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341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341A
KR20200082341A KR1020180172838A KR20180172838A KR20200082341A KR 20200082341 A KR20200082341 A KR 20200082341A KR 1020180172838 A KR1020180172838 A KR 1020180172838A KR 20180172838 A KR20180172838 A KR 20180172838A KR 20200082341 A KR20200082341 A KR 20200082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module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유술
조남은
박봉균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341A/ko
Publication of KR2020008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대해 고정 배치된 제 1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되는 살균기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기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모듈과,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UV모듈을 제어하는 살균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 드럼 내로 투입되어 자외선을 발산하는 살균기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 젖은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세탁물을 탈수시기는 탈수기,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 내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 기능과 세탁 기능을 함께 갖춘 건조 겸용 세탁기 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KR2012-0031332(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는 도어의 내벽에 UV LED가 배치되어, 상기 UV LED로부터 조사된 광이 구비하여, 상기 UV LED로부터 조사된 광이 드럼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살균시키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상기 UV LED의 위치가 고정이기 때문에, 상기 드럼 내에서의 세탁물의 위치에 따라 살균 성능에 편차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벽이 거품이나 물때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살균 효과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후 통기를 위해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UV LED를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드럼 내에 상기 UV LED를 설치하는 경우 해결할 수 있을 것이나, 전원 공급선이나 제어선의 배선 관계로 상기 드럼 내에 UV LED를 설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드럼의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 내에서 이동하면서 세탁물에 고르게 자외선을 가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세탁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드럼 내에 세탁물이 방치된 경우에도 상기 세탁물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된 살균기를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대해 고정 배치된 제 1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된 살균기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기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UV모듈과,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UV모듈을 제어하는 살균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기는, 상기 외면이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과 접촉되며, 내측으로 상기 UV모듈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은 광촉매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내측면은 광촉매 코팅이 될 수 있다.
상기 살균기는, 상기 외면이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과 접촉되며, 내측으로 상기 UV모듈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광촉매와 함께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드럼 내에 세탁수가 담긴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상기 UV모듈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UV모듈이 작동되는 중에 상기 드럼을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고, 통세척 모드의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통세척 모드가 설정될 시,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상기 UV모듈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기 설정된 세탁 코스가 완료된 후,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UV모듈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UV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살균기는, 상기 UV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power suppl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구형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반구각(half spherical shell) 형태의 제 1 하우징부재와,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UV모듈,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반구각 형태의 제 2 하우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기는,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상기 제 2 하우징부재의 결합부 틈새를 밀봉하는 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첫째, 자외선을 발생하는 살균기가 드럼 내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된 세탁물이 고르게 살균될 수 있다.
둘째, 세탁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드럼 내에 세탁물이 방치된 경우에도 상기 세탁물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통기를 위해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도 살균기를 작동하여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된 살균기를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며, 특히,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살균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으로, 드럼 내에 살균기가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부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살균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살균기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 투입구는 케이싱의 전면에 형성되고, 드럼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전면이 개방된다. 상기 드럼은 그 중심이 수평한(또는, 수평에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나 수직보다는 수평에 가까운) 축(axis)에 정렬되어, 상기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 투입구는 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되고, 드럼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그 중심이 수직한(또는, 수직에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나 수평보다는 수직에 가까운) 축(axis)에 정렬되어, 상기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세탁기의 경우, 터브(또는, 저수조)내에 드럼이 배치되고, 특히, 프론트 로딩 타입의 세탁기는, 터브가 수평하게 배치되고, 하측에 구비된 댐퍼에 의해 지지된다.
탑 로딩 타입의 세탁기는, 터브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터브가 서스펜션에 의해 케이싱 내에 현가되어 있다.
한편, 건조기는 터브가 없이 드럼이 직접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 내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송풍기, 급기 덕트 등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를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트 로딩 타입의 세탁기를 예로 드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이고, 이하 설명하는 내용은 탈수기,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탑 로딩 타입의 세탁물 처리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으로, 드럼 내에 살균기가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부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살균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살균기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터브(3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은 수평한 베이스(15)와, 베이스(15)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고 대략 중앙에 투입구(12h)가 형성된 전면 패널(12)과, 전면 패널(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세탁기(1)의 제어를 위한 각종 버튼들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컨트롤 패널(14)과, 캐비닛(11)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탑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12)에는 투입구(12h)를 개폐하는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전면 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에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21)은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에 도어 글래스(22)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 글래스(22)는 사용자가 드럼(32)의 내측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지며, 드럼(32)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이다.
