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29A - Camera device - Google Patents

Camer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29A
KR20200144329A KR1020190072231A KR20190072231A KR20200144329A KR 20200144329 A KR20200144329 A KR 20200144329A KR 1020190072231 A KR1020190072231 A KR 1020190072231A KR 20190072231 A KR20190072231 A KR 20190072231A KR 20200144329 A KR20200144329 A KR 20200144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nnection terminal
lens
reg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연호
이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329A/en
Priority to PCT/KR2020/007840 priority patent/WO2020256404A1/en
Priority to CN202080058851.5A priority patent/CN114424092B/en
Priority to US17/618,592 priority patent/US20220357487A1/en
Publication of KR2020014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Abstract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device including: a holder wherein a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 lens holder coupled to the holder; a variable lens unit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 holder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unit; and a conductive member disposed in the groove.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by the conductive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device is the minimized siz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escription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Camera device}

본 실시예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device.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below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describe the prior art.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With the widespread use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the demands of consumer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and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가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 장치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Among them, there is a camera device that captures a subject as a photograph or video. Meanwhile, in recent camera devices, an auto focus function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focus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subject has been applied. In addition,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is applied to prevent the image from shaking due to the camera shake.

최근에는 전류 인가에 따라 렌즈의 형상이 변형되어 오토 포커스 기능 또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액체렌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액체렌즈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서 사이즈 축소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Recently, the shape of the lens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urrent, and thus, the development of a liquid lens that performs an auto focus function or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has been made.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ize reduction in a camera device equipped with a liquid lens.

본 실시예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사이즈가 최소화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camera device in which the siz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s minimized.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가변렌즈부;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 상기 가변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연결단자; 및 상기 홈에 배치되는 통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일부는 상기 가변렌즈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단자와 상기 통전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lder having a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lens holder coupled to the holder; A variable lens unit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 holder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unit; And a conductive member disposed in the groove, and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extend outside the variable lens uni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by the conductive member.

상기 가변렌즈부는 액체렌즈,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 SMA(shape memory alloy) 액츄에이터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may be any one of a liquid lens, a polymer lens, a liquid crystal lens, a voice coil motor (VCM) actuator, a shape memory alloy (SMA) actuator, and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actuator.

상기 가변렌즈부는 액체렌즈와, 상기 액체렌즈와 결합되는 액체렌즈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may include a liquid lens and a liquid lens holder coupled to the liquid lens.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가변렌즈를 포함하는 가변렌즈부;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 및 상기 가변렌즈부와 결합되고 상기 홀더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광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lder; A lens holder coupled to the holder; A variable lens unit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nd including a variable lens; A holder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includes a first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unit.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first region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lder terminal.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제1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제2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disposed in a first corner area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in a second corner area of the variable lens.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가변렌즈부의 측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가변렌즈부의 하면보다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exposed from a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extend below a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변렌즈부의 상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에서 절곡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expos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상기 홀더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일부는 상기 홈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단자와 통전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holder may include a groove, and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and coupled to the holder terminal by a current-carrying member.

상기 가변렌즈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부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변렌즈부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상기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단자의 일부와 상기 광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extends from a first region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reg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a third reg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overlapping a part of the holder termina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Can include.

상기 가변렌즈부는 가변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변렌즈의 개별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includes a variable lens, and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coupled to an individual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상기 가변렌즈부는 상기 가변렌즈와 결합되는 가변렌즈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may include a variable lens holder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and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extend to the insid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렌즈 홀더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not overlap with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가변렌즈의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a third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included.

상기 제3연결단자는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영역과, 상기 가변렌즈부 내에 배치되는 제2영역과, 상기 가변렌즈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region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region disposed within the variable lens unit, and a third region protruding outside the variable lens unit.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연결단자는 서로 마주보게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ex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U자 형태일 수 있다.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may have a U shape.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may be bent from 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단자와 통전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by the energizing member.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렌즈 홀더와 오버랩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overlap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가변렌즈부는 가변렌즈 홀더와, 상기 가변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변렌즈의 단자와 연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1부분의 일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includes a variable lens holder and a variable lens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portion disposed o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the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wardly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downward from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Can be extended.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variable lens holder.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not overlap with the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홀더의 일부는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 part of the hold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홀더의 코너에 형성되어 상기 가변렌즈부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홈에는 상기 렌즈 홀더에 상기 가변렌즈부를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holder may include a groove formed at a corner of the lens holder to expose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an adhesive fixing the variable lens unit to the lens holder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nd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nd the variable len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홀더에 인서트(insert)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부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통전부재는 Ag 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terminal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holder through insert injectio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variable lens unit through insert injection, and the conductive member may include Ag epoxy. .

상기 제1연결단자의 일부의 측면은 상기 가변렌즈부의 측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A side surface of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a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 상기 가변렌즈와 결합되는 가변렌즈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 및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상기 홀더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홀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홀은 상기 가변렌즈의 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광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홀의 상기 바닥면보다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lder; A lens holder coupled to the holder;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 variable len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A variable lens holder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A holder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o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variable lens and the holder terminal,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groove formed by recessing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and the lens holder includes the And a hole penetrating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variable lens is disposed in the hole of the lens holder, and the hole of the lens holder includes a bottom surface facing a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first region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lder termina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exten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of the lens holder.

