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843A -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843A
KR20200083843A KR1020180173577A KR20180173577A KR20200083843A KR 20200083843 A KR20200083843 A KR 20200083843A KR 1020180173577 A KR1020180173577 A KR 1020180173577A KR 20180173577 A KR20180173577 A KR 20180173577A KR 20200083843 A KR20200083843 A KR 20200083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fluorophenyl
methoxybenzyl
degenerative brain
tri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3843A/ko
Publication of KR2020008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07D249/10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49/12Oxygen or sulfur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6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에 우수한 작용 효과를 보임으로써, 퇴행성 뇌질환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4-(2-FLUOROPHENYL)-3-(3-METHOXYBENZYL)-1H-1,2,4-TRIAZOL-5(4H)-0NE AND ITS USE AS A THERAPEUTIC AGENT FOR METABOLIC DISEASE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
본 발명은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네페질 (donepezil) 등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lycholinesterase, AChE) 저해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혹은 알츠하이머 질환에 임상 의약품으로 사용된다. 또한, 일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의 경우, 치료 효과뿐 아니라 예방효과를 기대하는 신경 보호 효능 (neuroprotective effect)을 나타내고 있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입증하고 있음에도 알츠하이머를 통제할 근본적 치료제 (DMD, disease modifying drug)는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임상 의약품인 도네페질 (donepezil), 갈란타민 (galatamine), 타크린 (tacrine) 등은 질병의 예후가 나빠지는 것을 늦추는 증상 경감의 효과를 나타낼 뿐 병인을 제거하거나 해결하지는 못한다. 즉, 현재 기존 시판 치료제가 알츠하이머의 진행을 완벽히 차단하지는 못하며, 조기 발견 및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등 알츠하이머 시장은 높은 미충족 의료 수요를 갖는다.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대사 질환군으로 만성적인 고혈당은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대혈관합병증, 미세혈관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및 신장 질환과 같은 합병증을 야기하게 된다. 당뇨병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형 당뇨병 (type 1 diabetes mellitus)은 혈액 내의 포도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의 분비 결핍으로 야기되며, 주로 10 내지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 당뇨병 (juvenile diabetes)이라 불리기도 한다. 제2형 당뇨병 (type 2 diabetes mellitus)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며, 우리 나라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1형과는 달리 성인형 당뇨병이라 불리며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소가 함께 관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2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장애와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결함 (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된다. 현재까지 당뇨병의 완치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고, 경구용 혈당 강하제는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의 개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는 탄수화물을 가수분해하여 알파-글루코오스를 생성하는 분해효소로서, 유기체에 필수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한 당을 제공한다. 인간에서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가 탄수화물 분해의 마지막 단계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알파-글루코시다아제 매개 혈당의 생성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내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의 농도가 낮을 경우 폼페병 (Pompe's disease), 및 리소좀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결핍에 의해 야기되는 글리코겐 저장 장애와 같은 심각한 병리학적 변화가 나타나며, 이와 대조적으로, 상기 효소의 활성이 높은 경우에는 혈당 수치가 증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2형 당뇨를 가진 환자들의 포도당 흡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7/0093483 호
Acta Crystallogr. E60 (2004), pp 642-644 Acta Pol Pharm., (1998) vol. 55, no. 2, pp 117-1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의약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칼슘, 포타슘, 소듐 및 마그네슘 등으로 제조된 무기이온염, 염산, 질산, 인산, 브롬산, 요오드산, 과염소산 및 황산 등으로 제조된 무기산염;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젖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루쿠론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 아이오딕산 등으로 제조된 유기산염;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나프탈렌설폰산 등으로 제조된 설폰산염; 글리신, 아르기닌, 라이신 등으로 제조된 아미노산염; 및 트리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암모니아, 피리딘, 피콜린 등으로 제조된 아민염 등이 있으나, 열거된 이들 염에 의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염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는 하기 반응식 1의 반응 경로를 통해 순차적 또는 수렴적 합성 경로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반응 1에서 1의 2-(3-메톡시페닐)아세트산을 POCl3, ClCH2CH2Cl과 반응시켜 2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에 히드라진 수화물과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화합물 3을 제조한다. 여기에 1-플루오로-2-이소시아네이토벤젠을 첨가하여 4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넣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의 합성경로는 상기 반응식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시되는 방법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하기 반응식의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출발 물질은 시판되거나, 하기 제시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중간체의 단리 및 정제는, 제약업계에서 사용되는 적합한 분리 또는 정제 절차, 예를 들어 여과, 추출, 결정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후막 크로마토그래피, 분취용 저압 또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 절차의 조합으로 달성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퇴행성 뇌질환이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에서도 뇌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퇴행성 뇌질환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및 루게릭병으로 잘 알려진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은 점진적인 신경계 손실로 인한 기억, 인지 기능 손상 등이 나타나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대개 만성적으로 진행성으로 나타나며, 점진적인 기억·판단·언어능력 등 지적 기능의 감퇴와 일상생활능력, 인격, 행동양상의 장애를 보인다. 