터브(31)는 세탁수를 담기 위한 것으로, 터브(31)는 전면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전면이 투입구(12h)와 연통된다. 터브(31)는 댐퍼(16)에 의해 완충, 지지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유발되는 터브(31)의 진동이 댐퍼(16)에 의해 감쇠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터브(31)를 케이싱(10) 내에 매다는 헹거(예를 들면, 스프링)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32)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상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C)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5도 이하)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1) 내의 물이 드럼(3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32)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32)의 내주면에는, 드럼(32) 회전시 포를 퍼 올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1)가 구비될 수 있다.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터브(3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를 단속하는 급수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또는 드럼(32) 내로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35)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5)에는 첨가제들이 그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미도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디스펜서(35)의 각 수용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각각의 급수공급관(34)을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33a,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31) 내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브(31)의 입구와 케이싱(10)의 투입구(12h)를 연통하는 관상의 개스킷(60)이 구비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에는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 노즐(42)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42)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33a)는, 직수 공급관(39)을 단속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35)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 밸로우즈(37)를 통해 터브(31)로 공급된다. 터브(31)에는 급수 밸로우즈(37)와 연결된 급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31)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 밸로우즈(17)가 상기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36)가 구비될 수 있다.
펌프(36)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관(19)으로 압송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순환관(18)으로 압송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펌프(36)에 의해 압송되어 순환관(18)을 따라 안내되는 물을 순환수라고 한다.
펌프(36)는 물을 압송하기 위한 임펠러(미도시)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펌프 하우징(미도시)과,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펌프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에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미도시)와, 임펠러에 의해 압송된 물을 배수관(19)으로 토출하는 배수 토출포트(미도시)와, 상기 임펠러에 의해 압송된 물을 순환관(18)으로 토출하는 순환수 토출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 모터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 토출포트를 통해 물이 토출되거나, 상기 순환수 토출포트를 통해 물이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펌프 하우징의 구조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9354호 등에 이미 공지된 것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순환관(18)의 입구는 상기 순환수 토출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출구는 후술하는 안내관(70)과 연결되어 있다. 개스킷(60)에는, 안내관(70)을 통해 공급된 물을 드럼(32) 내로 분사하는 순환노즐(7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을 순환관(18)으로 압송하는 순환 펌프와,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을 배수관(19)으로 압송하는 배수 펌프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메인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순환 펌프가 작동되거나 (예를 들어, 세탁 시), 상기 배수 펌프가 작동될(예를 들어, 배수 시)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급수밸브(33a), 구동부(38), 펌프(36)뿐만 아니라, 세탁기를 구성하는 각종 전장 부품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연산을 미리 확립된 순서에 의해 체계적으로 실행할 뿐만 아니라 각종 전장장치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장치를 1개의 작은 실리콘 칩에 집적시킨 대규모 집적회로(LSI: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산술논리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 제어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를 인출하여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어를 실행하며 실행 결과를 다시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자동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입출력 장치들과도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세탁기를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한 제어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메인 제어부(130)는 케이싱(10)에 대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케이싱(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컨트롤 패널(14)의 배면에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40)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메인 제어부(130)가 판독 가능한 형태로 코드화 되어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 운전 실행 프로그램, 급수 수위, 탈수 속도, 운전 시간 등의 각종 운전 설정들, 세탁물의 양 및/또는 부피 값이 정리된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모듈(120)은, 살균기(200)에 구비되는 제 2 무선통신모듈(220)과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모듈(120)은 케이싱(10)에 대해 고정배치된다. 제 1 무선통신모듈(120)은,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외측에 배치되며, 케이싱(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모듈(120)과 제 2 무선통신모듈(220)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무선통신기술(Wifi) 중, Wifi 다이렉트는 별도의 공유기 없이도 Wi-Fi로 기기들 간에 직접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블루투스 전송보다 전송거리가 넓고 속도도 더욱 빨라, 제 1 무선통신모듈(120)과 제 2 무선통신모듈(220) 간의 통신 방식으로 적합하다.
