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211A - Camera device - Google Patents

Camer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211A
KR20200082211A KR1020180172579A KR20180172579A KR20200082211A KR 20200082211 A KR20200082211 A KR 20200082211A KR 1020180172579 A KR1020180172579 A KR 1020180172579A KR 20180172579 A KR20180172579 A KR 20180172579A KR 20200082211 A KR20200082211 A KR 20200082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lens
disposed
holder
camer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연호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211A/en
Priority to US17/413,278 priority patent/US20220019132A1/en
Priority to PCT/KR2019/018619 priority patent/WO2020139028A1/en
Priority to CN201980086122.8A priority patent/CN113260919B/en
Priority to TW108148381A priority patent/TW202041953A/en
Publication of KR2020008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2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Abstract

An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device which comprises: a substrate;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 bas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disposed in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coupled to the lens module; and an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base. The lens holder includes a groove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liquid lens module.

Description

카메라장치{Camera device}Camera device

본 실시예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device.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below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embodiment, but do not describe the prior art.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is widely generaliz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are commercialized, the needs of consumers related to the portab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ied, and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장치가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장치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One of them is a camera device that photographs a subject as a photograph or video. On the other hand, in recent camera devices, an auto focus function that automatically adjusts focus according to a distance of a subject is applied. In addition,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that prevents the image from being shaken due to camera shake is applied.

최근에는 전류 인가에 따라 렌즈의 형상이 변형되어 오토 포커스 기능 또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액체렌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액체렌즈를 이용한 카메라장치에서 렌즈모듈과 렌즈배럴 사이를 접착제로 완전 실링하는 경우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액티브얼라인(AA, Active Align) 본딩 후 경화 중 내부 기압이 빠져나갈 벤트홀(vent hole)이 없어 얼라인이 틀어지는 문제가 있다.In recent years, the shape of the lens is deformed with the application of a current, and a liquid lens performing an autofocus function or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has been develop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s module and the lens barrel are completely sealed with an adhesive in a camera device using a liquid lens, after the active alignment (AA) bonding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is bonded, the vent hole through which the internal air pressure will escape during the vent Because there is no ho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lignment is wrong.

나아가, 액티브얼라인 본딩 라인에 에어 벤트홀(air vent hole)을 만들면 액티브얼라인 본딩 경화 후 이미지 센서에 이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되므로 다시 에어 벤트홀을 막아줘야하는 문제가 있다.Furthermore, if an air vent hole is made in the active alignment bonding line, the foreign vent is introduced into the image sensor after curing the active alignment bond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vent hole must be blocked again.

본 실시예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액티브얼라인 본딩 후 경화 중 가스가 빠져나가는 에어 벤트홀을 렌즈모듈과 렌즈배럴 사이에 구비한 카메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camera device having an air vent hole through which gas escapes during curing after active alignment bonding between a lens and an image sensor between the lens module and the lens barrel.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 내에 배치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결합되는 액체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액체렌즈모듈 사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 bas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disposed in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coupled with the lens module; And an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may include a groove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liquid lens module.

상기 카메라장치는 상기 액체렌즈모듈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nergiz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substrate.

상기 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액체렌즈모듈과 인접한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The groove may be formed from a lower region of the lens holder to a region adjacent to the liquid lens module.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하부영역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 영역일 수 있다.The lower region of the lens holder may be an upper region of the base.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하면까지를 연결하는 가스 배출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groove may form a gas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상기 홈은 가스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groove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gas escapes.

상기 홈은 광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홈일 수 있다.The groove may be a groove extending lo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홈은 광축방향을 기준으로 양끝단이 개구될 수 있다.The groove may have both ends ope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홈은 상기 접착제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상기 액체렌즈모듈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모듈 사이에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groove may form a passage between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so that gas generated during the curing of the adhesive is discharged to the liquid lens module side.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와 결합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결합되는 액체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액체렌즈모듈 사이에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리세스에 의해 가스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coupled with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coupled with the lens module; And an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base, wherein the lens holder includes a recess, and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recess of the lens holder between the base and the liquid lens module. A gas discharge passage can be formed.

상기 가스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The gas can be generated by the adhesive.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어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모듈을 결합할 수 있다.The lens holder further includes a groove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an adhesive is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to couple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은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4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2개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리세스는 상기 4개의 홈과 이격될 수 있다.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includes four grooves that are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is, the recess includes two recesses that are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is, and the two recesses and the four grooves are symmetrical. Can be separated.

상기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상기 렌즈홀더 사이 및 상기 베이스의 측면과 상기 렌즈홀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dhesiv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p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an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은 챔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may include a chamfer surface.

상기 카메라장치는 홀을 포함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하면,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측면 및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상면을 통해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커버의 상기 홀 사이로 가스 배출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further includes a top plate including a hole and a side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plate,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covering the lens holder, a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a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liquid lens. A gas discharge passage may be formed between the lens module and the hole of the cover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상기 베이스, 상기 렌즈홀더 및 상기 렌즈모듈에 의해 제1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렌즈모듈, 상기 렌즈홀더 및 상기 렌즈모듈에 의해 제2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 상기 제2공간,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측부 공간,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상부 공간 및 상기 커버의 상기 홀 순으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pace is formed by the base,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a second space is formed by the liquid lens module,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the first space, the second space, A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order of the side sp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the upper sp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hole of the cover.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 내에 배치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결합되는 액체렌즈모듈;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는 접착제; 및 상기 액체렌즈모듈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기 렌즈홀더, 및 상기 렌즈모듈 사이에 제1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홀더 사이에 제2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결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 bas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disposed in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coupled with the lens module; An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base; And a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substrate, wherein a firs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se,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and the liquid lens module, the lens module, and the lens. A secon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lders, and the lens holder may include a groove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상기 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과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부터 상기 렌즈홀더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includes a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 adhesive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i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It can extend to the top surface of the holder.

상기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렌즈홀더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The adhesive may seal between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상기 렌즈모듈의 외주면과 상기 렌즈홀더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지 않고 갭(gap) 또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n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module and the lens holder, and an adhesive is not disposed in at least a part of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and a gap or passage may be formed.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제2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면과는 이격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제2홈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includes a second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the second groove of the lens holder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groove of the lens holder.

상기 액체렌즈모듈은 액체렌즈와, 내부에 상기 액체렌즈가 배치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은 배럴과, 상기 배럴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하면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The liquid lens module includes a liquid lens, and a holder in which the liquid lens is disposed, the lens module includes a barrel, and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in the barrel, and the liquid lens includes the plurality of liquid lenses. It is disposed between the lenses,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렌즈와 연결되는 제1단자,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연결하는 통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izing member includes a first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nd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a second terminal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nd connected to the substrate, and a conductive material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an do.

상기 통전성 물질은 땜납, 전도성 접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solder and conductive adhesive.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면과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통전성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may include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lens holder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and a conductive adhesiv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p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the protrusion of the lens holder.

상기 제2공간의 일부에는 상기 홀더를 상기 렌즈홀더에 고정하는 접착제와, 상기 통전성 접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의 나머지 일부에는 갭 또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n adhesive fixing the holder to the lens holder and a conductive adhesive may be disposed in a part of the second space, and a gap or a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part of the second space.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에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면 및 상기 렌즈홀더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The energizing member includes a conductive layer integrally formed on a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the conductive layer extends along a top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a side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and the other end is the It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liquid lens module.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izing member may include a terminal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to the lens holder.