본 실시예를 통해,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카메라 장치의 사이즈가 최소화될 수 있다.Through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camera devi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저면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홀더와 홀더단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AA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BB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CC of FIG.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of FIG. 6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of FIG. 8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of FIG. 8.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10.
12 is a sid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plan view showing a holder and holder terminals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combined or substituted wi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and describ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directly'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case,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component is'connected','coupled', or'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i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op (top)" or "bottom (bottom)" means that the two components are directly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Optical devices include cell phones, mobile phones, smart phones, portable smart devices, digital camera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and navigation. Can be However, the type of optical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evice for photographing an image or photograph may be included in the optical device.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장치가 배치되고 본체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장치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body. The body may form the appearance of an optical device. The main body can accommodate a camera device. A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a display unit and a camera device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camera devic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surfac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display unit may outpu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광학기기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본체의 일면 및 본체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camera device. The camera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body. At least a part of the camera device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dy. A plurality of camera devices may be provided. The camera device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The camera device may take an image of a subjec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저면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홀더와 홀더단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AA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BB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from CC of FIG. A cross-sectional view,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7 is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of FIG.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of FIG. 8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and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of FIG. 8,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part A of FIG. 10, and FIG. 12 is a side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plan view showing a holder and holder terminals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카메라 장치는 기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0)은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와 센서 홀더(4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은 단자(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단자(11)는 통전부재를 통해 홀더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10. The substrate 1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substrate 1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An image sensor and a sensor holder 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e substrate 10 may include a terminal 11. The terminal 11 of the substrate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카메라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220)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220)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n image sensor. The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 The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 The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e image sens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10 by a 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 As another example, the image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10 by flip chip technology. The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so that the lens 220 and the optical axis coincide. That is,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sensor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220 may be aligned. The image sensor may convert light irradiated to the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sensor may be any one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a CPD, and a CID.

카메라 장치는 커넥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는 기판(10)과 연결기판(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0)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nnector 20. The connector 2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substrate 10 and the connection substrate 30. The connector 20 may include a por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카메라 장치는 센서 홀더(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홀더(40)는 홀더(100)와 기판(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홀더(40)에는 필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50)가 배치되는 센서 홀더(40)의 부분에는 필터(5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sensor holder 40. The sensor holder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lder 100 and the substrate 10. A filter 50 may be disposed on the sensor holder 40. An opening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nsor holder 40 in which the filter 50 is disposed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50 may enter the image sensor.

카메라 장치는 필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50)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모듈(200)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센서 홀더(40)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filter 50. The filter 50 may include an infrared filter. The infrared filter may block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Infrared filters can reflect infrared rays. Alternatively, the infrared filter can absorb infrared rays. The infrared fil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ns module 200 and the image sensor. The infrared filter may be disposed on the sensor holder 40.

카메라 장치는 홀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0)는 기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홀더(4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홀더(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홀더(40)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100)는 렌즈 모듈(200)과 결합될 수 있다. 홀더(100)는 커버(8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holder 100. The holder 10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 The holder 100 may be disposed on the sensor holder 40. The holder 1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holder 40. The holder 100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holder 40. The holder 100 may be coupled to the lens module 200. The holder 100 may be disposed within the cover 800. The holder 1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홀더(100)는 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0)은 Ag 에폭시가 수용되는 에폭시 탱크(tank)일 수 있다. 홈(110)은 홀더(100)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110)은 홀더(10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홈(110)은 홀더(100)의 외면과 이격될 수 있다. 홀더(100)의 홈(110)에는 통전부재(90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통전부재(900)가 수용되는 에폭시 탱크를 형성할 수 있다. 홀더(100)의 홈(110)에 배치된 통전부재(900)는 홀더단자(400)와 연결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의 홈(110)의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groove 110. The groove 110 may be an epoxy tank in which Ag epoxy is accommodated. The groove 110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groove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groove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100. A conductive member 90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The holder 100 may form an epoxy tank in which the conductive member 900 is accommodated. The conductive member 900 disposed in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e holder terminal 400 may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본 실시예에서 홀더(100)의 일부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와 렌즈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홈(110)에 형성되는 Ag 에폭시 탱크가 측방 4면이 모두 막혀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에폭시 도포량 조절 실패에 따른 단락(short)의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4개의 측면과 바닥면까지 총 5개의 면이 Ag 에폭시에 접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안정적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holder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and the lens module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rough this, the Ag epoxy tank formed in the groove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ll four sides are block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fear of a short due to a failure to control the amount of epoxy appli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 total of five surfaces, including four side surfaces and a bottom surface, are in contact with the Ag epoxy, it may be stable against external impact.

홀더(100)는 단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20)는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단차부(120)는 홀더(100)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20)에는 커버(800)의 측판(820)이 배치될 수 있다. 단차부(120)는 커버(800)의 측판(820)과 광축에 평행한 방향(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120. The step portion 120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holder 100. The stepped portion 1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100. The side plate 820 of the cover 800 may be disposed on the stepped portion 120. The step portion 120 may overlap the side plate 820 of the cover 8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vertical direction).

홀더(100)는 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30)은 홀더(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30)은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홀더단자(400)의 측면까지 함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홈(130)은 홀더단자(4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groove 130. The groove 13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der 100. The groove 130 may be recessed from the side of the holder 100 to the side of the holder terminal 400. Through this, the groove 130 may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terminal 400.

홀더(100)는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홀(140)은 홀더(100)를 광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홀일 수 있다. 홀(140)에는 렌즈 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hole 140. The hole 140 may be a hollow hole penetrating the holder 1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lens module 20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140.

홀더(100)는 격벽(15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50)은 Ag 에폭시가 수용되는 에폭시 탱크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격벽(150) 사이에는 에폭시 탱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폭시 탱크는 홀더(100)의 상면과 내측면으로부터 격벽(150)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는, 에폭시 탱크는 홀더(100)의 일부가 함몰되는 홈(160)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격벽(150) 사이에는 에폭시가 수용되는 공간인 에폭시 탱크가 형성되고 이 부분을 홈(160)이라 할 수 있다. 격벽(150) 사이에는 통전부재(900)가 배치될 수 있다. 격벽(150) 사이에는 Ag 에폭시가 배치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150. The partition wall 1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form an epoxy tank in which Ag epoxy is accommodated. That is, an epoxy tank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poxy tank may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by protruding the partition wall 150 from the upper and inner surfaces of the holder 100. Alternatively, the epoxy tank may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by a groove 160 in which a part of the holder 100 is depressed. In this embodiment, an epoxy tank, which is a space in which epoxy is accommodated,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50 and this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groove 160. A conducting member 9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50. Ag epoxy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50.

