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727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727A
KR20200084727A KR1020190000932A KR20190000932A KR20200084727A KR 20200084727 A KR20200084727 A KR 20200084727A KR 1020190000932 A KR1020190000932 A KR 1020190000932A KR 20190000932 A KR20190000932 A KR 20190000932A KR 20200084727 A KR20200084727 A KR 20200084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intensity
gain value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아
박종진
이원재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4727A/ko
Priority to PCT/KR2019/018470 priority patent/WO2020141794A1/ko
Priority to EP19908039.1A priority patent/EP3872619A4/en
Priority to US17/419,891 priority patent/US11972762B2/en
Priority to CN201980087837.5A priority patent/CN113260975A/zh
Publication of KR2020008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1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spectral information of each sub-b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1Voice in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2015/088Word spot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6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using non-speech characteristics
    • G10L2015/228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using non-speech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 contex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021/02082Noise filtering the noise being echo, reverberation of the spee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마이크,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trigger word)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gain) 값을 식별하고, 음성 인식 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하고,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커맨드(command)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수의 전자 장치에 음성 인식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사용자는 지정된 트리거 워드(trigger word)를 발화하여 손쉽게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트리거 워드를 발화한 것으로 판단하면, 음성 명령 인식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포함된 의도(intend)를 파악하여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자 장치가 트리거 워드를 인식하여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오인식 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특히, 전자 장치는 마이크와 사용자 간의 거리, 사용자 발화 음성의 세기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음성 인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음성 명령이 오인식된 경우에 사용자가 마이크와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발화 음성의 세기를 조절하여 음성 명령을 재발화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마이크와의 거리, 사용자 발화 음성의 세기를 고려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조정하여 음성 인식율을 개선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마이크,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trigger word)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gain) 값을 식별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커맨드(command)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특정 임계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의 집음 대역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지 턴-오프 상태인지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 및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게인 값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상기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상기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고, 상기 식별된 게인 값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상기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상기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 워드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세기의 복수의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 데이터가 저장된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가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리지는, 노이즈 필터링(noise filtering) 및 에코 캔슬링(echo canceling)을 수행하기 위한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잡음을 추출한 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가 상기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기 설정된 세기 범위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 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trigger word)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gain) 값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커맨드(command)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특정 임계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의 집음 대역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지 턴-오프 상태인지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 및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된 게인 값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볼륨을 상기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게인 값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볼륨을 상기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트리거 워드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세기의 복수의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가 상기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는, 노이즈 필터링(noise filtering) 및 에코 캔슬링(echo canceling)을 수행하기 위한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저장하며, 상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잡음을 추출한 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가 상기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기 설정된 세기 범위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 값을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사용자 발화 음성의 세기 등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고, 음성의 오인식율이 감소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자 장치에 대한 음성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 모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게인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게인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커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출력 볼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 모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따라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TV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미도시)를 구비하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발화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모드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의 음성 커맨드(command)를 인식하고, 음성 커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가 구비된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 또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가 구비된 원격 제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구현되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발화 음성(10)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발화 음성에 기초하여 TV 등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도록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기 설정된 단어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단어는 음성 인식 모드를 활성화하는 기 설정된 세네음절 길이의 단어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따른 제1 사운드 신호(10)를 수신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운드 신호(10)에 기 설정된 단어(예를 들어, ‘Hi Samsung’)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가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커맨드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드(예를 들어, 음성 인식과 관련된 구성요소가 스탠 바이(Standby) 모드에서 노멀(Normal) 모드로 전입하는 상태, 음성 인식과 관련된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 등)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면, 전자 장치(100)는 일반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 중에 있던 컨텐츠를 일 영역에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에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예를 들어, 비프음) 등을 통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였음을(또는, 일반 모드에서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사용자에게 노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응되는 제1 사운드 신호(10)가 기 설정된 단어(예를 들어, ‘Hi Samsung’)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10)를 무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일반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단어는 트리거 워드(trigger word), 웨이크업 워드(wakeup word)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트리거 워드로 통칭하도록 한다. 