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296A - 낚싯대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296A
KR20200084296A KR1020190177104A KR20190177104A KR20200084296A KR 20200084296 A KR20200084296 A KR 20200084296A KR 1020190177104 A KR1020190177104 A KR 1020190177104A KR 20190177104 A KR20190177104 A KR 20190177104A KR 20200084296 A KR20200084296 A KR 20200084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ead
main rod
hole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344B1 (ko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filed Critical 이준
Publication of KR2020008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를 지지하는 헤드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치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제재하며, 거치부의 상하 움직임을 빠르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구조의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는 상기 주봉(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고정부(11)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연장부(12)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20)의 하측면에는 상기 고정부(11)의 상단과 연장부(12)가 삽입되는 결합공(23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의 상단 둘레면과 결합공(23a)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호 맞물리는 복수개의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상기 헤드(20)를 결합하면,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려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바람이 불거나, 강한 조류가 발생됨에 따라, 낚싯대(1)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주봉(10)의 요철구조, 즉 협경부(12a)와 고정볼트(24)로 인해 헤드(20)를 윗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헤드(20)가 주봉(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재할 수 있으며, 다단 조임볼트(26)를 이용하여 헤드(20)에 거치대(30)를 강하게 밀착 고정시키면서도, 거치대(30)의 각도를 빠르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싯대 받침대{fishing rod prop}
본 발명은, 낚싯대를 지지하는 헤드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치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제재하며, 거치부의 상하 움직임을 빠르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구조의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 사용되는 낚싯대는 장시간 들고 있을 경우, 신체에 무리가 가게 됨으로, 바닥면에 낚싯대 받침대를 설치하고, 낚싯대를 상기 낚싯대 받침대에 거치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낚싯대 받침대의 일반적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주봉(10)과,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20)와, 상기 헤드(20)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20)의 하단에는 상기 주봉(10)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공(21)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20)의 둘레면에는 삽입공(21)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주봉(10)의 상단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볼트(22)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30)는 하단이 상기 헤드(20)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도시되지 않은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상면 전후측에는 낚싯대(1)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된 전후측 거치부(31,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21)이 상기 주봉(10)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22)를 조임으로써, 상기 거치대(3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거치대(3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나사를 조임으로써, 거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30)에 낚싯대(1)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낚싯대 받침대에 낚싯대(1)를 거치한 상태에서, 바람이 불거나, 강한 조류가 발생될 경우, 낚싯대(1)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낚싯대 받침대의 주봉(10)과 헤드(20)는 고정볼트(22)에 의해 상호 고정되기 때문에, 낚싯대(1)에 강한 측방향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고정볼트(22)를 더욱 강하게 조일 경우, 헤드(20)가 회전되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상기 고정볼트(22)를 강하게 조이는 것이 매우 힘이 들게 되고, 심할 경우, 헤드(20)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낚시 시에는 필요에 따라 거치대(30)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낚싯대 받침대의 경우, 거치대(30)의 각도 조절은 고정볼트(22)를 해제하거나 상기 고정나사(헤드(20)와 거치대(30)를 결합시키는 나사)를 해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거치대(30)의 각도 조절을 위해, 고정볼트(22)를 해제하여 주봉(10)과 헤드(20) 사이의 고정을 느슨하게 하거나, 나아가 헤드(20)를 윗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강한 바람이나 조류에 의해 헤드(20) 및 거치대(30)가 이탈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치대(30)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고정나사를 해제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점, 즉 강한 바람이나 조류에 의해 거치대(30)가 이탈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근본적으로 거치대(30)는 상기 고정나사에 의해 헤드(20)에 고정되게 되는데, 단순한 고정나사 구조로는 거치대(30)를 밀착 고정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245874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낚싯대(1)를 지지하는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헤드(20)를 윗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헤드(20)가 주봉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재할 수 있으며, 헤드(20)에 거치대(30)를 강하게 밀착 고정시키면서도, 거치대(30)의 각도를 빠르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낚싯대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주봉(10)과,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20)와, 상기 헤드(20)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30)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주봉(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고정부(11)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연장부(12)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20)의 하측면에는 상기 고정부(11)의 상단과 연장부(12)가 삽입되는 결합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의 상단 둘레면과 결합공(23a)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호 맞물리는 복수개의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상기 헤드(20)를 결합하면,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려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봉(10) 연장부(12)의 상하측 중간부 외주면에는 협경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20)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공(23a)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관통공(23c)이 형성된 지지관부(23)와, 상기 지지관부(23)의 결합공(23a)에 나사결합되며 내측단은 상기 헤드(20)에 결합된 연장부(12)의 협경부(12a)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볼트(24)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23c)은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4) 내측단의 상측둘레부로부터 상기 협경부(12a)의 상단까지의 거리(L)가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리는 상하방향 폭(W)에 비해 길도록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고정볼트(24)의 내측단이 상기 협경부(12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를 상측으로 당겨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가 제공된다.
