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708A - 맥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맥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708A
KR20200085708A KR1020200083714A KR20200083714A KR20200085708A KR 20200085708 A KR20200085708 A KR 20200085708A KR 1020200083714 A KR1020200083714 A KR 1020200083714A KR 20200083714 A KR20200083714 A KR 20200083714A KR 20200085708 A KR20200085708 A KR 2020008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manufacturing
controller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925B1 (ko
Inventor
서민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9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맥주의 제조 시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조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맥주의 제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맥주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조 환경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맥주 제조장치{BEER MAKER}
본 발명은, 맥주 제조장치를 이용한 맥주 제조시, 맥주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제조 환경의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하는 맥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또는 탄산)를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 제조장치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발효를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그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맥주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에 대해 풍부한 지식이 부족한 일반 사용자는 제조하고자 하는 맥주에 대해 최적의 제조 환경에 대해 알지 못할 수 있다. 반면, 맥주에 대해 풍부한 지식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기호에 맞는 맥주를 제조하기 위해 제조 환경을 직접 설정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맥주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해 필요한 재료 투입 과정에 대한 가이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맥주 제조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조하고자 하는 맥주의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맥주 제조 환경을 설정하는 맥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맥주 제조시 직접 맥주 제조 환경을 설정하는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커스터마이징 기능 제공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맥주 제조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맥주 제조장치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맥주의 제조 시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제조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의 제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은, 맥주의 재료들 각각을 상기 맥주 제조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투입구들 중 대응하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맥주 제조장치는 표시된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에 따라 투입될 재료에 대응하는 투입구의 커버만을 잠금 해제하고, 나머지 투입구의 커버는 잠금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투입될 재료에 대응하는 투입구의 커버를 자동으로 오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맥주 제조장치는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맥주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맥주 제조장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맥주의 재료들 중 맥즙이 포함된 맥주 제조팩으로부터 맥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맥주 제조장치는 설정된 맥주의 제조 환경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커스터마이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조 환경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화면에 기초하여 제조 환경이 설정되면, 설정된 제조 환경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화면 각각은, 대응하는 제조 환경에 대한 설정값의 범위를 표시하고, 설정값의 범위는 획득된 재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맥주 제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화면으로서, 발효 온도를 설정하는 발효 온도 설정 화면, 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발효 기간 설정 화면, 발효조 내의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압력 설정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의 제조를 위한 준비 과정, 즉 맥주의 재료를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맥주 제조장치로부터 보다 직관적인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투입된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에 대한 정보, 예컨대 맥즙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맥주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맥주에 대한 제조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도 손쉽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적의 맥주 제조 환경이 설정됨에 따라, 제조되는 맥주의 품질이 보장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의 제조 환경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직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조 환경을 직접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가,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 환경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a 내지 도 7g는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가 제공하는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가, 맥주 제조 환경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가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징 기능과 관련된 화면들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가, 제조할 맥주의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발효 온도의 설정 범위를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맥주 제조 환경 중 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을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맥주 제조 환경 중 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을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맥주 제조 환경 중 발효조 내의 압력 설정을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맥주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모듈(1)과, 발효모듈(1)과 메인유로(2)로 연결된 디스펜서(3)와, 디스펜서(3)와 급수유로(4)로 연결된 급수모듈(5)와, 발효모듈(1)에서 발효된 맥주가 외부로 취출되는 맥주 취출기(6)를 포함한다.
발효모듈(1)은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1)를 포함한다.
발효조 어셈블리(11)는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를 덮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에는 메인유로(2)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효모듈(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맥주 제조팩(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내부에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맥주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맥주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맥주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이고,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이, 맥주 제조팩(12)과 디스펜서(3)를 모두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맥주 제조팩(12) 없이, 디스펜서(3)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디스펜서(3)에는 맥주 제조를 위한 모든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된 모든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와 첨가제가 함께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주재료와 첨가제는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동시에 공급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별도의 맥주 제조팩(12)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맥주 제조를 위한 일부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직접 투입하고, 맥주 제조를 위한 나머지 재료는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로 직접 투입하고, 디스펜서(3)에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에 기투입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를 포함하지 않고, 맥주 제조팩(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맥주 제조팩(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맥주 제조팩(12)에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에 주재료와 첨가제를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직접 투입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맥주 제조팩(12) 내로 투입된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맥주는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기(6)로 유동되어 맥주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발효모듈(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맥주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튜브는 발효조(112)와 단열벽(112)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벽(112)에 의해 단열된 단열공간(S2)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유로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유로 및 압축기(131)의 토출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사이로 에어를 주입하는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사이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주입된 에어는 맥주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는 에어에 의해 눌린 맥주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2)로 유동된 맥주는 맥주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즉,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가 완성되면, 맥주 제조팩(12)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를 맥주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펌프(152)와, 에어펌프(152)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설치된 에어 조절밸브(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구비된 에어 릴리프밸브(158,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릴리프밸브(158)는 에어 공급유로(154) 중 에어 공급 방향으로 에어 조절밸브(156)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조절밸브(156)는 맥주가 취출될 경우에만 개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할 수 있고, 맥주가 취출되지 않는 동안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6)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펜서(3)는 급수히터(53)와 급수유로(4)로 연결되고 발효 어셈블리(11)와 메인유로(2)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맥주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디스펜서(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요부는 디스펜서(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이러한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될 경우, 디스펜서(3)는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메인유로(2)와 급수유로(4)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급수유로(4)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각각은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F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각각은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재료 수용부와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디스펜서(3)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수용부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펜서(3)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 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에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3)는 첨가제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고,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유로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출구유로에는 메인유로(2)의 유체가 캡슐 수용부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그 각각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그 각각의 디스펜서 출구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 수용부(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에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1캡슐 수용부(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디스펜서 입구유로(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에는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2캡슐 수용부(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 수용부(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디스펜서 입구유로(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에는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를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에는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3캡슐 수용부(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급수유로(4)에서 급수된 물이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공급될 수 있는 바이패스 유로(34)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는 급수유로(4) 및 메인유로(2)와 연결되고 급수유로(4)의 물 또는 공기는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바이패스 유로(34)에 안내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로와,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로와,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로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에는 바이패스 유로(3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 유로(34) 및 공통관에 연결된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중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4)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4)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고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모듈(5)는 물이 담겨지는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와;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에는 수조 출수유로(54)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52)는 수조 출수유로(5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53)은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 연결될 수 있다.
