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968A -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 Google Patents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968A
KR20200083968A KR1020207006891A KR20207006891A KR20200083968A KR 20200083968 A KR20200083968 A KR 20200083968A KR 1020207006891 A KR1020207006891 A KR 1020207006891A KR 20207006891 A KR20207006891 A KR 20207006891A KR 20200083968 A KR20200083968 A KR 2020008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arameter
terminal equipment
mcs
mapping relationship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250B1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L1/000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volving special memory structures, e.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1242
    • H04W72/1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원 실시예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하며, Rel 15의 단말 장비가 신규 MCS 테이블을 기반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거나, 기존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Rel 15의 단말 장비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킨다.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가 채널 점유율(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본원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에 관한 것이다.
버전 (Release 14, Rel 14)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비(예를 들어, 기지국)는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기존의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테이블에 따라 전송 파라미터(예를 들어, MCS 범위)를 구성한다.
버전 Rel 15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신규 MCS 테이블을 도입함과 동시에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 신규 요구를 제출하였다. 예를 들어, 64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의 변조를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Rel 15에서, 어떻게 신규 MCS 테이블을 기반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구성할 것인지 또는 어떻게 기존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Rel 15에 대한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것인가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원 실시예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하며, Rel 15의 단말 장비가 신규 MCS 테이블을 기반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거나, 기존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Rel 15의 단말 장비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킨다.
제1 측면에서, 본원 실시예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가 채널 점유율(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는 Rel 15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비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채널 점유율(Channel Busy Ratio,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단말 장비는 Rel 15 전송 요구를 만족시키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가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확정된 제2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하여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기존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Rel 15에 대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Rel 15 단말 장비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반영함 - ;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테이블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 및 CBR와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및 서브 밴드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PRB 수 범위 및 서브 밴드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K를 획득하였으며, K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M, N을 획득하였으며, M은 0보다 큰 실수이고, N은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M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N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비례 계수 M, N은 서로 다른 값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Q를 획득하였으며, Q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X, Y를 획득하였으며, X는 0보다 큰 실수이고, Y는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X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Y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비례 계수 X, Y는 서로 다른 값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서브 밴드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R를 획득하였으며, R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R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R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 및 최대 서브 밴드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서브 밴드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V, W를 획득하였으며, V는 0보다 큰 실수이고, W는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V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W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 및 최대 서브 밴드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비례 계수 V, W는 서로 다른 값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제2 측면에서, 본원 실시예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비가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장비가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채널 점유율(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는 Rel 15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비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확정된 제2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하여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기존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Rel 15에 대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Rel 15 단말 장비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테이블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및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및 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제3 측면에서, 본원 실시예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비가 제1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채널 점유율(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1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제2 단말 장비를 위해 제2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 및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제2 MCS 인덱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네트워크 장비는 제1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하며,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비는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MCS 인덱스가 포함된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네트워크 장비는 제2 단말 장비를 위해 제2 매핑 관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단말 장비는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제2 MCS 인덱스가 포함된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MCS 인덱스는 제1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고, 상기 제2 MCS 인덱스는 제2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며, 상기 제1 MCS 테이블과 상기 제2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다.
또한, 제1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MCS 테이블과 제2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2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단말 장비는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MCS 테이블에 따라, 자신의 MCS 인덱스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제4 측면에서, 본원 실시예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단말 장비가 채널 점유율(CBR),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과 제2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단말 장비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과 다른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 장비이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제1 단말 장비는 CBR,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며, 동시에 제1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과 제2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비는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MCS 테이블에 따라 자신의 MCS 인덱스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제1 매핑 관계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제1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일 구현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제5 측면에서, 본원 실시예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제6 측면에서, 본원 실시예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한다.
제7 측면에서, 본원 실시예는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한다.
