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628A - 모든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 - Google Patents

모든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628A
KR20200086628A KR1020197030813A KR20197030813A KR20200086628A KR 20200086628 A KR20200086628 A KR 20200086628A KR 1020197030813 A KR1020197030813 A KR 1020197030813A KR 20197030813 A KR20197030813 A KR 20197030813A KR 20200086628 A KR20200086628 A KR 20200086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hasing
delta sigma
mixed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뷜렌트 센
Original Assignee
아셀산 엘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렛 아노님 시르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셀산 엘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렛 아노님 시르케티 filed Critical 아셀산 엘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렛 아노님 시르케티
Publication of KR2020008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9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vector summing of two or more constant amplitude phase-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로, 고효율의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가 제공된다. 상기 아웃페이징 송신기는 제1 서브 신호(ρ(n)) 및 제2 서브 신호(δ(n))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분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해 유닛(1); 상기 제1 서브 신호(ρ(n))를 아웃페이징 신호(ø(n))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웃페이징 신호 생성기(2); 상기 제2 서브 신호(δ(n))를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h(n))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델타 시그마 변조기(3); 제1 혼합 신호 및 제2 혼합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아웃페이징 신호(ø(n))와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h(n))를 함께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혼합 유닛(4);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증폭기(5); 상기 제2 혼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증폭기(6); 델타 시그마 변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제2 혼합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기(7);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엔벨로프를 다시 상기 출력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든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
본 발명은 미래의 모든 디지털 무선 통신 및 레이더 시스템을 위한 델타 시그마 변조(delta sigma modulation)를 갖는 디지털 RF 아웃페이징 송신기(digital RF outphasing transmitter)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무선 통신 및 레이더 시스템은 높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PAPR: Peak to Average Power Ratio)을 갖는 복잡한 신호를 사용한다. 높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은 RF 전력 증폭기의 효율 성능이 저하되어 전력이 부족한 송신기 설계가 된다. 반면, 높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은 신호 품질 및 스펙트럼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선형 전력 증폭에 영향을 끼치며(dictates), 이는 전력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손상시킨다(compromise). RF 아웃페이징 송신기는 스위치 모드 RF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여 진폭이 변하는 무선 통신 신호를 효율적으로 증폭하는 방식을 유도한다.
높은 데이터 속도 및 스펙트럼 효율과 같은 최신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정교하고 복잡한 파형을 유도한다. 이러한 신호 요구 사항은 진폭, 위상 및 주파수 변조를 모두 결합하여 포함하는 복잡한 변조 방식으로 충족된다. 다양한 진폭 무선 통신 신호는 효율적이고 선형적인 전력 증폭을 위해 새로운 송신기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에너지원을 절약하고 더 오랜 시간 동안 무선 장치를 사용하려면 효율성이 요구된다; 높은 선형 효율과 우수한 신호 품질을 달성하려면 선형성이 필수적이다.
공지된 기술에서, 무선 통신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여러 송신기 아키텍처가 제공되었다. 공지된 응용 중 하나는 Kim, Y. Woo, S. Hong, B. Kim, "최적화된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WCDMA 응용을 위한 고효율 하이브리드 EER 송신기(High efficiency hybrid EER transmitter for WCDMA application using optimized power amplifier)", in Proc. of 37th Eur. Microw. Conf. Dig., 2007년 10월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엔벨로프 제거 및 복원(EER: Ener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이다. 그러나, 엔벨로프 제거 및 복원 송신기는 고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공급 변조기가 필요하므로, 이는 회로 복잡성을 가져오고 광대역 신호에 대해 제한된 효율 성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로, 고효율의 아웃페이징 송신기(outphasing transmitter)가 제공된다. 상기 아웃페이징 송신기는, 제1 서브 신호(sub-signal) 및 제2 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분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해 유닛(decomposition unit); 상기 제1 서브 신호를 아웃페이징 신호(outphasing signal)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웃페이징 신호 생성기(outphasing signal generator); 상기 제2 서브 신호를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delta sigma modulated signal)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델타 시그마 변조기(delta sigma modulator); 제1 혼합 신호(mixed signal) 및 제2 혼합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아웃페이징 신호와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를 함께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혼합 유닛(mixing