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995A -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 Google Patents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995A
KR20200081995A KR1020180172082A KR20180172082A KR20200081995A KR 20200081995 A KR20200081995 A KR 20200081995A KR 1020180172082 A KR1020180172082 A KR 1020180172082A KR 20180172082 A KR20180172082 A KR 20180172082A KR 20200081995 A KR20200081995 A KR 20200081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cap
extension portion
stopper
sep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873B1 (ko
Inventor
권경중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테크놀로지
(주) 네추럴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테크놀로지, (주) 네추럴웨이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7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8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용기의 토출구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캡부,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분리막, 캡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의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변형부, 변형부와 결합되어 변형부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변형부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분리막을 절취하고 적어도 일부가 분리막의 하부까지 이동하고, 캡부의 내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확장연장부 및 확장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A 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본 발명은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부의 충분한 행정거리를 확보하면서도 많은 첨가제를 수용할 수 있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용기의 내부 공간과 구분되는 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기능성 마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개가 형성한 분리 공간에는 액상이나 분말 형태의 첨가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분리 공간이 개방되어 수용하고 있던 첨가제가 용기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분리 공간을 개방하고, 첨가제를 용기 내부로 투입시키는데 몇몇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분리 공간을 막는 분리막이 충분히 개방되지 않아 첨가제가 일부 분리 공간에 잔여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분리막을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서 상당히 큰 외력이 필요하여 노약자나 여성의 경우 쉽게 마개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한, 일부의 경우에는 마개의 구성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높고 일반 마개에 비해 부피가 크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1344480 B1
(특허문헌 2) KR10-2015-0103559 B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연장부의 충분한 행정거리를 확보하면서도 많은 첨가제를 수용할 수 있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캡부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분리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절취하여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적어도 일부가 용기의 토출구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분리막, 상기 캡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의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와 결합되어 상기 변형부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변형부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분리막을 절취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리막의 하부까지 이동하고, 상기 캡부의 내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확장연장부 및 상기 확장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부, 상기 분리막, 상기 변형부 및 상기 지지부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는 분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 및 상기 지지부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부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용기의 토출구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된 외경부보다 상기 지지부와 결합된 내경부가 더 상부에 위치하여 있다가 상하 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외경부보다 상기 내경부가 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연장부는 하방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연장부를 연결하는 상부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확장연장부 및 수직연장부보다 상기 내부 공간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심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연장부를 연결하는 상부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연장부는 상기 상부연장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장부와 상기 중심연장부는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확장연장부는 상기 상부연장부와 상기 중심연장부가 연결된 것에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의 하단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중심연장부의 하단은 연장부 중 처음으로 상기 분리막과 접촉하여 상기 분리막을 절취하고,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은 절취된 분리막을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절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상단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는 하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연장부는 일부의 단부가 다른 일부의 단부보다 상기 캡부의 내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일부가 다른 일부보다 상기 캡부의 내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절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이 아닌 부분에 결합되고, 절취된 분리막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직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은 연장부 중 처음으로 상기 분리막과 접촉하여 상기 분리막을 절취하고, 상기 푸쉬부는 절취된 분리막을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수직연장부의 외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하단은 상기 다른 일부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상기 캡부의 내부면 중 일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캡부의 내부 공간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하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부, 상기 변형부 및 상기 지지부는 한 번의 성형으로 형성된 제1 피스를 구성하고, 상기 연장부는 한 번의 성형으로 형성된 제2 피스를 구성하고, 상기 제2 피스는 상기 제1 피스의 지지부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에는 상기 중심연장부의 하부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절취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연장부의 충분한 행정거리를 확보하면서도 많은 양의 첨가제를 수용함에 따라 첨가제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휴대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캡부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분리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절취하여 분리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배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절취부가 분리막을 절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푸쉬부가 분리막을 밀어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절취부가 분리막을 절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푸쉬부가 분리막을 밀어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는 캡부(110), 분리막(120), 절취조절부(130), 연장부(140), 외캡부(150) 및 보호부(160)를 포함한다.
캡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용기(1)의 토출구(2)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캡부(110)는 상부캡부(111) 및 하부캡부(112)를 포함한다.
하부캡부(112)는 용기(1)의 토출구(2) 내부에 삽입된다. 상부캡부(111)는 하부캡부(11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부캡부(111)와 하부캡부(112)는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부(111)와 하부캡부(112)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캡부(111)의 외경은 하부캡부(1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캡부(112)의 외경은 상부캡부(111)의 내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캡부(110)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수지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캡부(150)는 캡부(110)에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외캡부(150)는 상부캡부(111)의 외주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외캡부(150)는 용기(1)의 토출구(2)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캡부(150)의 내경은 캡부(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외캡부(150)와 캡부(110) 사이에는 용기(1)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외캡부(150)와 캡부(11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120)은 캡부(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분리막(120)은 캡부(110)의 개방된 하부를 막음으로써 캡부(110)와 분리막(120)이 이루는 내부 공간(S1)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캡부(110), 분리막(120), 후술되는 변형부(131) 및 지지부(132)는 서로 협력하여 용기(1)의 내부 공간(S1)과 분리되는 분리 공간(S2)을 형성한다.
