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957A -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957A
KR20190119957A KR1020180043556A KR20180043556A KR20190119957A KR 20190119957 A KR20190119957 A KR 20190119957A KR 1020180043556 A KR1020180043556 A KR 1020180043556A KR 20180043556 A KR20180043556 A KR 20180043556A KR 20190119957 A KR20190119957 A KR 2019011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washing
regulator
washing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네트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네트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네트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4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9957A/ko
Publication of KR2019011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2Consumable products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detergent, rinsing aid or salt; Dispensing device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the type, e.g. detachable, or status of the device
    • A47L2401/023Quantity or concentration of the consumable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7Consumable products, e.g. detergent, rinse aids or salt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병과 젖꼭지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세제 혼합을 조정해서 세제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세제 분사노즐 및 라인을 구축하지 않고, 보다 깨끗하고 깔끔한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수에 세제를 혼합해서 배출하는 레귤레이터(350)와, 레귤레이터(350)에 세제가 공급되도록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통(360)과, 레귤레이터(350)의 세척수 배출 라인을 개폐하는 노즐밸브(340, 340')와, 레귤레이터(350)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310, 320, 320')을 포함하는 세척부(300);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00)에 입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00);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세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조작부(200)로 발신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레귤레이터(350)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입구(351a)와, 노즐밸브(340, 340')의 개폐에 따라 세척수가 유출되는 세척수 출구(351b)와, 세제가 유입되는 세제입구(351c)를 구비한 혼합조(351); 및 세제입구(351c)로의 세제 유입을 제어하는 세제밸브(352);를 포함하고, 제어부(100)는 세제밸브(352)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BABY BOTTLE CLEANER HAVING REGULATOR}
본 발명은 젖병과 젖꼭지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세제 혼합을 조정해서 세제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세제 분사노즐 및 라인을 구축하지 않고, 보다 깨끗하고 깔끔한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의 분유 섭취는 젖병과 젖꼭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유아는 적은 오염물 섭취로도 병에 쉽게 노출 될 수 있다 .
따라서 젖병은 최상의 청결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세척과 살균 및 소독 등을 반복하면서 관리한다.
보호자는 불규칙한 생활패턴을 보이는 유아를 계속해서 돌봐야 하며, 오랜 기간 동안 반복하게 되는 젖병과 젖꼭지에 대한 세척, 살균 및 소독 등을 소홀히 하기 쉽고, 이러한 소홀함은 젖병과 젖꼭지 등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나 식기 세척기는 일회성 세제투입으로 1회 세척기능을 갖는 구조이다. 또한 세척시마다 세제투입을 눈 저울로 투입하여 불규칙적이고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종래 세제사용 제품들은 세제량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투입되는 제품이 없기 때문에 세제를 미투입시에도 세척동작이 작동되어 세척 후 세척이 되지않는 황당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세제 투입후 세척시에 세제와 노폐물이 섞어서 필터를 거친 후 다시 세척을 하는 경우이다. 이때 필터 기능의 한계로 노즐이 오염되기 쉬운 구조이며 세척력도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43446호(2005. 05. 11 공개)와,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120463호(2005. 12. 22 공개)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08352호(2006. 02. 02 공고) 등과 같이 젖병과 젖꼭지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제안되었다.
