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266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266A
KR20200084266A KR1020190000459A KR20190000459A KR20200084266A KR 20200084266 A KR20200084266 A KR 20200084266A KR 1020190000459 A KR1020190000459 A KR 1020190000459A KR 20190000459 A KR20190000459 A KR 20190000459A KR 20200084266 A KR20200084266 A KR 20200084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haracter
input
jog shuttle
us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욱
김장성
이영석
권원석
이영식
김재훈
윤정현
최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4266A/ko
Priority to PCT/KR2019/018424 priority patent/WO2020141790A1/ko
Publication of KR2020008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조그 셔틀,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조그 셔틀을 통해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문자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하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회전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조그 셔틀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그 셔틀은 차량(vehicle)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그 셔틀은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의 디스플레이에 문자를 입력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조그 셔틀은 하나의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많은 회전을 수회 요구하는 문제가 있었다. 가령, 'application'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알파벳을 선택하기 위해 많은 회전을 수회 입력해야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요구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특히, 조그 셔틀이 차량에 탑재된 경우이면,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운전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최소한의 회전 및 회전 수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조그 셔틀, 상기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문자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자 입력 체계에서 기정의된 단어 또는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문자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추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푸쉬(Push)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기설정된 시간 내 기설정된 횟수 이상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조그 셔틀을 풀(Pull)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다른 조그 셔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문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다른 조그 셔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을 통해 특정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언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글자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입력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글자를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에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문자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 체계에서 기정의된 단어 또는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문자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추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푸쉬(Push)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기설정된 시간 내 기설정된 횟수 이상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조그 셔틀을 풀(Pull)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문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하고, 다른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다른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을 통해 특정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언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글자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복수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입력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글자를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에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최소한의 회전 및 회전 수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배치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로 한글이 선택된 경우,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로 한글이 선택된 경우,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로 한글이 선택된 경우,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로 한글이 선택된 경우,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로 영문이 선택된 경우,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로 영문이 선택된 경우,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이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이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입력 위치를 결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영역을 선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문자를 터치에 기초하여 정렬하여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배치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차량 내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운전석(또는, 조수석)에 앉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대쉬보드(Dashboard)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전자 장치(100)는 차량 외에도 TV, 스마트 TV, 컴퓨터, PC, 노트북, DVD 플레이어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차량에 배치된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조그 셔틀을 통해 입력된 문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자에 관한 정보는 조그 셔틀을 통해 입력된 글자(가령, '강') 또는 단어(가령, 'Washingt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셔틀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 'Washington'이라는 단어가 입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Washington'을 포함하는 문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문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Washington'이라는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네비게이션 장치, 비디오 장치, 오디오 장치 등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0)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조그 셔틀(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조그 셔틀(1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그 셔틀(110)은 회전 가능한 구조체(rotatable structur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그 셔틀(110)은 푸쉬(push) 또는 풀(pull)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그 셔틀(110)은 디스플레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움직일 수 구조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조그 셔틀(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디스플레이(120)는 조그 셔틀의 외주연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20)는 디스플레이(120)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문자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자는 한글의 낱자가 될 수 있음은 물론, 영문의 알파벳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문자 입력 창(21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목적지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창(211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가령, ID, 패스워드 등)를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과 같은 다양한 경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조그 셔틀(110)을 통해 문자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창(211)을 문자 입력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에 문자 입력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를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된 문자 입력 창(211)을 문자 입력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조그 셔틀(110)을 푸쉬 또는 풀하는 사용자 명령의 입력 여부는 조그 셔틀(110)에 포함된 압력 