홀더(100)는 기둥(17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170)은 홀더(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기둥(170)은 홀더(100)의 4개의 코너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기둥(170)은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200)과 가변렌즈부(30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둥(170)은 커버(8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pillar 170. The pillar 17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pillar 170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holder 100. The four pillars 170 may prevent the lens module 200 and the variable lens unit 300 disposed therein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illar 17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800.

카메라 장치는 렌즈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홀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홀더(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홀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lens module 200. The lens module 200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100. The lens module 200 may be disposed in the holder 100. The lens module 200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100.

렌즈 모듈(200)은 렌즈 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렌즈 배럴일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홀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홀더(1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내부에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렌즈 홀더(210)의 내주면은 렌즈(22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lens holder 210. The lens holder 210 may be a lens barrel. The lens holder 210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100. The lens holder 210 may be disposed on the holder 100. The lens holder 210 may accommodate a lens t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220. The lens holder 21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렌즈 홀더(210)는 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홈(211)은 회피부 또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홈(211)은 렌즈 모듈(200)의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홈(211)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홈(211)에는 렌즈 모듈(200)에 액체렌즈 홀더(320)를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 홀더(320) 크기의 최소화에 따라 렌즈 모듈(200)과 액체렌즈 홀더(320) 사이의 접착제 도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렌즈 홀더(210)에 홈(211)을 형성할 수 있다.The lens holder 210 may include a groove 211. The groove 211 may include an avoiding portion or an incision. The groove 211 may be formed at a corner of the lens module 200. The groove 211 may expos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An adhesive for fixing the liquid lens holder 320 to the lens module 20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211. In this embodiment, a groove 211 is formed in the lens holder 210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between the lens module 200 and the liquid lens holder 320 according to the minimization of the siz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I can.

렌즈 홀더(210)는 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2)은 가변렌즈부(300)가 배치되는 액체렌즈 수용홀일 수 있다. 홀(212)에는 가변렌즈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홀(212)은 가변렌즈부(300)의 높이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홀(212)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의 홀(212)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홀(212)은 액체렌즈(310)의 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21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ns holder 210 may include a hole 212. The hole 212 may be a liquid lens receiving hole in which the variable lens unit 300 is disposed. A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212. The hole 212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by a predetermined size. The hole 212 may penetrate the lens module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liquid lens 310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hole 212 of the lens module 20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hole 212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212a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렌즈 모듈(200)은 렌즈(2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20)는 렌즈 홀더(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렌즈는 플라스틱 렌즈일 수 있다. 렌즈(2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20)는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렌즈(221)는 액체렌즈(3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렌즈(222)는 액체렌즈(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 각각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렌즈(221)는 3매 또는 2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하부 렌즈(222)는 2매 또는 3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부 렌즈(221)의 렌즈 매수와 하부 렌즈(222)의 렌즈 매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 렌즈(220), 상부 렌즈(221) 및 하부 렌즈(222)를 도시하였으나 해당 도면부호가 도면에서 지칭하는 바는 렌즈가 아닌 렌즈가 수용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The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lens 220. The lens 220 may be disposed in the lens holder 210. The lens may be a solid lens. The lens can be a plastic lens. The lens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The lens 220 may include an upper lens 221 and a lower lens 222. The upper lens 221 may be disposed above the liquid lens 310. The lower lens 222 may be disposed under the liquid lens 310. Each of the upper lens 221 and the lower lens 2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The upper lens 221 may include 3 or 2 lenses, and the lower lens 222 may include 2 or 3 lenses. However, the number of lenses of the upper lens 221 and the number of lenses of the lower lens 222 are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the lens 220, the upper lens 221, and the lower lens 222 are shown in the drawing, what th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in the drawing may correspond to a space in which the lens is accommodated, not the lens.

카메라 장치는 가변렌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모듈(200)과 결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홀더(210)와 결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홀더(210)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홀더(100)와 이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220) 및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모듈(20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variable lens unit 30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lens module 20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lens holder 21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disposed on the lens holder 21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10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aligned with the lens 220 and the image sensor.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lens modul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가변렌즈부(300)는 가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초점 가변렌즈일 수 있다. 가변렌즈는 초점(focus)이 조절되는 렌즈일 수 있다. 초점은 렌즈의 이동 및/또는 렌즈의 형상 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액체렌즈(310),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 SMA(shape memory alloy) 액츄에이터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include a variable lens. The variable lens may be a variable focus lens. The variable lens may be a lens whose focus is adjusted. The focus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lens and/or changing the shape of the lens. The variable len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lens 310, a polymer lens, a liquid crystal lens, a voice coil motor (VCM) actuator, a shape memory alloy (SMA) actuator, and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actuator.

액체렌즈(310)는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 및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는 액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와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멤브레인을 가압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렌즈(3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lens 310 including one type of liquid and a liquid lens 310 including two types of liquid. The liquid lens 310 including one type of liquid may change the focus by adjusting a membran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focus by pressing the membrane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coil. The liquid lens 310 including two types of liquids may include a conductive liquid and a non-conductive liquid. In this case, the focus may be changed by adjusting the interface formed by the conductive liquid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us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lens 310.

폴리머 렌즈는 고분자 물질을 피에조 등의 구동부를 통해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 렌즈는 전자기력에 의해 액정을 제어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VCM 액츄에이터는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을 통해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SMA 액츄에이터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MEMS 액츄에이터는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전압 인가시 발생되는 정전기력을 통해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polymer lens can change the focus by controlling the polymer material through a driving unit such as piezo. The liquid crystal lens can change the focus by controlling the liquid crystal by electromagnetic force. The VCM actuator may change focus by moving a solid lens or a lens assembly including a solid lens through an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a magnet and a coil. The SMA actuator can change the focus by moving a solid lens or a lens assembly including a solid lens using a shape memory alloy. The MEMS actuator may change a focus by moving a solid lens or a lens assembly including a solid lens through an electrostatic force generated when voltage is applied.

