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958A -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958A
KR20190119958A KR1020180043559A KR20180043559A KR20190119958A KR 20190119958 A KR20190119958 A KR 20190119958A KR 1020180043559 A KR1020180043559 A KR 1020180043559A KR 20180043559 A KR20180043559 A KR 20180043559A KR 20190119958 A KR20190119958 A KR 20190119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bottle
washing water
wash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네트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네트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네트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4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9958A/ko
Publication of KR2019011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2Consumable products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detergent, rinsing aid or salt; Dispensing device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the type, e.g. detachable, or status of the device
    • A47L2401/026Nature or type of the consumable product, e.g. information on detergent, e.g. 3-in-1 tablets, rinsing aid or sal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던 젖병과 젖꼭지의 세척, 소독, 건조 및 보관 등을 통합 및 자동화해서, 보호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젖병을 세척하고 삶고 건조하고 소독하던 여러 과정을 한 번의 조작으로 일시에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보호자는 불필요한 시간소모와 육체적 피로를 줄일 수 있으므로 육아보육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수에 세제를 혼합해서 배출하는 레귤레이터(350)와, 레귤레이터(350)에 세제가 공급되도록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통(360)과, 레귤레이터(350)의 세척수 배출 라인을 개폐하는 노즐밸브(340, 340')와, 레귤레이터(350)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310, 320, 320')과, 젖병에 삽입된 노즐(310, 320, 320')을 상기 젖병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대(330)를 포함하는 세척부(300); 젖병 건조를 위해 발열하는 소독건조히터(400);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램프(600); 젖병 관리장치의 통풍을 위한 통풍팬(500);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00)에 입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00);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세척부(300), 소독건조히터(400), 살균램프(600), 통풍팬(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조작부(200)로 발신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OF ALL IN ONE TYPE}
본 발명은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 장치이다.
새롭게 개발된 젖병 관리장치는 그동안 보호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젖병을 관리하던(세척하고 삶아서 건조하던) 번거로움 과정을 한 번에 통합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가졌다. 이는 보호자의 육체적 피로와 시간을 줄여 줌으로서 육아 보육에 전념할 수 있는 효과를 줄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의 세척, 소독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세제를 이용하여 브러시로 내부를 세척하는 방법이다. 이는 브러시의 지속적인 사용과 브러시의 관리 미숙으로 브러시 자체에 세균이 증식 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의 지속적인 사용은 젖병과 젖꼭지에 스크레치를 일으켜 세균의 증식과 환경호르몬을 유발할 수 있다.
둘째는 자외선 소독기를 이용하는 소독방법이다. 자외선 소독기는 세균의 번식은 막아주지만 완벽하게 소독하지는 못한다는 한계성이 있다.
세 번째는 삶아주는 소독 방식이다. 삶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삶는 방식은 물의 온도 조절이 어렵다. 고온으로 인한 젖병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젖꼭지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뒤집는 과정에서 흡집이 생 길 수 있어며 이후 자연건조 과정에서 젖병 내에 세균에 감염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43446호(2005. 05. 11 공개)와,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120463호(2005. 12. 22 공개)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08352호(2006. 02. 02 공고)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물 세척 이외에는 소독, 건조, 보관 기능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서, 젖병 또는 젖꼭지에 대한 소독, 건조, 살균 및 보관은 기존의 수작업 방식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반복되는 수고로 인해서 보호자는 젖병 또는 젖꼭지 관리에 소홀히 할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소홀함은 곧 젖병과 젖꼭지의 오염을 일으켜서 아이에게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개시된 세척 방식은 젖병 내부를 세척할 때 세척수 분사가 일지점에서만 이루어지므로, 각 지점에 대한 깨끗한 세척을 보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보호자는 종래 젖병 관리장치로부터는 만족할만한 세척효과를 얻지 못하면서 고전적인 브러시 방식의 수작업 세척으로 회귀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43446호(2005. 05. 11 공개)
특허문서 2.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20463호(2005. 12. 22 공개)
특허문서 3,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08352호(2006. 02. 02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젖병과 젖꼭지에 대한 세척, 소독, 건조 및 보관을 따로 해야 했던 보호자의 번거로움과 불편을 해소하고, 젖병과 젖꼭지의 세척, 소독, 건조 및 보관이 All in One의 자동화를 통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서, 젖병과 젖꼭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통합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수에 세제를 혼합해서 배출하는 레귤레이터(350)와, 레귤레이터(350)의 세척수 배출 라인을 개폐하는 노즐밸브(340, 340')와, 상기 배출 라인을 따라 이송된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310, 320, 320')을 포함하는 세척부(300);
젖병의 소독과 건조를 위해 발열하는 소독건조히터(400);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램프(600);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00)에 입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00);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세척부(300), 소독건조히터(400), 살균램프(600), 통풍팬(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조작부(200)로 발신하는 제어부(100);
를 포함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젖병과 젖꼭지에 대한 세척, 소독, 건조 및 보관 등에 대한 모든 절차를 하나의 장치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세척, 소독, 건조 및 보관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젖병과 젖꼭지 관리에 불필요하게 소진되는 시간과 체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시에는 수작업으로 진행됐던 세척과정을 자동화하였다.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서 세제와 함께 80도의 온수를 사용하며, 승강대를 이용한 노즐 상하 이동 분사, 타임 분할 노즐 분사 방식의 고압세척과 세제혼합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항상 깨끗한 세제로 반복 세척이 가능하다.
