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448A -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448A
KR20200086448A KR1020190002619A KR20190002619A KR20200086448A KR 20200086448 A KR20200086448 A KR 20200086448A KR 1020190002619 A KR1020190002619 A KR 1020190002619A KR 20190002619 A KR20190002619 A KR 20190002619A KR 20200086448 A KR20200086448 A KR 2020008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rain
terminal device
terminal
brai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이채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스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스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스타트
Priority to KR1020190002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448A/ko
Publication of KR2020008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 서비스장치는, 뇌운동을 위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단말정보가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1 콘텐츠를 제1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고 제1 콘텐츠와 세트를 이루는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Brain Train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사용자가 뇌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복수의 스마트폰 등에서 구현되는 화면을 보며 양팔을 움직이는 등의 운동을 통해 뇌운동을 할 수 있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뇌에 대한 연구는 1990년 이후 뇌 과학, 뇌 공학, 뇌 의학으로 빠르게 진전되어 왔다. 특히 인간의 대뇌는 좌뇌와 우뇌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반구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그 이유는 좌뇌와 우뇌에서 정보를 해석하는 방식이 서로 달라 입력된 정보를 처리할 때, 좌뇌는 추리, 계산 등의 논리적인 문제를, 그리고 우뇌는 그림, 음악 감상, 스포츠와 같은 감각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좌, 우뇌의 차이를 뇌 과학에서는 뇌의 기능 분화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뇌파 분석을 통해 좌우 뇌반구의 비대칭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인간의 뇌는 모두 다른 특성을 지니며 뇌의 전체적인 발달과 좌, 우뇌의 균형은 뇌기능의 최적화를 위한 필수 조건이다. 불안과 우울은 앞서 언급된 좌, 우뇌의 불균형에서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좌, 우뇌의 비대칭에 의해 정서적 성향이 달라지고 이 차이가 클수록 불안과 우울 등의 이상 증세를 보인다.
뇌훈련 방법은 대표적으로 호흡훈련, 명상, 뉴로피드백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가장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 뉴로피드백이라는 놔파조절훈련이다. 뉴로피드백은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법으로 훈련을 통해 특정한 뇌파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본원리는 파블로프의 개실험으로 알려진 고전적 조건반사에 근간을 두고 있고, 조건화를 통해서 생리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뉴로피드백은 브라질 리우올림픽 양궁선수단이 금메달 20개 획득의 비결을 집중력 뇌파훈련으로 밝히면서 화제가 된 바 있다. 이외에도 뇌훈련은 기억력향상, IQ증진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학습이나 운동 등 집중력을 발휘할 때 우리 뇌는 베타파 상태가 된다. 뉴로피드백 장치로 뇌파를 측정해서 베타파 상태가 되었을 때 시각정보나 청각정보로 피드백을 해주면, 뇌는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다. 시각정보나 청각정보는 결국 파블로프의 개실험에서 보상으로 주어진 종소리가 되는 것이다. 개는 나중에 종소리만 듣고도 밥이 나오는지 알고 침을 흘리게 되는 것처럼, 뇌훈련을 통해 집중력 상태를 인지하면 본인의 의지에 따라 학습이나 운동 중에 집중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뉴로피드백은 집중력, 기억력 향상뿐만 아니라,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ADHD), 우울증, 불면증, 치매예방 등 뇌파 이상에 따른 다양한 신체적 증상 개선에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노인성 치매 예방 등과 관련해 종래에는 게임콘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자들이 휴대폰이나 컴퓨터 등을 통해 간단히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치매 예방은 운동하고 머리를 쓰며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지내는 등 정신 및 신체 전반에 걸쳐 사회성을 유지하면서 활동적으로 지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게임콘텐츠의 경우에는 인식에만 초점을 둠으로써 뇌운동의 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치매 예방을 위해 게임콘텐츠를 이용하는 기술은 이미 비대칭화된 좌뇌와 우뇌를 조화롭게 발달시킬 수 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9623호(2017.01.1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9273(2018.03.2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3702호(2017.12.2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7578호(2009.06.25.)