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777A - 환자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777A
KR20200082777A KR1020180173692A KR20180173692A KR20200082777A KR 20200082777 A KR20200082777 A KR 20200082777A KR 1020180173692 A KR1020180173692 A KR 1020180173692A KR 20180173692 A KR20180173692 A KR 20180173692A KR 20200082777 A KR20200082777 A KR 2020008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raint
patient
present
b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374B1 (ko
Inventor
박정희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3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는 환자의 신체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억제대 고정부와 결합되어 지지되는 억제대; 및 상기 억제대에 수용된 환자의 신체부위를 감싸되,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탈착가능하도록 마련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억제부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침대 형태에 설치되거나 침대와 일체형으로 제공되어 호환성이 높다. 둘째, 환자의 관절 부위의 구부림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셋째, 환자를 고정하고난 이후 다시 탈착이 용이하다.
넷째, 환자가 구속을 임의로 해제하였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억제 장치{Patient Restraint Device}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침대 내지 침대 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들이 특정 질병 등에 의해 신체에 경련이 발생하거나, 정신적 문제로 자해를 하는 등의 문제로 팔이나 다리 등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치료 내지 입원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러한 환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구속 장치는 침상의 구조물에 끈 등을 묶고 환자의 신체에 감아 고정하는 방식 등이 이용되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긴급한 발작 등의 상황인 경우, 신체를 고정하기까지 시간이 오래걸리고 복잡하며, 실시자에 따라 고정방식이 표준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에 따라, 침대 또는 침대에 설치되는 억제대 등이 개발되어 왔으나, 천 재질 등의 끈 형태의 고정 방식은 그대로 이용되어, 손목 등의 신체 말단 부분만 묶었을 때 팔관절 부위 등의 꺾일 수 있고, 환자의 갑작스런 큰 동작에 의해 부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었고, 천 등의 재질로 된 억제대는 오염물질 등에 쉽게 노출되어 세탁이 필요하며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등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환자의 관절 부위까지 안정적으로 구속 내지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는 환자의 신체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억제대 고정부와 결합되어 지지되는 억제대; 및 상기 억제대에 수용된 환자의 신체부위를 감싸되,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탈착가능하도록 마련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억제부재;을 포함한다.
상기 억제대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억제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억제대 고정부는 상기 억제대 고정부에 가해지는 압력를 감지하여 임의해제시도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수용여부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침대 형태에 설치되거나 침대와 일체형으로 제공되어 호환성이 높다.
둘째, 환자의 관절 부위의 구부림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셋째, 환자를 고정하고난 이후 다시 탈착이 용이하다.
넷째, 환자가 구속을 임의로 해제하거나 시도하였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섯째, 억제대가 쉽게 세척될 수 있어 감염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를 관절 부위에 실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의 실시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의 억제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는 억제대 고정부(200), 억제대(300) 및 억제부재(400)를 포함한다.
억제대 고정부(200)는 억제대(300)에 설치되며,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침대(500)의 프레임 등 외부에 억제대(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억제대 고정부(200)는 끈이나 벨트 등의 형태로 마련되어 억제대(300)에 마련된 홀 내지 돌출부에 관통시키거나 걸어맴으로써 외부와 결속시켜 억제대(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억제대(300)는 환자의 신체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310)가 형성되며, 억제대 고정부(200)와 결합되어 지지된다. 환자의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부위를 억제대(300)상의 수용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억제대(300)는 실시하기에 따라 평면형, 반원통형 등이 될 수 있다. 억제대(300)는 억제대 고정부(200)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억제대 고정부(200)에 결합된다. 다만, 억제대(300)는 환자의 관절부위까지 수용가능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억제대(300)는 환자가 임의로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결합된 커버를 가지는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억제부재(400)에 의해 고정된 경우, 커버를 억제대(300)에 결속시켜 이중으로 환자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억제대(300)가 환자의 관절 부위까지 수용함으로써, 환자의 관절 움직임이 억제대(300)에 의해 방해 내지 제한되어질 수 있다. 억제대(300)는 천 등 오염이 쉬운 재질이 아닌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쉽게 소독약물 등으로 세척 및 청소가 가능한 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억제부재(400)는 억제대(300)에 수용된 환자의 신체부위를 감싸되 체결부(310)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억제부재(400)를 탈착가능하도록 마련된 결속부(4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체결부(310)는 억제대(300)의 형성된 홀이 될 수 있다. 이때 억제부재(400)는 억제대(300)의 홀에 끼워져 관통되며, 억제대(300)상의 환자의 신체부위를 감싸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억제부재(400)를 억제대(300)에 고정하기 위해 매듭짓거나 할 필요 없이 설치된 상태에서 결속부(410)를 결착시켜 환자의 신체부위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결속부(410)를 이탈시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체결부(310)은 홀 형태, 돌출된 형태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결속부(410)는 벨트형태, 단추형태 내지 버튼형태 등 일반적인 결속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을 포함한 침대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는 억제대 고정부(200), 억제대(300) 및 억제부재(400)이 기 설치된 일체형 침대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억제부재(400)의 탈착여부를 원격으로 확인 가능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억제대(300), 억제대 고정부(200), 억제부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환자의 신체부위의 수용여부, 임의해제시도 내지 임의해제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억제대(300)에서 환자 신체부위가 수용되는 면에 환자의 신체부위가 수용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센서(600)로써 버튼센서, 적외선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신체부위가 수용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수용여부정보가 생성된다. 또는, 억제부재(400)의 임의 해제를 감지하도록 결속부(410)의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600)를 더 포함하고, 임의 해제를 감지하면 센서는 해제정보를 발생시킬 수 도 있다.
또는,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억제대 고정부(200)에 센서(600)를 설치하여 환자 등이 강제로 억제 장치를 해제하기 위해 힘을 가하면 압력을 감지하게 할 수 있고, 기설정된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임의해제시도로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수용여부정보, 임의해제시도 또는 해제정보를 별도의 표시부에 나타낼 수 있다.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형태, 램프 형태, 음성신호 형태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600)는 외부단말기로써 관리자의 서버 등에 상술한 수용여부정보, 임의해제시도 또는 해제정보를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해제정보 등을 전달받은 관리자의 단말기 등을 통해 임의 해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관리자는 여러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억제 장치를 적용하고 있더라도, 임의로 고정을 해제하는 상황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여러 환자를 동시에 관리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고정이 임의로 해제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도 예방하며 사고 발생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200: 억제대 고정부
300: 억제대
310: 체결부
400: 억제부재
410: 결속부
500: 침대
600: 센서