세척수 이송을 위한 라인과 세제 이송을 위한 라인이 분리되어서, 세척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했고, 이러한 복잡한 구조는 세척장치의 잔고장으로 불편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세제가 분사되는 노즐이 세척 대상인 젖병과 젖꼭지에 그대로 노출되어서, 노즐에 묻은 세제들이 헹굼 과정에서 젖병과 젖꼭지에 그대로 묻을 수 있고, 이러한 가능성은 충분히 헹궈지지 않은 젖병과 젖꼭지의 오염을 일으켜서 상기 젖병과 젖꼭지를 통해 분유를 섭취하는 유아가 세제를 섭취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43446호(2005. 05. 11 공개)
특허문서 2.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20463호(2005. 12. 22 공개)
특허문서 3,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08352호(2006. 02. 02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항상 깨끗한 세제와 세척수로 반복 세척을 하며 젖병과 젖꼭지가 세제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효율적이고 깔끔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수에 세제를 혼합해서 배출하는 레귤레이터(350)와, 레귤레이터(350)에 세제가 공급되도록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통(360)과, 레귤레이터(350)의 세척수 배출 라인을 개폐하는 노즐밸브(340, 340')와, 레귤레이터(350)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310, 320, 320')을 포함하는 세척부(300);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00)에 입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00);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세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조작부(200)로 발신하는 제어부(100);
를 포함하되, 상기 레귤레이터(350)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입구(351a)와, 노즐밸브(340, 340')의 개폐에 따라 세척수가 유출되는 세척수 출구(351b)와, 세제가 유입되는 세제입구(351c)를 구비한 혼합조(351); 및
세제입구(351c)로의 세제 유입을 제어하는 세제밸브(352);를 포함하고,
제어부(100)는 세제밸브(352)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세제 투입 후에도 세제, 세척, 헹굼, 세제, 세척 반복이 가능하며, 세제통 용량을 0.5L 잡으면 40회 이상 세척이 가능하여 하루 2번 세척과 세척 시 2번 반복으로 잡으면 10일 정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수에 대한 세제 혼합을 별도의 레귤레이터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젖병과 젖꼭지가 마주하는 노즐을 통해서 순수한 세척수와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교대로 분사되므로, 세제에 의한 노즐의 오염을 방지하고, 헹굼과정 또한 깔끔하게 이루어져서, 젖병과 젖꼭지가 세제에 오염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보다 깔끔하고 깨끗한 세척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에 구성된 레귤레이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정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와 하우징의 일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의 세척부에 구성된 노즐 구간을 분리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상기 노즐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는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세척, 소독, 건조 및 보관을 한 번의 조작으로 일괄 수행하거나 선택적으로 수행해서, 병(B1)과 젖꼭지(B2)의 이용을 사용자가 손쉽게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젖병 세척장치는 구성 파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사용자가 젖병 세척장치 이용을 위해서 조작하고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제어부(100)와 통신하는 조작부(200)와, 젖병(B1)과 젖꼭지(B2)를 세척하는 세척부(300)와, 세척이 완료된 젖병(B1)과 젖꼭지(B2)를 소독,건조하는 소독건조히터(400)와, 젖병(B1)과 젖꼭지(B2)의 건조를 위해 실내 습기를 낮추는 통풍팬(500)과, 젖병(B1)과 젖꼭지(B2)의 살균 및 보관을 위한 살균램프(600)와,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700)와, 세척용 급수를 가열하는 히트탱크(800)와, 제어부(100)와 조작부(200)와 세척부(300)와 소독건조히터(400)와 통풍팬(500)과 살균램프(600)와 급수펌프(700)와 히트탱크(800)를 수용하는 함체(9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소독건조히터(400)는 스팀식으로 삶는 소독효과를 내며, 이때 최대 200℃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내 환기 이전의 동작으로 스팀효과를 일으킬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소독 효과를 극대화한다.
제어부(100)는 조작부(2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해서 해당하는 구성으로 제어신호를 발신하고, 젖병 세척장치의 자세 또는 내부 온도 센스, 히트탱크(800) 내의 센스, 세제통(360) 내의 센스 등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제어신호롤 발신해서 해당하는 구성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구성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일반적인 CPU로서, 제어부(100)를 이루는 전자회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작부(200)는 젖병 세척장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가 젖병 세척장치의 동작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젖병 세척장치의 동작 상태 등을 체크한 제어부(100)의 출력신호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해서, 사용자가 젖병 세척장치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는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세척, 소독, 살균 및 보관 등을 모두 수행해서, 보호자가 별도의 수고없이 젖병 관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젖병 세척장치는 제어부(100)와 조작부(200)와 세척부(300)와 소독건조히터(400)와 통풍팬(500)과 살균램프(600)와 급수펌프(700)와 히트탱크(800)를 일체로 수용해 보호하면서 젖병(B1)과 젖꼭지(B2)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함체(900)를 포함한다.