가변렌즈부(300)는 액체렌즈(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액체렌즈 홀더(3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복수의 렌즈(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의 홀(212)에 배치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include a liquid lens 310. The liquid lens 310 may be disposed on the lens module 200. The liquid lens 310 may be disposed in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liquid lens 3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220. The liquid lens 3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lens 221 and the lower lens 222. The liquid lens 31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212 of the lens module 200.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초점 거리가 조정되는 액체렌즈(310)는 단자(311)를 통해서 동작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310)의 단자(311)는 개별단자(311-1)와 공통단자(311-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311-1)는 액체렌즈(310)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4개의 개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311-1)는 액체렌즈(3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개별단자(311-1)는 상부단자로 호칭될 수 있다. 공통단자(311-2)는 액체렌즈(310)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4개의 공통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단자(311-2)는 액체렌즈(3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통단자(311-2)는 하부단자로 호칭될 수 있다. 개별단자(311-1)와 공통단자(311-2)를 통해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렌즈영역에 배치된 도전성 액체와 비도전성 액체의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The liquid lens 310 whose focal length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driving voltage may receive an operating voltage through the terminal 311. The terminal 311 of 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n individual terminal 311-1 and a common terminal 311-2. The individual terminals 311-1 may include four individual terminals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liquid lens 310. Individual terminals 311-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In this case, the individual terminal 311-1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terminal. The common terminal 311-2 may include four common terminals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liquid lens 310. The common terminal 311-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In this case, the common terminal 311-2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terminal. When an operating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individual terminals 311-1 and the common terminal 311-2,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ductive liquid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disposed in the lens area may be deformed.

액체렌즈(310)는 고체렌즈와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 사이의 이격 공간에 에폭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 사이의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이 수행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 사이의 액티브 얼라인은 아래의 단계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에 배치하고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의 어셈블리를 마스터 센서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가상의 격자 무늬 상에서 액체렌즈(310)를 이동시키며 액체렌즈(310)에 복수의 코드에 할당된 전압을 인가하면서 마스터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이 결정되면 액체렌즈(310)를 해당 지점에 위치시켜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에 접착하는 에폭시를 자외선을 통해 가경화할 수 있다. 이후, 열을 통해 에폭시를 본경화하여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에 고정할 수 있다.The liquid lens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olid lens. In this embodiment, epoxy may be applied 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In this case, active alignment between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may be performed. Active alignment between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liquid lens 310 may be disposed on the solid lens, and the assembly of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may be disposed on the master sensor. Thereafter, while moving the liquid lens 310 on the virtual grid pattern and applying voltages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codes to the liquid lens 310, the point where the amount of light sensed by the master sensor is greatest may be determined. When the point where the amount of light is the largest is determined, the liquid lens 310 may be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to temporarily cure the epoxy bonding the liquid lens 310 to the solid lens through ultraviolet rays. Thereafter, the liquid lens 310 may be fixed to the solid lens by curing the epoxy through heat.

한편,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에 고정하여 형성된 렌즈 유닛을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액티브 얼라인할 수 있다. 렌즈 유닛을 가상의 격자 무의 상에서 이동시키며 액체렌즈(310)에 복수의 코드에 할당된 전압을 인가하면서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을 결정하고 해당 지점에 렌즈 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에폭시를 이용한 가경화와 본경화를 통해 렌즈 유닛이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a lens unit formed by fixing the liquid lens 310 to the solid lens may be actively aligned with the image sensor. The lens unit is moved on a virtual grid and a voltage allocated to a plurality of codes is applied to the liquid lens 310, and a poin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image sensor can be determined and the lens unit can be fixed at the point. . In this case, the lens unit may be fixed in place through temporary curing and main curing using epoxy, similar to the combination of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나아가, 위에서는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를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의 조립체를 이미지 센서와 액티브 얼라인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고체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이후 액체렌즈(310)를 액티브 얼라인할 수도 있고, 액체렌즈(310)와 이미지 센서를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고체렌즈를 액티브 얼라인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above,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are first active-aligned, and the assembly of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is described as active alignment with the image sensor, but the solid lens and the image sensor are first active-aligned. Then, the liquid lens 310 may be active-aligned, or the liquid lens 310 and the image sensor may be first active-aligned and the solid lens may be active-aligned.

액체렌즈(310)의 일측은 개별단자(311-1)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310)의 다른 일측은 공통단자(311-2)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1-1)는 개별 전극이고 공통단자(311-2)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1-1)는 공통 전극이고 공통단자(311-2)는 개별 전극일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개별단자(311-1)와 공통단자(311-2)에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의해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AF 기능 및 OIS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liquid lens 310 may receive a voltage from the individual terminal 311-1. The other side of the liquid lens 310 may receive a voltage from the common terminal 311-2. In this embodiment, the individual terminal 311-1 of the liquid lens 310 may be an individual electrode and the common terminal 311-2 may be a common electrode. Alternatively, the individual terminal 311-1 of the liquid lens 310 may be a common electrode and the common terminal 311-2 may be an individual electrode. In the liquid lens 310, an interface formed between the conductive liquid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may be deformed by the current and/or voltage applied to the individual terminals 311-1 and the common terminal 311-2. Through this, any one or more of an AF function and an OIS function may be performed.

액체렌즈(310)는 단자(3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311)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311)는 액체렌즈(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별단자(311-1)와, 액체렌즈(3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통단자(311-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311-1)와 공통단자(311-2) 각각은 액체렌즈(310)의 4개의 코너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 terminal 311. The terminal 3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terminal 311 may include an individual terminal 311-1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and a common terminal 311-2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Each of the individual terminals 311-1 and the common terminals 311-2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liquid lens 310.

가변렌즈부(300)는 액체렌즈 홀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액체렌즈(310)와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은 홀더(100)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내부에는 액체렌즈(310)가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에는 제1 내지 제3연결단자(500, 600, 700)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가변렌즈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 홀더에 대한 설명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include a liquid lens holder 320.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be combined with the liquid lens 310.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A liquid lens 3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quid lens holder 320. First to third connection terminals 500, 600, and 70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liquid lens holder 320 by insert injection.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include a variable lens holder. As for the description of the variable lens holder, the description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be applied by analogy.

