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524A -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524A
KR20200082524A KR1020180173186A KR20180173186A KR20200082524A KR 20200082524 A KR20200082524 A KR 20200082524A KR 1020180173186 A KR1020180173186 A KR 1020180173186A KR 20180173186 A KR20180173186 A KR 20180173186A KR 20200082524 A KR20200082524 A KR 2020008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insertion hole
head portion
hea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3310B1 (ko
Inventor
김성훈
박란
Original Assignee
김성훈
박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박란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8017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33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에 따르면, 일측면에 돌출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타이부; 상기 타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양측면이 관통되게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된 메인헤드부와, 상기 하부삽입공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고, 상측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하부삽입공에 삽입되는 타이부의 돌출핀에 걸리는 하부돌기가 형성된 하부스톱퍼와, 상기 메인헤드부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상부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삽입공의 상부가 개구되어 상부에 개구부와 양측에 기둥부가 형성된 보조헤드부 및 상기 상부삽입공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고, 상측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상부삽입공에 삽입되는 타이부의 돌출핀에 걸리는 상부돌기가 형성된 상부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부는, 상기 하부삽입공에 삽입되어 결속되면 하부스톱퍼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상부삽입공에 삽입되어 결속된 후, 타단이 상부로 당겨지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부스톱퍼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cable tie}
본 발명은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 및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을 단정하게 정리하고 흩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타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타이는 1회용으로써, 타이를 헤드에 결속시키면 해제가 불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이를 헤드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발명이 이루어졌다.
특허문헌 1은, 헤드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타이를 비틀어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타이를 비틀기 위해서는 타이를 강하게 비틀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타이의 테두리가 손상 등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헤드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타이를 잡아당겨 해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타이를 잡아당길 때, 걸림턱의 모서리에 걸림에 따라, 타이의 테두리가 손상 등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및 2는, 타이를 헤드로부터 분리시켜 결속의 해제가 가능하지만,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타이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변형에 의해 재사용이 불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특허문헌 1 및 2는, 타이가 결속되어 있을 때, 상부로 잡아당기면, 헤드의 개구된 폭이 헤드의 일측과 타측이 동일함에 따라, 강한 힘을 가해야 타이가 해제될 수 있어, 타이의 손상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재사용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068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2328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05955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6248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부의 폭, 개구부의 폭과 빗면의 상하폭을 헤드부의 일측부와 타측부와 다르게 형성시킴으로써, 걸림턱이 타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헤드부의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약하게 형성되어, 타이부가 보조헤드부에 결속된 후 타단이 상부로 당겨질 때, 헤드부의 일측부보다 타측부에서 기둥부가 먼저 외측으로 벌어지고, 벌어지는 헤드부의 타측부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부삽입공으로부터 타이부가 자연스럽게 빠지는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됨으로써, 타이부가 기둥부의 타측부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부삽입공으로부터 빠지되, 라운드로 형성된 가이드부의 면에 가이드됨에 따라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의 걸림없이 빠지며, 타이부의 양단에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에 의한 변형없이 유지되어 재사용 가능한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에 따르면, 일측면에 돌출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타이부; 상기 타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양측면이 관통되게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된 메인헤드부와, 상기 하부삽입공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고, 상측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하부삽입공에 삽입되는 타이부의 돌출핀에 걸리는 하부돌기가 형성된 하부스톱퍼와, 상기 메인헤드부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상부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삽입공의 상부가 개구되어 상부에 개구부와 양측에 기둥부가 형성된 보조헤드부 및 상기 상부삽입공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고, 상측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상부삽입공에 삽입되는 타이부의 돌출핀에 걸리는 상부돌기가 형성된 상부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부는, 상기 하부삽입공에 삽입되어 결속되면 하부스톱퍼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상부삽입공에 삽입되어 결속된 후, 타단이 상부로 당겨지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부스톱퍼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일측부에서 타측부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타이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서 타측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타이부의 양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이격폭이 커지게 빗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갈수록 빗면의 상하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타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력은,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약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는, 타이부가 보조헤드부에 결속된 후 타단이 상부로 당겨질 때,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먼저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타이부는, 벌어지는 헤드부의 타측부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부삽입공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헤드부는, 상기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부는, 상기 기둥부의 타측부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부삽입공으로부터 빠지되, 라운드로 형성된 가이드부의 면에 가이드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의 걸림없이 빠지게 됨으로써, 상기 타이부의 양단에 상기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에 의한 변형없이 유지되어 재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헤드부의 폭, 개구부의 폭과 빗면의 상하폭을 헤드부의 일측부와 타측부와 다르게 형성시킴으로써, 걸림턱이 타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헤드부의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약하게 형성되어, 타이부가 보조헤드부에 결속된 후 타단이 상부로 당겨질 때, 헤드부의 일측부보다 타측부에서 기둥부가 먼저 외측으로 벌어지고, 벌어지는 헤드부의 타측부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부삽입공으로부터 타이부가 자연스럽게 빠지는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됨으로써, 타이부가 기둥부의 타측부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부삽입공으로부터 빠지되, 라운드로 형성된 가이드부의 면에 가이드됨에 따라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의 걸림없이 빠지며, 타이부의 양단에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에 의한 변형없이 유지되어 재사용 가능한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는, 타이부(10) 및 헤드부(20)를 포함한다.
