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032B1 -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032B1
KR101499032B1 KR20130141117A KR20130141117A KR101499032B1 KR 101499032 B1 KR101499032 B1 KR 101499032B1 KR 20130141117 A KR20130141117 A KR 20130141117A KR 20130141117 A KR20130141117 A KR 20130141117A KR 101499032 B1 KR101499032 B1 KR 10149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sseointegration
dental implant
unit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화
김훈희
민성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4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032B1/ko
Priority to PCT/KR2014/005304 priority patent/WO20150764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4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for testing vitality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는 전압원으로부터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을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인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한 전압 인가부; 상기 인가된 전압에 의해 골 조직과 임플란트에 발생한 유동전위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를 포함한 탐지부; 상기 탐지부에 연결된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포함한 증폭부; 상기 전압 인가부와 증폭부에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전위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 사이의 골융합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Osseointegration diagnostic equipment and diagnostic method for dental impla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s)는 수술 과정을 통해 치과용 보형물을 환자의 상악이나 하악골 내에 이식하는 장치로서 치과 보철물의 변위를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부분이 잇몸에서 나와 직접 지대치에 연결되는 치은 관통형 구조이거나 또는 단지 가철식 보철물의 지지를 위해 잇몸 내에 완전히 묻히는 구조로 시술된다.
이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골내에 위치되는 임플란트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 내에 이식되는 고정체, 구강 내에 돌출되는 지대치, 및 이들을 연결해 주는 연결체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고정체를 이식하는 과정은 치조골을 절제해내는 외과적 시술을 필요로 한다. 외과적 술식을 통해서 임플란트 고정체와 골과의 유착은 골 대사가 정상적으로 일어나야 성공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데, 골 대사에 있어서 Ca의 역할이 제대로 작용한 경우에 성공적이고 완벽한 골과 임플란트의 골 융합이 이루어진다.
종래에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 후에 골융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사진 판정법,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타진 방법, 및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방법 등과 같은 방법으로 매크로 스케일에서의 골융합 상태를 진단한다.
하지만, 종래에 골융합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은 매크로 스케일에서 진단하기에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
또한, 치과 임플란트와 골조직의 골융합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한 근거 없이 시술자 또는 분석자의 노하우에 의해서 골융합 정도를 판정하므로, 치과 임플란트와 골조직의 골융합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7517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 임플란트와 골조직의 골융합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정하기 위한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과 임플란트와 골조직의 골융합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정하기 위한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를 이용한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는 전압원으로부터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을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인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한 전압 인가부; 상기 인가된 전압에 의해 골 조직과 임플란트에 발생한 유동전위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를 포함한 탐지부; 상기 탐지부에 연결된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포함한 증폭부; 상기 전압 인가부와 증폭부에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전위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 사이의 골융합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이동평균법(moving average method)을 이용한 연산처리로 상기 유동전위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골 조직과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에서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전압원과 상기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압원의 전압을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으로 감압하는 전압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방법은 (A) 전압 인가부의 전극을 통해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을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인가하는 단계; (B) 제어부는 이동평균법을 이용하여 유동전위의 검출신호에 대해 0점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상기 0점 조정을 수행한 신호 데이터에 대해 국부 관찰창을 설정하고 1차 역치를 선정하며, 상기 1차 역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개수 중 상기 1차 역치를 넘어선 값에 대해 2차 역치를 선정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국부 관찰창을 포함한 광역 관찰창(wide window)에서 최종적으로 카운팅된 값을 3차 역치로 선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 역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도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골융합 