함체(900)는 상기 구성들을 수용하는 하우징(910)과, 하우징(910)을 개폐하는 도어(92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도어(920)를 개폐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를 꺼내거나 삽입할 수 있고, 관리 중에 젖병(B1)과 젖꼭지(B2)가 외부와는 차단되도록 실내를 밀폐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910)은 젖병(B1)과 젖꼭지(B2) 세척용 물인 세척수를 수용하는 히트탱크(800)와, 젖병 세척용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통(360)을 노출시켜서 세척수 충전과 세제 충전을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게 하고, 히트탱크(800) 또한 별도로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히트탱크(800)와 세제통(360)을 개폐하기 위한 탱크뚜껑(801)과 통뚜껑(361)을 하우징(910) 외면에 노출되도록 배치했다.
결국, 사용자는 도어(920)를 열어서 젖병(B1)과 젖꼭지(B2)를 하우징(910) 내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다시 도어(920)를 닫고 조작부를 제어해서 젖병 세척장치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세척수 유입량과 세척용 세제제량을 표시하여 부족시에 알람 및 음성으로 확인해서 제때 충전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조작부(200)를 도어(920) 전면에 배치해서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출력 내용을 손쉽게 확인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했으나, 이외에도 조작부(200)를 하우징(910)에 배치하거나 도어(920)와 하우징(910)에 각각 분리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탱크뚜껑(801)을 개폐해서 세척수를 히트탱크(800)에 직접 충진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히트탱크(800)와 직접 연결된 별도의 급수라인을 통해서 사용자의 재충진 없이도 젖병 세척장치에 지속적인 세척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레귤레이터(350)는 히트탱크(800)로부터 급수된 세척수와 세제의 혼합 여부를 제어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에 대한 적절한 세척이 진행되도록 한다. 젖병(B1)과 젖꼭지(B2) 세척을 위해서는 초기에 온수로 젖병(B1)과 젖꼭지(B2)를 담그고, 다음으로 세제를 풀어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표면을 세척하면, 다음으로 다시 온수로 젖병(B1)과 젖꼭지(B2)의 표면에 묻은 세제와 이물질 등을 헹궈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특정 단계에서는 세제와 혼합된 세척수가 공급되어야 하고, 다른 특정 단계에서는 세제가 혼합되지 않은 세척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레귤레이터(3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세척수와 세제 간의 혼합 여부를 제어해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레귤레이터(350)의 전술한 기능과, 내부노즐밸브(340) 및 외부노즐밸브(340')의 개폐기능을 활용해서 세척 모드는 일회성 세척이 아닌 반복 세척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구동 설명은 레귤레이터(350)의 동작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세제통(360)은 일정량의 세제를 보관하면서 레귤레이터(350)에 세제를 공급한다. 세제통(3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 충진이 용이하도록 통뚜껑(361)을 함체(900)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한다. 참고로, 세제통(360)은 세제유량센서(미도시함)를 갖추고서, 세제통(360)에 보관된 세제가 일정량 이하로 확인되면 해당 신호를 제어부(100)로 발신하고, 제어부(100)를 조작부(200)를 통해 알람을 출력시켜서 사용자가 세제를 충진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세제유량센서는 세제통(360)에 보관된 세제의 양을 4단계(상, 중, 하, 부족)로 감지해서, 각 단계별로 감지신호를 발신하고, 제어부(100)는 상기 세제유량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한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조작부(200)의 메뉴설정에서 세제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1회 세제 투입 후에도 세제세척 불림 배수 후, 다시 세제세척이 반복 가능하며, 세제통 용량을 0.5L 잡으면 40회 이상 세척이 가능하고, 하루 2번 세척과 세척시 2번 반복으로 잡으면 한번 세제투입으로 10일 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에 구성된 레귤레이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정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340)는 히트탱크(800)로부터 이송된 세척수와 세제통(360)으로부터 이송된 세제를 혼합하는 혼합조(351)와, 혼합조(351)에 대한 세제 공급을 제어하는 세제밸브(352)를 포함한다.