*87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급수히터(53)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 Thermistor)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유로(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유로(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급수유로(4)로 안내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고 메인유로(2)의 맥주가 안내되는 맥주 취출유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맥주 취출유로(61)에 연결된 맥주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유로(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된 맥주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Micro Switch)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장치는 발효모듈(1)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은 발효모듈(1)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71)와, 가스 취출유로(71)에 설치된 압력센서(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은 가스 취출유로(71)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밸브(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은 가스 개폐밸브(73)를 통과한 가스가 통과하는 에어 필터(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취출유로(71)는 발효조 어셈블리(11) 특히,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개폐밸브(73)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맥주 제조팩(12)의 상부에서 가스 취출유로(71) 및 가스 개폐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개폐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오픈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가스는 압력 센서(72)로 유동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72)는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은 감지될 수 있다.
압력센서(72), 가스 개폐밸브(73)와, 에어 필터(74)는 가스 취출유로(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취출유로(71)에 구비된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는 가스 취출유로(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압력센서(72)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메인유로(2)와 급수유로(4)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4)를 통해 디스펜서(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급수유로(4)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와 메인유로(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맥주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4)와 바이패스 유로(34)와,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재료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4)를 통해 캡슐 수용부(31)(32)(3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캡슐(C1)(C2)(C3) 및 캡슐 수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를 메인유로(2)로 유동시킬 수 있고, 캡슐(C1)(C2)(C3) 및 캡슐 수용부(31)(32)(33)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81)와, 에어 주입유로(81)로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 주입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4)의 물이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에어 주입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주입유로(81)에 연결되고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 이전에 설치된 에어필터(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구동시, 공기는 에어필터(84)에 의해 먼지 등이 걸러질 수 있고, 에어필터(84)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유동되어 급수유로(4)로 유동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메인유로(2)를 개폐하는 메인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메인유로(2) 중 메인유로(2)와 맥주 취출유로(61)의 연결부(91)과 메인유로(2)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연결부(9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온수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유로(2)를 폐쇄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제조팩(12)에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첨가제를 맥주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맥주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맥주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취출기(6)에 의한 맥주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맥주 제조장치는 베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맥주 제조장치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조 어셈블리(11), 압축기(131),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수조(51)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맥주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내부에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가 수용되는 공간이 컨테이너 바디(101A)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컨테이너 바디(101A)의 상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바디(101A) 내의 공간을 덮는 컨테이너 상판(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베이스(100)의 앞부분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 상판(101B)에는 맥주가 컨테이너 바디(101A) 내부로 낙하되는 홀(101C)이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 중 맥주 용기(미도시) 주변으로 낙하된 맥주는 컨테이너 상판(101B)으로 낙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상판(101B)의 홀(101C)을 통해 맥주 컨테이너(101)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맥주 제조장치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로어 발효조(112A)과, 로어 발효조(11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어퍼 발효조(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맥주 제조팩(12)이 안착되는 시트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부(116)는 개구부(111)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둘레부가 시트부(116)에 올려질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발효조(112)와 증발기(134)를 함께 둘러싸는 단열벽(10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102)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상부에 단열벽 개구부(103)가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로어 단열벽(102A)과, 로어 단열벽(10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단열벽 개구부(103)가 형성된 어퍼 단열벽(102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단열벽(102A)와 어퍼 단열벽(102B)를 갖는 단열벽(102)는 발효조(112)의 둘레면과 하면을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단열벽 개구부(103)는 발효조(112)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단열벽 개구부(103)는 발효조(112) 중 개구부(113)가 형성된 부분의 외면을 를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내면은 발효조(112)의 외면 보다 직경이 클 수 있고,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고,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의 공기는 발효조(112)를 단열시킬 수 있다.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의 틈은 증발기(134)가 수용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발효조(112)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단열벽(102)은 하판부(102D)의 상면(102E)에 발효조(112)가 안착될 수 있고, 발효조(112)를 지지할 수 있다.