판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방법에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전압에 의해 상기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발생한 유동전위를 탐지부의 프로브를 통해 검출하는 단계; 및 (A-2) 상기 유동전위를 포함한 신호가 증폭부의 차동 증폭기에 의해 노이즈가 1차 제거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평균법으로 반복기간 내의 개별값을 순차적으로 산술평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방법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1차 역치를 선정하기 위한 선정 기준값으로 0V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방법은 상기 (E) 단계에서의 상기 3차 역치가 상기 광역 관찰창에 대해 절대값 0V를 갖는 국부 관찰창의 개수를 최종적으로 카운팅한 값 또는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는 증폭부의 차동 증폭과 제어부에서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연산처리를 통해 유동전위의 신호 검출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유동전위의 특성을 분석하여, 골 조직과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도를 객관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은 노이즈 요인을 제거하고 유동전위에 관한 특성을 명확하게 검출하여 치과 임플란트와 골조직의 골융합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단일 역치를 이용한 신호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이중 역치를 이용한 신호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융합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실험 모사 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융합 진단 방법에 의해 처리된 신호 그래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100)는 전압원(110)으로부터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을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인가하기 위한 두 개의 전극(101,102)을 포함한 전압 인가부, 인가된 전압에 의해 골 조직과 임플란트에 발생한 유동전위를 검출하기 위한 두 개의 프로브(121,122)를 포함한 탐지부, 탐지부에 연결된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포함한 증폭부(120), 전압 인가부와 증폭부(120)에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30), 및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유동전위의 측정값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 사이의 골융합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전압 인가부는 전압원(110)과 전압원(110)에 연결된 두 개의 전극(101,102)을 포함하여, 전압원(110)으로부터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을 두 개의 전극(101,102)을 통해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인가한다. 여기서, 두 개의 전극(101,102)은 예컨대 티타늄 등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한쪽의 전극은 치과 임플란트에 닿게 하고 다른 쪽의 전극은 주변 골조직에 닿아 전압원(110)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전압 인가부는 전압원(110)의 전압을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으로 감압하는 전압 변환기(도시하지 않음)를 전압원(110)과 두 개의 전극(101,102)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
탐지부는 골 조직에 닿는 프로브(121)와 임플란트에 닿는 프로브(122)를 통해 골 조직과 임플란트에 발생한 유동전위(streaming potential)를 검출한다. 여기서, 유동전위(streaming potential)는 골 조직과 임플란트의 골융합 상태가 완벽하지 못한 경우 즉, 접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임플란트와 골조직 사이의 틈으로 골조직 내의 유체가 흐르게 된다. 하지만 임플란트와 골조직의 골융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골조직과 임플란트 사이의 틈이 없게 되며 유체가 임플란트와 골조직 사이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골융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와 골조직 사이에 프로브(121,122)를 통해 검출된 유동전위는 유체의 유동이 없기 때문에 0V가 된다.
증폭부(120)는 두 개의 프로브(121,122)를 통해 전달된 유동전위를 포함한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1차 제거하기 위한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고, 이렇게 노이즈를 제거한 유동전위의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전압 인가부와 증폭부(120)에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여, 전압 인가부의 전압원(110)에서 두 개의 전극(101,102)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증폭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해 실시간으로 이동평균법(moving average method)을 이용한 연산처리로 유동전위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골 조직과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100)는 증폭부(120)의 차동 증폭과 제어부(130)에서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연산처리를 통해 유동전위의 신호 검출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유동전위의 특성을 분석하여, 골 조직과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도를 객관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단일 역치를 이용한 신호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3은 이중 역치를 이용한 신호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융합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실험 모사 장치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융합 진단 방법에 의해 처리된 신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100)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에서 신호 검출을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단일 역치법과 이중 역치법이 사용된다.
단일 역치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대 잡음 비를 관찰하여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신호의 활성화로 판별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지만, 오차의 크기가 설정된 역치(210)에 상당히 의존적이다.