상기 헤드(2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의 결합을 해제할 때, 상기 고정볼트(24)가 상기 협경부(12a)의 상측 걸림턱(12b)에 걸려 상기 헤드(20)가 연장부(12)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게됨으로, 헤드(20)가 연장부(12)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사용자가 헤드(20)를 연장부(12)에 다시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헤드(20)는 상기 지지관부(23)의 상단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판(25)과, 상기 지지판(25)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다단 조임볼트(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단 조임볼트(26)는 측방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는 나사산(26d)이 형성된 소경부(26a)와, 상기 소경부(26a)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된 확경부(26b)와, 상기 확경부(26b)의 후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대경부(26c)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다단 조임볼트(26)의 소경부(26a)가 관통하는 고정공(33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부(33)와, 상기 지지부(33)의 전후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전후측 거치부(34,3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25)에는 상기 소경부(26a)의 나사산(26d)에 대응되는 나사결합공(25a)과 상기 대경부(26c)에 대응되는 삽입공(25b)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3)의 고정공(33a)의 일측에는 상기 확경부(26b)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밀착부(3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관부(23)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공(27a)이 형성된 지지브라켓(27)과, 상기 나사공(27a)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단이 상기 거치대(30)의 전방 하측면에 접촉되어 거치대(30)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봉(10)의 고정부(11)의 내부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브라켓(15)과, 상호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기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1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회동바(16,17)와,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의 선단부에 회동가능게 결합되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18a)이 형성된 지지블록(18)과, 상기 가이드공(18a)에 일정 범위내에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바닥면에 삽입고정되는 앵커부재(19)와,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동바(16)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봉(10)의 둘레면에는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장공(14)이 상기 힌지브라켓(15)의 하측에서 상기 제1 회동바(16)가 결합된 위치의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회동바(16)의 기단부에는 제1 회동바(16)가 상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고정수단(40)에 걸리는 걸림턱(16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단은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장공(14)을 통해 주봉(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41a)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장공(14)을 통해 주봉(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회동바(16)가 상승되면 상기 걸림턱(16a)의 상면에 걸려 제1 회동바(16)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걸림부(41b)가 형성된 고정바(41)와, 상기 고정바(41)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41b)가 상기 걸림턱(16a)의 상면에 걸리도록 고정바(41)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2)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지블록(18)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제1 회동바(16)의 걸림턱(16a)이 상기 고정수단(40)의 걸림부(41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주봉(10)을 바닥면에 박으면, 상기 연장부(41a)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걸림부(41b)와 걸림턱(16a)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앵커부재(19)의 하단이 바닥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는 상기 주봉(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고정부(11)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연장부(12)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20)의 하측면에는 상기 고정부(11)의 상단과 연장부(12)가 삽입되는 결합공(23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의 상단 둘레면과 결합공(23a)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호 맞물리는 복수개의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상기 헤드(20)를 결합하면,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려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바람이 불거나, 강한 조류가 발생됨에 따라, 낚싯대(1)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주봉(10)의 요철구조, 즉 협경부(12a)와 고정볼트(24)로 인해 헤드(20)를 윗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헤드(20)가 주봉(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재할 수 있으며, 다단 조임볼트(26)를 이용하여 헤드(20)에 거치대(30)를 강하게 밀착 고정시키면서도, 거치대(30)의 각도를 빠르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싯대 받침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이 분해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대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주봉(10)과,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20)와, 상기 헤드(20)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3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봉(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고정부(11)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연장부(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1)의 상단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1a)이 상호 일정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a)은 고정부(11)의 상단 둘레면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봉(10) 연장부(12)의 상하측 중간부 외주면에는 협경부(12a)가 형성된다.