이러한 분리막(120)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연장부(130)에 의해 절취됨에 따라 연장부(130)의 내부 공간인 분리 공간(S2)에 있던 첨가제(과립형 첨가제, 액상 첨가제, 입자형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함)를 용기(1)의 토출구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분리막(120)의 재질은 연장부(130)에 의해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는 박막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분리막(12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박막 또는 박막 성형 또는 진공 성형된 플라스틱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의 플라스틱 수지제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120)은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도록 연장부(140)가 절취하는 부분에 미리 절취 라인(L)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절취 라인(L)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120)을 절취하기 위한 연장부(140)의 일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절취 라인(L)은 분리막(120)의 중앙부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취 라인(L)은 홈 형태의 칼선일 수 있고, 관통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절취 라인(L)을 통하여 유체가 통과하지 못한다.
전술한 절취 라인(L) 이외에 다른 형태도 가능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절취조절부(130)는 변형부(131) 및 지지부(132)를 포함한다.
변형부(131)는 캡부(110)에서 내부 공간(S1)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변형부(131)는 캡부(110)와 결합된 외경부에서 후술할 지지부(132)와 결합된 내경부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변형부(131)의 외경부는 하부캡부(112)의 내주면과 접하는 변형부(131)의 일단이고, 변형부(131)의 내경부는 지지부(132)의 외측면과 접하는 변형부(131)의 타단이다.
초기 상태에서, 변형부(131)는 캡부(110)와 결합된 외경부보다 지지부(132)와 결합된 내경부가 더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변형부(131)는 지지부(132)의 외측면으로부터 하부캡부(112)의 내주면 상단까지 연결되면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다. 변형부(131)는 상하 방향의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된다. 변형부(131)는 상술한 초기 상태에서 상하 방향의 외력에 의해 외경부보다 내경부가 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변형부(131)는 하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지지부(132)에 가해지면, 지지부(132)를 따라 변형부(131)의 내경부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형부(131)는 외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기 위해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2)는 변형부(131)의 내경부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변형부(131) 및 지지부(132)는 서로 협력하여 내부 공간(S1)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한다.
지지부(132)는 변형부(131)와 결합되어 변형부(131)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한다. 지지부(132)는 변형부(131)와 일체로 형성되되, 변형부(131)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32)는 수평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형태는 변형되지 않고 위치만 수직 방향으로 변동될 수 있다.
지지부(132)는 연장부(140)의 상부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부(132)의 테두리에는 연장부(140)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지지부(132)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턱이 형성되어 연장부(140)의 상부를 고정시킨다.
지지부(132)는 소정의 크기가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부(132)에 연장부(140)가 결합되는데, 연장부(140)의 크기는 지지부(132)의 크기에 관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32)의 크기가 작으면 연장부(140)의 수평방향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장부(140)가 분리막(120)을 절취하는 면적이 감소하여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첨가제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지지부(132)의 크기는 변형부(131)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구체적으로, 캡부(110)의 내부 공간(S1)이 한정되어 있다면 지지부(132)의 크기가 커질수록 변형부(131)의 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그런데 변형부(131)의 크기는 지지부(132) 및 연장부(140)가 상하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행정거리와 관련된다. 즉, 변형부(131)의 크기가 클수록 상술한 행정거리가 증가한다. 일정 수준 이상의 연장부(140)의 행정거리가 확보되어야 연장부(140)가 분리막(120)을 원활하게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연장부(140)의 확장연장부(143)와 수직연장부(144)의 구조를 통해 지지부(132)의 크기와 연장부(140)의 행정거리를 모두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하였다. 연장부(140)의 확장연장부(143)와 수직연장부(144)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연장부(140)는 지지부(132)의 하부에 결합된다. 연장부(140)는 초기 상태에는 내부 공간(S1)에서 분리막(12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연장부(140)는 변형부(132)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분리막(120)을 절취하고 적어도 일부가 분리막의 하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연장부(140)는 상부연장부(141), 중심연장부(142), 확장연장부(143), 수직연장부(144), 푸쉬부(145) 및 절취부(146)를 포함한다.
상부연장부(141)는 지지부(132)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부연장부(141)는 지지부(132)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연장부(141)는 지지부(132)와 확장연장부(143)를 연결한다.
중심연장부(142)는 확장연장부(143) 및 수직연장부(144)보다 내부 공간(S1)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여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부연장부(14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중심연장부(142)의 하단은 수직연장부(142)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중심연장부(142)의 하단은 연장부(14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분리막(120)의 절취 라인(L)과 최초로 접하면서 절취 라인(L) 을 절취하게 된다. 그에 따라 분리막(120)의 중앙부 일부는 분리막(120)으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수직연장부(142)의 하단이 분리막(120)과 접하면서 분리막(120)을 밀어내게 된다.