제8 측면에서, 본원 실시예는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제9 측면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수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망 요소와 통신을 진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면,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0 측면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수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망 요소와 통신을 진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면,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1 측면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수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망 요소와 통신을 진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면,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2 측면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수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망 요소와 통신을 진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면,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3 측면은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의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지시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4 측면은 상술한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의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지시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5 측면은 상술한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의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지시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6 측면은 상술한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의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지시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7 측면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술한 각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일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원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원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이해할 것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은 디바이스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진행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 간의 통신 데이터가 네트워크 장비(예를 들어, 기지국)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되는 방식과 달리,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의 방식을 적용하며, 따라서 더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 낮은 전송 지연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텔레매틱스 시스템 기반 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글로벌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통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5G 차세대 무선망(New Radio, NR)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본원 실시예 중의 단말 장비는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 장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단말 장비일 수도 있고,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비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장비 등 일 수도 있으며, 본원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일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와 두 개의 단말 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본원 실시예 중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 장비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수량의 단말 장비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통일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20)와 단말 장비(30)는 D2D 통신 모드로 통신할 수 있으며, D2D 통신을 진행할 때, 단말 장비(20)와 단말 장비(30)는 D2D 링크 즉 사이드 링크(Sidelink, SL)를 통해 직접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20)와 단말 장비(30)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직접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서, 단말 장비(20)와 단말 장비(30) 사이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통신하며, 그 전송 자원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할당된다. 도 2에서, 단말 장비(20)와 단말 장비(30) 사이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통신하며, 그 전송 자원은 단말 장비에 의해 자주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전송 자원을 할당할 필요가 없다.
D2D 통신은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로 약칭함) 통신 또는 차량 대 다른 장비(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을 가리킬 수 있다. V2X 통신에서, X는 무선 수신 및 송신 능력이 구비된 임의의 장비를 총괄하여 가리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늦은 속도로 이동하는 무선 장치,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용 장비, 또는 무선 송수신 기능이 구비된 네트워크 제어 노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본원 실시예는 주로 V2X 통신의 시나리오에 적용되나, 임의의 다른 D2D 통신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본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텔레매틱스 시스템에는 두가지 유형의 단말 장비, 즉 차량용 단말기(Vehicle User Equipment, VUE) 또는 행인 핸드헬드형 단말기(Pedestrian User Equipment, PUE)와 같은 모니터링 능력이 구비된 단말 장비, 및 PUE와 같은 모니터링 능력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 장비가 존재할 수 있다. VUE는 더 높은 처리 능력을 구비하며, 일반적으로 차 내부의 축전지를 통해 전력을 제공하나, PUE는 처리 능력이 비교적 낮고, 전력소모를 감소하는 것도 PUE가 감안해야 할 하나의 주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기존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 VUE는 완전한 수신 능력 및 모니터링 능력이 구비된 것으로 간주되나, PUE는 수신 및 모니터링 능력을 일부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PUE가 일부 모니터링 능력을 구비하면, 그 자원의 선택은 VUE와 유사한 모니터링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할 수 있는 그 부분의 자원 상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의 선택을 진행한다. PUE가 모니터링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PUE는 자원풀에서 전송 자원을 무작위로 선택한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버전 Release-14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 단말 장비는 시스템의 혼잡 정도, 예를 들어 채널 점유율(Channel Busy Ratio, CBR)을 측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장비(예를 들어, 기지국)는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일부 단말 장비를 구성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된 CBR 및 서비스의 우선순위 구성 전송 파라미터(예를 들어, 단말 장비가 허용하는 MCS 범위)에 따라,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BR) 수 범위, 재송 차수, 최대 송신 전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Rel-14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 최대 지원하는 MCS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는 16QAM이고, 64QAM의 변조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다. 반면, Rel-15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64QAM의 전송을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가 LTE 시스템에 비해 더 많은 파일럿 부호를 구비하므로, 64QAM에 대응하는 MCS 레벨에 코드 레이트가 1보다 큰 경우가 나타날 수 있으며, 따라서 LTE 기존의 MCS 테이블에 대해 수정을 진행하고 전송 블록 사이즈(Transmission Block Size, TBS) 테이블에 대해 비율 조정을 진행해야 한다.
Rel-15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에는 신규 MCS 테이블이 도입되었다. 따라서, 신규 MCS 테이블에 따라 Rel-15에 대한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각 측면 또는 특징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장치,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 광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이피롬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버 등)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저장매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장비 및/또는 다른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반송할 수 있는 각종 매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흔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관련된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할 뿐이며,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이 3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 뒤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2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단말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단말 장비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단말 장비일 수 있으며, 상기 방법(200) 중의 네트워크 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비일 수 있고, 상기 방법(200)은 아래의 내용을 포함한다.