unit);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증폭기(amplifier); 상기 제2 혼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증폭기; 델타 시그마 변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제2 혼합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기(combiner);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엔벨로프(input signal envelope)를 다시 상기 출력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출력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무선 통신 및 레이더 시스템에 사용될 모든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결합기 손실을 갖는 모든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를 제공하여, 송신기 출력에서 고효율을 얻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웃페이징 송신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분해 유닛(1)
아웃페이징 신호 생성기(2)
델타 시그마 변조기(3)
혼합 유닛(4)
제1 증폭기(5)
제2 증폭기(6)
결합기(7)
대역 통과 필터(8)
제1 혼합기(9)
제2 혼합기(10)
제3 혼합기(11)
제4 혼합기(12)
신호 생성기(13)
제1 저역 통과 필터(14)
제2 저역 통과 필터(15)
RF 아웃페이징 송신기는 진폭 가변 신호의 효율적인 증폭을 위해 스위치 모드 RF 전력 증폭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RF 전력 결합기는 적용된 신호의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이 충분히 높을 때 상당한 손실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결합 손실(combining loss)은 허용 가능한 레벨(tolerable level)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이 높은 아웃페이징 송신기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아웃페이징 송신기의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페이징 송신기는 제1 서브 신호(ρ(n)) 및 제2 서브 신호(δ(n))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분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해 유(1); 상기 제1 서브 신호(ρ(n))를 아웃페이징 신호(ø(n))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웃페이징 신호 생성기(2); 상기 제2 서브 신호(δ(n))를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h(n))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델타 시그마 변조기(3); 제1 혼합 신호 및 제2 혼합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아웃페이징 신호(ø(n))와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h(n))를 함께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혼합 유닛(4);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증폭기(5); 상기 제2 혼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증폭기(6); 델타 시그마 변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제2 혼합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기(7); 및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8)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 유닛(4)은,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로 상기 음의 위상 아웃페이징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혼합기(mixer)(9);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로 상기 양의 위상 아웃페이징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혼합기(10); 음의 위상 델타 시그마 변조 아웃페이징 신호를 RF 반송 주파수(RF carrier frequency)로 상향 변환(upconvert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혼합기(11); 양의 위상 델타 시그마 변조 아웃페이징 신호를 RF 반송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4 혼합기(12); 상향 변환(upconversions)에 사용될 반송 무선 주파수 신호(carrier radio frequency signal)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생성기(signal generator)(13)(예를 들어, 클록 생성기(clock generator) 또는 RF 신호 생성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유닛(4)은, (음의 위상 델타 시그마 변조 아웃페이징 신호의 고차 혼합 제품(higher order mixing products)을 거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혼합기(10)의 출력을 필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저역 통과 필터(14) 및 (양의 위상 델타 시그마 변조 아웃페이징 신호의 고차 혼합 제품을 거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혼합기(9)의 출력을 필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저역 통과 필터(15)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기(7)는 키렉스 결합기(Chireix combiner)의 형태이다. 이 실시예에서, 키렉스 결합기는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결합기는 Class D RF 전력 증폭기와 함께 설계되어 높은 결합 효율을 얻는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키렉스 결합기에서의 결합 효율은 기술이 없는 효율 수치(efficiency figure)보다 높다. 이 기술은 입력 신호의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아웃페이징 각도의 시간 변화(변이)를 감소시키며, 이는 결합 효율을 높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엔벨로프 신호(envelope signal)는 분해 유닛(1)에 의해 더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을 갖는 2개의 신호로 분해된다. 분해 기준은 요구되는 아웃페이징 각도에서 최대 확률 분포 함수를 찾는 것에 기초하며, 이는 결합기(7)에서 허용 가능한 손실(tolerable loss)을 제공한다. 허용 가능한 손실은 스위치 모드 전력 증폭기(switched mode power amplifier)에서 아웃페이징 토폴로지(outphasing topology)로 얻는 효율을 손상시키지 않는 양으로 정의된다. 엔벨로프 신호가 분해될 때, 제1 서브 신호(ρ(n)) 및 제2 서브 신호(δ(n))가 생성된다. 제1 서브 신호(ρ(n))는 아웃페이징 신호(ø(n))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제2 서브 신호(δ(n))는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h(n))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생성된 아웃페이징 신호(ø(n))와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h(n))가 함께 혼합되고 증폭된다. 그리고, 증폭된 신호는 상기 결합기(7)에 의해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결합된 디지털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8)를 통과하여 원래의 무선 및/또는 레이더 신호를 복구한다.