상기 카메라장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 위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커버와 이격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including a hole and a top plate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the top plate and coupled to the lens holder, wherein the energizing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렌즈홀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는 렌즈모듈;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렌즈와, 상기 액체렌즈와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액체렌즈모듈; 상기 액체렌즈모듈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모듈을 접착하는 제1접착제;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렌즈홀더를 접착하는 제2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하면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부에는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상기 단자와 상기 통전부재를 연결하는 통전성 물질이 배치되고, 상기 제2접착제는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 bas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disposed in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including a liquid len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An energiz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substrate; A first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And a second adhesive adhering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and the terminal of the liquid lens modul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A conductive material connecting the members is disposed, and the second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It may include a groove extending to the top of the lens holder.

상기 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본 실시예를 통해, 렌즈모듈과 렌즈배럴 사이의 본딩 신뢰성은 확보하면서 액티브얼라인 본딩 경화 가스가 빠져나가는 통로(path)를 확보할 수 있다.Through this embodiment, a path through which the active alignment bonding curing gas escapes may be secured while securing the bonding reliability between the lens module and the lens barrel.

따라서, 액티브얼라인 본딩 후 경화 중에 얼라인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alignment distortion during curing after active alignment bonding.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액체렌즈모듈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액체렌즈모듈의 홀더와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렌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렌즈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카메라장치의 렌즈홀더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a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7b는 다른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8a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일부 투영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0은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plan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side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liquid lens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and a terminal of the liquid lens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holder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1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device of FIG. 12A seen from another direction.
12C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moved.
14 is a bottom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17A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17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18A is a partial projection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18B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of FIG. 18A.
1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21 is a sid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22 is an exploded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its components between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selected.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or substitu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may interpret the mea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a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is combined with A, B, and C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B, C". It can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directly'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case, it may also include a case of'connected','coupled', or'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Further,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i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op (top)" or "bottom (bottom)" means that the two components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is any one of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ortable smart device, a digital camera, a laptop computer, a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Can be However, the type of the optical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evice for taking an image or picture may be included in the optical device.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장치가 배치되고 본체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장치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body. The body can form the appearance of the optical device. The main body can accommodate a camera device. A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device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camera devic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surface positioned opposite to one surface).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display unit may outpu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광학기기는 카메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본체의 일면 및 본체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camera device. The camera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camera device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A plurality of camera devices may be provided. The camera device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camera device can take an image of the subjec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 및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액체렌즈모듈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액체렌즈모듈의 홀더와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렌즈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렌즈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카메라장치의 렌즈홀더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a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17b는 다른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18a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일부 투영도이고, 도 18b는 도 18a의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0은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고, 도 22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3 is a plan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4 is a It is a sid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S.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9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liquid lens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0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and a terminal of the liquid lens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device of FIG. 12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12C is a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3 is the cover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moved 14 is a bottom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example, and FIG. 16 is an exploded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example. It is a perspective view, FIG. 17A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FIG. 17B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and FIG. 18A is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18B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of FIG. 18A, FIG. 1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and FIG. 20 is a part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21 is a side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and FIG. 22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카메라장치는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00)은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110), 베이스(200) 및 렌즈홀더(3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기판(100)의 상면과 렌즈홀더(300)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기판(100)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의 단자는 통전부재(7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100. The substrate 10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An image sensor 110, a base 200, and a lens hold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Howe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lens holder 300 may be spaced apart.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terminal. The terminal of the substrat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nergizing member 700.

카메라장치는 이미지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기판(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110)는 기판(10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110)는 기판(10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렌즈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110)의 광축과 렌즈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이미지 센서(110)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n image sensor 110. The image sensor 11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The image sensor 11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The image sensor 110 may be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The image sensor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0. In one example, the image sensor 110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100 by 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 As another example, the image sensor 110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100 by flip chip technology. The image sensor 11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lens and the optical axis are aligned. That is,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sensor 110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may be aligned. The image sensor 110 may convert light irradiated to the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110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sensor 110 may be any one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a CPD, and a CID.

카메라장치는 필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20)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액체렌즈모듈(500)과 이미지 센서(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200)의 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filter 120. The filter 120 may include an infrared filter. The infrared filter may block light from the infrared region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The infrared filter can reflect infrared light. Alternatively, the infrared filter can absorb infrared radiation. The infrared fil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image sensor 110. The infrared filter may be disposed in the hole of the base 200.

카메라장치는 베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0)는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기판(100)과 렌즈홀더(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상면에 형성되고 필터(120)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0)의 하면의 일부는 함몰되어 이미지 센서(11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base 200. The base 20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The base 20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The base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lens holder 300. The base 200 may include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on which the filter 120 is disposed.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00 may be recess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image sensor 110 is disposed.

카메라장치는 렌즈홀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베이스(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베이스(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베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렌즈모듈(400)과 결합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커버(8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lens holder 300. The lens hold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The lens hold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200. The lens hold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200. The lens holder 300 may be coupled to the base 200. The lens holder 300 may be combined with the lens module 400. The lens holder 300 may be disposed in the cover 800. The lens holder 3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렌즈홀더(300)는 제1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10)은 이하에서 홈 또는 리세스로 사용될 수 있다. 제1홈(310)은 벤트홀(vent hole)일 수 있다. 제1홈(310)은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다. 제1홈(310)은 기체가 유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제1홈(310)은 렌즈홀더(3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10)은 렌즈홀더(30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10)은 렌즈홀더(3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10)은 베이스(200)와 액체렌즈모듈(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홈(310)은 렌즈홀더(300)의 하부영역에서 액체렌즈모듈(500)과 인접한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렌즈홀더(300)의 하부영역은 베이스(200)의 상부 영역일 수 있다. 제1홈(310)은 베이스(200)의 상면에서 액체렌즈모듈(500)의 하면까지를 연결하는 가스 배출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홈(310)은 가스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홈(310)은 광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홈일 수 있다. 제1홈(310)은 광축방향을 기준으로 양끝단이 개구될 수 있다. 제1홈(310)은 접착제(600)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액체렌즈모듈(500) 측으로 배출되도록 렌즈홀더(300)와 렌즈모듈(400) 사이에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홈(310)은 챔퍼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챔퍼면(311)은 제1홈(3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챔퍼면(311)은 제1홈(310)의 내주면과 렌즈홀더(300)의 하면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first groove 310. The first groove 310 may be used as a groove or recess below. The first groove 310 may be a vent hole. The first groove 31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The first groove 31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gas flows. The first groove 310 may be formed in the lens holder 300. The first groove 3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first groove 310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first groove 3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first groove 310 may be formed from a lower region of the lens holder 300 to a region adjacent to the liquid lens module 500. In this case, the lower region of the lens holder 300 may be the upper region of the base 200. The first groove 310 may form a gas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first groove 310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gas escapes. The first groove 310 may be a groove extending lo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irst groove 310 may be opened at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irst groove 310 may form a passage between the lens holder 300 and the lens module 400 so that gas generated during the curing process of the adhesive 600 is discharged toward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first groove 310 may include a chamfer surface 311. The chamfer surface 311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groove 310. The chamfer surface 311 may be inclined to conne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roove 3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제1홈(310)은 적어도 1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10)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10)은 2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10)의 2개의 홈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홈(310)은 3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홈(310)의 3개의 홈은 렌즈홀더(300)의 내주면에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홈(310)은 4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홈(310)의 4개의 홈은 렌즈홀더(300)의 내주면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홈(310)은 5개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홈(310)의 복수의 홈은 렌즈홀더(300)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groove 310 may be formed. The first groove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The first groove 310 may include two grooves. The two grooves of the first groove 310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around the optical axis. The first groove 310 may include three grooves. At this time, three grooves of the first groove 310 may be disposed at 120 degree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first groove 310 may include four grooves. At this time, four grooves of the first groove 310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first groove 310 may include five or more grooves. At this time, a plurality of grooves of the first groove 310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변형례로, 제1홈(310)은 렌즈홀더(300)가 아닌 렌즈모듈(4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groove 3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module 400 rather than the lens holder 300.