단일 역치법에 의해 정해진 단일 역치를 초과하여 나타나는 신호의 검출 확률 Pdk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3105444387-pat00001
[수학식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 역치법은 노이즈의 크기와 관련하여 진폭의 크기에 따른 단일 역치값으로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기 때문에, 역치가 잘못 설정될 경우에 신호의 오검출의 확률이 높으며, 화이트 가우시안 잡음이 아닌 다른 잡음, 즉 잡음의 크기를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더욱 신호의 오검출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일 역치값에 따른 신호 오검출의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중 역치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중 역치법은 우선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시간 내에 발생한 신호의 개수 m으로 관찰창(320)의 크기를 정하고, 정해진 관찰창(320) 내에서 1차 역치(310)를 초과한 신호의 개수를 이차 역치로 정하여 이 두 개의 역치를 이용하여 신호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시간 내에 발생한 신호의 개수 m 중 일차 역치(310)를 초과한 연속적인 신호 m0 개 중에서 k개의 신호가 발생할 확률 Pr 은 연속적인 베르누이 시도(repetition of Bernoulli trials)의 결과로 이항분포의 형식이 되며, 이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3105444387-pat00002
그리고, 일차 역치(310)를 초과한 연속적인 신호 m0 개 중에서 이차 역치인 r0 개 이상 발생할 확률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3105444387-pat00003
여기서, 신호가 이중 역치를 초과하여 검출될 확률 Pd 와 상기 검출된 신호 중 오류일 확률 Pfa 은 각각 [수학식 4] 및 [수학식 5]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13105444387-pat00004
신호가 이중 역치를 초과하여 검출될 확률 Pd는 일차 역치를 초과한 연속적인 신호 m0 개 중에서 이차 역치인 r0 개 이상 발생하며, 일차 역치를 초과하여 나타날 신호의 확률은 Pdk 로 이항분포의 형식이 된다.
Figure 112013105444387-pat00005
신호가 이중 역치를 초과한 것으로 검출되었으나, 상기 검출된 신호 중 오류일 확률 Pfa 은 연속적인 신호 m0 개 중에서 이차 역치인 r0 개 이상 발생하며, 잡음의 발생 확률은
Figure 112013105444387-pat00006
은 로 마찬가지로 이항분포의 형식이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국부 관찰창(320)의 크기 m은 20이고,
Figure 112013105444387-pat00007
는 일차 역치(310)로 잡음의 최대값이며, 이차 역치 r0는 1인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실제 신호가 아닌 잡음에 의한 확률 Pfa 를 관찰할 수 있고, 이러한 원인은 r0 값이 너무 작게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100)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은 상기와 같이 실제 신호가 아닌 잡음에 의한 확률 Pfa를 줄이고, 차동 증폭과 이동평균법을 이용하여 유동전위의 신호 검출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은 먼저 유동전위의 측정을 위해 전압 인가부의 전극(101,102)을 통해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을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인가한다(S410).
이때, 실제로 인체의 골조직과 치과 임플란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두 개의 저장단(reservior: 511,512) 사이에 39mm 길이에 0.5mm 폭의 미세 유체 유동관(510)을 구비한 실험 모사 장비를 통해 모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저장단(511,512)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은 전압 인가부의 전극(101,102)을 통해 임플란트된 치아와 주변 골 조직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과 동일하다. 실험 모사 장비의 미세 유체 유동관(510)은 임플란트가 주변 골조직에 골융합이 되지 않아 골조직의 미세 유체 유동이 발생한 것을 모사한 것이다.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전압을 인가하면 내부 유체는 인가된 전압에 의해 유동한다.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생한 유동전위신호를 포함한 신호는 탐지부의 프로브(121,122)를 통해 검출되고, 증폭부(120)의 차동 증폭기에 의해 노이즈가 1차 제거되어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여기서, 유동전위의 측정은 유동전위 이외의 많은 노이즈에 노출된 환경에서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이즈는 미세한 유동전위(streaming potential)의 정확한 측정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원신호와 함께 측정되는 노이즈를 1차 제거하기 위해서 차동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노이즈를 1차 제거한 유동전위의 검출신호에 대해, 제어부(130)는 이동평균법을 이용하여 0점 조정을 수행한다(S420).