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사용자가 뇌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복수의 스마트폰 등에서 구현되는 화면을 보며 양팔을 움직이는 등의 운동을 통해 뇌운동을 할 수 있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 서비스장치는, 뇌운동을 위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단말정보가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1 콘텐츠를 제1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고 상기 제1 콘텐츠와 세트를 이루는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운동을 위해 손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성이 표식된 선 또는 도형 형태의 이미지를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공하는 손운동을 감지하여 운동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상상력을 유발하여 지정 대상을 연상시키는 연관 이미지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단말정보가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콘텐츠가 지정 간격을 두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지정 간격에 관련되는 간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운동의 대상인 사용자 뇌의 비대칭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뇌운동을 위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단말정보가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1 콘텐츠를 제1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고 상기 제1 콘텐츠와 세트를 이루는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뇌운동을 위해 손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성이 표식된 선 또는 도형 형태의 이미지를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공하는 손운동을 감지하여 운동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상상력을 유발하여 지정 대상을 연상시키는 연관 이미지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수신한 단말정보가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콘텐츠가 지정 간격을 두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지정 간격에 관련되는 간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뇌운동의 대상인 사용자 뇌의 비대칭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운동과 인지훈련을 함께 활용하여 뇌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뇌운동의 효과가 증대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 뇌의 비대칭 정도를 근거로 좌뇌와 우뇌의 뇌운동이 서로 다르게 진행되도록 손운동이나 인지훈련의 정도를 콘텐츠를 통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뇌 상태에 따라 맞춤화된 뇌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뇌운동서비스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 서비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서비스시스템(90)은 단말장치(100, 110), 통신망(120) 및 뇌운동서비스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가령 제2 단말장치(110)가 생략되어 뇌운동서비스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뇌운동서비스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통신망(120) 내의 네트워크장치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단말장치(100, 110)는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를 포함한다.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컴퓨터,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그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이어도 무관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가 모두 스마트폰이거나, 적어도 하나는 TV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하에서는 전자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무엇보다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는 뇌운동 서비스를 이용하기에 앞서 뇌운동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뇌운동 프로그램에 의한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장치는 주 단말이 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보조 단말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 단말이 뇌운동서비스장치(130)로 두 개의 단말장치(100, 110)에 대한 단말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음성통화가 가능한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각각의 전화번호를 제공할 수 있겠지만, 뇌운동 서비스에만 사용되는 전용 단말장치인 경우에는 접속하는 즉시 인접하는 단말장치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여 인접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취득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의 단말정보 즉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위에서 특별히 주 단말과 보조 단말을 언급한 것은 가령 통신망(120)과 통신할 때, 모든 통신 동작을 주 단말이 처리하고, 보조 단말은 주 단말과 근거리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뇌운동 콘텐츠를 화면에 구현할 때, 보조 단말은 주 단말로부터 자신의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해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가 각각 통신망(120)과 통신하여 자신의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통신망(120)을 통해 각각 뇌운동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제1 단말장치(100)가 좌뇌를 자극하기 위한 제1 콘텐츠를 수신한다면 제2 단말장치(110)는 우뇌를 자극하기 위한 제2 콘텐츠를 수신한다.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는 방향성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향성을 갖는 콘텐츠"란 가령 화살표 등을 통해 사용자가 어떠한 방향으로 자신의 팔을 움직이거나 상상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이때,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는 방향성을 갖지만, 서로 동일 유형이면서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다. 예컨대, 제1 콘텐츠가 도형이면 제2 콘텐츠도 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콘텐츠가 선이면 제2 콘텐츠도 선으로 서로 유사성을 갖는 것이 좋다. 다만, 제1 콘텐츠가 상하방향이면 제2 콘텐츠는 좌우방향으로서 상하방향과 다른 방향성을 갖는다. 이러한 과정은 손운동을 통해 뇌운동을 시키려는 것에 관련된다.