본 실시예에서는 제1홈(310)을 통해 벤트홀이 형성되므로 카메라장치에서 추가 이물 유입 방지용 본드가 도포될 필요가 없다.In this embodiment, since a vent hole is formed through the first groove 310, there is no need to apply an additional foreign matter intrusion prevention bond in the camera device.

렌즈홀더(300)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세스는 앞서 언급한 제1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베이스(200)와 액체렌즈모듈(500) 사이에 렌즈홀더(300)의 리세스에 의해 가스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스는 접착제(60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가스는 접착제(600)가 도포 후 경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recess. At this time, the recess may include the first groove 310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gas discharge passage may be formed by the recess of the lens holder 300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liquid lens module 500 so that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gas may be generated by the adhesive 600. In more detail, the gas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uring after the adhesive 600 is applied.

리세스는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는 2개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는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2개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리세스는 4개의 제2홈(320)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제2홈(320)에 도포된 접착제는 렌즈홀더(300)의 내주면과 렌즈모듈(400)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따라 이동하지만 리세스는 실링하지 않을 수 있다. The recess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cesses. The recess may include two recesses. The recess may include two recesses that are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is. In this embodiment, the two recesse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 second grooves 320. At this time, the adhesive applied to the four second grooves 320 moves along any one or mo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module 400, but the recess may not be sealed.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200), 렌즈홀더(300) 및 렌즈모듈(400)에 의해 제1공간(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200), 렌즈홀더(300) 및 렌즈모듈(400) 사이에 제1공간(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렌즈모듈(500), 렌즈홀더(300) 및 렌즈모듈(400)에 의해 제2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액체렌즈모듈(500), 렌즈모듈(400)과 렌즈홀더(300) 사이에 제2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홈(310)는 제1공간(10)과 제2공간(20)을 연결할 수 있다. 리세스는 제1공간(10)과 제2공간(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공간(10), 제2공간(20), 액체렌즈모듈(500)의 측부 공간, 액체렌즈모듈(500)의 상부 공간 및 커버(800)의 홀(811) 순으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pace 10 may be formed by the base 200, the lens holder 300 and the lens module 400. That is, the first space 10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200, the lens holder 300 and the lens module 400. In addition, the second space 20 may be formed by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lens holder 300, and the lens module 400. That is, the second space 20 may be formed between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lens module 400 and the lens holder 300. At this time, the first groove 310 may connect the first space 10 and the second space 20. The recess may connect the first space 10 and the second space 20. Through this, the passage in the order of the first space 10, the second space 20, the side sp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upper sp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hole 811 of the cover 800 Can be formed.

렌즈홀더(300)는 제2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320)은 이하에서 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홈(320)은 본드가 도포되는 본딩 탱크일 수 있다. 제2홈(320)은 렌즈홀더(3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20)은 렌즈홀더(30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20)은 렌즈홀더(30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20)은 렌즈홀더(30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렌즈홀더(30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홈(320)은 렌즈홀더(300)의 하면부터 상면까지 연장되는 제1홈(310)과는 구분될 수 있다. 제2홈(320)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2홈(320)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어 렌즈홀더(300)와 렌즈모듈(400)을 결합할 수 있다. 제2홈(320)에 도포된 접착제는 렌즈홀더(300)의 내주면과 렌즈모듈(4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접착제는 제1홈(310)을 실링하지 않을 정도까지만 이동할 수 있다. 접착제는 렌즈모듈(400)의 외주면과 렌즈홀더(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의 제1홈(310)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지 않고 갭(gap) 또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20)은 챔퍼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챔퍼면(321)은 제2홈(32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챔퍼면(321)은 제2홈(320)의 내주면과 렌즈홀더(300)의 하면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제2홈(320)의 챔퍼면(321)은 제2홈(320)의 내주면과 상이한 경사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second groove 320. The second groove 320 may be used as a groove below. The second groove 320 may be a bonding tank to which the bond is applied. The second groove 32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second groove 3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second groove 3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second groove 320 may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refore, the second groove 320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groove 310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groove 320. An adhesive is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320 to combine the lens holder 300 and the lens module 400. The adhesive applied to the second groove 320 may mov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module 400. However, the adhesive can only move to the extent that the first groove 310 is not sealed. The adhesiv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module 400 and the lens holder 300. An adhesive is not dispos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roove 310 of the lens holder 300, and a gap or passage may be formed. The second groove 320 may include a chamfer surface 321. The chamfer surface 321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groove 320. The chamfer surface 321 may be inclined to conne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3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chamfer surface 321 of the second groove 320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different inclination angl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320.

제2홈(320)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320)은 4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320)은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4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홈은 렌즈홀더(300)의 내주면 상에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groove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The second groove 320 may include four grooves. The second groove 320 may include four grooves that are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is. The four groove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본 실시예에서 렌즈홀더(300)는 베이스(200)의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600)는 베이스(200)의 상면과 렌즈홀더(3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의 제1홈(310)은 렌즈홀더(300)의 하면부터 렌즈홀더(30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홈(310)은 렌즈홀더(300)와 렌즈모듈(400) 사이에 상하방향(광축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0. The adhesive 600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first groove 310 of the lens holder 300 may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rough this, the first groove 310 may form a through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lens holder 300 and the lens module 400.

렌즈홀더(300)는 단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330)는 렌즈홀더(3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330)는 렌즈홀더(3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330)에는 커버(800)의 측판(82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단차부(330)와 커버(800)의 측판(820)은 이격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step portion 330. The step portion 3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step portion 330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ens holder 300. The side plate 820 of the cover 800 may be disposed on the stepped portion 330. However, the step portion 330 and the side plate 820 of the cover 800 may be spaced apart.

렌즈홀더(300)는 측벽(350)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300)의 상면은 제1면(341)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300)의 제1면(341)에 통전부재(700)의 결합부(701)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300)의 상면은 제1면(341)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300)의 상면은 함몰부(343)로부터 함몰되는 홈(344)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격벽(355)에 인접하여 렌즈홀더(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342)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300)의 홈(342) 또는 홀은 격벽(355)을 넘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350.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341. The engaging portion 701 of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341 of the lens holder 300.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recess 343 recessed from the first surface 341.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groove 344 recessed from the recess 343. 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groove 342 or a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355. The groove 342 or the hole of the lens holder 300 may b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over the partition wall 355.

렌즈홀더(300)는 측벽(35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50)은 렌즈홀더(300)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350)은 렌즈홀더(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측벽(350)의 내측에 통전성 물질(750)이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side wall 350. The side wall 350 may for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side wall 35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 conductive material 7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wall 350.

렌즈홀더(300)는 격벽(335)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35)은 렌즈홀더(300)의 상면과 측벽(350)을 연결할 수 있다. 격벽(335)은 복수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격벽 사이에 통전성 물질(75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격벽은 렌즈홀더(300)와 액체렌즈모듈(500)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와 통전부재(700)가 통전될 수 있다. 격벽(335)은 통전부재(700)의 복수의 단자 중 이웃하는 단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335. The partition wall 335 may connect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d the side wall 350. The partition wall 335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 conductive material 7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may divide a space between the lens holder 300 and the liquid lens module 500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hrough this,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energiz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The partition wall 335 may be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terminals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energizing member 700.

