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075A -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075A
KR20200083075A KR1020180174343A KR20180174343A KR20200083075A KR 20200083075 A KR20200083075 A KR 20200083075A KR 1020180174343 A KR1020180174343 A KR 1020180174343A KR 20180174343 A KR20180174343 A KR 20180174343A KR 20200083075 A KR20200083075 A KR 20200083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resonance
magnetic resonance
nuclear magnetic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풍
엄용호
Original Assignee
엄재풍
엄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풍, 엄용호 filed Critical 엄재풍
Priority to KR102018017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3075A/ko
Publication of KR2020008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C25B1/003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50Processes
    • C25B1/55Photoelect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H01M2250/402Combination of fuel cell with other electric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고, 수소분자를 수소원자로 분해하는데, 공진주파수로 공명하게 하여 최소한의 작은 에너지로 분해를 하고, 수소원자를 공명주파수로 진동하게 하여 이웃의 수소원자의 원자핵에 의해 공명하게 하고, 수소원자가 수소분자로 배향하는 에너지와, 수소와 산소의 결합에너지 등을 발전에너지로 사용하는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소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은 수소의 강한 폭발력 때문에 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만들고, 수소의 핵자기공명공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에너지로 사용하고, 다시 물로 보관할 수 있는 안전한 에너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므로 에너지자원이 고갈되어가고 있고, 환경파괴가 지속되어 가공 있는 현시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A Power Generator using Resonant Frequency and Atomic Magnetic Resonance}
본 발명은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고, 수소분자를 수소원자로 분해하는데, 공진주파수로 서로 공명하게 하여 최소한의 작은 에너지로 분해를 하고, 수소원자를 공명주파수로 진동하게 하여 이웃의 수소원자의 원자핵에 의해 공명하게 하고, 수소원자가 수소분자로 배향하는 에너지와, 수소와 산소의 결합에너지 등을 발전에너지로 사용하는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소를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수소의 강한 폭발력 때문에 취급상의 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만들고, 수소의 핵자기공명공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에너지로 사용하고, 다시 물로 보관할 수 있는 안전한 에너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술과 전기를 발전하는 기술에는 렉테나 기술이 있는데, 전파를 수신하여 발전하는 장치가 있다.
이 기술은 예로부터 연구개발을 해오던 중, 최근 일본과 독일에서 그 효율이 92%에 달하는 제품을 시판하고 있는 기술이며, 수소의 핵자기공명에서 발생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전기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이다.
수소의 핵자기공명이란? 수소의 원자가 자장 내에서 수소원자의 공진주파수의 전파를 받으면, 원자핵이 스핀으로 인한 세차운동이 발생하고, 그 이웃한 원자핵도 공명현상이 발생하여 스핀이 발생하며, 공진주파수의 전파가 단락되면, 흡수한 에너지를 전파로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며,
상기 공명현상은 분자운동에서도 발생하고, 공진주파수는 물질의 성형구조를 최소의 에너지로 파괴하는 주파수를 일컫는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기술을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여, 수소원자에 핵자기 공명을 걸어 발생되는 전파를 렉테나 기술로 전기로 발전하는 기술이며, 이를 위해서 물을 최소한의 에너지로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기술과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기술의 난점과, 수소원자의 핵자기공명 시 발생하는 전파를 전기로 변환하는 효율을 높이는 기술의 난점과, 수소원자가 수소분자로 배향할 때, 발생하는 고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난점과, 수소와 산소의 결합하는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것을 효율 높은 기술로 해결해야하는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공진주파수와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물과 수소분자를 최소한의 에너지로 분해 및 분리 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공진주파수로 분해하는 에너지보다 공명현상을 통하여 분해되고 전달되어 발생된 에너지와 배향하는 에너지가 공진주파수를 발생하게 하는 에너지보다 크게 발생되게 하는 결과가 가능한 구조를 형성해야한다.