먼저, 타이부(10)는, 일측면에 돌출핀(11)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이때, 돌출핀(11)은 후술할 헤드부(20)에 결속된다.
그리고, 타이부(10)는 제1좌우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헤드부(20)는, 타이부(10)의 일단에 형성되고, 타이부(1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양측면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헤드부(20)는,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는 하부삽입공(22)과 상부삽입공(26)이 형성되고, 하부삽입공(22)과 상부삽입공(26)에 타이부(10)의 타단이 삽입됨에 따라, 타이부(10)와 결속된다.
이때, 타이부(10)는, 타단이 하부삽입공(22)과 상부삽입공(26)에 삽입될 때, 돌출핀(11)이 하측면을 향하도록 휘어져 삽입된다. 그리고, 타이부(10)의 타단은 헤드부(2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를 향하도록 삽입된다.
이러한, 헤드부(20)는, 메인헤드부(21), 하부스톱퍼(23), 보조헤드부(25) 및 상부스톱퍼(30)를 포함한다.
메인헤드부(21)는, 타이부(10)의 타단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하부삽입공(22)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삽입공(22)은 제2좌우폭을 갖도록 형성되되, 타이부(10)의 제1좌우폭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스톱퍼(23)는, 하부삽입공(22)의 하부에 구비되되 하부삽입공(22)의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어 하부삽입공(22)에 탄력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하부스톱퍼(23)는, 상측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하부삽입공(22)에 삽입되는 타이부(10)의 돌출핀(11)에 걸리는 하부돌기(24)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핀(11)과 하부돌기(24)가 서로 결속되되, 타이부(10)가 헤드부(2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만 이동되고, 타측부에서 일측부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결속된다.
이러한 결속방식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헤드부(25)는, 메인헤드부(21)의 상부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보조헤드부(25)는, 타이부(10)의 타단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상부삽입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헤드부(25)는, 상부삽입공(26)의 상부가 개구되어 상부에 개구부(29)와 양측에 기둥부(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삽입공(26)은 하부삽입공(22)의 제2좌우폭과 동일한 제3좌우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29)는, 상부삽입공(26)의 제3좌우폭 및 타이부(10)의 제1좌우폭보다 작은 제4좌우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삽입공(26)으로 삽입되는 타이부(10)가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타이부(10)의 타단을 상부로 일정 강도 이상으로 당길 때 기둥부(27)가 외측으로 벌어진 후,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부삽입공(26)의 제3좌우폭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삽입공(26)에 삽입되는 타이부(10)는 억지삽입되며, 타이부(10)의 상측면 내지 상측면 모서리가 상부삽입공(26)의 내부 측벽에 밀착된다.
상부스톱퍼(30)는, 상부삽입공(26)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고, 상측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부삽입공(26)에 삽입되는 타이부(10)의 돌출핀(11)에 걸리는 상부돌기(31)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핀(11)과 상부돌기(31)가 서로 결속되되, 타이부(10)가 헤드부(2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만 이동되고, 타측부에서 일측부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결속된다.