소독시에는 삶는 스팀효과와 200도까지 온도를 발열하는 소독 건조히터(400)를 통해서 살균등을 수행하므로, 일반 세균은 물론 살모넬라균 등을 효과적으로 박멸한다. 이는 끊는 물을 이용한 살균과정에서 젖병을 뒤집어야 했던 번거로움과 위험성을 해소하며, 뒤집는 과정에서 집게에 의한 스크래치 등으로 일어날 수 있는 환경 호르몬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건조, 보관시에는 자외선 살균을 통해서 세균의 감염 등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 소독, 건조, 보관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자동화기능과 더불어 일부 선택된 모드만을 수행하는 기능이 포함되어서, 수작업으로 세척한 젖병을 소독, 건조와 보관만 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또한, 세척, 소독, 건조, 보관 등이 타이머 방식으로 일괄제어되므로, 필요한 시점에 맞춰 젖병과 젖꼭지를 계획적으로 지정된 시간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더불어서, 아이에게 항상 깨끗한 젖병을 사용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와 하우징의 일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세척부에 구성된 노즐 구간을 분리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노즐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소독건조히터와 통풍팬과 살균램프의 배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에 구성된 히트탱크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탱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에 구성된 레귤레이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정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측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는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세척, 소독, 건조 및 보관을 한 번의 조작으로 일괄 수행하거나 선택적으로 수행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이용을 사용자가 손쉽게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젖병 관리장치는 구성 파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사용자가 젖병 관리장치 이용을 위해서 조작하고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제어부(100)와 통신하는 조작부(200)와, 젖병(B1)과 젖꼭지(B2)를 세척하는 세척부(300)와, 세척이 완료된 젖병(B1)과 젖꼭지(B2)를 소독,건조하는 소독건조히터(400)와, 젖병(B1)과 젖꼭지(B2)의 건조를 위해 실내 습기를 낮추는 통풍팬(500)과, 젖병(B1)과 젖꼭지(B2)의 보관 시 2차 살균 및 군침투를 막아주기 위한 살균램프(600)와,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700)와, 세척용 급수를 가열하는 히트탱크(800)와, 제어부(100)와 조작부(200)와 세척부(300)와 소독건조히터(400)와 통풍팬(500)과 살균램프(600)와 급수펌프(700)와 히트탱크(800)를 수용하는 함체(9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조작부(2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해서 해당하는 구성으로 제어신호를 발신하고, 젖병 관리장치의 자세 또는 내부 온도 센스, 히트탱크(800) 내의 센스, 세제통(360) 내의 센스 등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제어신호롤 발신해서 해당하는 구성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구성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일반적인 CPU로서, 제어부(100)를 이루는 전자회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작부(200)는 젖병 관리장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가 젖병 관리장치의 동작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젖병 관리장치의 동작 상태 등을 체크한 제어부(100)의 출력신호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해서, 사용자가 젖병 관리장치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는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세척, 소독, 살균 및 보관 등을 모두 수행해서, 보호자가 별도의 수고없이 젖병 관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젖병 관리장치는 제어부(100)와 조작부(200)와 세척부(300)와 소독건조히터(400)와 통풍팬(500)과 살균램프(600)와 급수펌프(700)와 히트탱크(800)를 일체로 수용해 보호하면서 젖병(B1)과 젖꼭지(B2)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함체(900)를 포함한다.
함체(900)는 상기 구성들을 수용하는 하우징(910)과, 하우징(910)을 개폐하는 도어(92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도어(920)를 개폐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를 꺼내거나 삽입할 수 있고, 관리 중에 젖병(B1)과 젖꼭지(B2)가 외부와는 차단되도록 실내를 밀폐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910)은 젖병(B1)과 젖꼭지(B2) 세척용 물인 세척수를 수용하는 히트탱크(800)와, 젖병 세척용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통(360)을 노출시켜서 세척수 충전과 세제 충전을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게 하고, 히트탱크(800) 또한 별도로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히트탱크(800)와 세제통(360)을 개폐하기 위한 탱크뚜껑(801)과 통뚜껑(361)을 하우징(910) 외면에 노출되도록 배치했다.