카메라 장치는 홀더단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에 인서트(insert)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의 홈(110)의 바닥면의 일부에 노출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제1 내지 제3연결단자(500, 600, 700)와 기판(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holder terminal 400. The holder terminal 400 may be disposed on the holder 100. The holder terminal 40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holder 100 through insert injection. The holder terminal 400 may be exposed o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The holder terminal 4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terminals 500, 600, and 700 to the substrate 10.

홀더단자(400)는 제1-1단자(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단자(410)는 제1연결단자(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단자(410)는 제1부분(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단자(410)의 제1부분(411)은 홀더(10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1-1단자(410)의 제1부분(411)의 상면은 홀더(100)의 홈(11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단자(410)는 제2부분(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412)은 제1부분(411)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412)의 하단은 기판(10)의 단자(11)에 솔더(solder)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hold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1-1th terminal 410. The 1-1 terminal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The 1-1 terminal 410 may include a first part 411. The first part 411 of the 1-1 terminal 410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art 411 of the 1-1 terminal 41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The 1-1 terminal 410 may include a second portion 412. The second portion 412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portion 411.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 412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of the substrate 10 through solder.

홀더단자(400)는 제1-2단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단자(420)는 제2연결단자(600) 및 제3연결단자(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2단자(420)는 제1부분(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단자(420)의 제1부분(421)은 홀더(10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1-2단자(420)의 제1부분(421)의 상면은 홀더(100)의 홈(11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단자(420)는 제2부분(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422)은 제1부분(421)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422)의 하단은 기판(10)의 단자(11)에 솔더(solder)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hold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1-2 terminal 420. The 1-2 terminal 4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and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The 1-2 terminal 420 may include a first part 421. The first portion 421 of the 1-2 terminal 420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421 of the 1-2 terminal 42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The 1-2 terminal 420 may include a second part 422. The second portion 422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portion 421.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 422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of the substrate 10 through solder.

본 실시예에서 제1-1단자(410)의 제1부분(411)은 제1-2단자(420)의 제1부분(421)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연결단자(500)의 하단이 제2 및 제3연결단자(600, 700)의 하단보다 아래까지 연장되기 때문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411 of the terminal 1-1 41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421 of the terminal 1-2. This may be because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extends below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terminals 600 and 700.

카메라 장치는 제1연결단자(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부(3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310)와 홀더단자(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일부의 측면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일부는 가변렌즈부(3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홀더단자(400)와 통전부재(9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 홀더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unit 30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liquid lens 310 and the holder terminal 40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rough insert injection. A side surface of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and the conductive member 90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variable lens holder.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 홀더(3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단자(500)는 수직으로 내려오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단자(500)의 형상에 의해 제1연결단자(500)의 하단이 담기는 에폭시 탱크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도 최소화되므로 카메라 장치의 수평방향으로의 사이즈가 최소화될 수 있다. 다만, 홀더(100)의 양측 코너 사이의 측부는 폭이 좁아 에폭시 탱크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제1연결단자(500)는 코너 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have a structure that descends vert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space required to form an epoxy tank contain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is minimized by 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so that the size of the camera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minimized. have. However, since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between the two corners of the holder 100 is narrow, the epoxy tank cannot be formed, s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disposed on the corner side.

제1연결단자(500)는 제1영역(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510)은 가변렌즈부(3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영역(510)은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510)은 가변렌즈부(300)의 상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1영역(510)은 가변렌즈의 개별단자(31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영역(510)은 가변렌즈 홀더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510. The first region 5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he first region 5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The first region 510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he first region 510 may be coupled to the individual terminal 311-1 of the variable lens. The first region 510 may extend inside the variable lens holder.

변형례에서, 제1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부(3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홀더단자(400)와 통전부재(90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 modified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holder terminal 400 and the energizing member 900.

제1연결단자(500)의 제1영역(510)은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제1부분(511)과, 제1부분(51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가변렌즈의 단자(311)와 연결되는 제2부분(5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gion 51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extends inward from the first portion 511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the first portion 511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311 of the variable lens. A second portion 512 may be included.

제1연결단자(500)는 제2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제1연결단자(500)의 제1영역(510)에서 광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홀더단자(4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홀더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역(520)은 제1연결단자(500)의 제1영역(510)에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제2영역(520)의 일부는 홀더(100)의 홈(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520)의 일부는 홀더단자(400)와 통전부재(9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include a second region 520.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exten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first region 51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e second region 520 may be bent and extended in the first region 51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52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520 may be coupled by the holder terminal 400 and the conductive member 900.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가변렌즈부(300)의 측면에서 노출되고 가변렌즈부(300)의 하면보다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가변렌즈부(300)의 측면에서 노출되는 제3부분(521)과, 가변렌즈부(300)의 하면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제4부분(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렌즈 홀더(2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제1부분(511)과 제3부분(5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511)과 제3부분(521)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511)과 제3부분(521)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expos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and exten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includes a third portion 521 exposed from the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and a fourth portion extending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522) may be include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520 may overlap the lens holder 2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511 and a third portion 521. The first portion 511 and the third portion 521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first portion 511 and the third portion 521 may be fix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제1부분(511)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분(521)은 제1부분(51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3부분(521)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art 51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third portion 521 may extend from the first portion 511. The third portion 521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단자(500)의 제3부분(521)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홀더(100)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3부분(5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커버(800)를 제거하고 측방에서 보았을 때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부분(521)은 액체렌즈(310)를 렌즈 모듈(200) 및/또는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align)하는 과정에서 액체렌즈(31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포고 핀(pogo pin)이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portion 521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not overlap the holder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third part 521 may be disposed so as to be visible when viewed from the side after removing the cover 800 from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part 521 is a pogo pin to apply current to the liquid lens 310 in the process of aligning the liquid lens 310 with the lens module 200 and/or the image sensor. It may be a contact part.