여기서, 이동평균법이란 단기변동에서 나타나는 불규칙성을 제거하고 특정 반복기간 내에 개별값을 순차적으로 산술평균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신호의 장기적 변동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0점 조정은 노이즈를 1차 제거한 유동전위의 검출신호에 대해 이동평균법으로, 예를 들어 5초 동안의 데이터를 산술평균하고 기존의 데이터에서 산술평균값을 차감한다.
0점 조정을 수행한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어부(130)는 1차 역치 범위를 선정하고 1차 역치 범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비교한다(S430).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0.5초 단위의 국부 관찰창(window: 320)을 선정하고 1차 역치 범위를 선정하기 위한 선정 기준값으로 절대값 0V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절대값 0V의 의미는 골조직과 치과 임플란트 사이의 골 융합이 완벽하면 유동전위가 발생하지 않아 0V로 검출되는 특징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상한값과 하한값을 갖는 1차 역치(210)의 범위 및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1차 역치의 최대값(310)을 포함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1차 역치의 범위는 중간값으로 0V를 갖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선정된 국부 관찰창(320) 내부에서 신호의 개수가 예컨대 50개일 때, 각각의 신호에 대해 1차 역치의 범위를 이용하여 비교한다.
1차 역치의 범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비교한 후, 제어부(130)는 실제 데이터 개수 중 1차 역치의 범위를 넘어선 데이터 개수를 2차 역치로 선정한다(S440).
예를 들어, 1초당 100개의 데이터가 측정되는 경우에 1차 역치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개수가 80개 이상이면 절대값 0V로 측정되지만, 100개의 데이터 중 1차 역치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개수가 80개 미만이면 절대값 0V 이상의 값으로 수십미리볼트의 전압이 검출된다.
이때 2차 역치는 100개의 데이터 중 1차 역치의 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의 개수로 선정되어 카운팅된다.
2차 역치를 선정한 후, 제어부(130)는 각각의 국부 관찰창(320)을 포함한 광역 관찰창(wide window)에서 최종적으로 카운팅된 값을 3차 역치로 선정한다(S450).
여기서, 3차 역치는 예컨대 10개의 국부 관찰창(320)을 포함하는 10초의 광역 관찰창에서 절대값 0V를 갖는 국부 관찰창의 개수를 최종적으로 카운팅한 값 또는 비율로서, 외부의 노이즈 요인을 99.9% 이상 제거하여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10개의 국부 관찰창(320) 중 절대값 0V를 갖는 국부 관찰창의 개수가 8개이면, 3차 역치는 8의 값 또는 8/10의 비율로 선정되어 임플란트의 골융합이 제대로 이루어진 상태임을 나타낸다.
반면에 10개의 국부 관찰창(320) 중 절대값 0V를 갖는 국부 관찰창의 개수가 8개 미만이면, 3차 역치는 절대값 0V를 갖는 국부 관찰창의 개수로 선정되어 임플란트의 골융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낸다.