결국, 사용자는 도어(920)를 열어서 젖병(B1)과 젖꼭지(B2)를 하우징(910) 내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다시 도어(920)를 닫고 조작부를 제어해서 젖병 관리장치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세척수 유입량과 세척용 세제량을 표시하여 부족시에 알람 및 음성으로 확인해서 제때 충전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조작부(200)를 도어(920) 전면에 배치해서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출력 내용을 손쉽게 확인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했으나, 이외에도 조작부(200)를 하우징(910)에 배치하거나 도어(920)와 하우징(910)에 각각 분리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탱크뚜껑(801)을 개폐해서 세척수를 히트탱크(800)에 직접 충진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히트탱크(800)와 직접 연결된 별도의 급수라인을 통해서 사용자의 재충진 없이도 젖병 관리장치에 지속적인 세척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200)는 전원버튼인 'POWER'와, 시작버튼인 'Start'와, 버튼 선택을 위한 회전식 볼륨스위치와, 상기 볼륨스위치가 가리키는 지점을 선택하는 선택버튼인 'Push Mode'가 상기 볼륨스위치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볼륨스위치는 세척 대상 젖병(B1)의 개수를 가리키고, 사용자는 선택버튼을 눌러서 그 개수를 선택하며, 이후에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척 이외에 소독, 보관 등의 기능을 선택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볼륨스위치를 돌려서 세척하고자 하는 젖병(B1)의 개수에 우선 맞추고, 상기 볼륨스위치 중앙에 위치한 선택버튼을 누른다.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선택버튼을 누르면 해당하는 지점의 표시등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시작버튼을 누르면 젖병 관리장치는 동작을 시작한다. 참고로,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00)로 발신하고,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 예의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높이기 위한 디자인과 조작 수단 및 동작 프로세스가 적용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00)의 출력신호를 수신해서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출력하도록 된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와 하우징의 일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세척부에 구성된 노즐 구간을 분리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노즐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도 1과 더불어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300)는 젖병(B1)의 내부 세척을 위해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1노즐(310)과, 젖꼭지(B2)의 내부 세척을 위해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2노즐(320)과, 젖병(B1)과 젖꽂지(B2)의 외부 세척을 위해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3노즐(320')과, 제1노즐(310)을 지지하며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대(330)와, 제1,2노즐(310, 320)로의 세척수 공급을 제어하는 내부노즐밸브(340)와, 제3노즐(320')로의 세척수 공급을 제어하는 외부노즐밸브(340')와, 세척수에 대한 세제 첨가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350)와, 세제를 보관하며 레귤레이터(350)로 세제를 이송시키는 세제통(360)을 포함한다.
제1노즐(310)과 제2노즐(320) 및 제3노즐(320')은 배수라인이 구성된 배수대(940)에 상방을 향해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세척 대상인 젖병(B1)과 젖꼭지(B2)를 배수대(940)에 안착하면 제1,2,3노즐(310, 320, 32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가 젖병(B1)과 젖꼭지(B2)로 분사되어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제1,2,3노즐(310, 320, 320')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는 배수대(940)의 배수라인을 통해서 외부로 배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노즐(310)은 젖병(B1) 내부 세척용이고, 제2노즐(320)은 젖꼭지(B1) 내부 세척용이며, 제3노즐(320')은 젖병(B1)과 젖꼭지(B2) 외부 세척용이므로, 제3노즐(320')을 제1,2노즐(310, 320) 사이에 배치해서 제3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젖병(B1)과 젖꼭지(B2)를 한번에 세척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제1,2,3노즐(310, 320, 320')의 배치위치는 본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배수대(940)는 함체(900)의 뼈대를 이루는 기본프레임(930)에 보강되어서, 사용자가 도어(920)를 열면 젖병(B1)과 젖꼭지(B2) 배치가 손쉬운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세척수는 제1,2,3노즐(310, 320, 320')로부터 고출력으로 분사되므로, 외부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910)은 배수대(940)를 덮는 루프(911)가 구성된다.
승강대(330)는 젖병(B1) 세척 전용 제1노즐(31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서 승강대(330)는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331)와, 리프트(33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332)과, 리프트(331)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333)와, 승강모터(333)의 회전운동을 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334)와, 제1노즐(310)을 고정하는 노즐홀더(335)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노즐(310)은 젖병(B1) 내부 세척용으로서, 상대적으로 깊이가 깊은 젖병(B1)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해서는 제1노즐(310)이 젖병(B1) 깊숙이 이동해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승강대(330)는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노즐(310)을 이동시켜서 젖병(B1) 내부에서 세척수가 골고루 분사되도록 해야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승강모터(333)가 회전하면, 승강모터(333)의 회전력은 크랭크(334)를 통해서 리프트(331)에 전달되고, 리프트(331)는 가이드라인(332)의 안내를 받아서 크랭크(334)의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물론 리프트(331)에 고정된 노즐홀더(335) 역시 상하로 이동하고, 노즐홀더(335)에 고정된 제1노즐(310)은 노즐홀더(335)의 이동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노즐홀더(335)는 제1노즐(310) 고정과 더불어서 세척수의 배관으로 활용되어서, 입구가 좁은 젖병(B1)에서도 걸림없이 제1노즐(310)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외에도 노즐홀더(335)는 자체 회전력을 갖추고서 젖병(B1)을 수평회전시킬 수도 있고, 자체 떨림력을 갖추고서 젖병(B1)이 떨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제3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젖병(B1) 전체에 걸쳐 효율적으로 세척수와 접할 수 있고, 젖병(B1)의 외부 전체는 최소 개수의 제3노즐(320')로도 효과적인 세척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대(330)가 제1노즐(310)만을 상하 이동하도록 했으나, 이외에도 제3노즐(320')을 상하 이동시켜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외면 세척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리프트(331)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이 크랭크(334)에 의해 발생함을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승강모터(333)가 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리프트(331)에는 상기 스크류에 대응하는 너트홈을 형성시켜서, 승강모터(333)의 회전방향에 따라 리프트(331)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내부노즐밸브(340)는 젖병(B1)과 젖꼭지(B2)의 내부 세척용 제1,2노즐(310, 320)을 개폐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젖병 관리장치는 한번에 세척할 수 있는 젖병(B1)의 개수를 3개로 했는데, 사용자는 3개 미만의 젖병(B1)만을 세척할 수 있고, 조작부(200)의 제어를 통해서 세척 대상 젖병(B1)의 개수가 제어부(100)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노즐밸브(340)는 제1,2노즐(310, 320)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배치된다. 제어부(100)는 설정된 젖병(B1)의 개수를 확인하고 그 개수만큼의 제1,2노즐(310, 320)로부터만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내부노즐밸브(340)를 제어한다.
