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933A -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933A
KR20200086933A KR1020190003324A KR20190003324A KR20200086933A KR 20200086933 A KR20200086933 A KR 20200086933A KR 1020190003324 A KR1020190003324 A KR 1020190003324A KR 20190003324 A KR20190003324 A KR 20190003324A KR 20200086933 A KR20200086933 A KR 20200086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ouch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328B1 (ko
Inventor
최은석
김현태
강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0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328B1/ko
Priority to US17/058,060 priority patent/US20210159535A1/en
Priority to EP20738746.5A priority patent/EP3780217A4/en
Priority to CN202080002680.4A priority patent/CN112119525A/zh
Priority to PCT/KR2020/000499 priority patent/WO2020145737A1/ko
Publication of KR2020008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275
    • H01M2/1061
    • H01M2/1072
    • H01M2/2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뤄지는 활성화 공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1셀과 제2셀 각각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1셀과 제2셀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셀과 제2셀의 양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고 음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셀과 제2셀 각각은 상기 제1셀과 제2셀 각각이 제공되는 단계 이전에 개별적으로 활성화 공정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제1셀 및 제2셀 각각이 활성화 공정을 거친 후 후에 적층 및 접착이 이뤄지므로, 종래의 중소형 충방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에너지 밀도가 요구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소형 충방전기를 활용하여 활성화 공정이 이뤄질 수 있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전지셀 1개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한 반면에,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Portable DVD), 소형 PC(Personal Computer),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형 또는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지셀을 조립하는 과정과 전지를 활성화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 때, 전지 활성화 공정은 통상 양극, 음극 접점장치를 갖는 충방전용 장치가 충방전 대상인 전지셀에 전류 인가 및 방전을 반복하고 일정시간 에이징을 거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장치는 전지셀이 고정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고정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으로 연결되어 충방전하는 접점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에 탑재되는 이치전지의 경우에는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두께가 크게 제작되고 있다.
두께를 증가시키되 공정이 단순화된 고용량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하나의 파우치에 두 개의 전극조립체가 탑재되는 모습이 도시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두 개의 안착부(도 1 에서 전극조립체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파인 부분)(1a)가 형성된 하나의 파우치(1)에 전극조립체들(2) 각각을 안착시킨 후, 상기 안착부들(1a) 중앙(1b)을 폴딩하여 두께가 증가된 형태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바이셀(bi-cell)의 수가 많아질 경우 폴딩 공정이 더 복잡해지고 기존의 장치들의 개조가 요구되는 문제에 있어서는 유리한 점이 있었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충방전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두께 증가에 의해 충방전장치의 트레이에 고정안착되기 위해선 장치의 튜닝이 요구되었고 접점장치의 활주위치 또한 수정이 이뤄져야 했다. 또한, 용량이 증대되어 기존의 충방전장치의 충전용량으로는 활성화 공정이 원활하게 이뤄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또는 두 개 이상의) 전극조립체를 가짐으로써 용량은 증대되되 기존에 사용하던 충방전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화 공정이 이뤄질 수 있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뤄지는 활성화 공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써,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1셀과 제2셀 각각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1셀과 제2셀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셀과 제2셀의 양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고 음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셀과 제2셀 각각은 상기 제1셀과 제2셀 각각이 제공되는 단계 이전에 개별적으로 활성화 공정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극리드끼리의 접합과 양극리드끼리의 접합은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접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제1셀의 파우치와 제2셀의 파우치 각각은 서로 평행한 두 개의 평면이 형성된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셀과 제2셀을 적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셀의 파우치의 평면 중 하나와 제2셀의 파우치의 평면 중 하나가 서로 맞닿게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제1셀과 제2셀은 서로의 양극리드 및 서로의 음극리드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즉, 병렬로 연결되게)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제1셀의 파우치와 제2셀의 파우치 사이에 제1셀과 제2셀을 서로 접착시키는 테이프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테이프이다.