렌즈홀더(300)는 연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60)는 렌즈홀더(300)의 하면보다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60)는 기판(10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연장부(360)의 하면과 기판(100)의 상면은 이격될 수 있다. 연장부(360)의 외면에는 통전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360. The extension part 360 may exten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extension part 360 may exte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However,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3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may be separated. An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360.

렌즈홀더(300)는 홈(390)을 포함할 수 있다. 홈(390)은 접착제 수용홈일 수 있다. 홈(390)에 배치된 접착제에 의해 액체렌즈모듈(500) 및/또는 렌즈모듈(400)이 렌즈홀더(300)에 고정될 수 있다. 홈(390)은 렌즈홀더(3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390)은 렌즈홀더(300)의 4개의 코너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홈(390)에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groove 390. The groove 390 may be an adhesive receiving groove.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or the lens module 400 may be fixed to the lens holder 300 by an adhesive disposed in the groove 390. The groove 39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groove 390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lens holder 300. An adhesive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390.

카메라장치는 렌즈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400)은 렌즈홀더(3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400)은 렌즈홀더(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400)은 렌즈홀더(3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lens module 400. The lens module 400 may be disposed on the lens holder 300. The lens module 400 may be disposed in the lens holder 300. The lens module 400 may be combined with the lens holder 300.

렌즈모듈(400)은 배럴(410)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410)은 렌즈배럴일 수 있다. 배럴(410)은 내부에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배럴(410)의 내주면은 렌즈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럴(410)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400 may include a barrel 410. The barrel 410 may be a lens barrel. The barrel 410 may accommodate a lens there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rel 4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The barrel 41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렌즈모듈(400)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렌즈는 플라스틱 렌즈일 수 있다.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중 일부는 제1군 렌즈영역(420)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군 렌즈영역(4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군 렌즈영역(420)은 제2군 렌즈영역(430)과 이격되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군 렌즈영역(420)에 3매의 렌즈가 배치되고 제2군 렌즈영역(430)에 2매의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400 may include a lens. The lens may be a solid lens. The lens can be a plastic lens. The le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Some of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group lens region 420, and the other portions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group lens region 430. The first group lens region 42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group lens region 430. For example, three lenses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group lens region 420 and two lenses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group lens region 430.

렌즈모듈(400)은 홀(440)을 포함할 수 있다. 홀(440)은 액체렌즈 수용부일 수 있다. 홀(440)에는 액체렌즈모듈(500)이 배치될 수 있다. 홀(440)은 액체렌즈모듈(500)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440)은 액체렌즈모듈(50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렌즈모듈(500)은 렌즈모듈(400)의 홀(44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400 may include a hole 440. The hole 440 may be a liquid lens accommodating part.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440. The hole 440 may be formed to a height that is larger than a liquid lens module 500 by a predetermined size. In addition, the hole 440 may penetrate the liquid lens module 5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is,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440 of the lens module 4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렌즈모듈(450)은 접착제 홀(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홀(450)은 홀(440)과 연결될 수 있다. 접착제 홀(450)은 렌즈모듈(450)의 배럴(410)의 상판 중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홀(450)을 통해 접착제는 렌즈모듈(450)과 액체렌즈모듈(500) 사이로 주입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450 may include an adhesive hole 450. The adhesive hole 450 may be connected to the hole 440. The adhesive hole 450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part of the top plate of the barrel 410 of the lens module 450. The adhesive may be injected between the lens module 450 and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rough the adhesive hole 450.

카메라장치는 액체렌즈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모듈(500)은 렌즈모듈(400)과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모듈(500)은 렌즈홀더(300)와 이격될 수 있다. 액체렌즈모듈(500)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110)와 얼라인될 수 있다. 액체렌즈모듈(500)은 렌즈모듈(40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liquid lens module 500.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combined with the lens module 400.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ens holder 300.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aligned with the lens and image sensor 110.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lens module 4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카메라장치는 액체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부는 액체렌즈(510), 홀더(520) 및 단자(53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부는 배럴(410)과 결합되고 액체렌즈(5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liquid lens unit. The liquid lens unit may include a liquid lens 510, a holder 520, and a terminal 530. The liquid lens unit is coupled to the barrel 410 and may include a liquid lens 510.

액체렌즈모듈(500)은 액체렌즈(5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510)는 홀더(5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510)는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510)는 제1군 렌즈영역(420)과 제2군 렌즈영역(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include a liquid lens 510. The liquid lens 510 may be disposed in the holder 520. The liquid lens 510 may b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lenses. The liquid lens 5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roup lens region 420 and the second group lens region 430.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초점 거리가 조정되는 액체렌즈(510)는 전극을 통해서 동작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부 전극은 동일한 각 거리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된 4개의 개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통해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렌즈영역에 형성된 도전성 액체와 비도전성 액체의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상부 전극은 '상부 단자'일 수 있다. 하부 전극은 '하부 단자'일 수 있다. 액체렌즈(510)는 고체렌즈와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510)와 고체렌즈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에폭시가 도포될 수 있고, 액체렌즈(510)의 액티브 얼라인먼트(active alignment)가 수행될 수 있다.The liquid lens 510 whose focal length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driving voltage may receive an operating voltage through an electrode. The upper electrode may have the same angular distance, and may include four individual terminals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When an operating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ductive liquid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formed in the lens region may be deformed. The upper electrode may be an'upper terminal'. The lower electrode may be a'lower terminal'. The liquid lens 5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olid lens. In this embodiment, the epoxy may be appli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liquid lens 510 and the solid lens, and active alignment of the liquid lens 510 may be performed.

액체렌즈(510)는 일측은 상부 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510)의 다른 일측은 하부 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510)는 개별전극 4개와 공통전극 사이의 캐패시터로 등가회로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등가회로에 포함된 복수의 캐패시터는 약 200 피코패럿(pF) 수준의 작은 캐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렌즈(510)의 상부 전극은 개별 단자이고 하부 전극은 공통 단자일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510)의 상부 전극은 공통 단자이고 하부 전극은 개별 단자일 수 있다. 액체렌즈(510)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에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의해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AF 기능 및 OIS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liquid lens 510 may be applied with a voltage from the upper electrode. The other side of the liquid lens 510 may be applied with a voltage from the lower electrode. The liquid lens 510 may be described as an equivalent circuit as a capacitor between four individual electrodes and a common electrode. Here, the plurality of capacitors included in the equivalent circuit may have a small capacitance of about 200 picofarads (pF) level.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lectrode of the liquid lens 510 may be a separate terminal and the lower electrode may be a common terminal. Alternatively, the upper electrode of the liquid lens 510 may be a common terminal and the lower electrode may be a separate terminal. The interface formed between the conductive liquid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may be modified by the current and/or voltag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of the liquid lens 510. Through this, any one or more of AF function and OIS function may be performed.

액체렌즈(510)는 단자(5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511)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511)는 액체렌즈(510)의 상면의 4개의 코너에 형성되는 4개의 개별단자와, 액체렌즈(510)의 하면의 4개의 코너에 형성되는 4개의 공통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는 개별전극일 수 있다. 공통단자는 공통전극일 수 있다.The liquid lens 510 may include a terminal 511. The terminal 5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terminal 511 may include four individual terminals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510 and four common terminals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510. The individual terminals may be individual electrodes. The common terminal may be a common electrode.