외부노즐밸브(340')는 젖병(B1)과 젖꼭지(B2)의 외부 세척용 제3노즐(320')을 개폐한다. 제3노즐(320')은 젖병(B1)의 세척 개수에 상관없이 젖병(B1) 외부를 전체적으로 세척하기 위함이므로, 제3노즐(320')별로 개폐 제어를 하는 것이 큰 의미는 없으나, 내부노즐밸브(340)와 동일하게 제3노즐(32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권리의 명확화를 위해서 제1,2,3노즐(310, 320, 320')로의 라인 개폐를 각각 수행하는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는 '노즐밸브'로 통합하고, 제1,2,3노즐(310, 320, 320')은 '노즐'로 통합해 청구한다.
여기서,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는 레귤레이터(350)의 출구(351b)를 개폐해서, 제1,2,3노즐(310, 320, 320')로의 세척수 배출을 제어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 급수펌프(700)는 12V, 4.5A, 7Kg 압력으로 분당 5L 물을 출사한다. 레귤레이터(350)는 급수펌프(700)의 고압으로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출구(351b)를 통해 배출되며, 각 출구(351b)는 내부노줄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결국,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면서 출구(351b)의 닫힘/부분열림/열림 등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서 제1,2,3노즐(310, 320, 320')을 통한 세척수 배출을 제어한다.
출구(351b)는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의 동시 동작에 의해 함께 개폐되어서, 제1,2,3노즐(310, 320, 320') 모두를 통한 세척수 배출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타임분할식 고압분사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타임분할식 고압분사는 제1,2,3노즐(310, 320, 320')을 통한 세척수 배출이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7kg 압력을 갖는 급수펌프(700)에 의해서 레귤레이터(350)를 통해 제1,2,3노즐(310, 320, 320')로 세척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7kg의 압력은 분산되어서 세척을 위한 수압이 부족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의 개폐 동작에 시간차를 두어서, 제1,2,3노즐(310, 320, 320')을 통한 세척수 배출이 7kg 수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결국, 제1,2,3노즐(310, 320, 32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는 젖병 등의 세척력을 높인다.
레귤레이터(350)는 히트탱크(800)로부터 급수된 세척수와 세제의 혼합 여부를 제어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적절한 세척이 진행되도록 한다. 젖병(B1)과 젖꼭지(B2) 세척을 위해서는 초기에 온수로 젖병(B1)과 젖꼭지(B2)를 담그고, 다음으로 세제를 풀어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표면을 세척하면, 다음으로 다시 온수로 젖병(B1)과 젖꼭지(B2)의 표면에 묻은 세제와 이물질 등을 헹궈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특정 단계에서는 세제와 혼합된 세척수가 공급되어야 하고, 다른 특정 단계에서는 세제가 혼합되지 않은 세척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레귤레이터(3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세척수와 세제 간의 혼합 여부를 제어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레귤레이터(350)의 전술한 기능과, 내부노즐밸브(340) 및 외부노즐밸브(340')의 개폐기능을 활용해서 세척 모드는 일회성 세척이 아닌 반복 세척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구동 설명은 레귤레이터(350)의 동작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세제통(360)은 일정량의 세제를 보관하면서 레귤레이터(350)에 세제를 공급한다. 세제통(3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 충진이 용이하도록 통뚜껑(361)을 함체(900)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한다. 참고로, 세제통(360)은 세제유량센서(미도시함)를 갖추고서, 세제통(360)에 보관된 세제가 일정량 이하로 확인되면 해당 신호를 제어부(100)로 발신하고, 제어부(100)를 조작부(200)를 통해 알람을 출력시켜서 사용자가 세제를 충진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세제유량센서는 세제통(360)에 보관된 세제의 양을 4단계(상, 중, 하, 부족)로 감지해서, 각 단계별로 감지신호를 발신하고, 제어부(100)는 상기 세제유량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한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조작부(200)의 메뉴설정에서 세제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1회 세제 투입 후에도 세제세척 불림 배수 후, 다시 세제세척이 반복 가능하며, 세제통 용량을 0.5L 잡으면 40회 이상 세척이 가능하고, 하루 2번 세척과 세척시 2번 반복으로 잡으면 한번 세제투입으로 10일 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소독건조히터와 통풍팬과 살균램프의 배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소독건조히터(400)는 배수대(940)에 안착된 하나 이상의 젖병(B1)과 젖꼭지(B2)에 열을 가해서 헹굼이 끝난 젖병(B1)과 젖꼭지(B2)에 열을 가해 소독한다. 소독건조히터(40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세척 및 소독 후에도 동작하며, 루프(911) 등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서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소독건조히터(400)는 스팀식으로 삶는 소독효과를 내며, 이때 최대 200℃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내 환기 이전의 동작으로 스팀효과를 일으킬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소독 효과를 극대화한다.