상기 협경부(12a)는 지름이 상기 연장부(12)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상하단에 각각 상하측 걸림턱(12b,12c)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20)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11)의 상단과 연장부(12)가 삽입되는 결합공(23a)이 하측면에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관통공(23c)이 형성된 지지관부(23)와, 상기 지지관부(23)의 결합공(23a)에 나사결합되며 내측단은 상기 헤드(20)에 결합된 연장부(12)의 협경부(12a)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볼트(24)와, 상기 지지관부(23)의 상단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판(25)과, 상기 지지판(25)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다단 조임볼트(26)와, 상기 지지관부(23)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공(27a)이 형성된 지지브라켓(27)과, 상기 나사공(27a)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단이 상기 거치대(30)의 전방 하측면에 접촉되어 거치대(30)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28)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부(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23a)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11)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홈(11a)에 맞물리는 결합돌기(23b)가 상기 결합홈(11a)에 대응되도록 상호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과 파이프를 상호 스프라인결합할 때 형성하는 기어이빨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봉(10)의 상단이 상기 결합공(23a)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려, 주봉(10)의 상단에 결합된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3c)의 상하방향 위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4) 내측단의 상측둘레부로부터 상기 협경부(12a)의 상단까지의 거리(L)가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리는 상하방향 폭(W)에 비해 길도록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상기 헤드(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볼트(24)를 조이면, 상기 고정볼트(24)의 내측단이 상기 협경부(12a)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헤드(2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20)의 방향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볼트(24)를 조금만 풀어서, 고정볼트(24)의 내측단이 상기 협경부(12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0)를 상측으로 당겨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의 결합을 해제하고, 헤드(20)의 방향을 조절한 후 헤드(20)를 하강시키면,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려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한다. 이때에, 고정볼트(24)가 협경부(12a)의 상단(12b)에 걸리기 때문에, 헤드(20)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다단 조임볼트(26)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는 나사산(26d)이 형성된 소경부(26a)와, 상기 소경부(26a)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된 확경부(26b)와, 상기 확경부(26b)의 후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대경부(26c)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5)은 측방향의 두께가 두꺼운 사각판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지지판(25)에는 상기 소경부(26a)의 나사산(26d)에 대응되는 나사결합공(25a)과 상기 대경부(26c)에 대응되는 삽입공(25b)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나사(28)에는 상기 지지브라켓(27)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너트(28a)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다단 조임볼트(26)의 소경부(26a)가 관통하는 고정공(33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부(33)와, 상기 지지부(33)의 전후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전후측 거치부(34,3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공(33a)의 일측에는 상기 확경부(26b)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밀착부(33b)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나사(28)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나사(28)가 상승 또는 하강되어, 상기 거치대(30)의 전단부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거치대(3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거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조임볼트(26)를 조이면, 다단 조임볼트(26)의 확경부(26b)가 상기 거치대(30)의 밀착부(33b)에 밀착되면서 거치대(30)의 지지부(33)를 상기 지지판(25)으로 가압하여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거치대(30)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낚싯대 받침대는 상기 주봉(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고정부(11)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연장부(12)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20)의 하측면에는 상기 고정부(11)의 상단과 연장부(12)가 삽입되는 결합공(23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의 상단 둘레면과 결합공(23a)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호 맞물리는 복수개의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상기 헤드(20)를 결합하면,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려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바람이 불거나, 강한 조류가 발생됨에 따라, 낚싯대(1)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봉(10) 연장부(12)의 상하측 중간부 외주면에는 협경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20)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공(23a)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관통공(23c)이 