또한,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사용자에게 상상력을 유발시키는 뇌운동을 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뇌운동서비스장치(130)로부터 사용자에게 상상력을 유발시킬 수 있는 서로 연관된 이미지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2개의 서로 다른, 그렇지만 서로 연관성이 있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상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뇌운동서비스장치(13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때, 사용자의 현재 뇌상태, 즉 좌뇌와 우뇌의 비대칭 상태를 근거로 결정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단말장치(100, 110)로 제공된 콘텐츠가 50:50의 운동비율을 갖도록 결정된 것이라면, 뇌의 현 상태에 따라 운동비율이 조절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비대칭된 좌뇌와 우뇌의 일종의 치료 효과가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가 통신망(120)을 통해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각각 수신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제1 단말장치(100)가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수신하여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제2 단말장치(110)로 제2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장치(100)가 제1 콘텐츠를 화면에 구현하고, 제2 단말장치(110)가 제2 콘텐츠를 화면에 구현한다는 표현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110)가 스마트TV와 같은 와이드한 영상표시장치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령 화면을 2분할하여 분할된 각 영역에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이의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간의 거리도 뇌운동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거리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스마트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로 판단되어 뇌운동 프로그램에 의한 콘텐츠를 제공할 때, 두 콘텐츠 사이의 간격에 대한 거리 정보도 함께 제공해 준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단말장치(100, 1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단말장치(100, 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뇌운동서비스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및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에 대한 단말정보를 가령 DB(130a)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정보는 앞서 언급한 대로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장치정보(예: 제조번호정보 등), 전화번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서비스 요청시 제공되는 단말정보 즉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스마트폰에서 콘텐츠를 요청하는지 또는 한 대의 스마트TV에서 콘텐츠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뇌운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장치(100, 110)로 사용자에게 뇌운동을 시키기 위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제1 종류(혹은 단계)의 콘텐츠는 사용자가 왼손과 오른손을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손운동에 의해 뇌운동을 하는 것에 관련된 콘텐츠이다. 여기서, 제1 종류의 콘텐츠는 가령 방향성을 갖는 도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종류의 콘텐츠는 이미지 훈련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상력을 유발시키는 뇌운동에 관련된 콘텐츠이다.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다양한 실험 등을 통해 실험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에 따라 적절히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병원 등의 서버에 연계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통해 좌뇌와 우뇌의 비대칭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고려하여 단말장치(100, 110)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뇌운동서비스장치(130)에서 제1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제1 콘텐츠에 의해 사용자의 좌뇌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뇌운동서비스장치(130)에서 제2 단말장치(110)로 제공된 제2 콘텐츠에 의해 사용자의 우뇌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오른손잡이는 우뇌가 덜 발달하고, 왼손잡이는 좌뇌가 덜 발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만약 이러한 경우라면 오른손잡이는 우뇌를 더 발달시키기 위하여 왼손을 적극 사용하도록 하고, 왼손잡이는 좌뇌를 더 발달시키기 위하여 오른손을 적극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이를 토대로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콘텐츠를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110)로 제공함으로써 뇌운동을 통해 뇌의 비대칭 발달을 개선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비대칭이 개선된 후에 이미지 훈련과 같은 상상력 훈련을 통해 좌뇌와 우뇌를 조화롭게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비대칭이 개선된 후에 손운동을 통해서도 좌뇌와 우뇌를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뇌운동 중에 또는 뇌운동이 완료된 후에 훈련의 정확도나 뇌의 비대칭 상태의 개선과 관련한 다양한 부가정보를 단말장치(100, 110)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방법은 단순히 퍼센티지(%)만 일측에 표시하거나 또는 해당 정보를 가령 그래픽 바(bar)와 같은 형태로 시각화하여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장치(100, 110)로 제공된 콘텐츠를 따라 손운동을 할 때 왼손과 오른손의 정확도를 각각 화면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좀더 집중력을 갖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 및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에는 사용자의 양팔 운동을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은 콘텐츠, 더 정확하게는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를 각각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때, 제1 단말장치(100)에는 좌에서 우의 방향으로 사각형 형태로 왼손을 움직이라는 콘텐츠가 표시되고, 제2 단말장치(110)에는 우에서 좌의 방향으로 삼각형 형태로 오른손을 움직이라는 콘텐츠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는 가령 도형으로 동일 유형의 콘텐츠이면서 방향성을 갖는다.