액체렌즈모듈(500)은 홀더(5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520)는 액체렌즈홀더일 수 있다. 홀더(520)의 하면은 렌즈홀더(300)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520)의 내부에는 액체렌즈(51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520)는 홀(521)을 포함할 수 있다. 홀(521)은 홀더(520)를 광축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홀(521)에는 액체렌즈(510)가 배치될 수 있다.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include a holder 520. The holder 520 may be a liquid lens holder.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520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 liquid lens 5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lder 520. The holder 520 may include a hole 521. The hole 521 may penetrate the holder 5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liquid lens 51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521.

홀더(520)는 제1홈(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522)은 홀더(5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522)에는 상부단자(531) 및/또는 제1하부단자(532-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홈(522)은 상부단자(531) 및/또는 제1하부단자(532-1)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520)는 제2홈(5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523)은 홀더(5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523)에는 상부단자(531) 및/또는 제1하부단자(532-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홈(523)은 상부단자(531) 및/또는 제1하부단자(532-1)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520)는 접착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520)의 접착제 홈은 홀더(520)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홀더(520)의 접착제 홈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어 홀더(520)에 단자(530)를 고정할 수 있다.The holder 520 may include a first groove 522. The first groove 5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520. A portion of the upper terminal 531 and/or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522. The first groove 52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upper terminal 531 and/or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The holder 520 may include a second groove 523. The second groove 523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der 520. A portion of the upper terminal 531 and/or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523. The second groove 523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upper terminal 531 and/or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The holder 520 may include an adhesive groove. The adhesive groove of the holder 520 may be formed on any one or mor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lder 520. An adhesive is disposed in the adhesive groove of the holder 520 to fix the terminal 530 to the holder 520.

액체렌즈모듈(500)은 단자(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530)는 제1단자일 수 있다. 단자(530)는 액체렌즈(510)와 연결될 수 있다. 단자(530)는 액체렌즈(510)의 단자(511)에 연결될 수 있다. 단자(530)는 홀더(520)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530)는 액체렌즈모듈(5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530)는 적어도 일부가 홀더(5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530)는 액체렌즈모듈(5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단자(530)는 통전부재(700)와 이격될 수 있다. 단자(530)의 일단은 액체렌즈(510)의 단자(511)와 연결되고 단자(530)의 타단은 통전성 물질(7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단자(530)의 타단은 통전성 물질(750)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자(530)의 일부는 홀더(5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단자(530)의 일부는 통전부재(700)와 이격되어 통전부재(700)와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수직방향은 광축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include a terminal 530. The terminal 530 may be a first terminal. The terminal 530 may be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510. The terminal 53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511 of the liquid lens 510. The terminal 530 may be disposed in the holder 520. The terminal 53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terminal 530 may b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lder 520. The terminal 530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terminal 5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nergizing member 700. One end of the terminal 53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511 of the liquid lens 510 an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5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75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530 may be arranged to be immersed in the conductive material 750. A portion of the terminal 530 may protrude from the holder 520. A portion of the terminal 5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nergizing member 700 and overlap with the energizing member 7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제1단자는 액체렌즈(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영역과 액체렌즈부의 측면에서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도체와 결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단자는 제1단자의 제2영역과 광축방향으로 중첩되고 전도체와 결합되는 제1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자는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이고 제2단자는 렌즈홀더(300)에 배치되는 통전부재(700)일 수 있다. 제1단자는 제1단자의 제1영역에서 절곡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제1단자의 제2영역은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단자는 2단으로 절곡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자의 2단 절곡 구조는 제1결합부(531a), 제2결합부(531b) 및 연결부(531c)에 대응할 수 있다.제2단자(통전부재(700))는 제2단자의 제1영역에서 절곡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단자의 제1영역은 렌즈홀더(300)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단자의 연장부는 렌즈홀더(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단자의 연장부의 끝단은 기판(100)과 솔더 결합될 수 있다. 제1단자의 제2영역은 렌즈홀더(30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단자의 제2영역은 제2단자의 제1영역과 이격되고 그 사이에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도체는 통전성 물질(750)일 수 있다. 제1단자의 제2영역은 제2단자의 제1영역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단자는 홀더(520)에 배치되어, 액체렌즈(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reg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510 and a second region that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unit and is coupled with the conductor. At this time, the second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region that overlaps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ermina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conductor. Here, the first terminal may be a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second terminal may be a current-carrying member 700 disposed in the lens holder 300. The first terminal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bent in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extension portion. That is, the first terminal may include a structure bent in two stages. Here, the two-stage bending structure of the first terminal may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31b, and the connecting portion 531c. The second terminal (the energizing member 700) is the second terminal It may include an extended portion bent in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terminal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d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may be soldered to the substrate 100.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or may be dis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conductor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750.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irst terminal is disposed on the holder 520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510.

단자(530)는 5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5개의 단자 중 3개의 단자는 액체렌즈모듈(500)의 제1측면에 배치되고, 5개의 단자 중 나머지 2개의 단자는 액체렌즈모듈(500)의 제1측면의 반대편의 제2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통전부재(700)는 5개의 단자에 대응하는 5개의 통전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530 may include five terminals. At this time, three of the five terminals are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other two of the five terminals are on the second sid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opposite the first side. Can be deployed. At this time,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five energizing members 700 corresponding to five terminals.

단자(530)는 상부단자(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단자(531)는 홀더(520)의 상면과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erminal 530 may include an upper terminal 531. The upper terminal 53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outer surfaces of the holder 520.

상부단자(531)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단자(531)는 4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단자(531)의 4개의 단자는 액체렌즈(510)의 4개의 개별단자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부단자(531)는 홀더(5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통전성 물질(750)에 연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단자(531)는 제1-1 내지 제1-4단자(531-1, 531-2, 531-3, 5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및 제1-2단자(531-1, 531-2)는 홀더(5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3 및 제1-4단자(531-3, 531-4)는 홀더(52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terminal 5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upper terminal 531 may include four terminals. The four terminals of the upper terminal 531 may be connected to the four individual terminals of the liquid lens 510, respectively. The upper terminal 531 may include a first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lder 520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750. The upper terminal 531 may include 1-1 to 1-4 terminals 531-1, 531-2, 531-3, and 531-4. The 1-1 and 1-2 terminals 531-1 and 531-2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lder 520, and the 1-3 and 1-4 terminals 531-3 and 531-4 are It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520.

본 실시예에서 상부단자(531)와 하부단자(532) 각각은 홀더(5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도체에 연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단자(531)와 하부단자(532) 각각의 제2부분과 통전부재(700)의 제2단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upper terminal 531 and the lower terminal 532 may include a first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lder 520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onductor. have. In this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of the upper terminal 531 and the lower terminal 532, respectively,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energizing member 700.

상부단자(531)는 액체렌즈(510)의 단자(511)와 연결되는 제1결합부(531a)와, 통전성 물질(750)과 연결되는 제2결합부(531b)와, 제1결합부(531a)와 제2결합부(531b)를 연결하는 연결부(5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531a)는 홀더(520)의 상면에 배치되고, 연결부(531c)는 홀더(520)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2결합부(531b)는 홀더(5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531c)는 제1결합부(531a) 및 제2결합부(531b)와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단자(532)The upper terminal 531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531a connected to the terminal 511 of the liquid lens 510, a second coupling portion 531b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750,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 531a)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531b.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520, the connection portion 531c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lder 52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31b is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holder 520 Can. The connection portion 531c may form a right angle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31b. Lower terminal(532)

단자(530)는 하부단자(5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단자(532)는 홀더(520)의 하면과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단자(532)는 액체렌즈(510)의 4개의 공통단자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부단자(532)를 이용하여 브릿지를 빼서 전극 연결 단자로 이용할 수 있다.The terminal 530 may include a lower terminal 532. The lower terminal 53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520. The lower terminal 532 may connect four common terminals of the liquid lens 510.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terminal 532 can be used to remove the bridge and use it as an electrode connection terminal.