Claims (4)

  1. 환자의 신체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며, 환자의 신체부위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억제대; 및
    상기 억제대에 수용된 환자의 신체부위를 감싸되,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탈착가능하도록 마련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억제부재;을 포함하는
    환자 억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대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억제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억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대 고정부는
    상기 억제대 고정부에 가해지는 압력를 감지하여 임의해제시도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억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임의해제시도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억제 장치.
KR1020180173692A 2018-12-31 2018-12-31 환자 억제 장치 KR10217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92A KR102179374B1 (ko) 2018-12-31 2018-12-31 환자 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92A KR102179374B1 (ko) 2018-12-31 2018-12-31 환자 억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77A true KR20200082777A (ko) 2020-07-08
KR102179374B1 KR102179374B1 (ko) 2020-11-16

Family

ID=7160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92A KR102179374B1 (ko) 2018-12-31 2018-12-31 환자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3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223A (ja) * 1999-02-23 2000-09-05 Ork:Kk 人体用拘束具
JP2003250825A (ja) 2002-03-05 2003-09-09 Masami Murakami 手首と肘関節の抑制具
CN201389112Y (zh) 2009-03-26 2010-01-27 陈淼 医用儿童新型手约束带
KR20100011453U (ko) * 2009-05-15 2010-11-24 전홍수 환자용 손보호 억제대
KR101137134B1 (ko) * 2011-12-06 2012-04-20 조정현 침대고정용 환자 보호복
KR200475857Y1 (ko) * 2013-07-24 2015-01-08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용 지지대
KR101509445B1 (ko) * 2014-12-01 2015-04-08 오현주 관절 지지장치
KR20160112402A (ko) * 2015-03-19 2016-09-28 (주)동영이엔지 환자용 결속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223A (ja) * 1999-02-23 2000-09-05 Ork:Kk 人体用拘束具
JP2003250825A (ja) 2002-03-05 2003-09-09 Masami Murakami 手首と肘関節の抑制具
CN201389112Y (zh) 2009-03-26 2010-01-27 陈淼 医用儿童新型手约束带
KR20100011453U (ko) * 2009-05-15 2010-11-24 전홍수 환자용 손보호 억제대
KR101137134B1 (ko) * 2011-12-06 2012-04-20 조정현 침대고정용 환자 보호복
KR200475857Y1 (ko) * 2013-07-24 2015-01-08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용 지지대
KR101509445B1 (ko) * 2014-12-01 2015-04-08 오현주 관절 지지장치
KR20160112402A (ko) * 2015-03-19 2016-09-28 (주)동영이엔지 환자용 결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374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150B2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US9186475B2 (en) Storage device for a ventilation mask
US11471233B2 (en) Preloaded sterile bag
CA3071284A1 (en) Predictive double-release alarm belt
US20110114102A1 (en) Patient stabilizing strap
US11865028B2 (en) Surgical arm positioner with sterile disposable support
KR20200082777A (ko) 환자 억제 장치
US20160022170A1 (en) Strap-fastening apparatus and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a strap-fastening apparatus
US9743744B2 (en) Module retainer
US20180325717A1 (en) Limb restraint
RU2658279C2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раждения кровати
JP5148370B2 (ja) 聴診器保持具
ATE277653T1 (de) Infusionshalter zur anbringung an einen patienten tragenden einrichtungen
WO2017065040A1 (ja) ベッド用側柵の固定部材
US20180133076A1 (en) Wheelchair pin platform guard
KR102046702B1 (ko) 낙상방지 보호대
JP2016101203A (ja) チューブ固定具及び医療用チューブの固定方法
JP2009254790A (ja) 拘束帯保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ベッド
JP2015208405A (ja) 生体情報表示装置の架台
US20150167890A1 (en) Cuff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871981B1 (ko)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JP2000237223A (ja) 人体用拘束具
US8710988B1 (en) Method for detecting motion of an electrical device or apparatus
KR101178375B1 (ko) 들것
JP3152902U (ja) 点滴針抜去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