사용자는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에 각각 표시되는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의 지시내용에 따라 손운동을 하게 되며, 일정 시간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콘텐츠를 통한 손운동이 완료되면 화면에는 정확도를 나타내는 부가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다른 콘텐츠 또는 다음 단계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상력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를 화면에 각각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는 서로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상력을 유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사용자가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에 각각 표시된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를 통해 '원'을 상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는 두 개의 연관 이미지 즉 콘텐츠를 통해 어떤 대상을 상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경우에도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설정된 해답을 화면에 표시해 줄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경우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를 스마트폰으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스마트폰 간격으로 회전 방향을 표시하고 머릿속에서 그 화살표가 회전하는 것을 상상하도록 한다. 물론 난이도에 따른 속도/회전반경을 설정하여 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1 및 스마트폰 2에 각각 설정된 설정 조건에 따라 콘텐츠가 표시되었다가 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가령 이미지 훈련을 하면서 회전 방향을 변경하기도 하고 상하좌우 회전하는 등의 설정을 통해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이를 확인하기 위해 화살표가 지나갈 것이라고 판단되면 스마트폰 2를 터치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화살표가 터치되는 시차를 계산하여 훈련의 정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4는 가령 도 1의 제2 단말장치(110)가 스마트TV인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제2 단말장치(110)의 분할된 좌측 제1 영역과 우측 제2 영역에는 손운동을 안내하는 선 형태의 방향성을 갖는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좌측 제1 영역에는 왼손을 상하운동하고, 우측 제2 영역에는 오른손을 좌우운동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제2 단말장치(110)는 영상처리를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화면 분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스마트TV인 제2 단말장치(110)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도 1의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가 제공된 식별정보를 근거로 스마트TV임을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처리한다. "그에 상응하는 콘텐츠"란 가령 간격정보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단말장치(110)가 만약 1086개의 데이터라인(DL)을 갖는 TV라고 가정하자. 제2 단말장치(110)는 화면을 2분할하기 위해 546번째 데이터라인을 기준으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TV는 통상 데이터라인으로 데이터가 제공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와, 타이밍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데이터 드라이버(Date Driver)를 포함하며, 데이터 드라이버에서 데이터라인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 콘텐츠는 적(R), 녹(G), 청(B)의 화소값으로 이루어지며, R, G, B의 OLED나 컬러 필터를 통해 화면에 색을 표현하게 된다. 화소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무엇보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령 제1 데이터 드라이버는 제1 영역(제1 DL ~ 제546 DL)을 관장할 수 있고, 제2 데이터 드라이버는 제2 영역(제547 DL ~ 제1086 DL)을 관장할 수 있으므로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제공할 때, 중간 부분에 제공할 콘텐츠 즉 화소데이터를 좌 또는 우로 각각 쉬프트시킴으로써 두 개의 콘텐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콘텐츠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해상도를 변환하는 방식으로도 간격 조절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제2 단말장치(110)는 사용자의 손운동이 완료되면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손운동의 정확도 등에 관한 부가정보를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뇌운동서비스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뇌운동 실행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5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뇌운동서비스장치(130)가 구성되거나 뇌운동 실행부(5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5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도 1에서 볼 때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11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해상도 변환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다. 물론 이러한 기능은 제어부(510)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어부(510)는 뇌운동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뇌운동 실행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10)는 뇌운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뇌운동 실행부(520)를 제어하여 뇌운동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만약, 제어부(510)가 CPU와 메모리(예: 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라면 CPU는 뇌운동 프로그램을 뇌운동 실행부(520)로부터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켜 뇌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연산처리가 빠르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통상, 제어부(510)는 후자의 경우와 같이 CPU와 램을 포함하여 원칩(One-chip)화되는 경향이 있다.
위와 같이 제어부(51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론 세부 동작은 조금 다를 수 있다. 다만, 뇌운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제어부(510)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예: 부가정보)를 저장부(5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뇌운동 실행부(520)는 뇌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앞서 언급한 대로 제어부(5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뇌운동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로 로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뇌운동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 뇌운동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양손운동을 통해 뇌운동을 수행하는 방식과 이미지 훈련을 통해 상상력을 유발시키는 뇌운동 방식으로 구분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뇌의 비대칭 정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뇌운동 프로그램은 뇌의 비대칭 정도와 관련하여 특정 팔을 더 많이, 더 활동적으로 움직이도록 콘텐츠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내용 이외에 기타, 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뇌운동 실행부(520) 및 저장부(530)와 관련해서는 앞서 도 1의 뇌운동서비스장치(130)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 서비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뇌운동을 위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다(S600).