단열벽(102)는 하판부(102D)의 저면(102F)이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된 단열벽 서포터(100A)에 올려질 수 있다.
단열벽(102)는 하판부(102D)에 에어 공급유로(154)가 관통되는 에어 공급유로 관통공(102G)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일부가 단열벽(10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발효조(10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134)는 이러한 틈에 위치되게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일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112C)과 단열벽(102)의 내면(102C)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단열벽(102)에 지지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단열벽(102)에 형성된 증발튜브 관통공(미도시)를 관통하여 단열벽(102)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튜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단열벽(102)의 둘레면와, 단열벽(102)의 상면을 둘러싸는 단열벽 커버(104)(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나의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커버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면이 개방되고 단열벽(102)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로어 단열벽 커버(104)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부에 배치되고 단열벽(102)의 상면를 덮는 어퍼 단열벽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단열벽 커버(104)는 하부가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어퍼 단열벽 커버(105)는 하부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102)을 보호할 수 있고, 맥주 제조장치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102)의 둘레면 전체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고, 단열벽(102)의 둘레면 일부만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수조(51)를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단열벽 커버(104)(105)의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후술하는 수용공간(S5)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수조(51)는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와 베이스(100)의 사이에는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51)는 단열벽(102)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수조(51)를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고, 수조(51)를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하단이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그 상부에 수조(51)가 올려질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복수개의 서포터부재가 전체적으로 중공 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단열벽(102)을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51)는 아우터 수조(58)와, 아우터 수조(58)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S4)가 형성된 이너 수조(59)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수조(58)는 수조 서포터(106)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고, 그 하면이 베이스(10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아우터 수조(58)와 베이스(100)의 사이에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수조(58)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일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수조(59)의 외둘레면과 하면을 둘러싸서 이너 수조(59)를 보호할 수 있다.
이너 수조(59)는 아우터 수조(58)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아우터 수조(58)에 지지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아우터 수조(58)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너 수조(59)의 상부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수조 프로텍터(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프로텍터(107)는 이너 수조(59)의 상부 외둘레면 전체 또는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수조 프로텍터(107)는 복수개의 프로텍터 부재가 링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에 결합되어 수조(51)의 상면을 덮는 수조 리드(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리드(108)는 일측이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08)는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100)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단열벽(101)와 수조(51)의 사이와, 단열벽(101) 중 적어도 하나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아우터 수조(58)에 안착될 수 있고, 타측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도 1에 도시된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와, 캡슐 수용부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수조(51)를 마주보는 일측판이 아우터 수조(58)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어 아우터 수조(58)에 지지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발효조 덮개(114)를 마주보는 타측판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고, 단열벽 커버(104)(105)에 지지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맥주 제조장치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S5)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수조(51)의 사이이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의 사이인 공간일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다수의 부품이 이러한 수용공간(S5)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맥주 제조장치는 컴팩트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S5)에 수용된 다수의 부품은 단열벽(102)과 수조(51)와 베이스(100)와 디스펜서(3)와 응축기(132)와 후술하는 센터 커버(66)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에 설치되어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13)(323)(3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수용바디(36)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밸브(313)(323)(333)는 베이스(100)에 설치된 브래킷(64, 도3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브래킷(64)는 단열벽(102)의 옆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개폐밸브(313)(323)(333)는 브래킷(64)에 의해 단열벽(102)과 수조(51)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313)(323)(333)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수조(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개폐밸브(313)(323)(333)의 전방을 가리는 센터 커버(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 커버(104)와 수조 서포터(106) 사이를 막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 사이를 막게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그 배면이 응축기(132)를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다수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는 그 앞부분이 센터 커버(66)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센터 커버(66)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맥주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되게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9)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메인 피시비(109C)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와이파이모듈과 블루투스모듈 등과 같이,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메인피시비(100C) 또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로터리 놉(109A)과, 로터리 놉(109A)에 의해 스위칭되는 로터리 스위치(109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의 일측에는 로터리 놉(109A)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놉 홀(106A)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놉(109A)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109B)는 메인 피시비(109C)에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09D)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무선통신소자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9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는 엘시디, 엘이디, 오엘이디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메인 피시비(109C)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피시비(109C)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맥주 제조팩(12)의 정보 및 그에 따른 발효시간이나 맥주 완성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맥주 재료의 발효시간이나 맥주 완성시간은 맥주 제조팩(12)은 그 내부에 담겨지는 맥주 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1)와 근접해지면, NFC 등의 통신모듈을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재료와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저장된 소형 칩이 스티커 등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고, 맥주 제조장치에는 이러한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NFC 태그가 설치될 수 있다. NFC 태그는 발효조 어셈블리(11)나 메인 피시비(109C)나 디스플레이 피시비에 설치될 수 있다. NFC 태그가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설치될 