센서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그 셔틀(110)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된 압력이 임계 값 이상으로 커질 경우,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된 압력이 임계 값 미만으로 작아질 경우,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영역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문자 입력 창(21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창(212)의 테두리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 창(211)이 문자 입력 영역으로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를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문자 입력 영역이 선택되면, 문자 입력 창(211)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문자 입력 창(211)에 인디케이터(21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입력할 문자의 종류(또는,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숫자, 한글, 영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한글'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영역에 입력할 문자의 종류를 한글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된 문자를 문자 입력 영역에 입력할 문자의 종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한글'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숫자'를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하고, 조그 셔틀(1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영문'을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조그 셔틀(11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중국어, 일본어, 특수 기호 등과 같은 다양한 문자의 종류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영역에 입력할 문자의 종류가 결정되면, 결정된 종류의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의 종류가 영문으로 결정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되는 문자는 알파벳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문자 외,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511), 문자간 띄어쓰기를 위한 띄어쓰기 아이콘(512) 및 입력된 문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아이콘(513)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는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는 일 실시 예일 뿐, 복수의 문자는 도 5의 (b)와 같이 가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도 5의 (c)와 같이 세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문자의 종류가 영문으로 결정된 경우의 실시 예로써, 문자의 종류가 한글 등 다른 종류의 문자로 결정된 경우에도 상술한 기술적 사상은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로 한글이 선택된 경우,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문자의 종류가 한글로 결정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을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복수의 문자는 한글을 구성하는 모든 자음 및 모음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통해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를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회전 방향에 따라 원주상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 영역(610)에 위치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이 선택 영역(61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ㄱ'을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문자의 종류가 한글로 결정된 경우이면, 프로세서(130)는 한글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한글로 구현할 수 있는 글자를 기반으로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ㄱ'이 선택된 경우, 한글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ㄱ'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인 'ㄱ',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30)의 원주를 따라,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ㄱ'이 선택된 경우이면, 프로세서(13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의 원주를 따라, 'ㄱ',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최초 표시된 복수의 문자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수의 문자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잇다. 이와 같이,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만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함으로써, 본 개시는 최소한의 회전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도 6b와 같이 문자 '-'가 선택 영역(6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그'를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하고, 도 6c와 같이, '그'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인 'ㄱ', 'ㄴ','ㄷ' 등을 디스플레이(130)의 원주를 따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c와 같이 문자 'ㄱ'이 선택 영역(6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극'을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하고, 도 6d 같이, '극'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인 'ㄱ', 'ㅅ'을 디스플레이(130)의 원주를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d 같이, 문자 'ㅅ'이 선택 영역(6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ƒB'을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한글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된 문자에,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된 문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6d 같이, 문자 'ㅅ'이 선택 영역(6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문자 'ƒB'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자 'ƒB'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전송 아이콘(도 6d의 OK 아이콘)을 선택 영역으로 이동시킨 뒤,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된 문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전송 아이콘은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송 아이콘이 선택 영역으로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전송 아이콘이 선택 영역으로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빠르게 원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로 영문이 선택된 경우,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문자의 종류가 영문으로 결정되면, 영문을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복수의 문자는 영문을 구성하는 모든 알파벳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알파벳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통해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를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회전 방향에 따라 원주상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 영역(710)에 표 위치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시할 수 있다.
도 7b는 'a', 'a, 'p'가 순차적으로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p'를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문자의 종류가 영문으로 결정된 경우이면, 프로세서(130)는 영문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영문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글자를 기반으로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영문 입력 체계에서 기정의된 단어를 완성하기 위해,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정의된 단어는 사전에 수록된 단어로써, 이를 위해 본 개시는 사전에 수록된 복수의 단어에 관한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a', 'a, 'p'가 순차적으로 선택된 경우, 영문 입력 체계에서 'app'로 시작하는 단어를 완성하기 위해, 'app'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프로세서(130)는 'app'로 시작하는 단어를 완성하기 위해, 'app'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로 'a', 'e', 'h', 'i', 'l', 'o', 'r', 's', 'u'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30)의 원주를 따라,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a', 'a, 'p'가 순차적으로 선택된 경우이면, 프로세서(13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의 원주를 따라, 'a', 'e', 'h', 'i', 'l', 'o', 'r', 's', 'u'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최초 표시된 복수의 문자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수의 문자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잇다. 