여기서, 사용자 단말장치는 반드시 콘텐츠가 구현되는 단말일 필요는 없다. 물론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령, 스마트TV나 AI 스피커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도 1에서와 같은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110)를 TV를 통해 지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뇌운동서비스장치(130)는 수신한 단말정보가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1 콘텐츠가 제1 단말장치(100)에서 구현되도록 하고 제1 콘텐츠와 세트(혹은 한 쌍)를 구성하는 제2 콘텐츠가 제2 단말장치(110)에서 구현되도록 한다(S610).
상기한 동작 이외에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도 1을 참조한 뇌운동서비스장치(130)의 내용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제1 단말장치 110: 제2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뇌운동서비스장치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510: 제어부
520: 뇌운동 실행부 530: 저장부

Claims (8)

  1. 뇌운동을 위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단말정보가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1 콘텐츠를 제1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고 상기 제1 콘텐츠와 세트(set)를 이루는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운동을 위해 손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제공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성이 표식된 선 또는 도형 형태의 이미지를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제공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공하는 손운동을 감지하여 운동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상상력을 유발하여 지정 대상을 연상시키는 연관 이미지를 각각 제공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단말정보가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콘텐츠가 지정 간격을 두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지정 간격에 관련되는 간격 정보를 제공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운동의 대상인 사용자 뇌의 비대칭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결정하여 제공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
  8.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뇌운동을 위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단말정보가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1 콘텐츠를 제1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고 상기 제1 콘텐츠와 세트를 이루는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구현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운동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002619A 2019-01-09 2019-01-09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086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19A KR20200086448A (ko) 2019-01-09 2019-01-09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19A KR20200086448A (ko) 2019-01-09 2019-01-09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48A true KR20200086448A (ko) 2020-07-17

Family

ID=7183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619A KR20200086448A (ko) 2019-01-09 2019-01-09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44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578A (ko)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9623B1 (ko) 2015-10-15 2017-02-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좌/우뇌 활성도 대칭 향상을 위한 게임 활용 시스템
KR101813702B1 (ko) 2017-07-25 2018-02-21 주식회사 멀틱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뇌파 검사/훈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뇌파 검사/훈련 방법
KR20180029273A (ko) 2015-02-12 2018-03-20 김서영 두뇌 활성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578A (ko)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9273A (ko) 2015-02-12 2018-03-20 김서영 두뇌 활성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9623B1 (ko) 2015-10-15 2017-02-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좌/우뇌 활성도 대칭 향상을 위한 게임 활용 시스템
KR101813702B1 (ko) 2017-07-25 2018-02-21 주식회사 멀틱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뇌파 검사/훈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뇌파 검사/훈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23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user activity
US10500441B2 (en) Pilates exercise routine system and method
WO2020037332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learning and attention evaluation through neuro-feedback training
US202200723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users to perform activities
US201502550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ing specific benefits with cognitive training
KR102536425B1 (ko) 헬스 케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5741A (ko) 통합된 시력 테스팅 및/또는 트레이닝
CN107106032A (zh) 控制可穿戴装置的装置和方法
US11263914B2 (en) Multi-level executive functioning tasks
US8918718B2 (en) Reading performance system
KR20170009376A (ko) 실제 환경 구현 운동 관리 시스템
US20200215389A1 (en) Strength training system
US20220366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orts and movement training
JP201504980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72708A (ko) 웹기반 홈피트니스 방법
Qin et al. High rate BCI with portable devices based on EEG
Donmez et al. Development of eye movement games for students with low vision: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KR20200086448A (ko) 뇌운동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1452916B1 (en) Monitoring exercise surface system
US20160260347A1 (en) Method for providing psychological inspection service
KR20210123012A (ko) 대화형 개인 맞춤 필라테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방법
Baalsrud Hauge et al. Perspectives on accessibility in digital games
KR102593121B1 (ko)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자세교정 운동추천 시스템 및 방법
Máximo-Bocanegra et al. An Innovative Serious Game for the Detection and Rehabilitation of Oral‐Facial Malfunction in Children: A Pilot Study
KR102525277B1 (ko) 스포츠선수 멘탈치유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