경우 NFC 태그는 발효조(112)의 개구부(111) 또는 발효조 덮개(114)에 설치될 수 있고, NFC 태그는 컨트롤러(109)와 데이터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에 수용되면,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에 구비된 칩으로부터 맥주 제조팩(12)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NFC 태그가 디스플레이 피시비에 설치될 경우, NFC 태그는 맥주 제조장치의 전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이 사용자에 의해 맥주 제조장치의 전면부와 근접되면, NFC 태그를 이용하여 맥주 제조팩(12)으로부터 맥주 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NFC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는 맥주 재료의 종류, 전체 발효시간이나 맥주 완성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무선통신소자를 통해 무선통신기기로부터 맥주 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맥주 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NFC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맥주 제조팩(12)으로부터 맥주 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통신기기는 획득된 정보를 맥주 제조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맥주 제조 도중의 맥주 제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와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나 무선통신기기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를 수치나 그래프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맥주의 제조 도중에 맥주의 완성도나 탄산량 등 수치나 그래프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1차 발효와 2차 발효시, 맥주의 완성도를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 내의 맥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탄산량이 점차 증가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압력센서(72)에 의해 맥주 제조팩(12)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 의해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이렇게 감지된 압력과 온도를 기설정된 수학식이나 테이블에 따라 탄산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렇게 산출된 탄산량의 정보를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09D)와 무선통신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이렇게 산출된 탄산량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맥주가 완성된 후, 맥주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후술하는 2차 발효가 완료되면, 맥주의 완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잔량을 맥주 취출밸브(62)에 포함된 리미트 스위치가 온인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맥주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밸브(9)가 온인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적산된 시간에 따라, 맥주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로부터 맥주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잔량 정보를 디스플레이(109D)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9D)와 무선통신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맥주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가,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맥주 제조장치는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맥주 제조장치의 기능, 상태, 제조 중인 맥주의 정보, 제조 후 보관 중인 맥주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초기 화면(400)과 설정 화면(5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컨트롤러(109)는 입력부(예컨대, 로터리 놉(109A))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09D)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 또는 전환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의 전원이 온 된 경우, 초기 화면(400)을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초기 화면(400)은 맥주 제조를 시작하기 위한 제조 시작 메뉴(401)와, 맥주 제조장치에 대한 환경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4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초기 화면(400)이 처음 표시될 때, 컨트롤러(109)는 제조 시작 메뉴(401)에 포커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을 통해 현재 포커스가 위치된 제조 시작 메뉴(40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선택 입력은 로터리 놉(109A)을 누르는 입력(프레스 입력 또는 푸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초기 화면(400)의 포커스를 제조 시작 메뉴(401)로부터 설정 메뉴(402)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을 통해 포커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포커스 이동 입력은 로터리 놉(109A)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09)는 초기 화면(400)의 포커스를 설정 메뉴(40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을 통해 현재 포커스가 위치된 설정 메뉴(402)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초기 화면(400)을 설정 화면(500)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설정 화면(500)은 무선 통신 환경 설정(예컨대, 와이파이 환경 설정)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메뉴(501), 맥주 제조장치의 시간 설정을 위한 시간 설정 메뉴(502), 디스플레이(109D)의 밝기 설정을 위한 밝기 설정 메뉴(503), 및 맥주 제조장치의 음향 설정을 위한 음향 설정 메뉴(5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화면(500)은 이전 화면(예컨대, 도 5의 경우 초기 화면(400))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이전 메뉴(50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 화면(500)이 처음 표시될 때, 컨트롤러(109)는 통신 환경 설정 메뉴(501)에 포커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화면(500)의 포커스를 통신 환경 설정 메뉴(501)의 오른쪽에 표시된 밝기 설정 메뉴(503)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을 통해 포커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은 로터리 놉(109A)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설정 화면(500)의 포커스를 밝기 설정 메뉴(503)의 왼쪽에 표시된 시간 설정 메뉴(502)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로터리 놉(109A)을 왼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컨트롤러(109)는 입력부(로터리 놉(109A))를 통해 수신되는 포커스 이동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에 포함된 메뉴에 대한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9)는 입력부(로터리 놉(109A))를 통해 수신되는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현재 포커스가 위치한 메뉴를 실행하고, 실행된 메뉴와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109D)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 환경 설정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 환경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의 제조 시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00).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맥주 제조장치의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맥주 제조장치의 컨트롤러(109)는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초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초기 화면은 맥주의 제조 시작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제조 시작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입력부(예컨대, 로터리 놉(109A))를 통해 제조 시작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조 시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조 시작 명령이 수신되면,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의 제조를 위한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10).
수신된 제조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를 이용한 맥주의 제조시 필요한 재료의 투입을 사용자에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맥주의 제조시 필요한 재료는 물, 맥즙(맥아), 이스트, 홉, 및 향 첨가제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맥주 제조장치는 상기 재료들 각각이 투입되는 복수의 투입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복수의 투입구들에 대응되는 재료들이 올바르게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재료들 각각에 대한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특정 재료의 투입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시 다음 재료에 대한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가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하는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에 대해서는 추후 도 7a 내지 도 7g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맥주 제조장치는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재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
컨트롤러(109)는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에 설치된 NFC 태그를 이용하여, 재료가 포함된 맥주 제조팩(12)에 부착된 칩으로부터 재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07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에 구비된 무선통신소자를 통해, 무선통신기기(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재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또한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다.