트리거 워드는 전자 장치(100)의 제조 단계에서 기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추가, 삭제 등의 편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트리거 워드는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통해 변경,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마이크(110)는 사운드 신호를 집음하는 구성이다. 마이크(11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집음하여 사운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110)는 전자 장치(100)의 상측이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등에 일체화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10)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일정 게인 값으로 증폭하는 앰프(AMP) 회로, 증폭된 사용자 음성을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서버, 외부 전자 장치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command),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의 발화 텍스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되고,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커맨드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또는, 제어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1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수신되면, 발화 음성에 트리거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일반 모드에서 마이크(110)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10)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에 트리거 워드가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에 트리거 워드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예를 들어, ‘Hi Samsung’)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모드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 중에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구성 요소가 활성화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모드는 전자 장치(100)에 마련된 음성 인식을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활성화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모드는 전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되면, 외부 장치(200)를 사용자의 발화 음성으로 제어하기 위한 음성 커맨드를 수신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에 트리거 워드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신호(10)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인 값은 마이크(110)에 구비된 앰프(AMP) 회로가 사운드 신호를 일정한 기준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게인(Gain) 값은 앰프 회로의 특성 값으로서 출력 신호에 대한 입력 신호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10)는 앰프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된(또는, 집음된) 사운드 신호를 일정한 비율로 증폭 또는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게인 값이 올라가면 앰프 회로는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키고, 게인 값이 내려가면 앰프 회로는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호의 세기는 데시벨(dB) 및 주파수(Hz)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시벨이 셀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신호의 세기가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증폭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의 기 설정된 세기 범위가 50 내지 70dB이면,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 50 내지 70dB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 후에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50 내지 70dB는 일 실시 예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세기는 마이크(110) 즉,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거리(Distance)에 반비례하고, 사용자의 발화 음성의 세기(dB)에 비례한다.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줄어들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발화 음성의 세기(dB)가 작을수록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가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후,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가 기 설정된 세기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제1 사운드 신호(10)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자체적으로 제2 사운드 신호(20)에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예를 들어, TV 볼륨 키워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텍스트에 대응하도록 외부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게인 값에 따라 세기가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20)를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수신되면, 수신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또는,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외부 서버(300)와 통신이 제한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장치(200)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로 제2 사운드 신호(20) 또는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외부 장치(200)는 외부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하거나, 수신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 커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외부 서버(300)와 통신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가 외부 서버(300)로부터 제2 사운드 신호(10)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하도록 외부 장치(200)에 제2 사운드 신호(10) 및 제어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의 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STT(음성 텍스트 변환, Speech To Text) 기능을 적용하여 제1 사운드 신호(10)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직접 제1 사운드 신호(10)에 STT 기능을 적용하여 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제1 사운드 신호(10)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STT를 이용하여 제1 사운드 신호(10)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텍스트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20)를 그대로(즉, 세기의 조정 없이)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조정한 후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음성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에 트리거 워드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에 제1 사운드 신호(10)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게인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사람의 발성 주파수가 100 내지 300 Hz이내이면, 프로세서(130)는 100 내지 300Hz 대역에서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값은 70dB일 수 있다. 한편,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100 내지 300Hz 대역, 제1 임계값으로 70dB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1M 거리에서 사람들의 대화는 평균 60dB의 세기에 해당하고, 백화점 내부, 상가 등에서는 평균 70dB의 세기에 해당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70dB 이상의 제1 사운드 신호(10)가 수신되면, 제1 사운드 신호(10)에 이어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한 음성 인식률이 현저히 저하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70dB 이하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감소(또는, 증폭)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특정 임계 시간 동안 마이크(110)의 집음 대역을 초과하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110)는 일정 범위의 집음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집음 대역은 최대 음압 레벨(Maximum SPL(sound pressure level))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10)의 최대 음압 레벨이 124 dB SPL이면, 마이크(110)는 0 내지 124dB의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110)는 124dB를 초과하는 사운드 신호를 집음할 수 있다. 