한편, 소독건조히터(400)는 세척이 종료한 후 스팀식 삶는 방식의 소독을 위해 동작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히트탱크(800)는 80℃로 세척수를 가열하고, 급수펌프(700)는 12V, 4.5A, 7kg의 압력으로 분당 5L의 배출속도로 세척수를 출사한다. 계속해서, 레귤레이터(350)는 급수펌프(700)를 통해서 세척수를 공급받고,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개폐 정도(전체열기, 부분열기, 닫기)를 조정하면서 레귤레이터(350)로부터 이송되는 세척수의 제1,2,3노즐(310, 320, 320')별 배출을 조정한다. 아울러, 소독건조히터(400)는 200℃까지 발열한다.
젖병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면 소독 모드로 전환되며, 전술한 구성들의 동작과 더불어 젖병이 위치한 내부온도는 소독건조히터(400)의 동작에 의해 급속히 상승하고, 7kg의 압력을 갖는 급수펌프(700)가 동작하면서 80℃의 세척수는 노즐을 통해 배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노즐은 젖병 외부 세척용 제3노즐(320')로서, 외부노즐밸브(340')만 개폐돼 동작하면서 고온의 세척수를 배출시킨다. 더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00)가 외부노즐밸브(340')의 개폐를 100ms 단위로 반복해서, 80℃ 고온의 세척수가 제3노즐(320')을 통해 분무기 방식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렇게 분사되는 고온의 세척수는 실내를 가열하는 소독건조히터(400)에 의해서 스팀 상태로 변화하고, 결국 젖병의 주변환경은 스팀 방식의 삶는 환경에 의해 살균과 소독 기능을 발휘한다.
참고로, 스팀환경은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세척 후 살균 및 소독을 위해 조성될 수도 있으나, 보관 모드 중에도 사용자의 조작 또는 타이머 등으로 인해 일정 주기로 조성되어서 젖병 등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풍팬(500)은 젖병 관리장치의 실내외 환기를 강제로 일으켜서, 온수를 이용한 세척 중에 높아진 실내 습도를 낮추고, 젖병(B1)과 젖꼭지(B2)의 건조가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루프(911)는 실내외 통기를 위한 공기흡입구(912)와 공기배출구(913)를 갖출 수 있고, 강제 환기를 위해서 공기배출구(913)에는 통풍팬(500)이 보강된다.
통풍팬(500)은 필터(511)가 내설된 팬덕트(510)를 포함해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젖병 관리장치의 실내 이물질이 무단으로 외부 유출됨을 방지한다. 더불어 본 실시 예의 팬덕트(510)는 절곡된 통기라인을 갖도록 해서, 통기 과정에서 필터(511)에 의한 효과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살균램프(600)는 일반적인 자외선 램프가 적용될 수 있고,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일정 단계에서 동작을 개시한다. 살균램프(600)는 젖병(B1)과 젖꼭지(B2)를 단순히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세척과는 별도로 동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세척이 불필요한 미사용한 젖병(B1)과 젖꼭지(B2)를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급수펌프(700)는 히트탱크(800)에 저수된 세척수를 고압으로 배출시켜서, 제1,2,3노즐(310, 320')을 통한 세척수 분사가 고출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급수펌프(700)는 내부노즐밸브(340) 및 외부노즐밸브(340')의 동작과 더불어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내부노즐밸브(340) 및 외부노즐밸브(340')가 열리면 급수펌프(700)의 동작에 의해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이송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에 구성된 히트탱크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탱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탱크(800)는 세척수를 보관하면서 가열하는 저수통(810)과, 저수통(810)에 저수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발열기(820)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부족한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저수통(810)을 개폐하는 급수밸브(830)와, 저수통(810)에 저수된 세척수의 양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저수통(810)은 내부 보온을 위해서 둘레가 보온처리된 통으로서, 공지공용의 보온구조를 이룰 수 있다.
발열기(8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저수통(810)에 저수된 세척수를 가열한다. 이를 위해서 발열기(820)는 저수통(810)의 세척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를 포함한다. 발열기(820)는 일반적인 전열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급수밸브(830)는 저수통(810)에 저수된 세척수가 상기 수량감지센서에 의해서 일정량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개구되고, 수도관 등과 연결된 급수라인을 통해서 저수통(810)에 세척수가 충진된다. 물론 저수통(810)에 저수된 세척수가 상기 수량감지센서에 의해서 일정량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급수밸브(83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폐구되고, 저수통(810)에 대한 급수는 정지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구성을 참고해서, 젖병 관리장치의 동작을 순차 설명한다.