210: 단말 장비는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PRB 수 범위 및 서브 밴드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는 Rel 15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단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는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는 아래와 같은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고;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PRB 수 범위 및 서브 밴드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이해할 것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가 MCS 범위이면,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도 MCS 범위이고,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가 PRB 수 범위이면,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도 PRB 수 범위이며,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가 서브 밴드 수 범위이면,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도 서브 밴드 수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반영함 - 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매핑 관계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 장비를 미리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반영하는 테이블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는 아래와 같은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는 버전 15의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의 최소 MCS 인덱스(Minimum Modulation and Coding Scheme-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Release15, minMCS-PSSCH-r15)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는 maxMCS-PSSCH-r15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는 minMCS-PSSCH-r14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는 maxMCS-PSSCH-r14로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K를 획득하였으며, K는 0보다 큰 실수이면,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minMCS-PSSCH-r15=ceil (K*minMCS-PSSCH-r14)이고,
maxMCS-PSSCH-r15=ceil (K*maxMCS-PSSCH-r14)이며, 여기서 ceil ()은 올림을 나타낸다.
단말 장비는 minMCS-PSSCH-r15 및 maxMCS-PSSCH-r15에 따라 MCS 범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M, N을 획득하였으며, M은 0보다 큰 실수이고, N은 0보다 큰 실수이면,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비례 계수 M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N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minMCS-PSSCH-r15=ceil (M*minMCS-PSSCH-r14)이고,
maxMCS-PSSCH-r15=ceil (N*maxMCS-PSSCH-r14)이며, 여기서 ceil ()은 올림을 나타낸다.
단말 장비는 minMCS-PSSCH-r15 및 maxMCS-PSSCH-r15에 따라 MCS 범위를 확정한다.
이해할 것은, 비례 계수 M, N은 서로 다른 값이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ceil () 올림을 통해 minMCS-PSSCH-r15 및 maxMCS-PSSCH-r15을 확정하는 것은 단지 본원 실시예의 한가지 구현방식이며, 본원 실시예에서 또한 floor () 내림을 통할 수도 있으며, round ()는 반올림을 나타내거나, minMCS-PSSCH-r15 및 maxMCS-PSSCH-r15을 확정하는 것은 서로 다른 오퍼레이션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는 버전 15의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의 최소 PRB 수(Minimum Physical Resource Block-Number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Release15, minRB-NumberPSSCH-r15)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는 maxRB-NumberPSSCH-r15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는 minRB-NumberPSSCH-r14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는 maxRB-NumberPSSCH-r14로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Q를 획득하였으며, Q는 0보다 큰 실수이면,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minRB-NumberPSSCH-r15=ceil (Q*minRB-NumberPSSCH-r14)이고,
maxRB-NumberPSSCH-r15=ceil (Q*maxRB-NumberPSSCH-r14)이며, 여기서 ceil ()은 올림을 나타낸다.
단말 장비는 minRB-NumberPSSCH-r15 및 maxRB-NumberPSSCH-r15에 따라 PRB 수 범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X, Y를 획득하였으며, X는 0보다 큰 실수이고, Y는 0보다 큰 실수이면,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비례 계수 X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Y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minRB-NumberPSSCH-r15=ceil (X*minRB-NumberPSSCH-r14)이고,
maxRB-NumberPSSCH-r15=ceil (Y*maxRB-NumberPSSCH-r14)이며, 여기서 ceil ()은 올림을 나타낸다.
단말 장비는 minRB-NumberPSSCH-r15 및 maxRB-NumberPSSCH-r15에 따라 PRB 수 범위를 확정한다.
이해할 것은, 비례 계수 X, Y는 서로 다른 값이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ceil () 올림을 통해 minRB-NumberPSSCH-r15 및 maxRB-NumberPSSCH-r15를 확정하는 것은 단지 본원 실시예의 한가지 구현방식이며, 본원 실시예에서 또한 floor () 내림을 통할 수도 있으며, round ()는 반올림을 나타내거나, minRB-NumberPSSCH-r15 및 maxRB-NumberPSSCH-r15를 확정하는 것은 서로 다른 오퍼레이션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는 버전 15의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의 최소 서브 밴드 수(Minimum Sub Band-Number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Release15, minSB-NumberPSSCH-r15)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는 maxSB-NumberPSSCH-r15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는 minSB-NumberPSSCH-r14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는 maxSB-NumberPSSCH-r14로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서브 밴드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R를 획득하였으며, R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비례 계수 R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R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를 획득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 및 최대 서브 밴드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minSB-NumberPSSCH-r15=ceil (R*minSB-NumberPSSCH-r14)이고,
maxSB-NumberPSSCH-r15=ceil (R*maxSB-NumberPSSCH-r14)이며, 여기서 ceil ()은 올림을 나타낸다.