즉, 포화(saturation)가 발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이크(110)의 집음 대역을 초과하는 제1 사운드 신호(10)가 특정 임계 시간 동안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운드 신호(10)가 마이크(110)의 집음 대역을 초과하는 경우는 마이크(110)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깝거나, 사용자의 발화 음성의 세기가 매우 큰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한 후에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한 음성 인식률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사운드 신호(20)를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세기를 감소(또는 증폭)시킨 후에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음성 인식률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110)의 집음 대역, 최대 음압 레벨은 마이크(110)의 성능, 제조사의 제조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로 돌아와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제1 임계값 미만이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로 증가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게인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제1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사람의 발성 주파수인 100 내지 300 Hz대역에서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제1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값은 40dB일 수 있다. 한편,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100 내지 300Hz 대역, 제1 임계값으로 40dB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람들 간의 조용한 이야기, 속삭임에 해당하는 대화 등은 평균 40dB의 세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40dB 미만의 세기를 가지는 제1 사운드 신호(10)가 트리거 워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식별되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면, 제1 사운드 신호(10)에 이어서 수신되는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 또한, 40dB 미만의 세기를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임계값 미만의 세기를 가지는 제2 사운드 신호(20)를 현저하게 낮은 인식률로 인식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임계값 미만의 세기를 가지는 제1 사운드 신호(10)가 수신되면, 제1 사운드 신호(10)에 이어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운드 신호(20)가 기 설정된 세기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증폭(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 장치(200)가 턴-온 상태인지 턴-오프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command)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커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 외에 AI 스피커(100’)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외부 장치(200)가 턴-온 상태인지 또는 턴-오프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의 턴-온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특정 패킷 또는 특정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특정 패킷에 대응되는 응답 패킷이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신되면, 외부 장치(200)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의 턴-온 상태에서 외부 장치(200)가 전송하는 특정 패킷 또는 특정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신되면, 외부 장치(200)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는 BT(Bluetooth) 페어링(Pairing)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페어링 연결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의 턴-온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와 페어링 연결이 완료되면, 외부 장치(200)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트리거 워드를 포함하는 제1 사운드 신호(10)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고,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운드 신호(20)는 외부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발화 음성일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300)를 이용하여 또는 자체적으로 제2 사운드 신호(20)에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획득된 사용자 커맨드(예를 들어, ‘TV 볼륨 키워줘)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200)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 및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200)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예를 들어, 웨이크업 패킷)만을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200)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 및 제2 사운드 신호(20)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서, 외부 장치(200)는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를 자체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300)로 제2 사운드 신호(20)를 전송하여 제2 사운드 신호(20)에 대응되는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어서, 외부 장치(200)는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에 대응하는 동작(예를 들어,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10)에 트리거 워드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고, 외부 장치(200)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200)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게인 값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증폭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증가시켜 음향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게인 값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감소시켜 음향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출력 볼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 거리가 1-2M이고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60dB의 세기를 가질 때,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높은 인식률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10)가 마이크(110)의 집음 대역(또는, 최대 음압 레벨)을 초과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제1 임계 미만이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여 사용자가 원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음향 컨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 거리에 기초하여 출력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게인 값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증가시켜 음향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게인 값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감소시켜 음향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간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할 출력 볼륨으로 음향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10)의 세기 및 기 설정된 세기 범위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운드 신호(10)의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프로세서(130)는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증폭시키고, 세기가 증폭된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재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세기가 증폭된 제2 사운드 신호(20’)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재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 신호(20) 뒤에 수신된 제3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증폭(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프로세서(130), 스토리지(140), 스피커(150), 디스플레이(160),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와이파이 모듈(121), 블루투스 모듈(122), 적외선 통신 모듈(123) 및 무선 통신 모듈(12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TV와 같인 디스플레이 장치, set-top box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 외부 서버, 리모콘과 같은 제어 장치, 블루투스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 조명 장치, 스마트 청소기, 스마트 냉장고와 같은 가전 기기, IOT 홈 매니저 등과 