제 1 무선통신모듈(120)은 메인 제어부(130)가 실장된 PCB에 함께 실장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PCB와 별개로 구성되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선을 통해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무선통신모듈(120)은 케이싱(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케이싱(10)에 제공되는 연결단자(미도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드럼(32)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드럼(32)이 무선 통신을 방해하기 때문에, 제 1 무선통신모듈(120)은, 제 2 무선통신모듈(220)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드럼(32) 전면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이르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무선통신모듈(120)은, 도어(20)의 배면에 배치되되, 특히, 드럼(32) 전면의 개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32) 내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도어(20)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드럼(32) 전면의 개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거나, 도어(20)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가, 도어(2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과, 도어(20)의 후면 프레임을 구성하는 후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드럼(32) 내에 투입 가능한 살균기(200)를 포함한다. 살균기(200)는 UV모듈(210), 제 2 무선통신모듈(220), 살균기 제어부(230), 조작부(240), 전원 스위치(250) 및 전원(260)과, 이들 구성들을 수용하는 하우징(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무선통신모듈(220) 및 전원(260)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기(200)가 드럼(32)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32)이 회전하게 되면, 드럼(32)의 회전에 의해 살균기(200)가 이동하면서 자외선을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자외선이 드럼(32) 내 투입된 세탁물에 가해진다. (도 3 참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270)는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고, UV모듈(210), 제 2 무선통신모듈(220), 살균기 제어부(230) 및 전원(26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내에 수용된다. UV모듈(210), 제 2 무선통신모듈(220) 및 살균기 제어부(230)는 PCB(281)에 실장될 수 있다.
UV모듈(210)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UV LED(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기 제어부(230)는 살균기(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써, 제 2 무선통신모듈(220), UV모듈(210), 조작부(240), 전원 스위치(250) 및/또는 전원(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살균기 제어부(230)는, 메인 제어부(130)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살균기(200)의 각 구성들에 대한 제어는 살균기 제어부(23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하우징(270)의 외면은 광촉매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광(光)을 받으면 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써,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을 들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내산성, 내알카리성 등이 좋으며 인체에 무해하며, 각종 오염물질을 무해한 물질로 변화시켜주는 친환경적 소재이다. 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을 받으면 전자(electron)와 전공대(electron hole)가 형성되어 강한 산화력을 가진 하이드록시 라티칼과 슈퍼 옥사이드를 생성하며, 이들이 세균을 산화 분해시켜 살균한다.
하우징(270)은 UV모듈(210)로부터 방사된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271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촉매는 투명창(271b)에 코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하우징(270)이 전체적으로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광촉매가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에에 따라, 드럼(32)의 내측면도 광촉매 코팅이 될 수 있다.
다르게는, 하우징(270)은 광촉매와 함께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70)는 전제가 상기 광촉매와 수지의 사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창(271b)만 광촉매와 수지의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하우징(270)은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70)은, 각각이 반구각(half spherical shell)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하우징부재(271)와 제 2 하우징부재(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부재(271)와 제 2 하우징부재(272)는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며, 제 1 하우징부재(271)와 제 2 하우징부재(272)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 UV모듈(210), 제 2 무선통신모듈(220) 및 전원(260)이 수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부재(272)는, 반구각의 개방된 한쪽 면 둘레를 따라 링형의 결합 림(27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부재(271)는 반구각의 개방된 한쪽 면의 둘레를 따라 결합 림(272a)과 대응하는 결합 홈(271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림(272a)이 결합 홈(271a) 내로 삽입됨으로써, 제 1 하우징부재(271)와 제 2 하우징부재(272)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림(272a)의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 홈(271a)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부재(271) 또는 제 2 하우징부재(272)를 돌리는 동작을 통해, 제 1 하우징부재(271)와 제 2 하우징부재(272)의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서로간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살균기(200)는 제 1 하우징부재(271)와 제 2 하우징부재(272)의 결합부 틈새를 밀봉하는 실러(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러(290)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링형태로 이루어져 결합 림(272a)의 외주에 끼워질 수 있다.
전원(260)은 1회용 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하우징(270)에 고정 설치되거나,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일회용 건전지(또는, 1차 전지) 또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2차 전지의 경우, 상기 배터리는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하우징(270)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270)으로부터 분리된 후, 별도의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거나, 다른 배터리로 교체될 수 있다.
