen des elektrischen Widerstandes von Zähnen
GB9610101D0 (en) * 1996-05-15 1996-07-24 Univ Dundee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dental caries
GB2339912B (en) * 1998-07-20 2002-06-05 Univ Bristol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moisture level within enamel dentine or tooth tissue
US6866509B2 (en) 2000-08-09 2005-03-15 Charles D. Jensen Dental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7758342B2 (en) 2002-07-26 2010-07-20 Aseptico, Inc. Detecting and indicating a proximity of a dental instrument to a tooth apical foramen
FI115109B (fi) * 2003-01-22 2005-02-28 Nokia Corp Tunnistusjärjestely ja tunnistusjärjestelyn käsittävä matkaviestin
DE112004001035B4 (de) * 2003-06-11 2014-09-11 Toei Electric Co., Ltd. Vorrichtung zur Positionsermittlung einer Zahnwurzelspitze
JP2008514328A (ja) 2004-10-01 2008-05-08 アイディーエムオーエス ピーエルシー 歯科用電極アセンブリ
JP5099412B2 (ja) * 2006-03-11 2012-12-1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変性粘土を用いた膜
JP2009045376A (ja) * 2007-08-23 2009-03-05 Morita Mfg Co Ltd 根尖位置検出装置
EP2101408B1 (en) 2008-03-11 2012-05-16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 Recherche et Développement Floating front-end amplifier and one-wire measuring devices
WO2009125237A1 (fr) * 2008-04-07 2009-10-15 Maillefer Instruments Holding Sarl Procede et dispositif pour determiner la position apicale dans un canal de racine dentaire
EP2496173B1 (en) * 2009-11-06 2017-09-13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Device for the detection of non-cavitated early dental caries lesions
EP2345388A1 (en) 2010-01-14 2011-07-20 Endosafe GmbH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apex of a dental root canal
KR101499032B1 (ko) * 2013-11-20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EP2976965A1 (en) * 2014-07-22 2016-01-27 Braun GmbH Fastenable device for oral cavity position detection
US10568572B2 (en) 2016-03-14 2020-02-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Headsets and electrodes for gathering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2164A3 (de) 2019-07-04
JP7028970B2 (ja) 2022-03-02
WO2019092164A2 (de) 2019-05-16
EP3706627A2 (de) 2020-09-16
DE102017126496A1 (de) 2019-05-16
US20210169363A1 (en) 2021-06-10
CN111565635A (zh) 2020-08-21
JP2021502188A (ja)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34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вторичного кариеса зубов
Lussi et al. Performance of a new laser fluorescence device for the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in vitro
Lussi et al. Performance and reproducibility of a laser fluorescence system for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in vitro
Hibst et al.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by laser fluorescence: basic and clinical investigations
Lussi et al. Performance of conventional and new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in deciduous teeth
Hoer et al. The accuracy of electronic working length determination
Amaechi Emerging technologies for diagnosis of dental caries: The road so far
US64248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moisture level within enamel dentine or tooth tissue
US20160183839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Non-Cavitated Early Dental Caries Lesions
ES2217416T3 (es) Aparato para la deteccion de caries dental.
US6491522B1 (en) Dental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Jablonski-Momeni et al. Use of AC impedance spectroscopy for monitoring sound teeth and incipient carious lesions
JP7028970B2 (ja) 歯のインピーダンスを判定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Sannino et al. Impedance spectroscopy for monitoring sound teeth and carious lesions
Fouad The use of electronic apex locators in endodontic therapy
Sannino et al. Preliminary impedance spectroscopy study for carious lesions detection
JPH08233758A (ja) 初期う蝕検出装置
Marcondes et al. Performance of near-infrared light transillumination in the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lesions in deciduous teeth
Liu et al. The Diagnosis for Caries
Nayif evaluation of accuracy of two electronic apex locators of different frequencies in dry and wet condition.(in vitro study)
Lynch Clinical occlusal caries detection methods to use in the general practice
Mathai New technologies for clinical diagnosis of ca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