전술한 시스템의 아웃페이징 변환 공식 및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1]
Figure pct00002
[2]
Figure pct00003
는 진폭 및 위상 변조 신호이며;
Figure pct00004
는 아웃페이징 각도이다
1. 키렉스 결합기를 Class D RF 전력 증폭기와 함께 설계하여 아웃페이징 각도
Figure pct00005
에서 최소 전송 손실을 얻는다.
2.
Figure pct00006
는 아웃페이징 전송기 출력에서 높은 결합 효율을 제공하는 아웃페이징 각도이다.
3. 엔벨로프 신호
Figure pct00007
을 계산한다, n=1 내지 M, M 은 x(n)의 길이이다.
4. 바닥-클리핑된 엔벨로프 신호(bottom-clipped envelope signal)
Figure pct00008
를 생성하여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여기서, i는 정수이고, 0내지 L로의 값을 취하며, L은 클리핑 단계의 수이다.
5. 아웃페이징 각도를 계산한다.
Figure pct00011
6. 확률 분포 함수
Figure pct00012
를 계산한다.
7. max
Figure pct00013
인 경우,
그러면
Figure pct00014
, 필요한 아웃페이징 각도
Figure pct00015
, 생성된 아웃페이징 엔벨로프 신호
그 밖에
i는 증가하고, 다시 4로 이동
8.
Figure pct00016
, 상보적 신호(complementary signal)
9. 델타 시그마 변환 알고리즘으로
Figure pct00017
을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h
Figure pct00018
10.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를 보간한다.
Figure pct00021
는 샘플링 주파수이고,
Figure pct00022
는 반송 주파수이다.
11.
Figure pct00023
,
여기서, Y(k)는 ±부호를 갖는 2개의 디지털 변조된 아웃페이징 신호를 나타낸다.
최대 효율보다는 시간 평균 전력 효율이 절전 성능 측면에서 RF 송신기를 검증하기 위해 더 합리적이다.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 외에도, 입력 신호의 확률 밀도 함수는 평균 효율 성능을 이해하기 위해 동일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분해 후, 델타 시그마 변조가 상보적 신호에 적용된다. 델타 시그마 변조를 사용하는 주요 장점은 관심 영역에서 대역 내 잡음을 전송하고 진폭 변화 신호를 일정한 진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자는 신호 대 잡음 비율(SNR: signal to noise ratio)을 향상시킨다; 반면 후자는 가장 높은 효율을 획득하기 위해 RF 전력 증폭기를 포화 상태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델타 시그마 변조 차수(Delta sigma modulation order) 및 오버 샘플링 비율(oversampling ratio)은 조정해야 할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파라미터이다. 더 높은 오버 샘플링 비율 및 차수가 취해질수록, 대역 내 양자화가 더 많이 거부된다.

Claims (4)

  1. 아웃페이징 송신기에 있어서,
    제1 서브 신호(ρ(n)) 및 제2 서브 신호(δ(n))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분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해 유닛(1);
    상기 제1 서브 신호(ρ(n))를 아웃페이징 신호(ø(n))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웃페이징 신호 생성기(2);
    상기 제2 서브 신호(δ(n))를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h(n))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델타 시그마 변조기(3);
    제1 혼합 신호 및 제2 혼합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아웃페이징 신호(ø(n))와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h(n))를 함께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혼합 유닛(4);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증폭기(5);
    상기 제2 혼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증폭기(6);
    델타 시그마 변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제2 혼합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기(7);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엔벨로프를 다시 상기 출력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8)
    를 포함하는 아웃페이징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유닛(4)은,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로 상기 음의 위상 아웃페이징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혼합기(9);
    상기 델타 시그마 변조 신호로 상기 양의 위상 아웃페이징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혼합기(10);
    음의 위상 델타 시그마 변조 아웃페이징 신호를 RF 반송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혼합기(11);
    양의 위상 델타 시그마 변조 아웃페이징 신호를 RF 반송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4 혼합기(12);
    상향 변환에 사용될 반송 무선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생성기(13)
    를 포함하는 아웃페이징 송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유닛(4)은,
    상기 제2 혼합기(10)의 출력을 필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저역 통과 필터(14); 및
    상기 제1 혼합기(9)의 출력을 필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저역 통과 필터(15)
    를 더 포함하는 아웃페이징 송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7)는,
    키렉스 결합기의 형태인
    아웃페이징 송신기.