같은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121), 블루투스 모듈(12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121)이나 블루투스 모듈(12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123)은 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124)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 인터페이스(125)는LAN(Local Area Network) 모듈 또는 이더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리모콘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동일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리모콘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상이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이더넷 모듈 또는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리모콘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BT 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복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리모콘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사용자 발화 음성 또는 음성 신호는 디지털 음성 신호일 수 있으나, 구현 예에 따라 아날로그 음성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Bluetooth 또는 Wi-Fi 등의 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사용자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조사의 목적,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설치, 삭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스마트폰은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스마트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획득 및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스마트폰은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인식 서버로 전송하고, 음성 인식 서버로부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의 음성 인식을 위해, 외부 서버로 해당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마이크(110)를 통해 집음된 사운드 신호의 특성 정보,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은 하나로 구현되거나,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는 Bluetooth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외부 서버와는 이더넷 모뎀 또는 Wi-Fi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 서버로 수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 사운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 서버는 STT(Speech To Text)를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 서버는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검색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서버 또는 전자 장치로 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 검색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3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34-n), 버스(135)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24-n) 등은 버스(1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4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내지 134-n)는 상술한 각종 구성 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그래픽 처리 기능(비디오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스토리지(14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140)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2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토리지(14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고,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스토리지(140)는 트리거 워드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세기의 복수의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신호 데이터 각각은 사람의 트리거 워드 발화 시 주파수 변화률, 진폭 변화률 및 신호의 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람의 입, 성대, 목구멍 등의 구조, 나이, 성별, 인종 등에 따라 트리거 워드의 발화 주파수, 발화 세기(dB)가 다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신호 데이터 각각은 서로 다른 세기로 트리거 워드 발화 시의 주파수 변화률, 진폭 변화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가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140)는 노이즈 필터링(noise filtering) 및 에코 캔슬링(echo canceling)을 수행하기 위한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사운드 신호(10)의 잡음을 추출한 후 제1 사운드 신호(10’)가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스피커(15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1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또는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150)는 저음역(woofer) 스피커, 중음역(midrange) 스피커 및 고음역(tweeter)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피커(150)는 복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역대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출력 볼륨으로 음향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운드 신호(10)에 기초하여 식별된 게인 값에 따라 스피커(150)의 사운드 신호 출력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6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우징하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8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80)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80)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포트와 비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포트를 별개의 포트로 포함하거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구현 예에 따라 튜너 및 복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튜너(미도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미도시)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우선,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trigger word)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한다(S910).
이어서,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gain) 값을 식별한다(S920).
이어서, 음성 인식 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한다(S930).
이어서,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커맨드(command)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S940).
여기서, 게인 값을 식별하는 S920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 및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로 증가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인 값을 식별하는 S920 단계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특정 임계 시간 동안 마이크의 집음 대역을 초과하면,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S940 단계는, 세기가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지 턴-오프 상태인지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S940 단계는,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외부 장치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 및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식별된 게인 값이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전자 장치의 출력 볼륨을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는 단계 및 식별된 게인 값이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전자 장치의 출력 볼륨을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트리거 워드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세기의 복수의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S910 단계는, 제1 사운드 신호가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노이즈 필터링(noise filtering) 및 에코 캔슬링(echo canceling)을 수행하기 위한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저장하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S910 단계는,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사운드 신호의 잡음을 추출한 후 제1 사운드 신호가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기 설정된 세기 범위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장치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한다(S1010).
이어서, 전자 장치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 값을 식별할 수 있다(S1020).
이어서, 전자 장치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하고(S1030),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커맨드(command)를 획득한다(S1040). 여기서, 사용자 커맨드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일 수 있다.