또한,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제조를 위해 필요한 재료들(맥즙, 이스트, 홉, 및 향 첨가제) 중 일부 재료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할 수도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맥주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고(S130), 설정된 제조 환경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40).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된 재료의 정보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 환경을 제조할 맥주에 적합한 제조 환경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조 환경은, 발효 온도, 발효 기간(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 및 발효조 내의 압력(또는 탄산량)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맥주 제조장치의 맥주 제조 과정은 급수 단계, 1차 발효, 및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단계는 발효조 내로 온수를 공급하고, 맥아와 온수를 고르게 혼합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1차 발효는 알코올을 생성하는 단계를 의미하고, 2차 발효는 탄산(이산화탄소)을 생성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S120 단계에서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제조를 위한 재료들 중 맥즙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하거나, 맥즙과 이스트의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맥주의 특성은 맥즙에 의해 결정되거나, 맥즙과 이스트의 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09)는 맥즙에 대한 정보 또는 맥즙과 이스트의 정보에 기초하여, 맥주의 제조를 위한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g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내지 도 7g는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가 제공하는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맥주 제조장치의 전원이 온되면,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의 이용을 위한 초기 화면(400)을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초기 화면(400)은 맥주 제조를 시작하기 위한 제조 시작 메뉴(401), 맥주 제조장치에 대한 환경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40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초기 화면(400)은 맥주의 제조 전 맥주 제조장치의 세척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세척 메뉴(40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을 통해 포커스를 제조 시작 메뉴(401)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09)는 포커스를 세척 메뉴(403)로부터 제조 시작 메뉴(401)로 이동시킬 수 있다. 포커스가 이동된 후, 로터리 놉(109A)을 통해 제조 시작 메뉴(40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제조 시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수신된 제조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09)는 제1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10)을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10)은 맥주 제조장치의 수조(51)로 물을 투입하도록 가이드하는 화면일 수 있다. 제1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10)은 다음 단계에 해당하는 재료 투입 가이드로 진행하기 위한 다음 단계 메뉴(411), 수조(51)로 물을 투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412)와 가이드 메시지(41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이미지(412)는, 사용자가 재료를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 시, 상기 재료에 대응되는 투입구의 위치로 투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51)의 투입구가 맥주 제조장치의 투입구들 중 우측 투입구에 해당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물을 우측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412)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수조(51)의 커버만을 잠금 해제하고, 다른 재료 투입구의 커버는 잠금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물이 다른 재료 투입구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수조(51)의 커버를 자동으로 오픈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물을 수조(51)로 투입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도 7b와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물을 수조(51)에 투입(예컨대, 5리터의 물을 투입)한 후, 로터리 놉(109A)을 조작하여 다음 단계 메뉴(411)를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다음 단계 메뉴(411)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20)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설정량의 물이 수조(51)에 투입됨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09)는 자동으로 제2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20)을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2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20)은 맥주의 재료들 중 맥즙을 투입하도록 가이드하는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맥즙은 도 1에서 상술한 맥주 제조팩(12)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20)은 맥즙(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로 투입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421)와 가이드 메시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이미지(421)와 관련하여, 발효조(112)의 투입구가 맥주 제조장치의 투입구들 중 좌측 투입구에 해당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맥즙을 맥주 제조장치의 좌측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421)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의 커버만을 잠금 해제하고, 다른 재료 투입구의 커버는 잠금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맥즙이 다른 재료 투입구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의 커버를 자동으로 오픈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맥즙(또는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로 투입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로 투입되는 맥주 제조팩(12)으로부터, 맥즙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9)는 맥즙(또는 맥주 제조팩(12))의 투입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3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30)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3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30)은 맥주의 재료들 중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 각각을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하도록 가이드하는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 각각은 도 1에서 상술한 캡슐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30)은, 맥즙의 투입시 획득된 맥즙 정보(43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30)은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 각각을 디스펜서(3)로 투입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432)와 가이드 메시지(43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이미지(432)와 관련하여, 디스펜서(3)의 투입구가 맥주 제조장치의 투입구들 중 중앙 투입구에 해당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 각각을 맥주 제조장치의 중앙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43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9)는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 각각이 수용된 캡슐들 각각을 디스펜서(3) 내의 대응하는 캡슐 수용부에 투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슐들 각각은 수용된 재료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가이드 이미지(432)에 포함된 캡슐들 