혼합조(351)는 중공을 갖는 통 형상을 이루고, 세척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세척수 입구(351a)와, 세척수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세척수 출구(351b)와, 세제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세제 입구(351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혼합조(351)에 1개의 세척수 입구(351a)와 4개의 세척수 출구(351b)와 1개의 세제 입구(351c)가 구성되어서, 세척수 입구(351a)로 유입된 세척수가 혼합조(351)의 중공을 경유해서 4개의 세척수 출구(351b)로 배수된다.
계속해서, 세제 입구(351c)에는 이동관(352b)이 이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된다. 이동관(352b)의 상기 중공 쪽 일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H)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세제통(360)과의 연통을 매개하는 세제이송관(CP)과 연결된다. 결국, 세제통(360)으로부터 공급된 세제는 세제이송관(CP)을 통해 이동관(352b)으로 전달되고, 이동관(352b)의 일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멍(H)을 통해서 혼합조(351)의 중공으로 유입된다.
한편, 세제벨브(352)는 이동관(352b)을 이동시켜서 이동관(352b)의 일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멍(H)을 혼합조(351)의 중공에 노출시키거나 노출을 제한시킨다. 즉, 이동관(352b)이 도 4의 (a)도면과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세제밸브(35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배출구멍(H)의 노출이 제어되는 것이다. 결국, 배출구멍(H)의 노출이 제한되도록 이동관(352b)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혼합조(351)로의 세제 유입이 제한되고, 배출구멍(H)이 노출되도록 이동관(352b)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혼합조(351)로의 세제 유입이 허용된다.
이러한 동작 원리가 적용된 레귤레이터(34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세제를 이용한 세척시에는 도 4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동관(352b)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젖병(B1)과 젖꼭지(B2)를 세척 초기에 단순히 담그거나 세제 적용후 헹굼 또는 소독시에는 도 4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동관(352b)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세제밸브(352)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어서, 이동관(352b)과 고정된 플런저(352a)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이동관(352b)에 의한 세제 유입을 제어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이동관(352b)과 연통하는 세제이송관(CP)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서, 이동관(352b)의 상하 이동이 간섭없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이동관(352b)의 상하 이동에도 세제의 막힘이 최소화되게 한다.
한편, 레귤레이터(350)와 내부노즐밸브(340) 및 외부노즐밸브(340')는 세척 모드에서 반복 세척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반복 세척은 세척 중에 세척수를 1회만 분사하는 방식이 아니고, 불림과 세척 단계를 반복해서 세척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레귤레이터(350)의 이동관(352b)은 세척 모드에서 일정 횟수로 승,하강하고, 이를 통해서 혼합조(351)로의 세제 유입을 조정한다. 이렇게 조정되어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혼합되지 않은 세척수가 레귤레이터(350)로부터 이송되면,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도 이에 맞춰 해당하는 노즐로의 분사를 조정해서 불림과 세척 순서의 해당 젖병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결국, 세척 대상 젖병은 일정 주기로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미혼합된 세척수를 받아서, 찌든 떼들의 불림과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을 반복하고, 이를 통해서 젖병 세척 효율을 혁신적으로 높인다.