또는, 상기 테이프를 대신하여 상기 제1셀의 파우치와 제2셀의 파우치 사이에 제1셀과 제2셀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셀의 파우치와 제2셀의 파우치는 동일한 모양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제3셀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3셀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2셀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셀과 결합된 제2셀에 상기 제3셀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셀과 제3셀의 양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고 음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셀은 제3셀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단계 이전에 개별적으로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루어지는 활성화 공정을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셀의 파우치는 제1셀의 파우치 및 제2셀의 파우치와 접착가능한 모양을 갖는다. 상기 제2셀의 파우치와 제3셀의 파우치 사이에 제2셀과 제3셀을 서로 접착시키는 테이프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셀의 파우치와 제3셀의 파우치 사이에 제2셀과 제3셀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뤄지는 활성화 공정을 거쳐 제조된 이차전지에 있어서,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활성화 공정을 거친 제1셀; 및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활성화 공정을 거치고, 상기 제1셀에 적층되되 상기 음극리드와 양극리드는 상기 제1셀의 음극리드와 양극리드 각각과 병렬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제2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셀과 제2셀은 적층되어 서로 접촉하는 면에서 접착이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3셀 추가될 수 있다. 즉,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활성화 공정을 거치고, 상기 제1셀의 반대 위치에 제2셀에 적층되되 상기 음극리드와 양극리드는 상기 제1셀 및 제2셀의 음극리드와 양극리드 각각과 병렬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제3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3셀과 제2셀은 적층되어 서로 접촉하는 면에서 접착이 이뤄진다.
상기 제1셀과 제2셀의 접착은 상기 제1셀과 제2셀 사이에 적층되는 테이프에 의해 이뤄지거나 접착제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제1셀 및 제2셀 각각이 활성화 공정을 거친 후 후에 적층 및 접착이 이뤄지므로, 종래의 중소형 충방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제1셀과 제2셀은 병렬로 연결되므로 충전용량이 증대될 수 있고, 제3셀이 추가되어 충전용량이 더 증대될 수 있다.
도 1 은 하나의 파우치에 두 개의 전극조립체가 탑재되는 모습이 도시된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2a 는 제1셀과 제2셀 각각의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2b 는 제1셀이 충방전장치에 장착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2c 는 제1셀과 제2셀이 적층되기 전의 모습(아랫쪽 그림)과 적층된 후의 모습(윗쪽 그림)이 도시된 사시도.
도 2d 는 제1셀과 제2셀의 평면도 및 상기 제1셀과 제2셀이 적층됐을 때의 측면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3 은 제1셀과 제2셀 및 제3셀이 적층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두 개(또는 두 개 이상)의 전극조립체들을 가짐으로써 용량은 증대되되 기존에 사용하던 충방전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화 공정이 이뤄질 수 있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은 기존의 중소형 충방전 장치를 사용하되 용량이 증대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1실시예로써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순서가 표기된 도 4 에 도시된 바 같이, 제1셀과 제2셀 각각이 제공되는 단계, 제1셀과 제2셀이 적층되는 단계 및 제1셀과 제2셀의 리드들(양극리드, 음극리드)끼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셀과 제2셀 각각은 개별적으로 활성화 공정이 이뤄진 상태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셀과 제2셀 각각의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모습이 도시된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셀(10)과 제2셀(20) 각각은 파우치(11, 21)에 전극조립체(12, 22) 및 전해액(미도시)이 내장되어 제공되되 활성화 공정이 이뤄진 상태에서 제공된다.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에서 양극리드(12a, 22a) 및 음극리드(12b, 22b) 각각은 파우치(11, 21)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파우치(11, 21)는 안착부(11a)에 전극조립체(12, 22)가 내장된 상태에서 테두리를 따라 씰링이 이뤄진 상태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은 제1셀(10)이 충방전장치(30)에 장착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된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하던 중소형 충방전장치(30)를 통해 활성화 공정이 이뤄진다.