각각에 색상 또는 모양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캡슐들 각각에 포함된 재료를 구분할 수 있고, 캡슐들 각각을 대응되는 캡슐 수용부에 올바르게 투입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디스펜서(3) 또는 캡슐 수용부의 커버만을 잠금 해제하고, 다른 재료 투입구의 커버는 잠금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가 다른 재료 투입구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디스펜서(3)의 커버를 자동으로 오픈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를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부로 투입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9)는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7b 내지 도 7d에 도시된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들(410~43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맥주 제조장치의 특성에 따라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들(410~43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맥주 제조장치로 투입되는 맥주 제조팩(12)이 물과 맥즙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제1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맥주 제조팩(12)에 포함된 재료의 수 또는 종류에 따라, 제3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430)을 통해 표시되는 캡슐의 수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9)는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가 디스펜서(3)로 투입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109)는 디스펜서(3)의 커버가 열리고 닫힘을 감지함으로써,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109)는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들(410~430)에 따라 모든 재료들(맥즙,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이 맥주 제조장치로 투입되면, 맥주의 제조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조 준비 화면(440)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조 준비 화면(440)은 획득된 맥즙 정보(431), 모든 재료들이 투입되었음을 나타내는 투입 확인 이미지(441), 맥주의 제조 시작을 위한 제조 시작 메뉴(442), 및 맥주의 제조 환경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메뉴(443)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러(109)는 모든 재료들이 맥주 제조장치로 투입되면, 획득된 재료의 정보(예컨대, 맥즙 정보)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맥주 제조장치의 메모리(미도시)는 맥주의 재료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제조 환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메모리로부터 상기 획득된 재료 정보에 대응하는 제조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조 시작 메뉴(442)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컨트롤러(109)는 투입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맥주의 제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에 포함된 커버들 중 일부가 닫히지 않은 상태인 경우, 컨트롤러(109)는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주 제조장치의 커버들을 모두 닫도록 요청하는 화면(450)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제조가 시작됨에 따라,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주의 제조 상태를 나타내는 제조 상태 화면(46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7g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의 제조를 위한 준비 과정, 즉 맥주의 재료를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시각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맥주 제조장치로부터 보다 직관적인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가, 맥주 제조 환경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 제조를 위해 자동으로 설정된 제조 환경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00).
예컨대, 컨트롤러(109)는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맥주 제조장치로 투입되는 재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재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109)는 설정된 제조 환경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09)는 커스터마이징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메뉴를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커스터마이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컨트롤러(109)는 상기 커스터마이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맥주 제조장치는 수신된 커스터마이징 요청에 응답하여, 제조 환경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210).
컨트롤러(109)는 맥주의 제조 환경(예컨대, 발효 온도, 1차 발효 기간, 2차 발효 기간, 발효조 내 압력 등)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화면을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커스터마이징 화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09)는 각 제조 환경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커스터마이징 화면은, 각 제조 환경에 대한 설정값의 범위를 표시하고, 표시된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획득된 재료의 정보에 따라, 제조 환경의 설정값에 대한 범위를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이는 맥주의 재료에 따라 제조 환경의 적정 범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컨트롤러(109)는, 수신된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조 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제조 환경의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247맥주 제조장치는, 커스터마이징된 제조 환경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20).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9a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h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맥주 제조장치가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징 기능과 관련된 화면들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들이 모두 투입되면, 제조 준비 화면(440)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투입된 재료들 중 일부에 대한 정보(예컨대, 맥즙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장치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조 시작 메뉴(442)가 선택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자동으로 설정된 제조 환경에 따라 맥주의 제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맥주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거나, 맥주 제조장치의 사용에 능통한 사용자는, 맥주 제조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조 환경 대신 직접 제조 환경을 설정하고자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의 제조 환경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커스터마이징 메뉴(443)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조 환경은 발효 온도, 발효 기간(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 및 발효조 내의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커스터마이징 메뉴(443)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된 재료들 중 일부에 대한 재료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재료 선택 화면(600)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일부에 대한 재료 정보가 이미 획득된 경우, 컨트롤러(109)는 재료 선택 화면(600)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맥주의 특성은 맥즙과 이스트의 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중, 맥즙의 정보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맥주 제조팩(12)으로부터 획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된 