이외에도, 본 실시 예에서 세척수 입구(351a)는 혼합조(351)의 중심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세척수 출구(351b)는 세척수 입구(351a)와 수직하게 배치되며, 세제입구(351c) 또한 세척수 입구(351a)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결국, 고압으로 혼합조(351)에 유입된 세척수는 혼합조(351)의 중공에서 와류를 일으키고, 세제입구(351c)를 통해 유입된 세제는 와류하는 세척수에 효과적으로 혼합되며, 이렇게 혼합된 세척수는 혼합조(351) 내 수압으로 세척수 출구(351b)를 통해 유출되므로, 세척수와 세제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200)는 전원버튼인 'POWER'와, 시작버튼인 'Start'와, 버튼 선택을 위한 회전식 볼륨스위치와, 상기 볼륨스위치가 가리키는 지점을 선택하는 선택버튼인 'Push Mode'가 상기 볼륨스위치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볼륨스위치는 세척 대상 젖병(B1)의 개수를 가리키고, 사용자는 선택버튼을 눌러서 그 개수를 선택하며, 이후에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척 이외에 소독, 보관 등의 기능을 선택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볼륨스위치를 돌려서 세척하고자 하는 젖병(B1)의 개수에 우선 맞추고, 상기 볼륨스위치 중앙에 위치한 선택버튼을 누른다.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선택버튼을 누르면 해당하는 지점의 표시등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시작버튼을 누르면 젖병 세척장치는 동작을 시작한다. 참고로,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00)로 발신하고,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 예의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높이기 위한 디자인과 조작 수단 및 동작 프로세스가 적용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00)의 출력신호를 수신해서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출력하도록 된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와 하우징의 일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세척장치의 세척부에 구성된 노즐 구간을 분리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상기 노즐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도 1과 더불어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300)는 젖병(B1)의 내부 세척을 위해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1노즐(310)과, 젖꼭지(B2)의 내부 세척을 위해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2노즐(320)과, 젖병(B1)과 젖꽂지(B2)의 외부 세척을 위해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3노즐(320')과, 제1노즐(310)을 지지하며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대(330)와, 제1,2노즐(310, 320)로의 세척수 공급을 제어하는 내부노즐밸브(340)와, 제3노즐(320')로의 세척수 공급을 제어하는 외부노즐밸브(340')와, 세척수에 대한 세제 첨가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350)와, 세제를 보관하며 레귤레이터(350)로 세제를 이송시키는 세제통(360)을 포함한다.
제1노즐(310)과 제2노즐(320) 및 제3노즐(320')은 배수라인이 구성된 배수대(940)에 상방을 향해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세척 대상인 젖병(B1)과 젖꼭지(B2)를 배수대(940)에 안착하면 제1,2,3노즐(310, 320, 32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가 젖병(B1)과 젖꼭지(B2)로 분사되어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제1,2,3노즐(310, 320, 320')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는 배수대(940)의 배수라인을 통해서 외부로 배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노즐(310)은 젖병(B1) 내부 세척용이고, 제2노즐(320)은 젖꼭지(B1) 내부 세척용이며, 제3노즐(320')은 젖병(B1)과 젖꼭지(B2) 외부 세척용이므로, 제3노즐(320')을 제1,2노즐(310, 320) 사이에 배치해서 제3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젖병(B1)과 젖꼭지(B2)를 한번에 세척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제1,2,3노즐(310, 320, 320')의 배치위치는 본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배수대(940)는 함체(900)의 뼈대를 이루는 기본프레임(930)에 보강되어서, 사용자가 도어(920)를 열면 젖병(B1)과 젖꼭지(B2) 배치가 손쉬운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세척수는 제1,2,3노즐(310, 320, 320')로부터 고출력으로 분사되므로, 외부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910)은 배수대(940)를 덮는 루프(911)가 구성된다.
승강대(330)는 젖병(B1) 세척 전용 제1노즐(31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서 승강대(330)는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331)와, 리프트(33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332)과, 리프트(331)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333)와, 승강모터(333)의 회전운동을 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334)와, 제1노즐(310)을 고정하는 노즐홀더(335)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노즐(310)은 젖병(B1) 내부 세척용으로서, 상대적으로 깊이가 깊은 젖병(B1)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해서는 제1노즐(310)이 젖병(B1) 깊숙이 이동해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승강대(330)는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노즐(310)을 