단말 장비는 minSB-NumberPSSCH-r15 및 maxSB-NumberPSSCH-r15에 따라 서브 밴드 수 범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서브 밴드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V, W를 획득하였으며, V는 0보다 큰 실수이고, W는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비례 계수 V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W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서브 밴드 수를 획득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서브 밴드 수 및 최대 서브 밴드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minSB-NumberPSSCH-r15=ceil (V*minSB-NumberPSSCH-r14)이고,
maxSB-NumberPSSCH-r15=ceil (W*maxSB-NumberPSSCH-r14)이며, 여기서 ceil ()은 올림을 나타낸다.
단말 장비는 minSB-NumberPSSCH-r15 및 maxSB-NumberPSSCH-r15에 따라 서브 밴드 수 범위를 확정한다.
이해할 것은, 비례 계수 V, W는 서로 다른 값이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ceil () 올림을 통해 minSB-NumberPSSCH-r15 및 maxSB-NumberPSSCH-r15를 확정하는 것은 단지 본원 실시예의 한가지 구현방식이며, 본원 실시예에서 또한 floor () 내림을 통할 수도 있으며, round ()는 반올림을 나타내거나, minSB-NumberPSSCH-r15 및 maxSB-NumberPSSCH-r15를 확정하는 것은 서로 다른 오퍼레이션을 가질 수 있다.
220: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D2D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단말 장비(20)와 단말 장비(30) 간의 통신.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단말 장비는 Rel 15 전송 요구를 만족시키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확정된 제2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하여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기존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Rel 15에 대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Rel 15 단말 장비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3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00)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비일 수 있으며, 상기 방법(300) 중의 단말 장비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단말 장비일 수 있고, 상기 방법(300)은 아래의 내용을 포함한다.
310: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장비가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채널 점유율(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300)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로 하여금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및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및 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300)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해할 것은,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300) 중의 단계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200) 중의 상응하는 단계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단말 장비는 Rel 15 전송 요구를 만족시키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확정된 제2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하여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기존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Rel 15에 대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Rel 15 단말 장비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4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400)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비일 수 있으며, 상기 방법(300) 중의 단말 장비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단말 장비일 수 있고, 상기 방법(400)은 아래의 내용을 포함한다.
410: 네트워크 장비는 제1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하며,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1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한다.
420: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제2 단말 장비를 위해 제2 매핑 관계를 구성하며,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한다.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제1 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제2 MCS 인덱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MCS 인덱스는 제1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고, 상기 제2 MCS 인덱스는 제2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며, 상기 제1 MCS 테이블과 상기 제2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1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하고, 제2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제2 매핑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MCS 테이블은 Rel-15 통신 프로토콜에서의 MCS 테이블일 수 있고, 상기 제2 MCS 테이블은 Rel-14 통신 프로토콜에서의 MCS 테이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테이블 1에 나타낸 MCS 테이블은 Rel-14 통신 프로토콜에서의 MCS 테이블이고, 상기 MCS 테이블 중의 MCS 인덱스는 각각 변조 차수, 전송 블록 사이즈(Transport Block Size, TBS) 인덱스,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RV)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MCS 테이블 중 MCS 인덱스 값에 대응하는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제2 MCS 테이블 중 MCS 인덱스 값에 대응하는 전송 파라미터의 일부 또는 전부와 서로 다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이해할 것은, 상술한 테이블 1은 단지 한 실예이며, 상기 제1 MCS 테이블 중 MCS 인덱스 값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 상의 전송 파라미터에 대응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MCS 테이블 중 MCS 인덱스 값은 변조 차수, TBS 인덱스, RV를 제외한 다른 파라미터에 대응할 수도 있으며, 본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400) 중의 단계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200) 중의 상응하는 단계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네트워크 장비는 제1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하며,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비는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MCS 인덱스가 포함된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네트워크 장비는 제2 단말 장비를 위해 제2 매핑 관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단말 장비는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제2 MCS 인덱스가 포함된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5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500)은 단말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단말 장비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단말 장비일 수 있으며, 상기 방법(500) 중의 네트워크 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비일 수 있고, 상기 방법(500)은 아래의 내용을 포함한다.