KR1020197030813A 2017-12-28 2017-12-28 모든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 KR20200086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TR2017/050716 WO2019132790A1 (en) 2017-12-28 2017-12-28 An all digital outphasing transmit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628A true KR20200086628A (ko) 2020-07-17

Family

ID=6706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813A KR20200086628A (ko) 2017-12-28 2017-12-28 모든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52057B1 (ko)
EP (1) EP3732781A4 (ko)
KR (1) KR20200086628A (ko)
WO (1) WO20191327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7914B2 (en) * 2001-12-07 2004-05-18 4D Connect, Inc. Removing effects of gain and phase mismatch in a linear amplification with nonlinear components (LINC) system
US20030125065A1 (en) * 2001-12-27 2003-07-03 Ilan Barak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US7230996B2 (en) 2002-06-13 2007-06-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tting circuit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7715493B2 (en) * 2006-08-14 2010-05-11 Intel Corporation Digital transmitter and methods of generating radio-frequency signals using time-domain outphasing
US7729445B2 (en) * 2006-09-27 2010-06-01 Intel Corporation Digital outphasing transmitter architecture
US9166536B2 (en) * 2012-10-30 2015-10-20 Eta Devices, Inc. Transmitter architecture and related methods
US8829993B2 (en) * 2012-10-30 2014-09-09 Eta Devices, Inc. Linearization circuits and methods for multilevel power amplifier systems
WO2015040773A1 (ja) * 2013-09-18 2015-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9281976B2 (en) 2014-02-04 2016-03-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TWI630798B (zh) * 2014-02-07 2018-07-21 美商線性科技股份有限公司 任意相位軌道的頻率合成器
US9294079B1 (en) * 2014-11-10 2016-03-2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band signal
US10171115B1 (en) * 2017-12-19 2019-01-01 Movandi Corporation Outphasing calibration in a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2781A4 (en) 2021-01-13
US10652057B1 (en) 2020-05-12
WO2019132790A1 (en) 2019-07-04
EP3732781A1 (en) 2020-11-04
US20200162292A1 (en)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19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cati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061192B1 (en) Power encoder and method for modulating data
KR100888709B1 (ko) 스위칭 모드 전력 증폭 방법 및 시스템
EP3061190B1 (en) Digital transmitter comprising pulse width modulator
JP2007522738A (ja) エンベロープ除去および回復による信号増幅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473529B (zh) 开关模式功率放大
WO2016017657A1 (en) Power encoder and method for power encoding
EP3103198B1 (en)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TWI398102B (zh) 多相位脈衝調變極座標發射器以及產生脈衝式包絡且於包絡內載有具相位資訊之射頻訊號之方法
US8010063B2 (en) Signal enhancement in RF transmitters employing non-linear filtering
EP3158648B1 (en) Signal amplification and transmission based on complex delta sigma modulator
EP3028387B1 (en) Level de-multiplexed delta sigma modulator based transmitter
CN110248127B (zh) 一种广播发射机射频单元信号振幅调制电路
JP2017527191A (ja) 増幅器回路および前記増幅器回路を使用して信号を増幅するための方法
US20120002755A1 (en) Multi-level pulse modulated polar transmitter and method of generating multi-level modulated envelope signals carrying modulated rf signal
Jang et al. A 2.6-GHz partial-envelope delta–sigma-digitized carrier-bursting transmitter
KR20200086628A (ko) 모든 디지털 아웃페이징 송신기
Haque et al. Aliasing-compensated polar PWM transmitter
Sen A 60W class S and outphasing hybrid digital transmit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7438946B (zh) 放大输入信号的方法
Xu et al. A Digital Combining Applied to the Multilevel Pulse Modulated Polar Transmitter
JP2008005454A (ja) 変調器
KR20150007404A (ko) 신호 증폭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