히트탱크(800)에서 80℃로 가열된 온수인 세척수를 급수펌프(700)의 펌핑을 통해 제1,2,3노즐(310, 320, 320')로 이송한다. 세제를 이용한 세척이 요구될 경우, 레귤레이터(3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세척수에 세제를 혼합한다.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세척수(세제 혼합) 세척이 종료하면, 세척수가 배수대940)의 배수라인을 통해 모두 배수될 때까지 대기한다.
세제를 이용한 세척이 종료하면 80℃의 세척수로 헹굼 과정을 진행하고 일정 시간을 대기한다. 이후, 다시 온수를 분사해서 살균을 진행하고,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310, 320, 320')을 통해 80도 이상의 물을 미세한 시간 분할로 분사하여 스팀식으로 삶는 소독효과를 낸다. 이때 200℃까지 설정 가능한 소독건조히터(400)가 작동되며 일정 시간 동안 진행한다.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 및 소독이 종료하면, 통풍팬(500)은 젖병 관리장치의 실내외 환기를 강제로 일으켜서, 온수를 이용한 세척 중에 높아진 실내 습도를 낮추고 소독 건조히터(400)도 작동하여 건조기능을 가속시킨다.
젖병(B1)과 젖꼭지(B2)의 건조가 종료하면 살균램프(600)를 이용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를 장시간 보관한다.
이상 설명한 개략적인 과정을 참고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볼륨스위치를 돌려서 세척할 젖병(B1)의 수량을 맞추고 선택버튼을 눌러서 1차 선택한다. 이 과정에서 조작부(200)는 적색등을 점등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볼륨스위치를 돌려서 세척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버튼을 누른다. 이 과정에서 조작부(200)는 청색등을 점등한다.
세척 조건 등이 모두 설정되면 사용자는 시작버튼을 눌러서 젖병(B1) 등에 대한 세척을 시작한다. 이때, 조작부(200)는 세척 관련 등을 점등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세척모드 이외에 소독모드와 보관모드 등을 순서에 상관없이 선택할 수 있고, 모드 설정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00)는 해당하는 모드와 관련한 구성만을 동작 제어한다. 또한, 세척,소독모드에 의한 세척 과정이 수행 중인 경우에는 도어(920)는 개폐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잠금된다. 물론, 세척,소독 과정 중에 사용자가 부주의로 도어(920) 열기를 시도하면, 제어부(100)는 조작부(200)를 통해서 경고음 또는 음성멘트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서는 세척,소독 과정 중에 도어(920)가 오동작으로 열리거나 사용자의 강제 열기로 열릴 경우, 제어부(100)는 젖병 관리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도어(920)가 닫힌 후 동작을 속행하면 이후 동작을 진행한다.
세척 과정이 시작하면, 급수펌프(700)는 히트탱크(800)의 세척수를 제1,2,3노즐(310, 320, 320')로 강제 이송하고, 제1,2,3노즐(310, 320, 320')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히트탱크(800)는 2L의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고 저수통(810)의 둘레는 보온을 위해서 진공으로 된 2중 구조를 이룬다. 발열기(820)는 220V의 1.5kW 용량을 갖추고서, 저수통(810)에 저수된 세척수를 80℃로 가열시킨다.
소독건조히터(400)는 200℃까지 발열이 가능하며 스팀방식으로 제어부에 설정된 온도만큼 발열한다. 계속해서, 소독건조히터(400)는 젖병 관리장치 내부의 습기 제거와 건조환경 조성을 위해 동작하며, 환기를 위해서 통풍팬(500)을 동작시킨다. 통풍팬(500)의 동작 이전에 내부의 유해 먼지 유입 등을 막기 위해서 필터(511)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습기 및 젖병 건조가 종료하면, 살균램프(600)를 동작시켜서 80℃ 이상의 삶는 소독과 2차 자외선 소독으로 청결한 젖병을 유지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관리장치에 구성된 레귤레이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정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측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350)는 히트탱크(800)로부터 이송된 세척수와 세제통(360)으로부터 이송된 세제를 혼합하는 혼합조(351)와, 혼합조(351)에 대한 세제 공급을 제어하는 세제밸브(352)를 포함한다.
혼합조(351)는 중공을 갖는 통 형상을 이루고, 세척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세척수 입구(351a)와, 세척수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세척수 출구(351b)와, 세제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세제 입구(351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혼합조(351)에 1개의 세척수 입구(351a)와 4개의 세척수 출구(351b)와 1개의 세제 입구(351c)가 구성되어서, 세척수 입구(351a)로 유입된 세척수가 혼합조(351)의 중공을 경유해서 4개의 세척수 출구(351b)로 배수된다.
계속해서, 세제 입구(351c)에는 이동관(352b)이 이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된다. 이동관(352b)의 상기 중공 쪽 일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H)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세제통(360)과의 연통을 매개하는 세제이송관(CP)과 연결된다. 결국, 세제통(360)으로부터 공급된 세제는 세제이송관(CP)을 통해 이동관(352b)으로 전달되고, 이동관(352b)의 일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멍(H)을 통해서 혼합조(351)의 중공으로 유입된다.