또한, 촉매를 이용하여 물 분자를 수소와 산소로 분해할 때, 최소한의 작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수소와 산소가 결합할 때 발생되는 에너지보다 작아야 되는 것이 가능한 주변여건기술이 필요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의 분해를 위하여, 수증기의 공진주파수 22.2G의 주파수와, 가시광선, 광촉매를 설치하였고,
수소분자를 수소원자로 분해할 때, 수소의 공명주파수로 가진 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 하였으며,
수소원자의 핵자기공명주파수로 가진 하고, 흡수한 에너지를 전파로 발생할 때, 전기로 변환하는 렉테나 장치를 설치하고,
수소원자가 다시 수소분자로 결합할 때 발생하는 고열을 열전자발전소자와 터빈발전장치를 설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게 하였다.
특히, 이때의 가스밀도를 낮추어 온도를 1800도 이하로 낮추어 본 발명의 반영구적 수명을 유지하게 한다.
또한, 수소와 산소의 결합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소를 이용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의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킨다.
1. 수소를 이용한 안정적이고 깨끗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2.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공명현상의 진동으로 최소한의 에너지로 분해된 물과 수소분자의 환원 열과 수소원자의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에너지발생을 이용하여 고효율의 에너지 발생의 실현이 가능하다.
3. 에너지 발생장치로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설치장소를 구애 받지 않는다.
4. 물이 순환되는 구조이므로 다른 연료가 필요 없고, 규모가 작지만 큰 에너지발생으로 섬이나 산골 오지에도 스마트그리드를 실현할 수 있다.
제1도 :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전체 공정도.
제2도 :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수증기 분해도.
제3도 :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수소분해 및 수소원자 핵자기공명을 통한 렉테나 발전 및 에너지 변환설명도.
제4도 :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온" - "온"선도.
제5도 :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수소분자를 수소원자로 분해하는 설명도.
제6도 :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수소원자의 핵자기공명을 통한 전파발생 설명도.
제7도 :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수소원자의 전파발생 설명도.
제8도 : 본 발명의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공정 설명도.
*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0) 물 11) 증발기 13) 기체펌프
20) 분해통 21) 광촉매 22) 그래핀필터
23) 자외선등 24) 반사판 30) 자석
31) 공진전파송신판 32) 공명파송신판 33) 렉테나장치
34) 보조변환장치 35) 전파반사체 36) 보조자석
41) 출력제어기 50) 열교환기 51) 열전자발전소자
52) 전력제어장치 53) 보조열교환기 54) 공기
55) 발전터빈 56) 에너지변환장치 61) 체크밸브
77) 공명관 88) 연료전지
97) 수소원자공명주파수발진기 98) 수소공진주파수발진기
99) 수소원자
* 화살표(
Figure pat00001
)는 열의 이동방향. 화살표(→)는 전파나 유체의 흐름.
표시 없는 사각은 공간이며, 반복되며 표시 없는 것은 상용부품임.
본 발명의 구성 상태를 제1도에서 제8도까지 제시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10)을 분해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데는 액체 상태로서의 물(10)보다 수증기상태에서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증발기(11)를 설치하여, 증발된 수증기를 분해통(20)으로 기체펌프(13)로 공급 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분해통(20)의 내부에 강화유리관의 내부에, 수증기와 접촉하는 광촉매(21)판을 설치하고, 22.2G HZ로 발생되는 자외선등(23)과 반사판(24)을 설치하여, 수증기가 광촉매(21)판상에서 수증기의 공명주파수인 22.2G HZ의 빛을 만나면서, 공진과 공명운동을 통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분해통(20)내에 그래핀필터(22)를 설치하여 수소만 통과시키어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수소는 공명관(77)으로 공급되며, 산소는 별도의 관으로 분리 공급될 수 있도록 관을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공명관(77)의 외부 어느 한쪽과 180도 반대쪽에 두 개 자석(30)의 다른 극이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명관(77)의 외부이며 가까운 어느 한쪽에 위치하며, 자석(30)과 직각을 이루게 하며, 공명관(77)의 중심과 작은 거리에 공진전파송신판(31)을 설치하고; 상기 공진전파송신판(31)보다 공명관(77)의 중심에서 더 작은 거리이며, 공진전파송신판(31)에 이어서 공명파송신판(32)을 공명관(77)의 외부에 두 개소로 대향 설치한다.