이후, 제어부(130)는 3차 역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도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골융합 판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4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100)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은 증폭부의 차동증폭기를 통해서 나온 신호를 이동평균법(moving average method)를 사용하여 실시간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21,122)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 그래프(Ⅰ)에서 노이즈 요인을 제거하고 유동전위에 관한 특성을 나타낸 신호 그래프(Ⅱ)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그래프(Ⅱ)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도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서, 제어부(130)는 골조직과 치과 임플란트 사이의 골 융합이 완벽하면 유동전위가 발생하지 않아 0V로 검출되는 특징을 기준으로 검출된 유동전위의 수치에 따라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도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판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100)를 이용한 골융합 진단 방법은 노이즈 요인을 제거하고 유동전위에 관한 특성을 명확하게 검출하여 치과 임플란트와 골조직의 골융합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101,102: 전극
110: 전압원 120: 증폭부
121,122: 프로브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전압원으로부터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을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에 인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한 전압 인가부;
    상기 인가된 전압에 의해 골 조직과 임플란트에 발생한 유동전위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를 포함한 탐지부;
    상기 탐지부에 연결된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포함한 증폭부;
    상기 전압 인가부와 증폭부에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전위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치과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 사이의 골융합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이동평균법(moving average method)을 이용한 연산처리로 상기 유동전위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골 조직과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전압원과 상기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압원의 전압을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압으로 감압하는 전압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130141117A 2013-11-20 2013-11-20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149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117A KR101499032B1 (ko) 2013-11-20 2013-11-20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PCT/KR2014/005304 WO2015076471A1 (ko) 2013-11-20 2014-06-17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117A KR101499032B1 (ko) 2013-11-20 2013-11-20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032B1 true KR101499032B1 (ko) 2015-03-06

Family

ID=5302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1117A KR101499032B1 (ko) 2013-11-20 2013-11-20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9032B1 (ko)
WO (1) WO20150764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2164A3 (de) * 2017-11-10 2019-07-04 Philipps-Universität Marbur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impedanz an einem zah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70B1 (ko) * 2010-05-25 2013-02-05 한국세라믹기술원 Rfa를 이용한 골융합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442A (ko) * 2003-01-07 2004-07-14 주식회사 태산솔루젼스 치조골 융합 촉진기기
KR100852627B1 (ko) * 2007-04-23 2008-08-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과 임플란트 사이의 골유착된 골접촉 면적의 측정 장치 및 방법
PL2493549T3 (pl) * 2009-10-29 2019-09-30 Magdent Ltd. Urządzenie implantacyjne do stymulacji osteogenezy i osteointegracji
KR101222672B1 (ko) * 2010-05-25 2013-01-28 한국세라믹기술원 Rfa를 이용한 골융합 측정 장치
TWI449518B (zh) * 2011-11-15 2014-08-21 Univ Nat Central 牙科植體骨整合期之骨缺損檢測系統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70B1 (ko) * 2010-05-25 2013-02-05 한국세라믹기술원 Rfa를 이용한 골융합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2164A3 (de) * 2017-11-10 2019-07-04 Philipps-Universität Marbur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impedanz an einem zah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6471A1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ssmann Dental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are essential for evidence-based prosthetic dentistry
KR101868979B1 (ko)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ario et al. Electronic monitoring of dental implant osseointegration
US911954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condary dental caries diagnosis
Yamamoto et al. Validity of a questionnaire for periodontitis screening of Japanese employees
Zhao et al. Test-retest variability of distortion-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in human ears with normal hearing
Bural et al. Initial stability measurements of implants using a new magnetic resonance frequency analyzer with titanium transducers: an ex vivo study
Bocaege et al. Disturbances and noise: Defining furrow‐form enamel hypoplasia
SG10201902460VA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Data For Defects In An Electrode Lead
Leher et al.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reliable measur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signs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examiners?
Meirelles et al. Quantitative tooth mobility evaluation based on intraoral scanner measurements
EP1114612A2 (en) Hearing evaluation device with noise detection and evaluation capability.
KR101499032B1 (ko) 치과 임플란트 골융합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Goellner et al. Correlations between photogrammetric measurements of tooth mobility and the Periotest method
Abdullah et al.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iodontal status of a selected Malaysian adult population: a pilot study
Neagu et al. Investigating pupillometry as a reliable measure of individual’s listening effort
Lages et al. Relationship between implant stability on the abutment and platform level by means of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A cross-sectional study
Mehta et al. Duration of ambulatory monitoring needed to accurately estimate voice use
KR101709058B1 (ko) 구취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Fultz et al. Maximum expected information approach for improving efficiency of categorical loudness scaling
Idzkowski et al. 488. Evaluation of the static posturograph platform accuracy.
RU26543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диагностики твердых тканей зуба
COSTA BATISTA BERBERT et al. MAXIMUM PROTRUSIVE TONGUE FORCE IN HEALTHY YOUNG ADULTS.
Rezende et al.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and instrumental assessment of the tongue in healthy young adults
KR20110099117A (ko) 상처의 진단 및 치료, 및 상처의 예후를 위한 전자 마커들의 표시 방법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