알츠하이머는 정상세포의 손상으로 아세틸콜린(acetylcolline)이라는 신경전달 물질이 감소되어 기억력, 언어기능, 판단력이 상실되고 성격이 변화되어 결국에는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능력이 상실되는 질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활성을 통해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은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대사성 질환(metabolic disease)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비만, 관상 또는 동맥경화증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 것으로서 1988년 Reaven(Reaven GM, Diabetes, 1988, 37:1595-1607)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되었다. 대사질환은 인슐린저항성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 과체중이나 비만을 동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대사성 질환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당뇨병과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당뇨병이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여 포도당이 세포 내에서 이용되지 않고 혈액 속에 포도당 농도가 높아져서 발생하는 만성대사성 질환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또는 제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활성을 통해 당뇨병을 비롯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패치제, 액제, 환약, 캡슐, 과립, 정제, 좌제 등일 수 있다. 이들 제제는 당 분야에서 제제화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다양한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01 내지 10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외에 동일 또는 유사한 약효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 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및/또는 대사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라는 용어는 퇴행성 뇌질환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상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의 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징후의 발현 전에 질병 그 자체를 다룰 뿐만 아니라, 이의 징후를 저해하거나 피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질환의 관리에 있어서, 특정 활성 성분의 예방적 또는 치료학적 용량은 질병 또는 상태의 본성(nature)과 심각도, 그리고 활성 성분이 투여되는 경로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용량 및 용량의 빈도는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적합한 용량 용법은 이러한 인자를 당연히 고려하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함께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활성 제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투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활성제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함께 시너지 효과 또는 보조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퇴행성 뇌질환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뇌질환 또는 대사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음료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허용되는 보조제, 희석제, 담체 등을 혼합할 수 있으며, 기타 활성제제와 함께 복합 제제로 제조되어 활성 성분들의 상승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용도, 치료방법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활성을 통해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활성을 통해 당뇨병을 비롯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5: 화학식 1의 화합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5: 화학식 1의 화합물).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위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이하에서 언급된 2-(3-메톡시페닐)아세트산, 1-플루오로-2-이소시아나토벤젠 및 포스포러스옥시클로라이드는 Aldrich로부터 구입하였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및 알파-글루코시다아제는 Sigma (St. Louis, MO)로부터 구입하였다. 히드라진 수화물 (80%), 트리메틸아민 (TEA), CS2, KOH 및 탄산수소나트륨은 Sigma-Aldrich에서 얻었다. 이 실험에서의 에탄올, 메탄올, 클로로포름, 물,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사이드,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n-헥산은 한국의 삼천 화학으로부터, H2SO4 및 HCl 은 한국의 진 화학 및 제약 회사로부터 얻었다.
반응 진행은 박층크로마토그래피 (TLC) 분석으로 모니터링 하였고, 예비 코팅된 실리카겔 알루미늄판 (Merck Germany의 Kieselgel 60 F254)을 사용하여 Rf 값을 결정하였다. UV 램프 (VL-4 LC, 프랑스) 하에서 TLC를 가시화하였다. 녹는점은 피셔 사이언티픽 (USA) 녹는점 장치로 측정하였고 보정하지 않았다. FT-IR 스펙트럼은 Shimadzu FTIR-8400S 분광기 (교토, 일본)에서 KBr 펠렛으로 기록하였다. 양성자 및 탄소 핵 자기 공명 (1H NMR 및 13C NMR) 스펙트럼은 TMS를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는 Bruker Avance 400MHz 분광계로 기록하였다. 화학적 이동은 표시된 유기 용액의 내부 테트라메틸실란에서 하향값 δ(ppm)으로 보고하였고, 피크 multiplicities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s, singlet; d, doublet 및 m, 다중선. 약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 DMSO-d6 (디메틸 설폭시드-d6); FT-IR 분광법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실시예 1.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의 제조
이의 구체적 반응은 반응식 1에서 설명으로 나타내었다.
2-(3-메톡시페닐)아세틸클로라이드를 1,2-디클로로에탄 (12mL) 용매에서 2-(3-메톡시페닐)아세트산 (1mmol)과 포스포러스옥시클로라이드 (0.4mL) 염소화제를 환류 하에 3시간동안 처리하여 합성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2-(3-메톡시페닐)아세틸클로라이드를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2-(3-메톡시페닐)아세틸클로라이드을 아세토니트릴 (80mL)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수화물 (1mmol), TEA (0.5mL), 아세토니트릴 (20mL)을 함유하는 용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TLC로 모니터링하면서 3시간 동안 환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감압 하에 용매를 증발시켜 냉각 시 백색 고체인 아래와 같은 조 2-(3-메톡시페닐)아세토하이드라자이드를 수득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로 정제하고 메탄올상에서 결정화하였다.