510: 제1 단말 장비는 채널 점유율(CBR),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며,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대응관계를 지시한다.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과 제2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단말 장비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과 다른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500)은
상기 제1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제1 매핑 관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제1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MCS 테이블이고, 상기 제2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MCS 테이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해할 것은,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500) 중의 단계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200) 및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400) 중의 상응하는 단계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에서, 제1 단말 장비는 CBR,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며, 동시에 제1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과 제2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비는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MCS 테이블에 따라 자신의 MCS 인덱스를 확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6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장비(600)는
채널 점유율(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처리 유닛(610); 및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620);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이고;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며;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제1 매핑 관계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반영한다.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며;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및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및 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K를 획득하였으며, K는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M, N을 획득하였으며, M은 0보다 큰 실수이고, N은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비례 계수 M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N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Q를 획득하였으며, Q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X, Y를 획득하였으며, X는 0보다 큰 실수이고, Y는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비례 계수 X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Y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유닛(610)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600)는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해할 것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6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오퍼레이션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 중 방법(200) 중 단말 장비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7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장비(700)는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하는 처리 유닛(7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장비가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채널 점유율(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710)은 또한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710)은 또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매핑 관계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및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및 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710)은 또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는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해할 것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7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오퍼레이션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4 중 방법(300) 중 네트워크 장비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8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장비(800)는
제1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처리 유닛(810)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채널 점유율(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1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810)은 또한 제2 단말 장비를 위해 제2 매핑 관계를 구성하며,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제2 MCS 인덱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MCS 인덱스는 제1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고, 상기 제2 MCS 인덱스는 제2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며, 상기 제1 MCS 테이블과 상기 제2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 장비 및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해할 것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8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오퍼레이션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5 중 방법(400) 중 네트워크 장비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9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장비(900)는
채널 점유율(CBR)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처리 유닛(910)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상기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과 다른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며, 상기 다른 단말 장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과 다른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900)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제1 매핑 관계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92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 장비(900)에 미리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다른 단말 장비(900)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900)는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해할 것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9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오퍼레이션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6 중 방법(500) 중 단말 장비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장비(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하며, 상기 장비(1000)는
코드가 포함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010);
다른 장비와 통신하는 송수신기(1020); 및
메모리(1010) 중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030);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1030)는 도 3 중의 방법(200) 또는 방법(600) 중의 방법(500) 중 단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각 오퍼레이션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장비(1000)는 차량용 단말기와 같은 단말 장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1030)는 도 4 중의 방법(300) 또는 방법(500) 중의 방법(400) 중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각 오퍼레이션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장비(1000)는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일 수 있다.
이해할 것은, 본원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0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10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010)는 롬 및 램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0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01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10)는 장비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송수신기(1020)는 신호의 송신 및 수신 기능(예를 들어, 주파수 변조 및 복조 기능 또는 상향 변환 및 하향 변환 기능으로 불리움)을 구현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프로세서(1030)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를 통해 완성되거나, 상기 집적 논리 회로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의 구동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장비(1000)는 칩 또는 칩 세트일 수 있다. 본원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직접 구현되어 수행 완성되거나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 플래시, 롬, 피롬 또는 이이피롬, 레지스터 등 본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030)는 메모리 중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1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의 시스템 온 칩(1100)은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프로세서(1103) 및 메모리(1104)를 포함하며, 이들은 내부 통신 연결 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103)는 상기 메모리(1104) 중의 코드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 중 단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 중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상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로딩 및 실행하는 경우,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또는 기능을 생성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부터 다른 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어는 한 웹사이트 포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으로 다른 한 웹사이트 포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 매체이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사용 가능 매체로 집적된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 매체는 자성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광매체(예를 들어,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SSD)))등 일 수 있다.