하부단자(532)는 홀더(520)의 하면 및/또는 상면과 홀더(52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하부단자(532-1)와, 홀더(520)의 하면에 결합되고 액체렌즈(510)의 공통단자와 제1하부단자(532-1)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2하부단자(5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terminal 53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and/or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520 and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5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520 and the liquid lens ( 510) may include a plate-shaped second lower terminal 532-2 connecting the common terminal and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제1하부단자(532-1)는 홀더(520)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2하부단자(532-2)와 연결되는 제3결합부(532d)와, 제3결합부(532d)로부터 연장되어 홀더(520)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일부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통전부재(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결합부(532e)와, 제3결합부(532d)와 제4결합부(532e)를 연결하는 연결부(53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단자(532-1)의 일부는 후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520 and extends from the third coupling portion 532d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532d connected to the second lower terminal 532-2. The fourth coupling portion 532e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532d and the fourth coupling portion 532e, which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520 and partially protrude outw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ergizing member 700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532f) for connecting. A portion of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may include a hook shape.

제2하부단자(532-2)는 액체렌즈(510)의 단자(511)와 연결되는 제1결합부(532a)와, 상부단자(531)와 연결되는 제2결합부(532b)와, 제1결합부(532a)와 제2결합부(532b)를 연결하는 연결부(53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ower terminal 532-2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532a connected to the terminal 511 of the liquid lens 510, a second coupling portion 532b connected to the upper terminal 531, and a second coupling terminal 532b.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532c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2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32b.

액체렌즈(510)에서는 내부에 2가지 종류의 액체가 섞이지 않은 상태로 렌즈와 같은 반원형상 또는 구면의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액체렌즈(510)는 계면 곡률을 제어하기 위해 외측에는 상/하 각 4개 이상의 노출된 단자(511)가 형성될 수 있다. 액체렌즈(510)의 상측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1결합부(531a)가 내측에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에 평면으로 개별 형성된 제1결합부(531a)를 외부전극과 연결하기 위해 측면까지 단자 연결될 수 있다. 내측의 액체렌즈(510)에 통전되는 제1결합부(531a)와 외부통전을 위한 제2결합부(531b)는 연결되어 있으며 굽힘형상이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액체렌즈(510)와 단자(530)의 각각 고정 및 액체렌즈(510)와 단자(530)의 고정을 위한 사출물인 홀더(520)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520)는 상부단자(531)에 의해 구조적으로 감싸지며 제1결합부(531a) 부분에는 통전본드를 도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액체렌즈(510)의 하측 단자를 통전하기 위해 금속 터미널인 제2하부단자(53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하부단자(532-2)는 사출물인 홀더(520)의 하측에 조립되어 본드로 접착되며 평면 전극부에 형성된 공간에 통전본드가 도포되어 전기적으로 액체렌즈(5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하부단자(532-2)를 외부 전극과 연결하기 위해 홀더(520)에 적색으로 측면과 하측이 노출된 제1하부단자(53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하부단자(532-2)에 제1하부단자(532-1)와 평면으로 마주보는 부분에 공간을 형성하여 통전본드 도포를 통해 제2하부단자(523-2)와 제1하부단자(53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liquid lens 510, a curvature of a semi-circular shape or a spherical shape such as a lens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wo kinds of liquid are not mixed therein. In order to control the interface curvature of the liquid lens 510, four or more exposed terminals 511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for connecting the upper terminal of the liquid lens 510 may be formed in a plane on the inside.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to connect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individually formed in a plane to the external electro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that is energized to the liquid lens 510 on the insid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31b for external energization are connected and may have a bending shape. A holder 520 that is an injection material for fixing the liquid lens 510 and the terminal 530 and fixing the liquid lens 510 and the terminal 530 may be provided. The holder 520 is structurally wrapped by the upper terminal 531 and a space for applying a current-carrying bond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A second lower terminal 532-2, which is a metal terminal, may be provided to energize the lower terminal of the liquid lens 510. The second lower terminal 532-2 is assemb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520, which is an injection material, and is bonded with a bond,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bond is applied to a space formed in the flat electrode portion to be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liquid lens 510. In order to connect the second lower terminal 532-2 with an external electrode, a first lower terminal 532-1 in which side and lower sides are exposed to the holder 520 in red may be provided. A second lower terminal (523-2) and a first lower terminal (2) are formed by forming a space in a portion of the second lower terminal (532-2) that faces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in a plane. 532-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본 실시예의 액체렌즈모듈(500)의 구조를 통해 부품수 감소를 통한 공정 단순화, 투자비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 감소를 통한 재료비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부품 통합으로 콤팩트(compact)한 높이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종래 대비 단자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외부와의 전극연결부를 별도로 형성없이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방향 사이즈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다.Through the structur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of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cess and reduce the investment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reduce material cost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Compact height may be possible through component integration. The strength of the terminal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outside can be formed on the side without separately forming.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reduce the size in the planar direc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렌즈모듈(500)은 다음의 순서를 통해 조립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부단자(531)와 제1하부단자(532-1)가 결합된 상태의 홀더(520)가 뒤집힌 상태로 준비된다. 홀더(520)가 뒤집힌 상태일 때 홀더(520)에 결합된 액체렌즈(510)는 상부 개구의 크기가 하부 개구의 크기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부단자(531)의 제1결합부(531a)에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되고 액체렌즈(510)도 뒤집힌 상태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부단자(531)의 제1결합부(531a)와 액체렌즈(510)의 상면의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후, 제2하부단자(532-2)가 홀더(520)와 액체렌즈(510)에 결합된다. 액체렌즈(510)의 하면의 단자와 제2하부단자(532-2)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동시에 제1하부단자(532-1)와 제2하부단자(53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언급한 과정을 통해 액체렌즈모듈(500)의 조립은 완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liquid lens module 5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ssembl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e holder 520 in a state where the upper terminal 531 and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are combined is prepared in an inverted state. When the holder 520 is in an inverted state, the liquid lens 510 coupled to the holder 52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size of the upper opening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opening. Then, a conductive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of the upper terminal 531, and the liquid lens 510 is also inserted in an inverted state to be coupled.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ortion 531a of the upper terminal 531 and the terminal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5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after, the second lower terminal 532-2 is coupled to the holder 520 and the liquid lens 510. The terminal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510 and the second lower terminal 53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ductive adhesive. Further, in this process, the first lower terminal 532-1 and the second lower terminal 53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e same time. The assembly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complet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

카메라장치는 접착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600)는 렌즈홀더(300)와 베이스(200)를 결합할 수 있다. 접착제(600)는 베이스(200)의 상면과 렌즈홀더(300) 사이 및 베이스(200)의 측면과 렌즈홀더(300) 사이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600)는 베이스(200)와 렌즈홀더(30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600)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베이스(200)와 렌즈홀더(300) 사이로는 배출되지 않고 렌즈홀더(300)의 제1홈(3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600)는 렌즈홀더(300)와 베이스(200)를 접착하는 구성이지만, 본 접착제(600) 외에 렌즈모듈(400)과 렌즈홀더(300)를 접착하는 접착제, 홀더(520)와 렌즈홀더(300)를 접착하는 접착제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n adhesive 600. The adhesive 600 may combine the lens holder 300 and the base 200. The adhesive 600 may be disposed on any one or mo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0 and the lens holder 300 an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200 and the lens holder 300. The adhesive 600 may seal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lens holder 300. Therefore, the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uring the adhesive 600 may not be discharged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lens holder 300 bu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groove 310 of the lens holder 300.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600 is configured to bond the lens holder 300 and the base 200, but in addition to the adhesive 600, the lens module 400 and the lens holder 300, the adhesive, the holder ( 520) and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lens holder 3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카메라장치는 통전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700)의 단자는 제2단자일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렌즈홀더(300)에 배치될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기판(100)과 액체렌즈모듈(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커버(800)와 이격될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n energizing member 700.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a terminal. The terminal of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a second terminal.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on the lens holder 300.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substrate 100 and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800.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integrally formed.