살균기(200)는 전원 스위치(250)를 더 포함할 있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250)를 조작함으로써, 전원(260)으로부터 살균기 제어부(230), 제 2 통신모듈(220) 및 UV모듈(21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살균기(200)는 조작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240)는 UV모듈(210)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로써, 사용자가 조작부(240)를 조작하여 UV모듈(210)가 온되거나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전원 스위치(25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UV모듈(210)도 온/오프 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전원 스위치(250)가 조작부(240)의 기능을 겸하는 바, 이 경우, 조작부(240)는 생략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드럼(32) 내에 세탁수가 담긴 상태에서 드럼(32)을 회전시키고, 드럼(32)이 회전되는 중에 제 1 무선통신모듈(120)로 UV모듈(210)을 동작시키는 신호(즉,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UV모듈(210)로부터 방사된 자외선에 의해 드럼(32) 내에 담긴 세탁수가 살균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130)는 UV모듈(210)이 작동되는 중에 드럼(32)을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드럼(32)의 교반 작용으로 세탁물에 묻은 오염이 제거되며, 드럼(32) 내로 세제가 투입된 경우, 상기 세제에 의해 세탁물의 오염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물과 세탁물의 살균도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세제에 광촉매가 함유된 경우, 상기 광촉매가 UV모듈(210)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케이싱(10)에는 통세척 모드의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41)를 통해 상기 통세척 모드가 설정되면, 메인 제어부(130)는 제 1 무선통신모듈(120)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UV모듈(210)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130)는 급수밸브(33a)를 개방시켜 드럼(32) 내로 세탁수 공급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통세척 알고리즘에 따라 드럼(32)이 회전되도록 구동부(38)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수의 수류 작용과 드럼(32)의 회전에 의해 드럼(32)의 세척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살균기(200)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살균도 함께 이루어진다.
한편, 메인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세탁 코스가 완료된 후, 제 1 무선통신모듈(120)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UV모듈(210)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상기 세탁 코스가 완료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도어(20)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UV모듈(210)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도어(20)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 코스가 완료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도어(20)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이 드럼(32) 내에 방치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방치된 세탁물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UV모듈(210)을 동작시키는 것이다.
제 2 무선통신모듈(220)은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제 2 무선통신모듈(220)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휴대, 이동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이다. UV모듈(210)을 동작시키는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 2 무선통신모듈(220)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드럼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세탁기를 예를 든 것이나, 본 발명은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측에 형성되고, 드럼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탑 로드(top load)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대해 고정 배치된 제 1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되는 살균기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기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모듈;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UV모듈을 제어하는 살균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는,
    상기 외면이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과 접촉되며, 내측으로 상기 UV모듈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은 광촉매 코팅이 된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측면은 광촉매 코팅이 된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는,
    상기 외면이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과 접촉되며, 내측으로 상기 UV모듈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광촉매와 함께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된 것인 세탁물 처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드럼 내에 세탁수가 담긴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상기 UV모듈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UV모듈이 작동되는 중에 상기 드럼을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고, 통세척 모드의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통세척 모드가 설정될 시,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상기 UV모듈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기 설정된 세탁 코스가 완료된 후, 상기 제 1 무선통신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UV모듈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UV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는,
    상기 UV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power supply)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구형인 세탁물 처리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반구각(half spherical shell) 형태의 제 1 하우징부재; 및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UV모듈, 상기 제 2 무선통신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반구각 형태의 제 2 하우징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는,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상기 제 2 하우징부재의 결합부 틈새를 밀봉하는 실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80172838A 2018-12-28 2018-12-28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082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38A KR20200082341A (ko) 2018-12-28 2018-12-28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38A KR20200082341A (ko) 2018-12-28 2018-12-28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341A true KR20200082341A (ko) 2020-07-08

Family

ID=7160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838A KR20200082341A (ko) 2018-12-28 2018-12-28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5530A (zh) * 2020-12-07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消毒装置和控制方法及具有其的洗衣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5530A (zh) * 2020-12-07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消毒装置和控制方法及具有其的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1039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N108203867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9238884B2 (en) Washing machine
TWI637091B (zh) 洗衣處理裝置
KR20180080013A (ko) 세탁 장치 및 세탁 장치의 제어방법
CN107106717B (zh) 雾发生器以及洗衣机
KR20160065594A (ko) 세탁기
KR1019390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08234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119958A (ko)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KR1019571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24485B1 (ko) Uv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CN108866915A (zh) 衣物处理装置
CN109154121A (zh) 洗衣机
CN210975228U (zh) 一种带有消毒杀菌功能的洗衣机
US20220259786A1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JP2016042878A (ja) 洗濯機
CN108368660A (zh) 洗衣干衣机
WO2018210140A1 (zh) 衣物处理装置
WO2024067554A1 (zh) 洗衣机
KR100338456B1 (ko) 세탁기및그제어방법
KR20210116010A (ko) 욕조 및 그 제어방법
TWI624575B (zh) 洗衣烘乾機
KR20200082342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