한편, 세제벨브(352)는 이동관(352b)을 이동시켜서 이동관(352b)의 일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멍(H)을 혼합조(351)의 중공에 노출시키거나 노출을 제한시킨다. 즉, 이동관(352b)이 도 13의 (a)도면과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세제밸브(35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배출구멍(H)의 노출이 제어되는 것이다. 결국, 배출구멍(H)의 노출이 제한되도록 이동관(352b)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혼합조(351)로의 세제 유입이 제한되고, 배출구멍(H)이 노출되도록 이동관(352b)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혼합조(351)로의 세제 유입이 허용된다.
이러한 동작 원리가 적용된 레귤레이터(3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세제를 이용한 세척시에는 도 13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동관(352b)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젖병(B1)과 젖꼭지(B2)를 세척 초기에 단순히 담그거나 세제 적용 후 헹굼 또는 살균시에는 도 13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동관(352b)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세제밸브(352)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어서, 이동관(352b)과 고정된 플런저(352a)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이동관(352b)에 의한 세제 유입을 제어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이동관(352b)과 연통하는 세제이송관(CP)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서, 이동관(352b)의 상하 이동이 간섭없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이동관(352b)의 상하 이동에도 세제의 막힘이 최소화되게 한다.
한편, 레귤레이터(350)와 내부노즐밸브(340) 및 외부노즐밸브(340')는 세척 모드에서 반복 세척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반복 세척은 세척 중에 세척수를 1회만 분사하는 방식이 아니고, 불림과 세척 단계를 반복해서 세척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레귤레이터(350)의 이동관(352b)은 세척 모드에서 일정 횟수로 승,하강하고, 이를 통해서 혼합조(351)로의 세제 유입을 조정한다. 이렇게 조정되어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혼합되지 않은 세척수가 레귤레이터(350)로부터 이송되면,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도 이에 맞춰 해당하는 노즐로의 분사를 조정해서 불림과 세척 순서의 해당 젖병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결국, 세척 대상 젖병은 일정 주기로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미혼합된 세척수를 받아서, 찌든 떼들의 불림과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을 반복하고, 이를 통해서 젖병 세척 효율을 혁신적으로 높인다.
이외에도 본 실시 예에서 세척수 입구(351a)는 혼합조(351)의 중심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세척수 출구(351b)는 세척수 입구(351a)와 수직하게 배치되며, 세제입구(351c) 또한 세척수 입구(351a)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결국, 고압으로 혼합조(351)에 유입된 세척수는 혼합조(351)의 중공에서 와류를 일으키고, 세제입구(351c)를 통해 유입된 세제는 와류하는 세척수에 효과적으로 혼합되며, 이렇게 혼합된 세척수는 혼합조(351) 내 수압으로 세척수 출구(351b)를 통해 유출되므로, 세척수와 세제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어부 200; 조작부 300; 세척부
310; 제1노즐 320; 제2노즐 320'; 제3노즐
330; 승강대 331; 리프트 332; 가이드라인
333; 승강모터 334; 크랭크 335; 노즐홀더
340; 내부노즐밸브 340'; 외부노즐밸브 350; 레귤레이터
351; 혼합조 352; 세제밸브 360; 세제통
400; 소독건조히터 500; 통풍팬 510; 팬덕트
511; 필터 600; 살균램프 700; 급수펌프
800; 히트탱크 810; 저수통 820; 발열기

Claims (13)

  1. 세척수에 세제를 혼합해서 배출하는 레귤레이터(350)와, 레귤레이터(350)의 세척수 배출 라인을 개폐하는 노즐밸브(340, 340')와, 상기 배출 라인을 따라 이송된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310, 320, 320')을 포함하는 세척부(300);
    젖병의 소독과 건조를 위해 발열하는 소독건조히터(400);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램프(600);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00)에 입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00);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세척부(300), 소독건조히터(400), 살균램프(6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조작부(200)로 발신하는 제어부(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젖병에 삽입된 노즐(310, 320, 320')을 상기 젖병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330)는
    리프트(331)와, 리프트(3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332)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333)와,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일단이 승강모터(333)에 연결되고 타단이 리프트(331)에 연결되는 크랭크(334)와, 노즐(310, 320, 320')을 수용하며 리프트(331)에 고정되는 노즐홀더(3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310, 320, 320')은 젖병의 내부 세척을 위해서 노즐홀더(335)에 수용되는 제1노즐(310)과, 젖꼭지의 내부 세척을 위한 제2노즐(320)과, 상기 젖병과 젖꼭지의 외부 세척을 위한 제3노즐(320')로 구성되고;
    상기 레귤레이터(350)는 제1,2,3노즐(310, 320, 320')에 각각 연통하는 3개 이상의 세척수 출구(351b)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밸브(340, 340')는 다수의 제1,2,3노즐(310, 320, 320')이 독립하여 개폐되도록, 다수 개가 제1,2,3노즐(310, 320, 32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노즐밸브(340, 340')의 개폐가 다른 시점에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도록 노즐밸브(340, 340')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척수를 저수하며 가열하는 히트탱크(800); 및
    히트탱크(8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레귤레이터(350)로 펌핑하는 급수펌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탱크(800)는 세척수를 저수하며 보온하는 저수통(810)과, 저수통(810)에 저수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발열기(820)와, 저수통(810)에 저수된 세척수의 양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와, 외부로부터의 세척수 유입 라인을 개폐하는 급수밸브(830)를 포함하고;