통전부재(700)는 복수의 통전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5개의 통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제1 내지 제5통전부재(700-1, 700-2, 700-3, 700-4, 700-5)를 포함할 수 있다. 5개의 통전부재는 5개의 제1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5개의 제1단자는 4개의 상부 단자와 1개의 공통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로, 통전부재(700)의 복수의 단자는 렌즈홀더(300)의 일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nergizing members 700.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five energizing members.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first to fifth energizing members 700-1, 700-2, 700-3, 700-4, 700-5. The five energizing member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ve first terminals, respectively. Here, the five first terminals may include four upper terminals and one common terminal.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ens holder 300.

통전부재(700)는 결합부(70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701)는 통전성 물질(750)과 접촉될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통전 물질일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전도체일 수 있다. 결합부(701)는 렌즈홀더(30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701)는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와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인 제1단자와 렌즈홀더(300)에 배치된 통전부재(700)인 제2단자를 연결할 수 있다. 전도체는 제1단자 및 제2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701. The coupling portion 701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750.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750 can be a conductor. The engaging portion 701 may form the same plane as the top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e coupling portion 701 may overlap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connect the first terminal, which is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the conductive member 700 disposed on the lens holder 300. The conductor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통전부재(700)는 홀더(520)에 배치되고 액체렌즈(510)와 연결되는 제1단자, 렌즈홀더(300)에 배치되어 기판(100)과 연결되는 제2단자 및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연결하는 통전성 물질(7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전부재(700)는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통전성 물질(750)을 통전부재(700)의 일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통전성 물질(750)은 통전부재(700)와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The energizing member 700 is disposed on the holder 520 and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510, the second terminal disposed on the lens holder 300 and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0,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A conductive material 750 connecting the terminals may be included. That is,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used as a concept including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Previously, the conductive material 750 was described as one configura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700, but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be describ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conductive member 700.

카메라장치는 통전성 물질(7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와 통전부재(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와 통전부재(700)를 연결할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통전부재(700)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땜납, 전도성 접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Ag 에폭시(epoxy)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성 물질(750)은 렌즈홀더(300)의 복수의 격벽(3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750.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conductive member 700.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connect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conductive member 700. The energizing material 750 may be disposed on a part of the energizing member 700.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solder and conductive adhesive.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include Ag epoxy.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55 of the lens holder 300.

본 실시예에서 액체렌즈모듈(500)의 하면은 렌즈홀더(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렌즈홀더(300)의 상부에는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와 통전부재(700)를 연결하는 통전성 물질(750)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600)는 렌즈홀더(300)의 하면과 베이스(2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렌즈홀더(300)는 렌즈홀더(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전부재(700)의 단자(720)의 일부는 렌즈홀더(300)의 홈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통전성 물질(750)은 렌즈홀더(300)의 홈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disposed above the lens holder 300. At this time, a conductive material 750 connecting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on the lens holder 300. The adhesive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0. In one example, 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groov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terminal 720 of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300, and the energizing material 75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300.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의 일부가 통전성 물질(750)에 잠기는 담금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에 외압 없이도 전기적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 및 통전부재(700) 사이에서 통전성 물질(750)의 접촉 면적을 키워 안정적인 저항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렌즈홀더(300)에 본드 탱크 구조를 적용하고 본드 탱크에 Ag 에폭시를 도포하여 안정적인 도포 및 Ag 에폭시 브릿지에 의한 쇼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Ag 에폭시를 통한 전기적 연결로 고열로 인한 액체렌즈(510)의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immersion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is immersed in the conductive material 750 may be formed. Through this,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external pressure. Meanwhile, a stable resistance may be secured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conductive material 750 between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conductive member 700. The bond tank structure is applied to the lens holder 300 and Ag epoxy is applied to the bond tank to prevent stable coating and short circuit caused by the Ag epoxy bridge. The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Ag epoxy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liquid lens 510 due to high heat.

통전부재(700)는 렌즈홀더(300)에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전층(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전층(710)은 렌즈홀더(300)의 표면에 MID(molded interconnection device) 기술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전층(710)은 렌즈홀더(300)의 상면 및 렌즈홀더(30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일단은 기판(1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액체렌즈모듈(500)의 단자(530)와 연결될 수 있다.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710 integr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t this time, the conductive layer 71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hrough a molded interconnection device (MID) technology. The conductive layer 710 extend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530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have.

변형례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MID 기술을 통해 형성되는 도전층(710)이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단자(720)로 변경될 수 있다. 통전부재(700)는 렌즈홀더(30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7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720)는 적어도 일부에서 다른 부분과 폭이 상이할 수 있다. 단자(72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720)는 5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odification, the conductive layer 710 formed through MID technology in this embodiment may be changed to a terminal 720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The energizing member 700 may include a terminal 720 integrally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to the lens holder 300. The terminal 720 may have a different width from other parts in at least a part. The terminal 7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terminal 720 may include five terminals.

카메라장치는 커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렌즈홀더(300)를 덮을 수 있다. 렌즈홀더(300)는 렌즈홀더(300)의 상면으로부터 홀더(5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300)의 상면과 렌즈홀더(300)의 돌출부 사이에는 통전성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통전성 접착제는 통전성 물질(7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공간(20)의 일부에는 홀더(520)를 렌즈홀더(300)에 고정하는 접착제와, 통전성 접착제가 배치되고, 제2공간(20)의 나머지 일부에는 갭 또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베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렌즈홀더(300)를 안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800)는 카메라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8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8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기판(10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8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8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8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ver 800. The cover 800 may cover the lens holder 300. The lens holder 300 may include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520. A conductive adhesiv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300 and the protrusion of the lens holder 300. At this time, the conductive adhesive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750. An adhesive for fixing the holder 520 to the lens holder 300 and a conductive adhesive are disposed in a part of the second space 20, and a gap or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part of the second space 20. The cover 800 may be combined with the base 200. The cover 800 may accommodate the lens holder 300 therein. The cover 80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amera device. The cover 8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 lower surface open. The cover 800 may be non-magnetic. The cover 8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cover 80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The cover 80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of the substrate 100. Through this, the cover 800 may be grounded. The cover 800 may block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t this time, the cover 800 may be referred to as an'EMI shield can'.