흰색 고체, 수율: 86%; mp 132-134℃; R f : 0.55 (n-hexane : ethyl acetate, 1:1), FT-IR (υ/cm-1): 3337, 3311 (NH2), 3200 (NH) 3041 (sp2 CH), 2936, 2887 (sp3 CH), 1624 (C=O), 1556, 1522, 1488 (C=C of phenyl ring).
1H NMR (400MHz, DMSO-d 6) δ9.24 (s, 1H, NH), 7.27-7.21 (aromatic, m, 2H), 6.98-687 (aromatic, m, 2H), 4.28 (s, 2H, broad, NH2), 3.71 (s, 3H, OCH3), 3.26 (s, 2H, CH2).
13C NMR (100MHz, DMSO-d 6) δ170.5, 159.4, 145.0, 130.1, 126.2, 117.6, 114.5, 55.4, 35.9.
THF (30mL)에 2-(3-메톡시페닐)아세토하이드라자이드 (1.17mmol)를 용해시키고, 등몰량의 1-플루오로-2-이소시아네이토벤젠 (1.17mmol)을 별도로 THF 20mL에 용해시켰다. 이들 용액 모두를 서서히 혼합하여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박층크로마토그래피 (TLC)로 모니터링 하였다.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비 후, THF를 회전 증발기상에서 증발시켜 아래와 같은 N-(2-플루오로페닐)-2-[2-(3-메톡시페닐)아세틸]하이드라진카복사마이드를 수득하였다.
흰색 고체, 수율: 74 %; mp 144-146℃; R f : 0.18 (n-hexane : ethyl acetate, 8:2), FT-IR (υ/cm-1): 3355, 3236, 3141 (NH), 3054 (sp2 CH), 2947 (sp3 CH), 1653, 1631 (C=O), 1551, 1508, 1487 (C=C of phenyl ring).
1H NMR (400MHz, DMSO-d 6) δ9.91, 8.54, 8.27 (s, 1H, NH), 7.417.29 (aromatic, m, 4H), 7.15-6.91 (aromatic, m, 4H), 3.54 (s, 3H, OCH3), 3.25 (s, 2H, CH2).
13C NMR (125MHz, DMSO-d 6) δ170.5, 167.4, 159.8, 156.7, 156.1, 144.2, 136.0, 131.9, 126.4, 122.0, 121.8, 119.8, 116.3, 56.4, 35.6.
N-(2-플루오로페닐)-2-[2-(3-메톡시페닐)아세틸]하이드라진카복사마이드 (1.5mmol)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N, 30mL)에서 밤새 환류하여 반응의 진행을 TLC로 모니터 하였다. 반응 완료 후, 내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그 다음, 여과물을 염산 (4N)으로 중화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침전시키고, 이를 여과하여 메탄올상에서 결정화하였다.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4-(2-fluorophenyl)-3-(3-methoxybenzyl)-1 H -1,2,4-triazol-5(4 H )-one]
흰색 고체, 수율: 69 %; mp 239-241℃; R f :0.66 (chloroform : methanol, 9:1), FT-IR (υ/cm-1): 3188 (NH), 1692 (C=O), 1579 (C=N), 1553, 1516, 1496 (C=C).
1H NMR (400 M Hz, DMSO-d 6) δ11.74 (NH, 1H, s), 7.36-7.32 (aromatic, 1H, m), 7.29-7.23 (aromatic, 2H), 7.14-7.10 (aromatic, 1H, m), 7.09-7.05 (aromatic, 4H, m), 3.82 (aliphatic, 2H, s), 2.30 (aliphatic, 3H, s).
13C NMR (100 MHz, DMSO-d 6) δ161.9, 159.4, 154.8, 145.3, 139.3, 133.0, 131.6, 131.5, 129.6, 129.5, 129.4, 128.3, 124.8, 124.7, 124.6, 122.5, 122.3, 115.6, 115.4, 25.9, 21.1.