이동시켜서 젖병(B1) 내부에서 세척수가 골고루 분사되도록 해야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승강모터(333)가 회전하면, 승강모터(333)의 회전력은 크랭크(334)를 통해서 리프트(331)에 전달되고, 리프트(331)는 가이드라인(332)의 안내를 받아서 크랭크(334)의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물론 리프트(331)에 고정된 노즐홀더(335) 역시 상하로 이동하고, 노즐홀더(335)에 고정된 제1노즐(310)은 노즐홀더(335)의 이동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노즐홀더(335)는 제1노즐(310) 고정과 더불어서 세척수의 배관으로 활용되어서, 입구가 좁은 젖병(B1)에서도 걸림없이 제1노즐(310)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외에도 노즐홀더(335)는 자체 회전력을 갖추고서 젖병(B1)을 수평회전시킬 수도 있고, 자체 떨림력을 갖추고서 젖병(B1)이 떨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제3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젖병(B1) 전체에 걸쳐 효율적으로 세척수와 접할 수 있고, 젖병(B1)의 외부 전체는 최소 개수의 제3노즐(320')로도 효과적인 세척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대(330)가 제1노즐(310)만을 상하 이동하도록 했으나, 이외에도 제3노즐(320')을 상하 이동시켜서 젖병(B1)과 젖꼭지(B2)의 외면 세척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리프트(331)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이 크랭크(334)에 의해 발생함을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승강모터(333)가 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리프트(331)에는 상기 스크류에 대응하는 너트홈을 형성시켜서, 승강모터(333)의 회전방향에 따라 리프트(331)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내부노즐밸브(340)는 젖병(B1)과 젖꼭지(B2)의 내부 세척용 제1,2노즐(310, 320)을 개폐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젖병 세척장치는 한번에 세척할 수 있는 젖병(B1)의 개수를 3개로 했는데, 사용자는 3개 미만의 젖병(B1)만을 세척할 수 있고, 조작부(200)의 제어를 통해서 세척 대상 젖병(B1)의 개수가 제어부(100)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노즐밸브(340)는 제1,2노즐(310, 320)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배치된다. 제어부(100)는 설정된 젖병(B1)의 개수를 확인하고 그 개수만큼의 제1,2노즐(310, 320)로부터만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내부노즐밸브(340)를 제어한다.
외부노즐밸브(340')는 젖병(B1)과 젖꼭지(B2)의 외부 세척용 제3노즐(320')을 개폐한다. 제3노즐(320')은 젖병(B1)의 세척 개수에 상관없이 젖병(B1) 외부를 전체적으로 세척하기 위함이므로, 제3노즐(320')별로 개폐 제어를 하는 것이 큰 의미는 없으나, 내부노즐밸브(340)와 동일하게 제3노즐(32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권리의 명확화를 위해서 제1,2,3노즐(310, 320, 320')로의 라인 개폐를 각각 수행하는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는 '노즐밸브'로 통합하고, 제1,2,3노즐(310, 320, 320')은 '노즐'로 통합해 청구한다.
여기서,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는 레귤레이터(350)의 출구(351b)를 개폐해서, 제1,2,3노즐(310, 320, 320')로의 세척수 배출을 제어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 급수펌프(700)는 12V, 4.5A, 7Kg 압력으로 분당 5L 물을 출사한다. 레귤레이터(350)는 급수펌프(700)의 고압으로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출구(351b)를 통해 배출되며, 각 출구(351b)는 내부노줄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결국,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면서 출구(351b)의 닫힘/부분열림/열림 등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서 제1,2,3노즐(310, 320, 320')을 통한 세척수 배출을 제어한다.
출구(351b)는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의 동시 동작에 의해 함께 개폐되어서, 제1,2,3노즐(310, 320, 320') 모두를 통한 세척수 배출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타임분할식 고압분사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타임분할식 고압분사는 제1,2,3노즐(310, 320, 320')을 통한 세척수 배출이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7kg 압력을 갖는 급수펌프(700)에 의해서 레귤레이터(350)를 통해 제1,2,3노즐(310, 320, 320')로 세척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7kg의 압력은 분산되어서 세척을 위한 수압이 부족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내부노즐밸브(340)와 외부노즐밸브(340')의 개폐 동작에 시간차를 두어서, 제1,2,3노즐(310, 320, 320')을 통한 세척수 배출이 7kg 수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결국, 제1,2,3노즐(310, 320, 32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는 젖병 등의 세척력을 높인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어부 200; 조작부 300; 세척부
310; 제1노즐 320; 제2노즐 320'; 제3노즐
330; 승강대 331; 리프트 332; 가이드라인
333; 승강모터 334; 크랭크 335; 노즐홀더
340; 내부노즐밸브 340'; 외부노즐밸브 350; 레귤레이터
351; 혼합조 352; 세제밸브 360; 세제통
400; 소독건조히터 500; 통풍팬 600; 살균램프
700; 급수펌프 800; 히트탱크

Claims (5)