커버(800)는 상판(810)과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홀(811)을 포함하는 상판(810)과, 상판(810)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800 may include a top plate 810 and a side plate 820. The cover 800 may include a top plate 810 including a hole 811 and a side plate 8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plate 810.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모듈(500)의 하면, 액체렌즈모듈(500)의 측면 및 액체렌즈모듈(500)의 상면을 통해 렌즈모듈(400)과 커버(800)의 홀(811) 사이로 가스 배출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액체렌즈모듈(500)의 주변을 이동한 가스는 렌즈모듈(400)과 커버(800)의 상판(810) 사이의 홀(811)로 배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as is discharged between the lens module 400 and the hole 811 of the cover 800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the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500. A passage can be formed. That is, gas moving around the liquid lens module 500 may be discharged to the hole 811 between the lens module 400 and the top plate 810 of the cover 80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33)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 내에 배치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결합되는 액체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액체렌즈모듈 사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 bas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disposed in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coupled with the lens module; And
And an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base,
The lens holder is a camera device including a groove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liquid lens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렌즈모듈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nergiz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액체렌즈모듈과 인접한 영역까지 형성되는 카메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s a camera device formed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lens holder to the region adjacent to the liquid lens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하부영역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 영역인 카메라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lower area of the lens holder is a camera device that is an upper area of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하면까지를 연결하는 가스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카메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s a camera device forming a gas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가스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카메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s a camera device tha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gas escap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광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홈인 카메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s a camera device that is a groove extending lo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광축방향을 기준으로 양끝단이 개구된 카메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s a camera device with both ends opened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접착제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상기 액체렌즈모듈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모듈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카메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s a camera device that forms a passage between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so that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curing of the adhesive is discharged to the liquid lens module side.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와 결합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결합되는 액체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액체렌즈모듈 사이에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리세스에 의해 가스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카메라장치.
Bas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coupled with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coupled with the lens module; And
And an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base,
The lens holder includes a recess,
A camera device in which a gas discharge passage is formed by the recess of the lens holder between the base and the liquid lens module so tha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발생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gas is a camera device generated by the adhesiv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어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모듈을 결합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lens holder further includes a groov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 adhesive device is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to combine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은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4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2개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리세스는 상기 4개의 홈과 이격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includes four grooves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is,
The recess includes two recesses that are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is,
The two recesses are spaced apart from the four grooves of the camera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상기 렌즈홀더 사이 및 상기 베이스의 측면과 상기 렌즈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dhesive is a camera device disposed between the top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an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은 챔퍼면을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includes a chamfer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홀을 포함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하면,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측면 및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상면을 통해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커버의 상기 홀 사이로 가스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 top plate including a hole and a side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cover covering the lens holder,
A camera device in which a gas discharg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lens module and the hole of the cover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and a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기 렌즈홀더 및 상기 렌즈모듈에 의해 제1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렌즈모듈, 상기 렌즈홀더 및 상기 렌즈모듈에 의해 제2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 상기 제2공간,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측부 공간,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상부 공간 및 상기 커버의 상기 홀 순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A first space is formed by the base,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A second space is formed by the liquid lens module,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The first space, the second space, a side sp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an upper sp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and a camera device in which passages are formed in the order of the holes of the cover.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 내에 배치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결합되는 액체렌즈모듈;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는 접착제; 및
상기 액체렌즈모듈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기 렌즈홀더, 및 상기 렌즈모듈 사이에 제1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홀더 사이에 제2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결하는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 bas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disposed in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coupled with the lens module;
An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base; And
It includes a conductive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substrate,
A firs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se,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and a secon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iquid lens module, the lens module, and the lens holder,
The lens holder is a camera device including a groove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groove is a camera devic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과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부터 상기 렌즈홀더의 상면까지 연장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lens holder includes a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 adhesive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렌즈홀더 사이를 밀봉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adhesive is a camera device that seals between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의 외주면과 상기 렌즈홀더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홈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지 않고 갭(gap) 또는 통로가 형성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An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module and the lens holder,
A camera device in which an adhesive is not disposed in at least a part of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and a gap or passage is formed.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제2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면과는 이격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제2홈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lens holder includes a second groov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The second groove of the lens holder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 camera device to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second groove of the lens hold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렌즈모듈은 액체렌즈와, 내부에 상기 액체렌즈가 배치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은 배럴과, 상기 배럴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하면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liquid lens module includes a liquid lens and a holder in which the liquid lens is disposed,
The lens module includes a barrel and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inside the barrel,
The liquid lens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is a camera devic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렌즈와 연결되는 제1단자,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연결하는 통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24,
The energizing member
A camera device comprising a first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nd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a second terminal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nd connected to the substrate, and a conductive material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성 물질은 땜납, 전도성 접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25,
The conductive material is a camera device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solder, conductive adhesiv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면과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통전성 접착제가 배치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24,
The lens holder includes a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lens holder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A camera device in which a conductive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the protrusion of the lens holder.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의 일부에는 상기 홀더를 상기 렌즈홀더에 고정하는 접착제와, 상기 통전성 접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의 나머지 일부에는 갭 또는 통로가 형성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27,
An adhesive fixing the holder to the lens holder and the conductive adhesive are disposed in a part of the second space,
A camera device in which a gap or passage is formed in the remaining part of the second spa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에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면 및 상기 렌즈홀더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단자와 연결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energizing member includes a conductive layer integrally formed on a surface of the lens holder,
The conductive layer extends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a side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liquid lens modu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energizing member is a camera device including a terminal formed by insert injection into the lens holder.
제18항에 있어서,
홀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 위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커버와 이격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cover including a hole and a top plate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the top plate and coupled to the lens holder,
The energizing member is a camera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렌즈홀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는 렌즈모듈;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렌즈와, 상기 액체렌즈와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액체렌즈모듈;
상기 액체렌즈모듈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모듈을 접착하는 제1접착제;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렌즈홀더를 접착하는 제2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하면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상부에는 상기 액체렌즈모듈의 상기 단자와 상기 통전부재를 연결하는 통전성 물질이 배치되고,
상기 제2접착제는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 bas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ens holder disposed on the base;
A lens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disposed in the lens holder;
A liquid lens module including a liquid len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An energiz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substrate;
A first adhesive bonding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module; And
It includes a second adhesive for adhering the base and the lens holder,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is disposed above the lens holder,
A conductive material connecting the terminal of the liquid lens module and the conductive member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The second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 lens holder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includes a groove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to the top of the lens holder.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of claim 32,
The groove is a camera devic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KR1020180172579A 2018-12-28 2018-12-28 Camera device KR20200082211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79A KR20200082211A (en) 2018-12-28 2018-12-28 Camera device
US17/413,278 US20220019132A1 (en) 2018-12-28 2019-12-27 Camera device
PCT/KR2019/018619 WO2020139028A1 (en) 2018-12-28 2019-12-27 Camera device
CN201980086122.8A CN113260919B (en) 2018-12-28 2019-12-27 camera device
TW108148381A TW202041953A (en) 2018-12-28 2019-12-30 Camer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79A KR20200082211A (en) 2018-12-28 2018-12-28 Camera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11A true KR20200082211A (en) 2020-07-08

Family

ID=7160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579A KR20200082211A (en) 2018-12-28 2018-12-28 Camer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2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0327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EP1686790A1 (en) Image pickup unit for compact camera module
US11768347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587990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30033012A (en) Lens driving device, dual camera module
KR20190063870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00082211A (en) Camera device
KR20200082210A (en) Camera device
KR20200082212A (en) Camera device
CN113260919B (en) camera device
US20230199284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20220113456A1 (en) Camera module
US20220286591A1 (en) Sens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KR20180092726A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1470012B1 (en) Camera Module
US20230350273A1 (en) Camera device
US20220357487A1 (en) Camera device
US20220094823A1 (en) Sens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102608429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US20230319382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033378A (en) Camera device
CN113574853B (en) Camera module
KR20210033377A (en) Camera device
KR20200144329A (en) Camera device
KR20200144330A (en) Camer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