이어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지 식별한다(S1050).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이면(S1050: Y),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가 턴-오프 상태이면(S1050: N), 외부 장치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 및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고(S1010),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다(S1050). 외부 장치가 턴-오프 상태이면(S1050: N),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2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S1040)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S1040 단계를 생략하고, S1060 및 S1070 단계에서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세기가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가 제2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하거나 외부 장치가 제2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마이크
120: 통신 인터페이스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마이크;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trigger word)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gain) 값을 식별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커맨드(command)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특정 임계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의 집음 대역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지 턴-오프 상태인지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 및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게인 값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상기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상기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고,
    상기 식별된 게인 값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상기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상기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워드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세기의 복수의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 데이터가 저장된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가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는,
    노이즈 필터링(noise filtering) 및 에코 캔슬링(echo canceling)을 수행하기 위한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잡음을 추출한 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가 상기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기 설정된 세기 범위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 값을 재조정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장치인,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에 트리거 워드(trigger word)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세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게인(gain) 값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식별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커맨드(command)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특정 임계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의 집음 대역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 설정된 세기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게인 값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지 턴-오프 상태인지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턴-온 시키기위한 제어 커맨드 및 상기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게인 값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볼륨을 상기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게인 값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 값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볼륨을 상기 게인 값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트리거 워드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세기의 복수의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가 상기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노이즈 필터링(noise filtering) 및 에코 캔슬링(echo canceling)을 수행하기 위한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저장하며,
    상기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잡음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잡음을 추출한 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가 상기 복수의 신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기 설정된 세기 범위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 값을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장치인, 제어 방법.
KR1020190000932A 2019-01-03 2019-01-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84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932A KR20200084727A (ko) 2019-01-03 2019-01-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19/018470 WO2020141794A1 (ko) 2019-01-03 2019-12-26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19908039.1A EP3872619A4 (en) 2019-01-03 2019-12-26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PROCEDURE FOR IT
US17/419,891 US11972762B2 (en) 2019-01-03 2019-12-26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980087837.5A CN113260975A (zh) 2019-01-03 2019-12-26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932A KR20200084727A (ko) 2019-01-03 2019-01-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727A true KR20200084727A (ko) 2020-07-13

Family

ID=7140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932A KR20200084727A (ko) 2019-01-03 2019-01-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872619A4 (ko)
KR (1) KR20200084727A (ko)
CN (1) CN113260975A (ko)
WO (1) WO20201417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2217B2 (en) 2019-06-11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7000A1 (en) * 2020-10-06 2022-04-14 Sonos, Inc. Modifying audio system parameters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US20220358915A1 (en) * 2021-05-10 2022-11-10 Roku, Inc. Voice command recogni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4990B2 (ja) * 1995-08-21 2005-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音声認識対話装置および音声認識対話処理方法
US7755523B2 (en) * 2007-09-24 2010-07-13 Nanoamp Mobile, Inc. ADC use with multiple signal modes
TWI601032B (zh) * 2013-08-02 2017-10-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應用於聲控裝置的控制器與相關方法
US9443508B2 (en) * 2013-09-11 2016-09-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ser programmable voice command recognition based on sparse features
KR20150092996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69848B1 (ko) * 2014-10-27 202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원거리 음성 인식율 향상 방법
US9799349B2 (en) * 2015-04-24 2017-10-24 Cirrus Logic, Inc.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dynamic range enhancement for voice-activated systems
CN104848478B (zh) * 2015-04-28 2017-11-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中语音指令识别阈值的调整方法和系统
KR102623272B1 (ko) * 2016-10-12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553111B2 (ja) * 2017-03-21 2019-07-31 株式会社東芝 音声認識装置、音声認識方法及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US10147439B1 (en) * 2017-03-30 2018-12-04 Amazon Technologies, Inc. Volume adjustment for listening environment
US10564928B2 (en) * 2017-06-02 2020-02-1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volume- based response for multiple voice-operated user devices
CN107464564B (zh) * 2017-08-21 2023-05-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交互方法、装置及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2217B2 (en) 2019-06-11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2619A4 (en) 2021-12-08
CN113260975A (zh) 2021-08-13
US20220084519A1 (en) 2022-03-17
WO2020141794A1 (ko) 2020-07-09
EP3872619A1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7687A (ko) 복수의 음성 인식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4173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8726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4394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1234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20147298A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0914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EP385754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3366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3299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27278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30008662A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1246264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EP36779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ition from low power always listening mode to high power speech recognition mode
KR2022008027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061467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US2020027345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22567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7276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9802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2493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811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582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155505A (ko) 이동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7818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