이때, 공진전파송신관(31)에는 자석(30)의 자속밀도에 따른 수소공진주파수발진기(98)을 설치하고, 공명파송신판(32)에는 수소원자공명주파수발진기(9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자석(30)의 끝[공명파송신판(32)이 설치된 쪽]단부에 전파반사체(35)를 설치하고; 상기 전파반사체(35)의 다른 쪽에 보조자석(36)을 설치한다.
이때, 전파반사체(35)의 설치가 되는 곳의 공명관(77)내부에는 단열재가 설치되어야 하며, 그 재질은 전파의 방해가 없고, 1800도 이상의 내열성 있는 단열재가 설치되어야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보조자석(36)의 다른 쪽에 렉테나장치(33)와 보조변환장치(34)가 설치되고, 수소원자(99)가 발생하는 전파를, 상기 렉테나장치(33)와 보조변환장치(34)에 의해 출력제어기(41)에 의해 출력이 배터리로 모아지게 설치한다.
이어서, 단열재가 설치된 소정의 길이를 가진 공명관(77)의 이후의 형상이 지름이 넓게 확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명관(77)은 재질이 크롬텅스텐강으로 하여 내열성을 유지하는 열교환기(5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를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관이 별도의 보조열교환기(53)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 및 열매체기름을 통하여 열 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공명관(77)의 외부에 열전자발전소자(51)를 설치하며; 외부의 보조열교환기(53)의 외부에도 열전자발전소자(51)가 설치되어 열을 전기로 변환하게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보조열열교환기(53)의 다른 쪽에 발전터빈(55)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다단으로 설치된 열교환기(50)의 다른 쪽에 이송 펌프와 체크밸브(61)를 나열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체크밸브(61)의 다른 쪽에 연료전지(88)를 설치하되, 상기 산소공급 관을 연료전지(88)와 연결 설치하고,
연료전지(88)와 물탱크를 관이음으로 연결하며; 상기 공명관(77)과 열교환기(50), 연료전지(88)를 연결하는 부위는 수소가스가 누출 되지 않도록 철저한 내열성 실[SEAL] 구조로 설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이 완료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제1도에서 제8도까지 제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10)은 액체상태보다 수증기 상태가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기가 용이하므로 증발기(11)를 통과한 물(10)은 수증기로 변하여 분해통(20)으로 공급되고, 광촉매(21)와 자외선등(23)의 22.2G HZ의 공진주파수에 의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된다.
이때, 물질의 공진주파수와 가해진 주파수가 동일하게 되면, 그 물질이 작은 에너지로 파괴되는 현상은, 단체 에어로빅의 주파수가 건물을 무너트리고, 군대의 행진 시 발맞추어 하는 행군의 주파수에 다리가 붕괴되는 등의 여러 곳에서 검증된 사실로, 수증기가 22.2G HZ의 공진주파수와 함께하는 약한 에너지에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는 결과의 유추는 당연하게 용이하다.
이어서, 분해된 수소와 산소는 그래핀필터(22)에 의해 수소만 통과하여 공명관(77)으로 공급되어지는데, 겹겹의 층으로 만들어진 그래핀필터(22)로 수소원자(99)만 통과시키는 사실은, 그래핀의 구멍을 겹쳐 더 작게 또는 크게 조정하는 것이 상용화 된 기술로 중명된 바가 있으므로, 이 결과 또한 유추가 당연이 용이하다.
이어서, 공명관(77)내부로 이송된 수소는 자석(30)의 자장내부로 이동되면서 수소공진주파수발진기(98)에 연결된 공진전파송신판(31)을 통해 자장의 세기에 의해 결정되는 수소공진주파수에 의해 1몰의 수소분자는 416KJ의 이하의 에너지가 전파로 가해져 수소원자(99)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 수소분자는 공진주파수의 공명현상과 광촉매(21)의 작용으로 일반적인 통상의 수소분자보다 많은 양이 수소원자(99)로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수소원자(99)는 공명관(99)을 따라 유입된 반대쪽으로 이송되며; 상기 수소원자(99)에 수소공진주파수발진기(98)에서 발생되는 공명주파수 전파가 공명파송신판(32)을 통하여 전달되며; 수소원자(99)는 세차운동을 하게 되고, 주변의 수소원자(99)도 공명운동을 통해 세차운동을 한다.