제1연결단자(500)는 제4부분(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부분(522)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영역(520)은 제1영역(510)의 제1부분(511)에서 광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부분(522)은 홀더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부분(522)은 홀더(100)의 홈(110)에 배치된 통전부재(9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부분(522)의 말단은 홀더(100)의 홈(110)에 배치된 통전부재(900)에 담그어질 수 있다. 제2영역(520)은 제1영역(510)의 제1부분(511)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include a fourth portion 522. The fourth part 522 may extend below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econd region 520 may exten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first portion 511 of the first region 510. The fourth part 5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e fourth part 522 may be connected to the energizing member 900 disposed in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The end of the fourth portion 522 may be immersed in the energizing member 900 disposed in the groove 110 of the holder 100. The second region 520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rtion 511 of the first region 510.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렌즈 모듈(20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렌즈 홀더(320)보다 측방으로 돌출되는 홀더(100)의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렌즈 홀더(2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변렌즈부(300)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렌즈(22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홀더(100)와 광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광축에 수직인 방향은 수평방향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단자(500)는 제1연결단자(500)의 하단부가 렌즈 모듈(200)과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정도까지 곧게 연장되어 통전부재(900)와 연결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수평방향으로의 사이즈는 축소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는 렌즈 모듈(200)의 홀(212)의 바닥면(212a)보다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overlap the lens module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rough this, the width of the holder 100 protruding laterally than the liquid lens holder 320 can be minimize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overlap the lens holder 2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overlap with the lens 220 disposed below the variable lens unit 3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overlap the holder 1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Here,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may correspond to some of the horizontal direction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extends straight to the extent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overlap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s module 200 and the optical axis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mber 900. The size of the camera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duce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520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extend below the bottom surface 212a of the hole 212 of the lens module 200.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단자(500)를 코너 측으로 몰고 홀더(100) 측에 Ag 에폭시 탱크를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제1연결단자(500)의 단부를 Ag 에폭시에 담그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의 제1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1단자와, 가변렌즈의 제2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is driven toward the corner and an Ag epoxy tank is formed on the holder 100 side, and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mmersed in Ag epoxy. can d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disposed in a first corner area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in a second corner area of the variable lens.

제1연결단자(500)는 제2부분(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512)은 제1부분(51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512)은 액체렌즈(310)의 단자(3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부분(512)은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1-1)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2부분(512)는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1-2)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may include a second portion 512. The second portion 512 may extend in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511. The second part 512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311 of the liquid lens 310. The second part 512 may be connected to the individual terminal 311-1 of the liquid lens 31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Alternatively, the second part 512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311-2 of the liquid lens 31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카메라 장치는 제2연결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가변렌즈부(3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제1연결단자(5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310)를 기준으로 제1연결단자(5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310)와 홀더단자(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제1연결단자(500)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lens holder 3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with respect to the liquid lens 310.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liquid lens 310 and the holder terminal 400.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본 실시예에서 제2연결단자(600)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렌즈 홀더(210)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렌즈 모듈(200)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렌즈(310), 액체렌즈 홀더(320) 및 제1 내지 제3연결단자(500, 600, 700)이 결합된 형태의 가변렌즈부(300)를 렌즈 모듈(200)의 홀(212)에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 변형례로, 액체렌즈 홀더(32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연결단자(500)와 제2연결단자(600), 제3연결단자(700)가 모두 렌즈 모듈(200)과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되는 경우라면 가변렌즈부(300)에 제1 내지 제3연결단자(500, 600, 700)까지 모두 결합한 후 렌즈 모듈(200)에 조립할 수는 없다. 이 경우 액체렌즈(310)와 액체렌즈 홀더(320)만 렌즈 모듈(200)의 홀(212)에 삽입한 후에 제1 내지 제3연결단자(500, 600, 7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후 조립해야 한다. 다만, 변형례에서 제2연결단자(600)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렌즈 홀더(210)와 오버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not overlap with the lens holder 2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not overlap with the lens module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rough this, the variable lens unit 300 in which the liquid lens 310, the liquid lens holder 320, and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terminals 500, 600, and 700 are combined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lens module 200 ( 212) can be inserted horizontally to assemble. As a modificatio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and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overlap the lens modul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f this is the case, it is not possible to assemble the lens module 200 after all of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terminals 500, 600, and 700 are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unit 300. In this case, after inserting only the liquid lens 310 and the liquid lens holder 320 into the hole 212 of the lens module 200,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terminals 500, 600, 700 are then assembled. Should be. However, in the modified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overlap the lens holder 2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제2연결단자(600)는 가변렌즈부(300)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1영역(610)과, 제2연결단자(600)의 제1영역(610)으로부터 연장되어 가변렌즈부(300)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2영역(620)과, 제2연결단자(600)의 제2영역(620)으로부터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홀더단자(400)의 일부와 광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제3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extends from the first region 61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and the first region 610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to the variable lens unit 300. )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second area 62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area 620 and the second area 620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to a part of the holder terminal 400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It may include a third area 630 that overlaps.

제1영역(610)은 제1부분(611)과 제2부분(6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611)과 제2영역(620)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611)과 제2영역(620)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부분(611)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620)은 제1부분(6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영역(620)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61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611 and a second portion 612. The first portion 611 and the second region 620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first portion 611 and the second region 620 may be fix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first part 61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econd region 620 may extend from the first portion 611. The second region 62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본 실시예에서 제2연결단자(600)의 제2영역(620)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홀더(100)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영역(6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커버(800)를 제거하고 측방에서 보았을 때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620)은 액체렌즈(310)를 렌즈 모듈(200) 및/또는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align)하는 과정에서 액체렌즈(31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포고 핀(pogo pin)이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region 620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not overlap with the holder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second area 620 may be disposed to be visible when viewed from the side after removing the cover 800 from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region 620 includes a pogo pin to apply current to the liquid lens 310 in the process of aligning the liquid lens 310 with the lens module 200 and/or the image sensor. It may be a contact part.