이러한 결속방식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타이부(10)는, 하부삽입공(22)에 삽입되어 결속되면 타이부(10)가 헤드부(20)의 타측부에서 일측부로 이동되지 않아 하부스톱퍼(23)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타이부(10)는, 상부삽입공(26)에 삽입되어 결속되면 타이부(10)가 헤드부(20)의 타측부에서 일측부로 이동되지 않아 상부스톱퍼(30)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타이부(10)는, 타단이 상부로 당겨지면 당겨지는 힘에 의해 기둥부(27)가 외측으로 벌어져 개구부(29)의 제4좌우폭이 커지게 된다. 이때, 제1좌우폭과 제4좌우폭이 대응되면 개구부(29)를 통과하여 상부스톱퍼(30)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타이부(10)로 선정리 또는 사물고정 등이 임시적으로 필요할 경우, 타이부(10)를 상부헤드부(20)에 결속시키고, 필요시에 해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속된 타이부(10)를 절단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선정리 또는 사물고정 등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키고자 할 경우, 타이부(10)를 하부헤드부(20)에 결속시킬 수 있다.
한편, 헤드부(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29)의 제4좌우폭은, 타이부(10)의 제1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되되 헤드부(20)의 일측에서 타측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타이부(10)의 양단이 걸리는 걸림턱(28)이 형성된다.
즉, 타이부(10)의 상측면은 걸림턱(28)의 하단에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개구부(29)의 양측면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이격폭이 커지게 빗면으로 형성되고, 헤드부(2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갈수록 빗면의 상하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29)의 제4좌우폭은, 헤드부(2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게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28)이 타이부(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은, 헤드부(20)의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약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둥부(27)는, 타이부(10)가 보조헤드부(25)에 결속된 후 타단이 상부로 당겨질 때, 헤드부(20)의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먼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타이부(10)는, 벌어지는 헤드부(20)의 타측부부터 개구부(29)를 통해 상부삽입공(26)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지게 된다.
즉, 타이부(10)는, 선 또는 사물을 감싸는 상태에서는 상부스톱퍼(30)와 결속되어 유지되고, 타단이 상부로 당겨지면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보조헤드부(25)는, 걸림턱(28)의 타측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이드부(32)가 형성된다.
즉, 타이부(10)는, 기둥부(27)의 타측부부터 개구부(29)를 통해 상부삽입공(26)으로부터 빠지되, 라운드로 형성된 가이드부(32)의 면에 가이드됨에 따라 걸림턱(28)의 타측 하단 모서리의 걸림없이 빠지게 된다.
이로써, 타이부(10)의 양단에 걸림턱(28)의 타측 하단 모서리에 의한 변형없이 유지되어 재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종래의 케이블타이와 같이, 걸림턱(28)의 타측 하단 모서리가 뾰족하게 형성되면, 타이부(10)를 해제할 때, 외력을 가함에 따라, 타이부(10)의 상측면이 걸림턱(28)의 타측 하단 모서리게 걸리게 되어 흠집이나 휘어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게다가 타이부(10)가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재사용시 변형이 발생된 부분이 상부삽입공(26)이나 하부삽입공(22)에 삽입될 때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의 재사용이 어려우며 더 불편함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타이부(10)를 해제시킬 때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걸림턱(28)의 타측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이드부(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타이부 11 : 돌출핀
20 : 헤드부 21 : 메인헤드부
22 : 하부삽입공 23 : 하부스톱퍼
24 : 하부돌기 25 : 보조헤드부
26 : 상부삽입공 27 : 기둥부
28 : 걸림턱 29 : 개구부
30 : 상부스톱퍼 31 : 상부돌기
32 : 가이드부

Claims (4)


  1. 일측면에 돌출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타이부;
    상기 타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양측면이 관통되게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된 메인헤드부와,
    상기 하부삽입공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고, 상측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하부삽입공에 삽입되는 타이부의 돌출핀에 걸리는 하부돌기가 형성된 하부스톱퍼와,
    상기 메인헤드부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타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상부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삽입공의 상부가 개구되어 상부에 개구부와 양측에 기둥부가 형성된 보조헤드부 및