  1. 레귤레이터(350)와, 레귤레이터(350)의 세척수 배출 라인을 개폐하는 노즐밸브(340, 340')와, 상기 배출 라인을 따라 이송된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310, 320, 320')을 포함하는 세척부(300);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00)에 입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00);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세척부(300), 소독건조히터(400), 살균램프(6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조작부(200)로 발신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350)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입구(351a)와, 노즐밸브(340, 340')의 개폐에 따라 세척수가 유출되는 세척수 출구(351b)와, 세제가 유입되는 세제입구(351c)를 구비한 혼합조(351); 및
    세제입구(351c)로의 세제 유입을 제어하는 세제밸브(352);를 포함하고,
    제어부(100)는 세척시마다 설정된 양의 세제가 레귤레이터(350)에 공급되도록 해서 반복세척이 가능하도록, 세제밸브(352)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밸브(352)는
    세제통(360)으로부터 세제를 이송하는 세제이송관(CP)과 연결되어서 세제입구(351c)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단부가 혼합조(351)의 중공에 노출되며, 상기 단부에는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멍(H)이 형성된 이동관(352b); 및
    솔레노이드 방식의 세제밸브(352)에 의해 직선 이동하면서 이동관(352b)을 이동시키는 플런저(352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입구(351a)는 혼합조(351)의 중심에 배치되고, 세척수 출구(351b)와 세제입구(351c)는 세척수 입구(351a)와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레귤레이터(350)의 이동관(352b)은 승,하강을 하고, 혼합조(351)에 세제유입을 조정하며, 내부노즐 밸브(340)와 외부노즐 밸브(340')는 세척수 분사와 세제유입분사를 조절하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반복이 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360)에 보관된 세제량을 감지하는 세제유량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유량센서는 감지한 세제량을 제어부(100)로 발신하며,
    제어부(100)는 조작부(200)를 제어해서 세제량에 대응하는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KR1020180043556A 2018-04-13 2018-04-13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KR20190119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556A KR20190119957A (ko) 2018-04-13 2018-04-13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556A KR20190119957A (ko) 2018-04-13 2018-04-13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957A true KR20190119957A (ko) 2019-10-23

Family

ID=6846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556A KR20190119957A (ko) 2018-04-13 2018-04-13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995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446A (ko) 2003-11-06 2005-05-11 조민수 진공을 이용하는 젖병의 세척과 살균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0463A (ko) 2004-06-19 2005-12-22 월드이노텍(주) 젖병세척기
KR200408352Y1 (ko) 2005-11-21 2006-02-08 보흥전기공업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446A (ko) 2003-11-06 2005-05-11 조민수 진공을 이용하는 젖병의 세척과 살균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0463A (ko) 2004-06-19 2005-12-22 월드이노텍(주) 젖병세척기
KR200408352Y1 (ko) 2005-11-21 2006-02-08 보흥전기공업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335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US7753009B2 (en) Washer with bio prevention cycle
EP3358945B1 (en) Automated animal washing systems
KR20190119958A (ko)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WO2009142355A1 (en) Dispenser and washing machine
US20030188769A1 (en) Appliance for treating articles, particularly nursing bottles and accessories
WO2018040761A1 (zh) 洗衣机的洗涤剂投放装置及具有其的洗衣机
KR101446633B1 (ko) 젖병 살균 세척기
MX2007003783A (es) Maquina automatica de hidromasaje para mascotas.
TW554115B (en) Cylinder washing machine
KR101285033B1 (ko) 자동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190119957A (ko)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US20130213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infant containers and accessories
KR20160035720A (ko) 세제 혼합용 레귤레이터가 보강된 젖병 세척장치
KR101904640B1 (ko) 인덕션 가열장치를 이용한 소독 및 세척장치
KR200239277Y1 (ko) 젖병장치용 세척기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JP6462270B2 (ja) 洗濯機
KR100413124B1 (ko) 젖병장치용 세척기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KR20210116010A (ko) 욕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7347A (ko) 변좌 세척기능이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4386B1 (ko) 세면기 시스템
KR102514376B1 (ko) 젖병 세척기
KR20210116011A (ko) 욕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