    제어부(100)는 상기 수량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급수밸브(83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 관리장치의 실내외 통풍을 위한 통풍팬(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팬(500)은 절곡된 통기라인을 형성하고 필터(511)를 내장한 팬덕트(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350)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입구(351a)와, 노즐밸브(340, 340')의 개폐에 따라 세척수가 유출되는 세척수 출구(351b)와, 세제가 유입되는 세제입구(351c)를 구비한 혼합조(351); 및
    세제입구(351c)로의 세제 유입을 제어하는 세제밸브(352);를 포함하고,
    제어부(100)는 세척시마다 설정된 양의 세제가 레귤레이터(350)에 공급되도록 해서 반복세척이 가능하도록, 세제밸브(352)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밸브(352)는
    세제통(360)으로부터 세제를 이송하는 세제이송관(CP)과 연결되어서 세제입구(351c)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단부가 혼합조(351)의 중공에 노출되며, 상기 단부에는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멍(H)이 형성된 이동관(352b); 및
    솔레노이드 방식의 세제밸브(352)에 의해 직선이동하면서 이동관(352b)을 이동시키는 플런저(352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360)에 보관된 세제량을 감지하는 세제유량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유량센서는 감지한 세제량을 제어부(100)로 발신하며,
    제어부(100)는 조작부(200)를 제어해서 세제량에 대응하는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내부온도가 상온일때는 도어(920) 열림이 확인되면 조작부(200)를 통해 알람하도록 발생하고 통풍팬을 통해 적정한 온도가 되면 도어 오픈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KR1020180043559A 2018-04-13 2018-04-13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KR20190119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559A KR20190119958A (ko) 2018-04-13 2018-04-13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559A KR20190119958A (ko) 2018-04-13 2018-04-13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958A true KR20190119958A (ko) 2019-10-23

Family

ID=6846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559A KR20190119958A (ko) 2018-04-13 2018-04-13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99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5498A (zh) * 2020-03-10 2020-06-16 珠海市爱高普净水工程有限公司 一种带奶瓶清洗功能的母婴净水机
CN112295830A (zh) * 2020-11-12 2021-02-02 合肥学院 一种基于视觉识别的喷涂机器人
CN116138620A (zh) * 2022-07-01 2023-05-23 余婧 一种奶瓶清洗烘干调奶一体机
KR102544863B1 (ko) * 2022-12-05 2023-06-20 주식회사 디아이큐브 젖병 자동 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446A (ko) 2003-11-06 2005-05-11 조민수 진공을 이용하는 젖병의 세척과 살균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0463A (ko) 2004-06-19 2005-12-22 월드이노텍(주) 젖병세척기
KR200408352Y1 (ko) 2005-11-21 2006-02-08 보흥전기공업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446A (ko) 2003-11-06 2005-05-11 조민수 진공을 이용하는 젖병의 세척과 살균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0463A (ko) 2004-06-19 2005-12-22 월드이노텍(주) 젖병세척기
KR200408352Y1 (ko) 2005-11-21 2006-02-08 보흥전기공업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배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5498A (zh) * 2020-03-10 2020-06-16 珠海市爱高普净水工程有限公司 一种带奶瓶清洗功能的母婴净水机
CN112295830A (zh) * 2020-11-12 2021-02-02 合肥学院 一种基于视觉识别的喷涂机器人
CN116138620A (zh) * 2022-07-01 2023-05-23 余婧 一种奶瓶清洗烘干调奶一体机
CN116138620B (zh) * 2022-07-01 2024-04-26 余婧 一种奶瓶清洗烘干调奶一体机
KR102544863B1 (ko) * 2022-12-05 2023-06-20 주식회사 디아이큐브 젖병 자동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9958A (ko)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US5979472A (en) Toy washer and disinfector device
KR101521509B1 (ko) 유아용 젖병 소독기
EP1915086B1 (en) Dish washer with uv sterilization device therein
US7165562B2 (en) Washing device for a baby bottle
US9986718B2 (en) Automated animal washing systems
JPH1094586A (ja) 洗浄殺菌ユニット
GB2541394A (en) Wash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and a washing and disinfection method
KR20090059354A (ko) 자동 손 살균 세척장치
CN106065650A (zh) 卫生设备
CN105463763A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CN114467788A (zh) 浴盆组件
KR101664405B1 (ko) 자가 발전형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청소기
KR101446633B1 (ko) 젖병 살균 세척기
JPS63232189A (ja) 容器の清潔および消毒装置
CN205286272U (zh) 清洗消毒一体机
KR102060143B1 (ko) 무세제 세척이 가능한 젖병 세척기
JP2527915B2 (ja) 医療器具消毒装置
KR20050043446A (ko) 진공을 이용하는 젖병의 세척과 살균 장치 및 그 방법
US111673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and sanitizing articles for an infant
KR100568998B1 (ko) 다기능 손 살균 세척기
KR20190119957A (ko)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KR102514376B1 (ko) 젖병 세척기
KR20210030562A (ko) 하이브리드형 젖병 관리장치
KR20160035720A (ko)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