형성된 지지관부(23)와, 상기 지지관부(23)의 결합공(23a)에 나사결합되며 내측단은 상기 헤드(20)에 결합된 연장부(12)의 협경부(12a)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볼트(24)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23c)은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4) 내측단의 상측둘레부로부터 상기 협경부(12a)의 상단까지의 거리(L)가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리는 상하방향 폭(W)에 비해 길도록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24)의 내측단이 상기 협경부(12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를 상측으로 당겨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의 결합을 해제하고, 헤드(2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헤드(20)를 하강시켜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다시 결합됨으로써, 헤드(20)의 방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헤드(2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의 결합을 해제할 때, 상기 고정볼트(24)가 상기 협경부(12a)의 상측 걸림턱(12b)에 걸려 상기 헤드(20)가 연장부(12)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게됨으로, 헤드(20)가 연장부(12)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사용자가 헤드(20)를 연장부(12)에 다시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는 상기 지지관부(23)의 상단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판(25)과, 상기 지지판(25)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다단 조임볼트(2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다단 조임볼트(26)는 측방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는 나사산(26d)이 형성된 소경부(26a)와, 상기 소경부(26a)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된 확경부(26b)와, 상기 확경부(26b)의 후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대경부(26c)로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다단 조임볼트(26)의 소경부(26a)가 관통하는 고정공(33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부(33)와, 상기 지지부(33)의 전후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전후측 거치부(34,35)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25)에는 상기 소경부(26a)의 나사산(26d)에 대응되는 나사결합공(25a)과 상기 대경부(26c)에 대응되는 삽입공(25b)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3)의 고정공(33a)의 일측에는 상기 확경부(26b)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밀착부(33b)가 형성됨으로, 사용자가 상기 거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 상기 다단 조임볼트(26)를 조이면, 상기 확경부(26b)가 밀착부(33b)를 가압하여 거치대(3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부(23)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공(27a)이 형성된 지지브라켓(27)과, 상기 나사공(27a)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단이 상기 거치대(30)의 전방 하측면에 접촉되어 거치대(30)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28)가 더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28)를 이용하여 거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 상기 다단 조임볼트(26)를 조여 거치대(30)의 기울기를 고정할 수 있음으로, 거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주봉(10)의 고정부(11)의 내부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브라켓(15)과, 상호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기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1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회동바(16,17)와,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의 선단부에 회동가능게 결합되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18a)이 형성된 지지블록(18)과, 상기 가이드공(18a)에 일정 범위내에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바닥면에 삽입고정되는 앵커부재(19)와,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동바(16)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주봉(10)의 둘레면에는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장공(14)이 상기 힌지브라켓(15)의 하측에서 상기 제1 회동바(16)가 결합된 위치의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는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회동바(16)의 기단부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동바(16)가 상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고정수단(40)에 걸리는 걸림턱(16a)이 형성된다.
상기 앵커부재(19)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기 지지블록(18)의 상하방향 높이에 비해 길게 구성된 것으로, 하단부는 뾰족하게 구성되고, 상하측에 상기 지지블록(18)의 상하측면에 걸리는 걸림턱(19a)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8a)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범위 내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단은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장공(14)을 통해 주봉(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41a)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장공(14)을 통해 주봉(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회동바(16)가 상승되면 상기 걸림턱(16a)의 상면에 걸려 제1 회동바(16)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걸림부(41b)가 형성된 고정바(41)와, 상기 고정바(41)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41b)가 상기 걸림턱(16a)의 상면에 걸리도록 고정바(41)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낚싯대 받침대는 낚싯대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로 보관한다.