이와 같이, 기정의된 단어를 완성하기 위해,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만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함으로써, 본 개시는 최소한의 회전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영문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단어가 완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된 문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송 아이콘(도 7b의 OK 아이콘)을 선택 영역으로 이동시킨 뒤,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된 문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81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00)을 통해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통해 추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00)을 통해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회전 방향에 따라 원주상에 표시된 엘리먼트(element)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엘리먼트는 복수의 문자 각각과 복수의 아이콘 각각을 의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도 8의 (a)와 같이, 추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810)이 선택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ah'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통해 추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ah'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색은 기저장된 복수의 단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가령,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검색된 추천 단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ah'가 선택된 상태이면, 도 7의 (b)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ah'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로 'aha', ahead', 'ahem'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3개의 추천 단어를 도시하였으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천 단어가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다른 추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추천 단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추천 단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천 단어가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된 추천 단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추천 단어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많은 알파벳의 선택을 요구하는 단어를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 최소한의 회전수로 단어를 입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이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다른 조그 셔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조그 셔틀 중 하나를 제1 조그 셔틀이라 명명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 조그 셔틀이라 명명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130)는 제1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그 셔틀(910)에는 복수의 알파벳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추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조그 셔틀(910)을 통해 문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조그 셔틀(910)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택된 문자를 표시하고, 제2 조그 셔틀(920)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제1 조그 셔틀(910)을 통해 문자 'a'가 선택된 상태이면, 프로세서(130)는 제2 조그 셔틀(920)을 통해 문자 'a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인 'as', 'and', 'all'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조그 셔틀(920)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는 제1 조그 셔틀(910)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제1 조그 셔틀(910)을 통해 문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추천 단어를 제2 조그 셔틀(920)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1 조그 셔틀(910)을 통해 문자 'a'가 선택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h'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30)는 제2 조그 셔틀(920)을 통해 문자 'a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인 'as', 'and', 'all'를, 'ah'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인 'aha', ahead', 'ahem'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조그 셔틀에 의해 선택된 문자에 따라 실시간으로 추천 단어를 변경하여 제2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본 개시는 사용자가 최소한의 회전 및 회전 수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고, 제2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조그 셔틀(1010)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한글 문자를 표시하고, 제2 조그 셔틀(1020)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2 조그 셔틀(1020)을 통해 문자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조그 셔틀(1011)에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조그 셔틀(1020)을 통해 문자의 종류로 영문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조그 셔틀(1010)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알파벳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사용자는 문자의 종류를 빠르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입력 위치를 결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문자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된 문자를 변경하거나, 입력된 문자 사이에 새로운 문자를 추가하는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의 회전에 기초하여, 문자를 입력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20)에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조그 셔틀(110)을 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문자 입력 영역에 인디케이터(111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디케이터(1110)는 조그 셔틀(110)의 회전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인디케이터(111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조그 셔틀(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인디케이터(11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지점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30)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통해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조그 셔틀(110)을 통해 입력된 문자를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지점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입력된 문자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영역을 선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는 복수의 문자 입력 창(1210, 12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조그 셔틀(110)을 통해 문자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Tab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된 문자 입력 창의 개수를 식별하고, 문자 입력 창이 복수 개로 판단되면, 문자 입력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Tab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Tab 기능을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의 회전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문자 입력 창의 테두리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문자 입력 창을 문자 입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1 문자 입력 창(1210) 및 제2 문자 입력 창(1220)이 포함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문자 입력 창(1210)이 문자 입력 영역으로 선택된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문자 입력 창(1210)의 테두리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통해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글자를 선택된 문자 입력 영역에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복수의 문자 입력 창이 표시된 경우에도 조그 셔틀(110)을 통해 문자 입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터치 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문자를 터치에 기초하여 정렬하여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입력되면, 터치된 문자를 기준으로 복수의 글자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터치된 문자가 선택 영역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문자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알파벳 'j'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터치된 문자 'j'를 기준으로 복수의 글자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조그 셔틀(110), 디스플레이(120), 메모리(140), 인터페이스(150), 햅틱 액츄에이터(160), 스피커(17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하여 설명한다.