한편, 상기 사실은 수소원자(99)가 전파를 수진한 수소원자(99)가 세차운동을 하면, 이웃한 수소원자(99)도 원자핵의 스핀운동에 공명하여 같은 세차운동을 하는 사실이 실험으로 밝혀져 있으므로 당연히 유추할 수 있다.
이어서, 자기장내에서 세차운동을 하던 수소원자(99)는 수소공진주파수의 전파를 반사하는 전파반사체(35)가 설치된 영역을 벗어나면, 흡수된 에너지를 외부를 향해 전파로 발생하고; 상기 전파는 렉테나장치(33)와 보조변환장치(34)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출력제어기(41)를 통해 배터리에 모아지거나 사용된다.
이때, 렉테나장치(33)의 전파를 전기로 변환하는 효율이 약 92%에 달해 있어, 수소원자(99)의 전파발생의 에너지를 변환시킨 값의 크기가 입력에너지 크기보다 더 크게 변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어서, 에너지를 전파로 발생시킨 수소원자(99)는 결합을 통하여 수소분자가 되는데 3500도의 열을 발생시키며 결합작용을 한다.
이때, 수소분자의 밀도를 조정하여 공명관(77)과 열교환기(50)의 내부온도를 1200도 이내로 유지되도록 하며, 전파방해를 하지 않는 단열재[1800도 사용가능]로 장치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열교환기(50)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공기가 가열되어 이송되는 보조열교환기(53)와 상기 열교환기(50)의 외부 면에는 열전자발전소자(51)가 설치되어 내부의 열과 외부의 열의차이로 열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며, 상기 열전자발전소자(51)는 본인이 특허출원한 열 발전소자의 내용을 통해 참고하기 바라며, 내부 공기의 가열로 발생되는 공기압력으로 발전되는 발전터빈(55)의 기능도 본인이 출원한 저압으로 회전하는 터빈의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때, 열전자발전소자(51)의 효율이 고온의 조건에서 약40%의 성능이 증명된 독일산이 있고, 저온에서도 가능한 열전자발전소자는 마그네슘과 그래핀을 이용한 본인이 연구 특허출원한 것이 있으며, 현 조건은 고온이므로 그 효율이 탁월하게 에너지로 변환 할 수 있다.
이어서, 수소분자로 결합한 수소는 연료전지(88)에 도달하여, 상기 분리된 산소와 결합을 하며 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며, 연료전지(88)는 전기로 변환하게 되며, 수소와 산소는 물(10)로 결합하여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 물을 공진주파수로 가열하며 공명현상을 통하여 수소원자로 만들어서 수소원자(99)의 핵자기 공명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방식과 환원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결합의 에너지가, 공진주파수와 함께 입력되는 에너지보다 발생되는 에너지가 큰 고효율 장치를 제작 구현함으로서, 공해가 심하고, 이산화탄소 등으로 환경파괴가 가속되는 시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본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물(10)을 증발기(11)를 통해 만들어진 수증기; 수증기 공진주파수의 자외선등(23)과 광촉매(21)가 설치된 수증기 분해부와;
    공명관(77)외부에 수소공진주파수발진기(98)와 공진전파송신판(31)을 자석(30)의 자장 내에 설치한 수소분자 분리부와; 공진전파송신판(31)에 이어 수소원자공명주파수발진기(97)가 구비된 공명파송신판(32)이 설치된 핵자기공명전파 송신부와,
    수소원자(99)에서 발생되는 전파를 렉테나장치(33)와 보조변환장치(34)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출력부와,
    수소분자로 결합하며 발생되는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자발전소자(51)가 설치된 열교환기(50)와 보조열교환기(53) 장치와; 보조열교환기(53)의 내부공기의 열과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터빈(55)장치와,
    수소와 산소의 결합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연료전지(88)가 설치된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물(10)의 공명주파수 9G 자외선등(23)과 광촉매(21)를 백금과 산화티탄, 그래핀 등의 재질로 대체하여 설치한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증기의 공명주파수 22.2G HZ의 자외선등(23)과, 반사판(24)의 반사면에 전파반사 물질을 도포하여 설치한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자석(30)의 자기장의 세기가 0.1T 이상의 자석(30)이나 자기장의 세기가 0.1T 이상인 전자석으로 대체하여 설치한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자석(30)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가변된 수소공진주파수로 수소공진주파수발진기(98)를 공진전파송신판(31)통해 전파를 송신하는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자석(30)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가변된 