상기 충방전장치(30)는 전지셀(제1셀 또는 제2셀)이 안착고정될 수 있는 트레이(31) 및 전극조립체의 양극리드(12a, 22a) 및 음극리드(12b, 22b)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점장치(32)를 포함하며, 안착된 전지셀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전류를 방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방전장치(30)를 통해 반복적으로 충방전이 이뤄진 전지셀은 트레이에서 탈착된 후, 일정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는 공간에서 에이징(aging) 과정을 거쳐 활성화 공정이 완료된다.
각각 개별적으로 활성화 공정이 완료된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은 적층이 이뤄진다. 즉, 제1셀과 제2셀이 적층되기 전의 모습(아랫쪽 그림)과 적층된 후의 모습(윗쪽 그림)이 도시된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셀(10)의 파우치(11)와 제2셀(20)의 파우치(21) 각각은 서로 평행한 두 개의 평면이 형성된 서로 동일한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을 적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셀(10)의 파우치(11)의 평면 중 하나와 제2셀(20)의 파우치(21)의 평면 중 하나가 서로 맞닿게 적층된다.
이때, 각각의 파우치(11, 21)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더 넓은 일면끼리 접착되되, 테이프(40)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의 양극리드(12a, 22a) 및 서로의 음극리드(12b, 22b)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이 적층되기 전에, 제1셀(10)의 파우치(11)와 제2셀(20)의 파우치(21) 사이에 테이프(40)가 부착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셀(10)의 파우치(11)와 제2셀(20)의 파우치(21)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프(40)는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테이프(40)와 접착제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의 파우치들(11, 21)끼리 접합된 상태에서, 제1셀과 제2셀의 평면도 및 상기 제1셀과 제2셀이 적층됐을 때의 측면모습이 도시된 도 2d 를 참조하면, 제1셀(10)과 제2셀(20)은 병렬로 연결되도록 양극리드(12a, 22a)는 양극리드들(12a, 22a)끼리 그리고 음극리드(12b, 22b)는 음극리드들(12b, 22b)끼리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음극리드끼리의 접합과 양극리드끼리의 접합은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접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2실시예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제3셀(50)이 추가로 적층되는 구성을 제2실시예로써 추가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단계들에서, 제3셀(50)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어 적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추가적으로,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3셀(50)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제2셀(20)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셀(10)과 결합된 제2셀(20)에 상기 제3셀(50)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셀(20)과 제3셀(50)의 양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고 음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셀(50) 또한 개별적으로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루어지는 활성화 공정을 거친 후에 제공이 이뤄진다.
상기 제3셀(50)의 파우치는 제1셀(10)의 파우치(11) 및 제2셀(20)의 파우치(21)와 접착가능한 모양을 가지면 특별히 모양에 제한되지 않으나, 제1셀과 제2셀 및 제3셀이 적층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된 도 3 을 참조하면, 중간에 위치하는 제2셀(20)은 양면에서 접착이 이뤄지도록 제1셀(10)과 제3셀(50) 각각의 파우치에서 넓은 면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면이 양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셀(50)은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통해 제2셀(20)과 접착이 이뤄지며, 제3셀(50)의 음극리드와 양극리드는 병렬로 연결되도록 제1셀과 제2셀의 음극리드와 양극리드 각각과 접합된다.