실시예 2.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분석 프로토콜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는 아세틸티오콜린 아이오다이드를 사용하여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분석 용액은 효소 (AChE,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인간 적혈구로부터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용액 20μL (0.03U/mL)을 함유하는 pH8.0의 50mM 트리스-HCl 완충액(0.1M 염화나트륨 및 0.02M 염화 마그네슘)을 포함하였다. 증가하는 농도의 시험 화합물 (10μL)을 분석 용액에 첨가하고 4℃에서 30분 동안 미리 인큐베이션하였다. 이 반응액에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0.3mM) 20μL 및 아세틸티오콜린 요오드화물 (1.8mM) 20μL을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412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 효소 반응을 위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제외한 모든 성분을 함유하는 블랭크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측정은 상기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응 속도를 비교하였고,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인한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타크린 (tacrine)은 기준 저해제로 사용되었다. 각각의 농도는 3 회의 독립적인 실험에서 3배로 분석되었다. IC50 값은 데이터 분석 및 그래픽 소프트웨어 Origin 8.6, 64-bit에 의해 결정된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2.94 ± 0.211 mM의 IC50 값을 가지므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분석 프로토콜
알파-글루코시다아제에 대한 효소 억제에 대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을 평가하였다. 분석 용액은 50μL의 (0.1M) 인산 나트륨 완충액 (pH 7.0), 25μL의 기질 (0.5 mM) (p-니트로페닐-알파-D-글루코피라노시드), 20μL의 농도가 증가하는 시험 화합물 및 25μL의 효소 용액을 포함하였다. 그 다음, 이 반응 혼합물을 37℃ 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100μL의 (0.2 M)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멈추고 40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 효소 반응을 위해, 효소를 제외한 모든 성분을 함유하는 블랭크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측정은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 (OPTI Max, Tunable Micro plate Reader, 파장 범위 : 340-850nm, 96-웰플레이트 용)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반응 속도를 기준 약물과 비교하고, 백분율 억제를 화학식 100-(Abstestwell/Abscontrol)X100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각각의 농도는 3회의 독립적인 실험에서 3배로 분석되었다. 0.38 ± 0.023 mM의 IC50 값을 가진 아카보스를 기준 저해제로 이용하였다. IC50 값은 데이터 분석 및 그래픽 소프트웨어 Origin 8.6, 64-bit에 의해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1.37 ± 0.82 mM의 IC50 값을 가지므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의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2.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및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및 심장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인,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및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및 심장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173577A 2018-12-31 2018-12-31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KR20200083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577A KR20200083843A (ko) 2018-12-31 2018-12-31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577A KR20200083843A (ko) 2018-12-31 2018-12-31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843A true KR20200083843A (ko) 2020-07-09

Family

ID=7160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577A KR20200083843A (ko) 2018-12-31 2018-12-31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38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3483A1 (en) 2003-04-25 2007-04-26 Astrazeneca Ab Use of derivatives of 2, 4-dihydro-[1,2,4] triazole-3-thione as inhibitors of the enzyme myeloperoxidase (mp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3483A1 (en) 2003-04-25 2007-04-26 Astrazeneca Ab Use of derivatives of 2, 4-dihydro-[1,2,4] triazole-3-thione as inhibitors of the enzyme myeloperoxidase (mp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ta Crystallogr. E60 (2004), pp 642-644
Acta Pol Pharm., (1998) vol. 55, no. 2, pp 117-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ng et al.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ew coumarin-dithiocarbamate hybrids as multifunction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Taha et al. Synthesis of quinoline derivatives as diabetic II inhibitors and molecular docking studies
JP6518270B2 (ja) Gsk−3阻害剤としての新規チアジアゾリジンジオン
CA3041811A1 (en)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cftr
EP3424912B1 (en) 2-aminothiazole derivative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MX2009002648A (es) Derivados de pirimidinas y su uso como inhibidores de quinasas.
EP1923388A1 (en) Brain/neuronal cell-protecting agent, and therapeutic agent for sleep disorder
JP6851825B2 (ja) 非アポトーシス性の制御された細胞死の阻害剤としてのスピロキノキサリン誘導体
WO2017189613A1 (en) Methods of using fasn inhibitors
US20240041849A1 (e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or mitochondrial diseases
CN107151236B (zh) 一种2,3-环氧丁二酰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21523934A (ja) ミトコンドリア脱共役剤として有用なアミノピラジンおよび関連化合物
EP3357916A1 (en) Benzamide derivative
KR20140105598A (ko) [1,2,4]트리아졸로피리딘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KR20200083843A (ko) 4-(2-플루오로페닐)-3-(3-메톡시벤질)-1h-1,2,4-트리아졸-5(4h)-온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CN108752412B (zh) 乳香酸衍生物及其应用
CN104245696A (zh) 作为1型二酰基甘油o-酰基转移酶的抑制剂的化合物
JP2011500641A (ja) 医薬用途の新規なスルファメート化合物
US7939542B2 (en) Cinnamaldehyde derivatives having improved solubility in water,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401818B1 (ko) 신규 3-(벤조일)-2-티옥소이미다졸리딘-4-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U2013318962B2 (en) Coumarin derivative
JPH02753A (ja) カルバゾイル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WO2011058943A1 (ja) Mch r1アンタゴニスト活性を有する化合物とnpy y5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活性を有する化合物を組み合わせてなる医薬組成物
US9650389B2 (en) 8-oxoprotoberberin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associated with activity of NFAT5, contain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CN114349665B (zh) 二甲双胍焦谷氨酸晶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