재료들 중 이스트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이스트 선택 화면(60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스트 선택 화면(600)은 선택 가능한 이스트들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하나의 이스트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선택 가능한 이스트들에 대한 데이터는 맥주 제조장치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b와 도 9c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스트 선택 화면(600)에 표시된 제1 이스트(602_1)를 제2 이스트(602_2)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스트 선택 화면(600)을 통해 제공되는 이스트의 목록 중에서,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된 이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예컨대, 로터리 놉(109A)을 누르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상기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장치에 투입된 이스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스트에 대한 정보가 이미 획득된 경우, 컨트롤러(109)는 이스트 선택 화면(600)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재료 정보가 획득된 경우, 컨트롤러(109)는 발효 온도의 설정을 위한 발효 온도 설정 화면(610)을 표시할 수 있다. 발효 온도 설정 화면(610)은 설정 가능한 발효 온도의 범위를 나타내는 발효 온도 범위 바(612)와, 현재 포커싱된 발효 온도 값(613)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획득된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발효 온도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맥주의 재료에 따른 발효 온도의 범위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의 회전 입력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발효 온도 값(613)을 조절할 수 있고,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발효 온도 값(613)을 맥주 제조시 발효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e를 참조하면, 발효 온도가 설정된 경우, 컨트롤러(109)는 발효 기간의 설정을 위한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은 총 발효 기간을 나타내는 발효 기간 바(62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기간 바(622)를 통해, 컨트롤러(109)는 총 발효 기간 중 1차 발효 기간(623) 및 2차 발효 기간(624) 각각에 대한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획득된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총 발효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획득된 재료 정보뿐만 아니라, 도 9d에서 설정된 발효 온도에 기초하여 총 발효 기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의 회전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발효 기간(623)과 제2 발효 기간(624) 각각을 조절할 수 있다. 로터리 놉(109A)을 통해 수신되는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09)는 현재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에 표시된 제1 발효 기간(623)과 제2 발효 기간(624)을 맥주 제조 시 제1 발효 기간과 제2 발효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f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9)는 발효 기간이 선택된 경우 맥주 제조시 발효조 내의 압력을 설정(또는 탄산량을 설정)하기 위한 압력 설정 화면(630)을 표시할 수 있다. 압력 설정 화면(630)은 설정 가능한 압력의 범위를 나타내는 압력 설정 바(632)와, 현재 포커싱된 압력 값(63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의 회전 입력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압력 값(633)을 조절할 수 있고,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압력 값(633)을 맥주 제조시 발효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g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9)는 제조 환경의 커스터마이징이 완료된 경우, 설정된 제조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환경 확인 화면(640)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제조 환경 확인 화면(640)을 통해, 사용자는 설정된 발효 온도(641)가 화씨 15도이고, 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642)이 각각 12일과 10일이며, 설정된 압력(643)이 1.9bar임을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조 환경 확인 화면(640)에 표시된 제조 시작 메뉴(644)를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제조 환경을 이용하여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취소 메뉴(645)가 선택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취소 확인 화면(65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가, 제조할 맥주의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발효 온도의 설정 범위를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9)는 획득된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발효 온도의 범위를 서로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도 10a의 경우 도 10b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발효가 이루어지는 하면 발효에 해당하고, 주로 라거 계열의 맥주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 도 10b의 경우 상면 발효에 해당하고, 주로 에일 계열의 맥주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09)는 획득된 재료 정보에 따라, 발효 온도 설정 화면(610)에 포함된 발효 온도 범위 바(612_1, 612_2)를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발효 온도 범위 내에서 발효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맥주 제조 환경 중 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을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09)는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 각각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의 회전 입력에 응답하여, 총 발효 기간 내에서 1차 발효 기간(623)과 2차 발효 기간(624) 각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09)는 1차 발효 기간(623)과 2차 발효 기간(624) 각각의 최소 기간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최소 기간 이하로 1차 발효 기간(623) 또는 2차 발효 기간(624)이 설정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1차 발효 기간이 길어질수록 제조된 맥주의 알코올 도수가 높아지고, 2차 발효 기간이 길어질수록 제조된 맥주의 탄산량이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발효 기간(624)은 2일의 최소 기간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2차 발효 기간(624)이 2일로 표시된 상태에서 로터리 놉(109A)을 우측으로 회전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는 이전 메뉴(625)를 포커싱할 수 있다. 또한, 1차 발효 기간(623)은 4일의 최소 기간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메뉴(625)에 포커스가 위치한 상태에서 로터리 놉(109A)을 우측으로 회전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컨트롤러(109)는 1차 발효 기간(623)을 4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1차 발효 기간(623)은 4일 미만으로는 선택될 수 없고, 2차 발효 기간(624)은 2일 미만으로는 선택될 수 없다.
도 12는 맥주 제조 환경 중 1차 발효 기간 및 2차 발효 기간을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은 하나의 화면을 통해 1차 발효 기간과 2차 발효 기간 각각을 설정하는 반면,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 컨트롤러(109)는 1차 발효 기간을 설정하는 1차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_1)과, 2차 발효 기간을 설정하는 2차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_2)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2차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_2)의 설정 범위(622_2)는, 1차 발효 기간 설정 화면(620_1)에서 설정된 1차 발효 기간(623)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1차 발효 기간(623)이 길게 설정될 경우, 2차 발효 기간(624)의 설정 범위(622_2)는 짧아질 수 있고, 1차 발효 기간(623)이 짧게 설정될 경우, 2차 발효 기간의 설정 범위(624)는 길어질 수 있다.