제3실시예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차전지는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뤄지는 활성화 공정을 거쳐 제조된 이차전지로써, 각각이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활성화 공정을 거친 제1셀(10)과 제2셀(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은 각각의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접합되며, 서로 접촉하는 면에서 접착이 이뤄진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제1셀(10)과 제2셀(20)에 제3셀(50) 추가될 수 있다. 즉, 제1셀(10)이 접착된 제2셀(20)의 반대쪽 면에 제3셀(50)이 추가로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셀(10)과 제2셀(20) 및 제3셀(50) 모두는 활성화 공정을 거친 상태에서 접착이 이뤄지며, 제1셀(10)과 제2셀(20) 사이와 제2셀(20)과 제3셀(50) 사이에는 테이프가 부착되거나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이 이뤄지고, 제1셀과 제2셀 및 제3셀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셀 외에도 제4셀, 제5셀 순서로 추가로 적층이 이뤄진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제1셀(10) 및 제2셀(20) 각각이 활성화 공정을 거친 후 후에 적층 및 접착이 이뤄지므로, 종래의 중소형 충방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
제1셀(10)과 제2셀(20)은 병렬로 연결되므로 충전용량이 증대될 수 있고, 제3셀, 제4셀 순서로 추가되어 충전용량이 더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 제1셀
11, 21 : 파우치
20 : 제2셀
30 : 충방전장치
40 : 테이프
50 : 제3셀

Claims (15)

  1.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뤄지는 활성화 공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1셀과 제2셀 각각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1셀과 제2셀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셀과 제2셀의 양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고 음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셀과 제2셀 각각은 상기 제1셀과 제2셀 각각이 제공되는 단계 이전에 개별적으로 활성화 공정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리드끼리의 접합과 양극리드끼리의 접합은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의 파우치와 제2셀의 파우치 각각은 서로 평행한 두 개의 평면이 형성된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셀과 제2셀을 적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셀의 파우치의 평면 중 하나와 제2셀의 파우치의 평면 중 하나가 서로 맞닿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과 제2셀은 서로의 양극리드 및 서로의 음극리드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의 파우치와 제2셀의 파우치 사이에 제1셀과 제2셀을 서로 접착시키는 테이프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의 파우치와 제2셀의 파우치 사이에 제1셀과 제2셀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의 파우치와 제2셀의 파우치는 동일한 모양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3셀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2셀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셀과 결합된 제2셀에 상기 제3셀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셀과 제3셀의 양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고 음극리드들끼리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셀은 제3셀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단계 이전에 개별적으로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루어지는 활성화 공정을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셀의 파우치는 제1셀의 파우치 및 제2셀의 파우치와 접착가능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의 파우치와 제3셀의 파우치 사이에 제2셀과 제3셀을 서로 접착시키는 테이프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의 파우치와 제3셀의 파우치 사이에 제2셀과 제3셀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3. 충방전 및 에이징이 이뤄지는 활성화 공정을 거쳐 제조된 이차전지에 있어서,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활성화 공정을 거친 제1셀; 및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활성화 공정을 거치고, 상기 제1셀에 적층되되 상기 음극리드와 양극리드는 상기 제1셀의 음극리드와 양극리드 각각과 병렬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제2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셀과 제2셀은 적층되어 서로 접촉하는 면에서 접착이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파우치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활성화 공정을 거치고, 상기 제1셀의 반대 위치에 제2셀에 적층되되 상기 음극리드와 양극리드는 상기 제1셀 및 제2셀의 음극리드와 양극리드 각각과 병렬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제3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3셀과 제2셀은 적층되어 서로 접촉하는 면에서 접착이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과 제2셀의 접착은 상기 제1셀과 제2셀 사이에 적층되는 테이프에 의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90003324A 2019-01-10 2019-01-10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45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24A KR102452328B1 (ko) 2019-01-10 2019-01-10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17/058,060 US20210159535A1 (en) 2019-01-10 2020-01-10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0738746.5A EP3780217A4 (en) 2019-01-10 2020-01-10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202080002680.4A CN112119525A (zh) 2019-01-10 2020-01-10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PCT/KR2020/000499 WO2020145737A1 (ko) 2019-01-10 2020-01-10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24A KR102452328B1 (ko) 2019-01-10 2019-01-10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33A true KR20200086933A (ko) 2020-07-20
KR102452328B1 KR102452328B1 (ko) 2022-10-11

Family

ID=7152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324A KR102452328B1 (ko) 2019-01-10 2019-01-10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59535A1 (ko)
EP (1) EP3780217A4 (ko)
KR (1) KR102452328B1 (ko)