그리고, 상기 주봉(10)을 바닥면에 고정할 때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지지블록(18)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 회동바(16)의 걸림턱(16a)이 상기 고정수단(40)의 걸림부(41b)에 의해 걸려, 제1 및 제2 회동바(16,17)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주봉(10)을 바닥면에 박으면, 바닥면의 흙 등에 의해 상기 연장부(41a)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걸림부(41b)와 걸림턱(16a)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앵커부재(19)의 하단이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앵커부재(19)를 바닥면에 박으면, 앵커보재가 바닥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주봉(10)이 제1 및 제2 회동바(16,17)와 앵커부재(19)에 의해 고정되어, 주봉(10)이 측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주봉(1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주봉(10)을 바닥면에 박은 상태에서 주봉(10)에 강한 측방향의 힘이 걸리면, 주봉(10)이 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헤드(20)와 거치대(30) 및 낚싯대(1)가 측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주봉(10)이 제1 및 제2 회동바(16,17)와 앵커부재(19)에 의해 고정되어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 주봉(10)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헤드(20)와 거치대(30) 및 낚싯대(1)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주봉 20. 헤드
30. 거치대

Claims (4)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주봉(10)과,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20)와,
    상기 헤드(20)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30)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주봉(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고정부(11)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연장부(12)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20)의 하측면에는 상기 고정부(11)의 상단과 연장부(12)가 삽입되는 결합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의 상단 둘레면과 결합공(23a)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호 맞물리는 복수개의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봉(10)의 상단에 상기 헤드(20)를 결합하면,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려 헤드(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봉(10) 연장부(12)의 상하측 중간부 외주면에는 협경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20)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공(23a)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관통공(23c)이 형성된 지지관부(23)와,
    상기 지지관부(23)의 결합공(23a)에 나사결합되며 내측단은 상기 헤드(20)에 결합된 연장부(12)의 협경부(12a)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볼트(24)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23c)은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4) 내측단의 상측둘레부로부터 상기 협경부(12a)의 상단까지의 거리(L)가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가 상호 맞물리는 상하방향 폭(W)에 비해 길도록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고정볼트(24)의 내측단이 상기 협경부(12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를 상측으로 당겨 상기 결합홈(11a)과 결합돌기(23b)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0)는
    상기 지지관부(23)의 상단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판(25)과,
    상기 지지판(25)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다단 조임볼트(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단 조임볼트(26)는
    측방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는 나사산(26d)이 형성된 소경부(26a)와,
    상기 소경부(26a)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된 확경부(26b)와,
    상기 확경부(26b)의 후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대경부(26c)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다단 조임볼트(26)의 소경부(26a)가 관통하는 고정공(33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부(33)와,
    상기 지지부(33)의 전후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전후측 거치부(34,3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25)에는 상기 소경부(26a)의 나사산(26d)에 대응되는 나사결합공(25a)과 상기 대경부(26c)에 대응되는 삽입공(25b)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3)의 고정공(33a)의 일측에는 상기 확경부(26b)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밀착부(3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봉(10)의 고정부(11)의 내부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브라켓(15)과,
    상호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기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1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회동바(16,17)와,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의 선단부에 회동가능게 결합되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18a)이 형성된 지지블록(18)과,