제2연결단자(600)는 제3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630)은 제2영역(62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영역(630)은 일부가 홀더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영역(630)은 홀더(100)의 격벽(150) 사이에 배치되는 통전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영역(630)은 통전부재를 통해 홀더단자(4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include a third area 630. The third area 630 may extend outward from the second area 620. Part of the third area 6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e third area 630 may be connected to a conduct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50 of the holder 100. The third area 630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제2연결단자(600)는 제2부분(6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612)은 제1부분(61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612) 액체렌즈(310)의 단자(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부분(612)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1-1)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2부분(612)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1-2)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include a second portion 612. The second portion 612 may extend in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611. The second part 6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311 of the liquid lens 310. The second part 612 may be connected to the individual terminal 311-1 of the liquid lens 31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Alternatively, the second portion 612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311-2 of the liquid lens 31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본 실시예로서 제1연결단자(500)는 1회 절곡된 형상을 갖고 제2연결단자(600)는 2회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례로서 제1연결단자(500)가 2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연결단자(600)가 제1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1연결단자(500)와 제2연결단자(600) 모두가 1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단자(500)와 제2연결단자(600) 각각은 제1영역(510)과 제2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연결단자(500)와 제2연결단자(600) 모두가 2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단자(500)와 제2연결단자(600) 각각은 제1영역(610), 제2영역(620) 및 제3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has a shape that is bent once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has a shape that is bent twice, but as a modified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is 2 It may have a shape that is bent twice,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have a shape that is first bent. Furthermore, bo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have a shape bent once.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510 and a second region 520. Alternatively, bo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have a shape bent twice.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610, a second region 620, and a third region 630.

카메라 장치는 제3연결단자(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는 가변렌즈부(3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제1연결단자(5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는 액체렌즈(310)를 기준으로 제1연결단자(5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는 액체렌즈(310)와 홀더단자(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는 제1연결단자(500) 및 제2연결단자(600)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는 연결단자(750)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lens holder 3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with respect to the liquid lens 31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liquid lens 310 and the holder terminal 40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750.

제3연결단자(700)는 연결단자(75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영역(710)과, 가변렌즈부(300) 내에 배치되는 제2영역(720)과, 가변렌즈부(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의 제1영역(710)과 연결단자(750)는 서로 마주보게 노출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의 제1영역(710)은 제3연결단자(700)의 제2영역(7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의 제2영역(720)은 제3연결단자(700)의 제3영역(7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의 제2영역(720)은 U자 형태일 수 있다. 제3연결단자(700)는 제2영역(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720)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720)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영역(720)은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720)의 적어도 일부는 U자 형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영역(720)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는 후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includes a first region 710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750, a second region 720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unit 300, and the variable lens unit 300. A third area 730 protruding outward may be included. The first area 71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75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ex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region 71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72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The second region 72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region 73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The second region 72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have a U-shaped shape.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include a second region 720. The second region 720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econd area 720 may be fix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econd region 720 may include a bent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720 may be bent in a U shape. The second area 720 may include a hook shape that increases a fixing force for the liquid lens holder 320.

본 실시예에서 제3연결단자(700)의 제2영역(720)의 외측면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홀더(100)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영역(720의 외측면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커버(800)를 제거하고 측방에서 보았을 때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720)의 외측면은 액체렌즈(310)를 렌즈 모듈(200) 및/또는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align)하는 과정에서 액체렌즈(31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포고 핀(pogo pin)이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72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not overlap with the holder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720 may be disposed to be visible when viewed from the side after removing the cover 800 in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720 is the liquid lens 310. In the process of aligning with the lens module 200 and/or the image sensor, a pogo pin may be in contact with the liquid lens 310 to apply current.

제3연결단자(700)는 제3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730)은 제2영역(72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영역(730)은 일부가 홀더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영역(730)은 홀더(100)의 격벽(150) 사이에 배치되는 통전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영역(730)은 통전부재를 통해 홀더단자(4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include a third area 730. The third area 730 may extend outward from the second area 720. A part of the third area 7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e third region 730 may be connected to a conduct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50 of the holder 100. The third region 730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제3연결단자(700)는 제1영역(7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710)은 제2영역(720)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영역(710)은 액체렌즈(310)의 단자(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710)은 공통단자(311-2)와 연결되는 연결단자(750)에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710. The first region 710 may extend inward from the second region 720. The first region 7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311 of the liquid lens 310. The first region 71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750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311-2.

카메라 장치는 연결단자(7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단자(750)는 액체렌즈(310)의 단자(311)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단자(750)는 액체렌즈(310)의 4개의 공통단자(311-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단자(750)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단자(500)는 4개의 개별단자(311-1) 중 2개의 개별단자에 연결되고 제2연결단자(600)는 4개의 개별단자(311-1) 중 나머지 2개의 개별단자에 연결되고 제3연결단자(700)는 4개의 공통단자(311-2)를 연결하는 연결단자(750)에 연결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750. The connection terminal 75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311 of the liquid lens 310. The connection terminal 750 may connect the four common terminals 311-2 of the liquid lens 310. The connection terminal 750 may be a leaf spring.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00 is connected to two of the four individual terminals 3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00 is the remaining two of the four individual terminals 311-1. It is connected to an individual terminal, and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70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750 connecting the four common terminals 311-2.

카메라 장치는 커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홀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홀더(100)의 단차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800)의 측판(820)의 내면은 홀더(100)의 측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800)는 렌즈 모듈(20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800)는 카메라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8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8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기판(1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8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8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8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ver 800. The cover 800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100. The cover 800 may be disposed on the stepped portion 120 of the holder 100.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820 of the cover 800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holder 100 by an adhesive. The cover 800 may accommodate a part of the lens module 200 therein. The cover 80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amera device. The cover 8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The cover 800 may be non-magnetic. The cover 8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cover 80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The cover 80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of the substrate 10. Through this, the cover 800 may be grounded. The cover 800 may block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In this case, the cover 800 may be referred to as'EMI shield can'.