    상기 상부삽입공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고, 상측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상부삽입공에 삽입되는 타이부의 돌출핀에 걸리는 상부돌기가 형성된 상부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부는, 상기 하부삽입공에 삽입되어 결속되면 하부스톱퍼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상부삽입공에 삽입되어 결속된 후, 타단이 상부로 당겨지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부스톱퍼로부터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측부에서 타측부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타이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서 타측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타이부의 양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이격폭이 커지게 빗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갈수록 빗면의 상하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타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력은,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약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는, 타이부가 보조헤드부에 결속된 후 타단이 상부로 당겨질 때,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먼저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타이부는, 벌어지는 헤드부의 타측부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부삽입공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헤드부는, 상기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부는, 상기 기둥부의 타측부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부삽입공으로부터 빠지되, 라운드로 형성된 가이드부의 면에 가이드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의 걸림없이 빠지게 됨으로써, 상기 타이부의 양단에 상기 걸림턱의 타측 하단 모서리에 의한 변형없이 유지되어 재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KR1020180173186A 2018-12-29 2018-12-29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KR10270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86A KR102703310B1 (ko) 2018-12-29 2018-12-29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86A KR102703310B1 (ko) 2018-12-29 2018-12-29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524A true KR20200082524A (ko) 2020-07-08
KR102703310B1 KR102703310B1 (ko) 2024-09-04

Family

ID=7160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186A KR102703310B1 (ko) 2018-12-29 2018-12-29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3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263B1 (ko) 2021-01-07 2021-04-07 백도 다목적용 케이블 타이
KR102506949B1 (ko) 2022-10-31 2023-03-08 한병옥 기능성이 향상된 케이블 타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328A (ko) 2002-07-10 2004-01-07 최원철 결착해지가 용이한 다용도 밴드.
KR200405955Y1 (ko) 2005-10-17 2006-01-11 강판규 결속용 케이블 타이
KR200416248Y1 (ko) 2006-02-09 2006-05-15 강판규 결속 및 해제가 용이한 케이블 타이
KR200420687Y1 (ko) 2006-04-13 2006-07-06 구자상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타이
KR101240825B1 (ko) * 2011-11-30 2013-03-11 김호식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KR20130051034A (ko) * 2011-11-09 2013-05-20 김경복 케이블 타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328A (ko) 2002-07-10 2004-01-07 최원철 결착해지가 용이한 다용도 밴드.
KR200405955Y1 (ko) 2005-10-17 2006-01-11 강판규 결속용 케이블 타이
KR200416248Y1 (ko) 2006-02-09 2006-05-15 강판규 결속 및 해제가 용이한 케이블 타이
KR200420687Y1 (ko) 2006-04-13 2006-07-06 구자상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타이
KR20130051034A (ko) * 2011-11-09 2013-05-20 김경복 케이블 타이
KR101240825B1 (ko) * 2011-11-30 2013-03-11 김호식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263B1 (ko) 2021-01-07 2021-04-07 백도 다목적용 케이블 타이
KR102506949B1 (ko) 2022-10-31 2023-03-08 한병옥 기능성이 향상된 케이블 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3310B1 (ko) 202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0447C (en) Tool accessory with a removable attachment portion
KR20200082524A (ko)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US20230134833A1 (en) Ligature attachment device
US10364076B2 (en) Cable tie
DE102014011341A1 (de) Bezugsstoffbefestigungsklemme
DE112009001765T5 (de) Befestigungselement
DE102006003587A1 (de) Schnur-Stopper
US20160108989A1 (en) Fastening device
AU2009310350B2 (en) Releasable product fastener for product packaging
CA2853206A1 (en) A tie for fixing an article to a surface
JP2011103714A (ja) バンドクリップ
JP7474781B2 (ja) 電源プラグ保持デバイス
JP6870854B2 (ja) 鳥害防止用索条の保持具
KR101240825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US20110061209A1 (en) Cable tie
JP2007082923A (ja) 毛抜き
KR200340052Y1 (ko) 결속 해제 가능한 케이블타이
KR20160113245A (ko) 통합형 클램프를 갖는 에지 보호 부싱
KR101402009B1 (ko) 지지끈 결속핀
KR20100010712U (ko) 박스
DE202014003417U1 (de) Binder
KR200481773Y1 (ko) 절개형 케이블 타이
KR101380279B1 (ko) 밴드 말단 고정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타이
US6349923B1 (en) Staple remover
CN210299786U (zh) 一种牢固的安全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