수소원자공명주파수를 수소원자공명주파수발진기(97)로 공명파송신판(32)통해 전파를 송신하는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공명관(77)의 내부에 전파방해가 없는 비철, 비금속의 재질이며, 1200도 이상의 고온 단열재가 설치된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열교환기(50)와 보조열교관기(53)의 내부에 텅스텐과 크롬, 구리의 합금과 탄소섬유, 그래핀의 재질로 설치된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수소원자(99)를 이산화탄소, 질소의 동위원소로 대치하여 설치하고, 그에 따른 공진주파수와 공명주파수를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공명관(77)과 열교환기(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소원자(99)의 밀도를 1/2 이하로 하여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등(23)을 레이저발생장치와 그 레이저 빛으로 대체하여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발전터빈(55)의 배출되는 공기를 냉동사이클의 외부공기로 이용하고; 상기 공기를 히트펌프를 통과시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180174343A 2018-12-31 2018-12-31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200083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343A KR20200083075A (ko) 2018-12-31 2018-12-31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343A KR20200083075A (ko) 2018-12-31 2018-12-31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075A true KR20200083075A (ko) 2020-07-08

Family

ID=7160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343A KR20200083075A (ko) 2018-12-31 2018-12-31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30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43022A1 (en) Magnetohydrodynamic hydrogen electrical power generator
CN107449305B (zh) 储热单元
TWI387685B (zh) 熱管式發電元件、熱發電裝置、熱能回收裝置
JP2014522480A (ja) 共鳴ナノ微粒子プラズマを用いた装置、電磁空洞共振器および音響共振器を用いた再生可能エネルギー生成プロセス
CN109599194A (zh) 一种静默式空间核反应堆地面实验装置
CN104124334A (zh) 一种热声发动机驱动的热磁发电系统
ITMI20091249A1 (it) Apparato per la produzione di idrogeno gassoso e sistema di generazione di energia impiegante l'apparato
SA111320325B1 (ar) نظام الموجة المتحركة الصوتي الحراري بالإجهاد الكهربائي لتوليد الطاقة الكهربائية من الطاقة الحرارية
CN101705925A (zh) 一种太阳能热水工质相变循环的热力发电系统
CN104966534A (zh) 冷聚变发电装置
Chen et al. Development of thermoacoustic engine operating by waste heat from cooking stove
KR20200083075A (ko) 공진주파수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발전장치
JP6571322B2 (ja) 空水熱発電システム
EP2911976B1 (en) Generating energy from water, to hydrogen system
US20090071816A1 (en) Radio frequency plasma-water dissociator
US202001097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ergy Conversion
CN102120563A (zh) 氢氧源“预裂解”装置及燃水能源原理与控制方法
JP2011256856A (ja) 熱機関における熱位置変換エネルギーの回収法及び回収装置
Yu et al. Design and testing of a travelling-wave looped-tube engine for low-cost electricity generators in remote and rural areas
CN101652871A (zh) 发电系统
CN114649921B (zh) 一种感应式热声液态金属磁流体发电方法
GB2502247A (en) Heat recovery device
JP5504935B2 (ja)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発電システム
Tiwatane et al. Thermoacoustic effect: the power of conversion of sound energy & heat energy
CN205566136U (zh) 一种汽车动力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