커버(800)는 상판(810)과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홀을 포함하는 상판(810)과, 상판(810)의 외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800 may include an upper plate 810 and a side plate 820. The cover 800 may include a top plate 810 including a hole, and a side plate 8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op plate 810.

카메라 장치는 통전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900)는 Ag 에폭시(epoxy)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900)는 전도성일 수 있다. 통전부재(900)는 홀더(100)에 형성되는 에폭시 탱크에 배치될 수 있다. 통전부재(900)는 단자 간의 결합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통전부재(900)는 점성을 가질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nductive member 900. The conducting member 900 may include Ag epoxy. The conductive member 900 may be conductive. The conducting member 900 may be disposed in an epoxy tank formed in the holder 100. The conducting member 900 may be disposed for coupling between terminals. The conductive member 900 may have viscosit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Claims (30)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가변렌즈부;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
상기 가변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연결단자; 및
상기 홈에 배치되는 통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일부는 상기 가변렌즈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단자와 상기 통전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
A holder having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lens holder coupled to the holder;
A variable lens unit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 holder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unit; And
Including a conductive member disposed in the groove,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extends to an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by the electric curren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는 액체렌즈,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 SMA(shape memory alloy) 액츄에이터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인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lens unit is any one of a liquid lens, a polymer lens, a liquid crystal lens, a voice coil motor (VCM) actuator, a shape memory alloy (SMA) actuator, and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는 액체렌즈와, 상기 액체렌즈와 결합되는 액체렌즈 홀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lens unit includes a liquid lens and a liquid lens holder coupled to the liquid lens.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가변렌즈를 포함하는 가변렌즈부;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 및
상기 가변렌즈부와 결합되고 상기 홀더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광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holder;
A lens holder coupled to the holder;
A variable lens unit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nd including a variable lens;
A holder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lder terminal. Camera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제1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제2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terminal disposed in a first corner area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in a second corner area of the variable le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가변렌즈부의 측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가변렌즈부의 하면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exposed from a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extends below a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변렌즈부의 상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에서 절곡 연장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expos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일부는 상기 홈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단자와 통전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holder includes a groove,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in the groove and is coupled to the holder terminal by an electric current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부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변렌즈부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상기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단자의 일부와 상기 광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the second And a third area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second area of the connection terminal to overlap a part of the holder termina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는 가변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변렌즈의 개별단자와 결합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variable lens unit includes a variable lens,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coupled to an individual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는 상기 가변렌즈와 결합되는 가변렌즈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variable lens unit includes a variable lens holder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렌즈 홀더와 오버랩되지 않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does not overlap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의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camera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a third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단자는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영역과, 상기 가변렌즈부 내에 배치되는 제2영역과, 상기 가변렌즈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region disposed within the variable lens unit, and a third reg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variable lens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연결단자는 서로 마주보게 노출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exposed to face each oth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과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hir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U자 형태인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area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is a U-shaped camera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과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3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절곡된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are bent from the second region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단자와 통전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by an electric current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렌즈 홀더와 오버랩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verlaps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는 가변렌즈 홀더와, 상기 가변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변렌즈의 단자와 연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1부분의 일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variable lens unit includes a variable lens holder and a variable lens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portion disposed o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first portion and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extends downward from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a camera device that does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variable lens hol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지 않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does not overlap the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부는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part of the holder is disposed between the lens holder and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홀더의 코너에 형성되어 상기 가변렌즈부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홈에는 상기 렌즈 홀더에 상기 가변렌즈부를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lens holder includes a groove formed at a corner of the lens holder to expose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An adhesive for fixing the variable lens unit to the lens holder is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on the lens holder,
The variable lens is a camera devic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홀더에 인서트(insert)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부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통전부재는 Ag 에폭시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terminal is integrally formed in the holder through insert injectio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integrally formed in the variable lens unit through insert injection,
The camera device including the conductive member is Ag epoxy.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의 일부의 측면은 상기 가변렌즈부의 측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28,
A side surface of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a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unit.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
상기 가변렌즈와 결합되는 가변렌즈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 및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상기 홀더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홀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홀은 상기 가변렌즈의 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광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홀의 상기 바닥면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카메라 장치.
holder;
A lens holder coupled to the holder;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on the lens holder;
A variable len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A variable lens holder coupled to the variable lens;
A holder terminal disposed on the holder; And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o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variable lens and the holder terminal,
The holder includes a groove formed by rec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The lens holder includes a hole penetrating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variable lens is disposed in the hole of the lens holder,
The hole of the lens holder includes a bottom surface facing a bottom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first region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lder terminal,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extends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of the lens holder.
KR1020190072231A 2019-06-18 2019-06-18 Camera device KR20200144329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31A KR20200144329A (en) 2019-06-18 2019-06-18 Camera device
PCT/KR2020/007840 WO2020256404A1 (en) 2019-06-18 2020-06-17 Camera device
CN202080058851.5A CN114424092B (en) 2019-06-18 2020-06-17 Camera device
US17/618,592 US20220357487A1 (en) 2019-06-18 2020-06-17 Camer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31A KR20200144329A (en) 2019-06-18 2019-06-18 Camera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29A true KR20200144329A (en) 2020-12-29

Family

ID=7409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31A KR20200144329A (en) 2019-06-18 2019-06-18 Camer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32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5567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N109477999B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921301B2 (en) Dual lens drive device,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20220137486A1 (en) Camera device
KR20190001299A (en) Camera module
US9769363B2 (en) Camera module with adhesive groove
CN115373192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90117217A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210405508A1 (en)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200002358A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KR20200002357A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KR20200144329A (en) Camera device
US20220113456A1 (en) Camera module
US20220357487A1 (en) Camera device
US20230350273A1 (en) Camera device
KR20200144330A (en) Camera device
KR20210033377A (en) Camera device
KR20200082210A (en) Camera device
KR102351717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KR102608429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KR20200144331A (en) Camera device
KR20210033378A (en) Camera device
CN113260919B (en) camera device
US20230291990A1 (en) Camera device
KR20220049929A (en) Lens driv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