메모리(14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베이스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는 문자의 종류 별로 문자 입력 체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자 입력 체계는 유니 코드, 한글 완성형 코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체계는 사전 등에 포함된 복수의 단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명령어, 제어 명령어 코드,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memor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비휘발성 매체(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자 장치(10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통신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150)는 프로세서(1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통신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햅틱 액츄에이터(160)는 사용자가 촉각을 통해 의도된 입력을 야기할 수 있도록, 햅틱 효과를 조그 셔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17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스피커(170)는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170)는 조그 셔틀(110)을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140)로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140)에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기록(또는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고,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메모리(140), 인터페이스(150), 또는 디스플레이(16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화면 또는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기설정된 시간 내 기설정된 횟수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초 내 푸쉬 입력이 2회 입력되는 경우(즉, 조그 셔틀(110)을 연속해서 두 번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조그 셔틀(110)을 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고,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연속해서 두 번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조그 셔틀(110)을 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다시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연속해서 두 번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조그 셔틀(110)을 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문자 입력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자 입력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은 도 12에서 설명한 바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문자 입력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셔틀(110)을 연속해서 두 번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조그 셔틀(110)을 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문자 입력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푸쉬, 연속 푸쉬 또는 풀 입력에 기초하여 상위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 간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한글 및 영문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다른 종류의 문자에 대해서도 상술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추천 아이콘을 선택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푸쉬 명령이 입력되면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추천 단어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연속해서 푸쉬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문자를 표시(S151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문자 입력 영역에 입력할 문자의 종류가 결정되면, 결정된 종류의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의 종류가 영문으로 결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알파벳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조그 셔틀을 통해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문자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S1520)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자 입력 체계는 유니 코드, 한글 완성형 코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체계는 사전 등에 포함된 복수의 단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디스플레이에 표시(S1530)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되는 문자의 개수는 최초 표시된 복수의 문자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소한의 회전 및 회전수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조그 셔틀
120: 디스플레이
130: 프로세서
2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조그 셔틀;
    상기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문자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자 입력 체계에서 기정의된 단어 또는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문자의 개수보다 적은,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추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푸쉬(Push)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기설정된 시간 내 기설정된 횟수 이상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조그 셔틀을 풀(Pull)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다른 조그 셔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문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다른 조그 셔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을 통해 특정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언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글자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입력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글자를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에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그 셔틀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문자 입력 체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 체계에서 기정의된 단어 또는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문자의 개수보다 적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추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셔틀을 푸쉬(Push)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조그 셔틀을 기설정된 시간 내 기설정된 횟수 이상 푸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조그 셔틀을 풀(Pull)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문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하고, 다른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다른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을 통해 특정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셔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언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글자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입력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조그 셔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원주를 따라 표시된 복수의 글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글자를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에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00459A 2019-01-02 2019-01-0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84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59A KR20200084266A (ko) 2019-01-02 2019-01-0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18424 WO2020141790A1 (ko) 2019-01-02 2019-12-2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59A KR20200084266A (ko) 2019-01-02 2019-01-0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266A true KR20200084266A (ko) 2020-07-10

Family

ID=7140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459A KR20200084266A (ko) 2019-01-02 2019-01-0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4266A (ko)
WO (1) WO20201417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252A (ja) * 2000-05-12 2001-11-22 Sony Corp 携帯端末及びその情報入力方法、辞書検索装置及び方法、媒体
KR20070111681A (ko) * 2006-05-18 2007-11-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101439057B1 (ko) * 2013-10-14 2014-09-05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101700714B1 (ko) * 2014-09-17 2017-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96592B1 (ko) * 2015-07-21 2017-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1790A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6101B2 (en)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9477382B2 (en) Multi-page content selection technique
US10545657B2 (en)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KR1013708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문자 입력 방법
US20150324067A1 (en) Vehicle infotainment gateway - multi-application interface
KR101911804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219988B (zh) 一种界面操作引导方法及移动终端
EP3822759A1 (en)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JP6450768B2 (ja) オンスクリーンキーボード用クイックタスク
US2015005876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US20140306898A1 (en) Key swipe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ui virtual keyboard
US2014032536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initial setting
US20150058776A1 (en) Providing keyboard shortcuts mapped to a keyboard
KR101522375B1 (ko) 입력 방법 편집기
US9134903B2 (en) Content selecting technique for touch screen UI
JP201410696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表示する方法及びその電子装置
US20080256454A1 (en) Selection of list item using invariant focus location
JP6590726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及びこれを備えるプログラマブル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装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方法、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操作方法、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記憶した機器
JP201317518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画面スクロール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18439B1 (ko) 점프 스크롤링
JP2016513849A (ja) スペース最適化マイクロキーボードの方法および装置
US109290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 of keys for virtual keyboard
US9547381B2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thereof
KR101226992B1 (ko) 선택기
KR20200130918A (ko)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