이해할 것은, 본원의 각 실시예에서, 상술한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되는 선후 순서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응당 그 기능 및 내재적 논리에 의해 확정되어야 하지 본원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을 구성해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리와 간결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하면 되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것은 본원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일 뿐 본원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원이 개시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과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과 교체는 모두 본원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의 보호범위는 해당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8)

  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장비가 채널 점유율(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가 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반영함 - ;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및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및 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K를 획득하였으며, K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M, N을 획득하였으며, M은 0보다 큰 실수이고, N은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M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N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Q를 획득하였으며, Q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단말 장비는 비례 계수 X, Y를 획득하였으며, X는 0보다 큰 실수이고, Y는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례 계수 X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Y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0.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비가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장비가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채널 점유율(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및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및 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5.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6.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비가 제1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채널 점유율(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1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제2 단말 장비를 위해 제2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 및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제2 MCS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MCS 인덱스는 제1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고, 상기 제2 MCS 인덱스는 제2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며, 상기 제1 MCS 테이블과 상기 제2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19.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20.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말 장비가 채널 점유율(CBR),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과 제2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단말 장비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과 다른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제1 매핑 관계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제1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23.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24.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25. 단말 장비로서,
    채널 점유율(CBR) 및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1 매핑 관계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반영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며;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8. 청구항 26 또는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및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및 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비례 계수 K를 획득하였으며, K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K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비례 계수 M, N을 획득하였으며, M은 0보다 큰 실수이고, N은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비례 계수 M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N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MCS 인덱스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MCS 인덱스 및 최대 MCS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1. 청구항 28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비례 계수 Q를 획득하였으며, Q는 0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Q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2. 청구항 28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PRB 수 범위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비례 계수 X, Y를 획득하였으며, X는 0보다 큰 실수이고, Y는 0보다 큰 실수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비례 계수 X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비례 계수 Y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대 PRB 수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의 최소 PRB 수 및 최대 PRB 수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3.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4. 네트워크 장비로서,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제2 전송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장비가 전송될 서비스를 송신하는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채널 점유율(CBR)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CBR, 서비스의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CBR, 상기 전송될 서비스의 우선순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7.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범위, 및 물리 자원 블록(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MCS 범위 및 PRB 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8.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례 계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9.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40. 네트워크 장비로서,
    제1 단말 장비를 위해 제1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처리 유닛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채널 점유율(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1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2 단말 장비를 위해 제2 매핑 관계를 구성하며,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제2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제1 전송 파라미터는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파라미터는 제2 MCS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제1 MCS 인덱스는 제1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고, 상기 제2 MCS 인덱스는 제2 MCS 테이블에 따라 획득되며, 상기 제1 MCS 테이블과 상기 제2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42. 청구항 40 또는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43. 청구항 40 내지 청구항 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비 및 상기 제2 단말 장비는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44. 단말 장비로서,