CN (1) CN112119525A (ko)
WO (1) WO20201457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85A1 (ko) * 2020-08-05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모듈 제조 방법
WO2022030821A1 (ko) * 2020-08-05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모듈 운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434A (ko)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SE2250971A1 (en) * 2022-08-17 2024-02-18 Cuberg Inc Pouch battery cel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25A (ko) * 2003-06-24 2005-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전지팩
KR101579940B1 (ko) * 2013-10-31 201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093B1 (ko) * 2001-05-23 2004-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전지의 제조방법
KR100560158B1 (ko) * 2003-09-29 2006-03-16 주식회사 코캄 고 안전성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DE102009035466A1 (de) * 2009-07-31 2011-02-03 Daimler Ag Formierung von Einzelzellen
WO2013042612A1 (ja) * 2011-09-21 2013-03-28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および組電池
KR101408307B1 (ko) * 2013-08-30 2014-06-20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팩의 배터리 유닛 노후화 시스템 및 방법
JP6080017B2 (ja) * 2013-11-11 2017-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16004079A1 (en) * 2014-06-30 2016-01-0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KR101608950B1 (ko) * 2014-07-09 2016-04-04 주식회사 지엘비이 스피넬 리튬망간 산화물을 양극활물질로 하고, 음극에 리튬탄산염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55852B1 (ko) * 2015-09-25 2019-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형된 리드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063935B1 (ko) * 2015-10-13 2020-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06299553B (zh) * 2016-09-20 2019-06-14 湖南立方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其制作方法
DE102016224002A1 (de) * 2016-12-02 2018-06-07 Audi Ag Entladen von einem wenigstens zwei Batteriezellen aufweisenden Batteriemodul einer wenigstens zwei Batteriemodule aufweisenden Batterie
KR101816843B1 (ko) * 2016-12-19 2018-01-09 (주)에이프로 배터리 충방전 장치용 냉각장치
KR102116384B1 (ko) * 2017-01-11 2020-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KR102200990B1 (ko) * 2017-01-11 2021-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제조 및 활성화 방법
KR102258822B1 (ko) * 2017-04-25 2021-06-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재활용 가능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 재활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25A (ko) * 2003-06-24 2005-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전지팩
KR101579940B1 (ko) * 2013-10-31 201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85A1 (ko) * 2020-08-05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모듈 제조 방법
WO2022030821A1 (ko) * 2020-08-05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모듈 운반 방법
CN114467224A (zh) * 2020-08-05 2022-05-10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制造电池模块的方法
JP2022549705A (ja) * 2020-08-05 2022-11-28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運搬方法
EP4020698A4 (en) * 2020-08-05 2024-01-2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0217A4 (en) 2021-07-21
US20210159535A1 (en) 2021-05-27
CN112119525A (zh) 2020-12-22
EP3780217A1 (en) 2021-02-17
WO2020145737A1 (ko) 2020-07-16
KR102452328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3760B2 (en) Stepped electrode assembly having predetermined a reversible capacitance ratio in the interface between electrode units, battery cell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452328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27493B1 (ko) 안전성 및 작동 수명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US8771861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19311A (ko) 전극조립체의 내부 유동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파우치형 이차전지
US20200028200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de unit for a battery cell and electrode unit
KR20230051461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KR20160077871A (ko) 에너지가 증대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JP4199948B2 (ja) シート状二次電池の電極引出構造
KR101681758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US11545705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3348589A (zh) 二次电池
EP4007026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491060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00056376A (ko) 이차전지 모듈
KR20210011641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70242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576583B1 (ko) 배터리 셀
KR102594549B1 (ko) 돌출형 접촉 단자를 갖는 내부 전극 리드형 전기 에너지 저장 셀
JP2016502238A (ja) 丸い角部を含む電気デバイス
KR101616502B1 (ko) 슬릿을 이용하여 연결된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0396721Y1 (ko)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KR100366083B1 (ko) 리튬 2차 전지의 극판 조립체
KR20160076030A (ko) 비딩부 및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690367B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