도 13은 맥주 제조 환경 중 발효조 내의 압력 설정을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시 발효조 내의 압력 설정을 위한 압력 설정 화면(630)을 표시할 수 있다. 발효조 내의 압력 설정값에 따라, 맥주에 함유되는 탄산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압력 설정 화면(630)에 포함된 압력 설정 바(632)를 통해 제공되는 압력 설정 범위는 획득된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9)는 기 설정된 발효 온도, 발효 기간에 기초하여, 압력 설정 화면(630)의 표시 시 기본 압력 값(633)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압력 설정 화면(630)의 표시 시 처음 표시되는 기본 압력 값(633)은, 설정된 발효 온도, 발효 기간에 최적화된 압력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로터리 놉(109A)의 회전 입력에 기초하여 기본 압력 값(633)을 다른 값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러(109)는 커스터마이징 화면들의 제공 중 커스터마이징을 취소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요청은 로터리 놉(109A)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에 대응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09)는 커스터마이징 동작을 취소하고 도 9a의 제조 준비 화면(44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맥주 제조장치는 맥주의 제조 환경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직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조 환경을 직접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맥주 제조장치는 재료 정보 또는 기 설정된 일부 제조 환경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조 환경의 설정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되는 맥주의 퀄리티를 특정 수준 이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맥주 제조의 실패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맥주 제조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발효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를 포함하는 발효조 어셈블리;
    NFC 통신모듈;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발효 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입되고,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주 재료가 수용된 맥주 제조팩;
    상기 발효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맥주 제조팩과 유로로 연결되고,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타 재료가 수용된 디스펜서; 및
    맥주 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NFC 통신모듈을 통해서 획득하고,
    맥주의 제조를 위한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에 기초하여 맥주의 제조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조 환경에 기초하여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맥주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은,
    상기 맥주 재료와 관련된 정보 중 주 재료에 대해, 상기 발효조의 투입구에 대응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맥주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조의 투입구의 커버만을 잠금 해제하고, 나머지 투입구의 커버는 잠금 상태로 제어하는 맥주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 재료에 대응하는 발효조의 투입구의 커버를 자동으로 오픈하도록 제어하는 맥주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은
    상기 맥주 재료와 관련된 정보 중 타 재료에 대해, 디스펜서(3)로 투입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맥주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타 재료가 수용된 복수개의 캡슐 각각이, 안착 또는 인출이 가능한 캡슐 수용부를 포함하는,
    맥주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은,
    상기 복수개의 캡슐 각각에 수용된 맥주 제조를 위한 타 재료에 기초한 투입 위치가 표시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맥주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중 상기 복수개의 캡슐 각각에 수용된 맥주 재료 각각에 대응하는 투입구의 위치를 포함하는, 맥주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 중, 상기 주 재료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제1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주 재료가 상기 주 재료에 대응하는 투입구로 투입됨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을, 상기 타 재료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제2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맥주 제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 재료는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은,
    상기 홉, 이스트, 및 향 첨가제 각각이 포함된 캡슐들의 색상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화면에 표시되는 캡슐들 각각의 색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맥주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환경은 발효 온도, 1차 발효 기간, 2차 발효 기간, 및 상기 맥주 제조장치의 발효조 내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맥주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재료 투입 가이드 화면에 기초하여 재료들이 투입되면, 제조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조 준비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조 준비 화면에 포함된 제조 시작 메뉴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하는 맥주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맥주의 제조 환경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커스터마이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조 환경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화면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환경이 설정되면, 설정된 제조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하는 맥주 제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화면 각각은, 대응하는 제조 환경에 대한 설정값의 범위를 표시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된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환경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설정값의 범위는, 획득된 재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달라지는 맥주 제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화면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환경이 설정되면, 설정된 제조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환경 확인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제조 환경 확인 화면에 포함된 제조 시작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제조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맥주 제조 동작을 수행하는 맥주 제조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 제조팩,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NFC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NFC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NFC 태그부터 상기 맥주 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맥주 제조장치.
KR1020200083714A 2020-07-07 2020-07-07 맥주 제조장치 KR10222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14A KR102223925B1 (ko) 2020-07-07 2020-07-07 맥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14A KR102223925B1 (ko) 2020-07-07 2020-07-07 맥주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735A Division KR102135905B1 (ko) 2016-11-10 2016-11-10 맥주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708A true KR20200085708A (ko) 2020-07-15
KR102223925B1 KR102223925B1 (ko) 2021-03-08

Family

ID=7160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714A KR102223925B1 (ko) 2020-07-07 2020-07-07 맥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9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848A (ja) * 1997-05-19 1998-12-02 Toshiba Corp ビール醸造装置
KR20160039271A (ko) * 2013-07-29 2016-04-08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음료 준비 시스템 및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KR20160087865A (ko) * 2013-11-20 2016-07-22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디/비/에이 스타벅스 커피 컴퍼니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848A (ja) * 1997-05-19 1998-12-02 Toshiba Corp ビール醸造装置
KR20160039271A (ko) * 2013-07-29 2016-04-08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음료 준비 시스템 및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KR20160087865A (ko) * 2013-11-20 2016-07-22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디/비/에이 스타벅스 커피 컴퍼니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925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006B1 (ko) 발효장치
KR102128585B1 (ko) 맥주 제조 및 취출 장치
KR102124460B1 (ko) 발효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20220042330A (ko) 음료 제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세척 시스템
KR102135905B1 (ko) 맥주 제조장치
KR102185420B1 (ko) 맥주 제조장치
KR102307783B1 (ko) 발효장치
KR102117626B1 (ko) 발효장치
KR102114304B1 (ko) 맥주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23925B1 (ko) 맥주 제조장치
KR102420989B1 (ko) 맥주 제조장치
KR102481829B1 (ko) 음료 제조기
KR102243398B1 (ko) 맥주 제조장치
KR102396664B1 (ko) 음료 제조기
KR102533780B1 (ko) 음료 제조기
KR102469223B1 (ko) 음료 제조기
KR102396653B1 (ko) 음료 제조기
KR102314185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060325A (ko) 발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