    채널 점유율(CBR)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처리 유닛 -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CBR, 서비스 우선순위와 상기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지시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비의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과 다른 단말 장비의 MCS 인덱스에 대응하는 MCS 테이블은 서로 다르며, 상기 다른 단말 장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과 다른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제1 매핑 관계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46.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 장비에 미리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47. 청구항 44 내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Rel-15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다른 단말 장비는 Rel-14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48. 청구항 44 내지 청구항 4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디바이스 간(D2D)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KR1020207006891A 2017-11-03 2017-11-03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KR102466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9412 WO2019084931A1 (zh) 2017-11-03 2017-11-03 确定传输参数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968A true KR20200083968A (ko) 2020-07-09
KR102466250B1 KR102466250B1 (ko) 2022-11-10

Family

ID=6633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891A KR102466250B1 (ko) 2017-11-03 2017-11-03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1108492B2 (ko)
EP (2) EP4138473A1 (ko)
JP (1) JP6999801B2 (ko)
KR (1) KR102466250B1 (ko)
CN (2) CN111314880B (ko)
AU (1) AU2017438196A1 (ko)
BR (1) BR112019027825A2 (ko)
CA (1) CA3066669A1 (ko)
IL (1) IL271337A (ko)
PH (1) PH12019502706A1 (ko)
RU (1) RU2742794C1 (ko)
SG (1) SG11201911604PA (ko)
WO (1) WO2019084931A1 (ko)
ZA (1) ZA2019082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08A (ko) * 2021-06-17 2022-12-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치 및 서비스 요청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911604PA (en) * 2017-11-03 2020-01-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ransmission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044129B2 (en) * 2017-12-21 2021-06-22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communi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11082893B (zh) * 2018-10-19 2024-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的方法及装置
WO2020202483A1 (ja) * 2019-04-02 2020-10-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
WO2021075903A1 (ko) * 2019-10-17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mcs를 기반으로 sl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4142431A4 (en) * 2020-04-22 2024-05-29 Ntt Docomo Inc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2514B2 (ja) * 2005-10-31 2011-09-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上りリンクの送信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装置
US7873338B2 (en) * 2006-11-06 2011-01-1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ppropriate link path in a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PL4068664T3 (pl) 2008-01-07 2024-02-26 Nokia Technologies Oy Sposób, urządzenie i program komputerowy do mapowania zasobów łącza downlink do powiązanej transmisji uplink
CN104349458B (zh) 2013-08-08 2019-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道的传输方法、传输处理方法、通信节点及终端
CN104811909B (zh) * 2014-01-27 2019-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到设备广播信息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传输系统
CN114142967A (zh) 2014-10-06 2022-03-04 Vid拓展公司 使通信参数适配链路条件、业务类型和/或优先级
WO2016155458A1 (zh) * 2015-03-27 2016-10-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参数确定方法及装置
WO2017132947A1 (zh) * 2016-02-04 2017-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待传输业务的安全参数的方法、信令管理网元、安全功能节点和发送端
CA3036351C (en) * 2016-04-07 2022-08-09 Seungmin Lee Method for reserving finite number of resources used for performing v2x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WO2018031816A1 (en) * 2016-08-10 2018-02-15 Ofinno Technologies, Llc Configuration of semi persistent scheduling and v2x in a wireless network
CN106900005A (zh) * 2017-04-01 2017-06-2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资源参数测量方法、装置及基站
WO2018201390A1 (en) 2017-05-04 2018-11-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791558B2 (en) * 2017-10-02 2020-09-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 for vehicle-to-everything (V2X) transmissions
US11564070B2 (en) * 2017-10-06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Vehicle to everything (V2X) radio access technology (RAT) feature negotiation and control
SG11201911604PA (en) * 2017-11-03 2020-01-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ransmission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SG11201911387RA (en) 2018-01-12 2020-01-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7003* *
3GPP R1-1717791* *
3GPP TS36.321 v14.4.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08A (ko) * 2021-06-17 2022-12-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치 및 서비스 요청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908250B (en) 2020-11-25
AU2017438196A1 (en) 2020-01-16
SG11201911604PA (en) 2020-01-30
WO2019084931A1 (zh) 2019-05-09
CA3066669A1 (en) 2019-05-09
EP3624517A4 (en) 2020-09-09
CN111314880B (zh) 2021-10-26
US20200195371A1 (en) 2020-06-18
KR102466250B1 (ko) 2022-11-10
BR112019027825A2 (pt) 2020-07-07
JP2021503192A (ja) 2021-02-04
JP6999801B2 (ja) 2022-01-19
IL271337A (en) 2020-01-30
US11108492B2 (en) 2021-08-31
CN110754122A (zh) 2020-02-04
EP4138473A1 (en) 2023-02-22
EP3624517A1 (en) 2020-03-18
PH12019502706A1 (en) 2020-12-07
RU2742794C1 (ru) 2021-02-10
EP3624517B1 (en) 2022-12-28
US11646815B2 (en) 2023-05-09
CN111314880A (zh) 2020-06-19
US20200260321A1 (en)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250B1 (ko)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CA3066679C (en) Method for resource configur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488273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089587B2 (e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08347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 carrier, and terminal device
IL267808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651514B (zh) 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9157726A1 (zh) 资源上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147085B2 (en)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RU2762931C2 (ru) Способ поддержки дублирования данных, передающее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риемное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A3093965C (en) Method for carrier selection in internet of vehicles, and terminal device
JP7361150B2 (ja) 無線通信の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端末装置
JP7317930B2 (ja) 伝送パラメータ確定方法、端末装置とネットワーク装置
EP4333498A1 (en) Qo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s,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