    상기 가이드공(18a)에 일정 범위내에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바닥면에 삽입고정되는 앵커부재(19)와,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동바(16)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봉(10)의 둘레면에는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장공(14)이 상기 힌지브라켓(15)의 하측에서 상기 제1 회동바(16)가 결합된 위치의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회동바(16)의 기단부에는 제1 회동바(16)가 상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고정수단(40)에 걸리는 걸림턱(16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단은 상기 공간부(13)의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장공(14)을 통해 주봉(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41a)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장공(14)을 통해 주봉(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회동바(16)가 상승되면 상기 걸림턱(16a)의 상면에 걸려 제1 회동바(16)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걸림부(41b)가 형성된 고정바(41)와,
    상기 고정바(41)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41b)가 상기 걸림턱(16a)의 상면에 걸리도록 고정바(41)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2)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지블록(18)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제1 회동바(16)의 걸림턱(16a)이 상기 고정수단(40)의 걸림부(41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주봉(10)을 바닥면에 박으면, 상기 연장부(41a)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걸림부(41b)와 걸림턱(16a)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16,17)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앵커부재(19)의 하단이 바닥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
KR1020190177104A 2019-01-02 2019-12-27 낚싯대 받침대 KR102189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75 2019-01-02
KR20190000275 2019-01-02
KR1020190095408 2019-08-06
KR20190095408 2019-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296A true KR20200084296A (ko) 2020-07-10
KR102189344B1 KR102189344B1 (ko) 2020-12-11

Family

ID=7160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104A KR102189344B1 (ko) 2019-01-02 2019-12-27 낚싯대 받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32392B2 (ko)
KR (1) KR102189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933B1 (ko) * 2020-12-04 2021-03-10 선병순 끼움식 샤프트 연결구조
KR102476491B1 (ko) * 2022-04-21 2022-12-12 김상미 낚시용 좌대의 다리 조립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561B1 (ko) * 2020-04-29 2022-07-06 박동산 낚시대용 받침대의 고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211A (ja) * 1994-02-03 1995-08-15 Tomikawa Seisakusho:Kk 釣竿支持具
KR19990008350U (ko) * 1997-08-01 1999-03-05 김진웅 낚시 지지구
KR200349652Y1 (ko) * 2004-02-13 2004-05-08 김상수 낚싯대용 받침대
JP2004141091A (ja) * 2002-10-25 2004-05-20 Shigemasa Irino 釣り竿保持装置
CN2862698Y (zh) * 2005-07-29 2007-01-31 张德斌 弹射式海杆支架
KR20080003534U (ko) * 2007-02-21 2008-08-26 김춘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CN201248328Y (zh) * 2008-09-08 2009-06-03 鲁玉民 折叠式鱼杆架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211A (ja) * 1994-02-03 1995-08-15 Tomikawa Seisakusho:Kk 釣竿支持具
KR19990008350U (ko) * 1997-08-01 1999-03-05 김진웅 낚시 지지구
JP2004141091A (ja) * 2002-10-25 2004-05-20 Shigemasa Irino 釣り竿保持装置
KR200349652Y1 (ko) * 2004-02-13 2004-05-08 김상수 낚싯대용 받침대
CN2862698Y (zh) * 2005-07-29 2007-01-31 张德斌 弹射式海杆支架
KR20080003534U (ko) * 2007-02-21 2008-08-26 김춘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CN201248328Y (zh) * 2008-09-08 2009-06-03 鲁玉民 折叠式鱼杆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933B1 (ko) * 2020-12-04 2021-03-10 선병순 끼움식 샤프트 연결구조
KR102476491B1 (ko) * 2022-04-21 2022-12-12 김상미 낚시용 좌대의 다리 조립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344B1 (ko) 2020-12-11
JP2020110144A (ja) 2020-07-27
JP6932392B2 (ja)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4296A (ko) 낚싯대 받침대
KR101961156B1 (ko) 낚시받침대 받침틀
US4412396A (en) Sign holder with reversible supporting brackets
KR20120056535A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장치
JP4457146B2 (ja) コアドリル装置のベース取付け構造
JP2020110144A5 (ko)
NZ714937A (en) A monitor stand
KR20100000337U (ko) 낚시받침대
KR101289476B1 (ko) 보트용 낚싯대 받침틀 어셈블리
JP2004215622A (ja) 釣竿固定装置
AU2002301136B2 (en) A Clamp Device
GB2570002A (en) Bedrail
KR100884941B1 (ko) 낚시대 받침틀
JP3235759U (ja) 無段階昇降式テレビスタンド
CN217973952U (zh) 一种新型公路工程模板支撑装置
KR200289370Y1 (ko) 낚싯대 받침대의 연결부재
CN220060225U (zh) 一种拉紧器用新型挂钩
JPH10201893A (ja) ロープ緊張金具
KR102298210B1 (ko) 길이와 폭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클램프장치
KR100661755B1 (ko) 낚시 받침틀
KR950004865Y1 (ko) 낚시대 받침구
KR200173856Y1 (ko) 나사봉을 튜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중 너트 결속 구조
KR102112196B1 (ko) 낚싯대 거치장치
KR200449536Y1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KR890005836Y1 (ko) 낚시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