중심연장부(142)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중심연장부(142)의 경사진 하면의 상단은 수직연장부(141)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한다.
나아가, 중심연장부(142)는 하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중심연장부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되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방부는 중심연장부(142), 확장연장부(143) 및 수직연장부(144)가 이루는 분리 공간(S2)에 있는 첨가제가 지지부(132), 상부연장부(141) 및 중심연장부(142)가 이루는 분리 공간(S2)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또한, 중심연장부(142)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절취부(146)가 형성된다. 절취부(146)는 중심연장부(142)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뽀족한 형상으로 분리막(120)을 쉽게 절취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절취부(146)의 형상은 날카로운 칼날이나 삼각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막(120)을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는 구조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절취부(146)는 1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연장부(142)의 경사진 하면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절취부(146)은 전술한 절취 라인(L)과 접하면서 분리막(120)의 중앙부를 절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취 라인(L)은 전술한 형태 이외에 절취부(146)으로부터 수직한 하부인 분리막(120)에 절취부(146)의 개수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상부연장부(141)와 중심연장부(142)는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확장연장부(143)는 지지부(132)의 하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확장연장부(143)는 상부연장부(141)를 통해 지지부(132)의 하부와 연결된다.
확장연장부(143)는 캡부(110)의 내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확장연장부(143)는 하방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확장연장부(143)는 상부연장부(141)와 중심연장부(142)가 연결된 것에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수직연장부(144)는 확장연장부(143)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수직연장부(144)는 상부연장부(141) 및 중심연장부(142)와 평행하면서 지지부(132)와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수직연장부(144)의 하단은 중심연장부(142)의 하단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수직연장부(144)의 상단부터 하단까지의 높이는 중심연장부(144)의 상단부터 하단까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연장부(144)의 하단은 절취된 분리막(120)을 하방으로 밀어낸다.
푸쉬부(145)는 수직연장부(144)의 하단에 해당한다. 푸쉬부(145)는 연장부(140)가 하방으로 이동할 시 중심연장부(142)에 의해 1차적으로 절취된 분리막(120)을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확장연장부(143)와 수직연장부(144)의 구조에 의해 지지부(132)의 크기가 작더라도 분리막(120)을 넓게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보호부(160)는 캡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캡부(110)의 내부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보호부(160)는 캡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둘러싸는 박막 형태의 필름일 수 있다. 보호부(160)는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가 판매되기 전에 절취조절부(130)이 외력에 의해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캡부(110), 변형부(131) 및 지지부(132)는 한 번의 성형으로 형성된 제1 피스를 구성하고, 연장부(140)는 한 번의 성형으로 형성된 제2 피스를 구성하고, 제2 피스는 제1 피스의 지지부(132) 부분과 결합된다.
도 2는 도 1의 절취부가 분리막을 절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가 절취부에 의해 분리막이 절취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장부(140)의 분리 공간(S2)에는 첨가제가 채워져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호부(160)를 제거한 후 절취조절부(130)에 하방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132)와 연결된 변형부(131)의 내경부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지지부(132)와 연결된 연장부(14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심연장부(142)의 하단인 절취부(146)은 연장부(140) 중 처음으로 분리막(120)과 접촉하여 분리막(120)을 절취한다.
도 3은 도 1의 푸쉬부가 분리막을 밀어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가 절취부에 의해 분리막이 절취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막(120)이 절취된 상태에서 지지부(132) 및 연결부(140)는 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술한 절취부(146)에 의해 처음으로 절취된 분리막(120)은 푸쉬부(145)에 의해 더 넓게 벌려지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를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바를 참고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의 연장부(140)는 상부연장부(141), 확장연장부(143) 및 수직연장부(144)를 포함하며, 중심연장부(142)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의 푸쉬부(145)는 제1 실시예에서의 푸쉬부(145)가 수직연장부(144)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확장연장부(144)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이 아닌 부분에 별도로 결합된다.
확장연장부(143)는 일부의 단부가 다른 일부의 단부보다 캡부(110)의 내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수직연장부(144)는 일부가 다른 일부보다 캡부(110)의 내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수직연장부(144)는 캡부(110)을 좌우로 양분하는 중심선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한 수직연장부(144)와 우측에 위치한 수직연장부(144)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된다. 또 다른 표현으로 설명하자면, 수직연장부(144)는 캡부(110)의 내부면 중 일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캡부(110)의 내부 공간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한다.
즉, 중심선에서 좌측에 위치한 수직연장부(144)까지의 거리는 중심선에서 우측에 위치한 수직연장부(144)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이러한 수직연장부(144)의 비대칭적인 구조는 대칭을 이루는 수직연장부의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분리막(120)을 보다 쉽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수직연장부(144)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리막(120)을 보다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직연장부(144)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이 아닌 부분에 결합되고, 절취된 분리막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부(145)를 포함한다.
수직연장부(144)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절취부(146)가 형성된다.
푸쉬부(145)는 수직연장부(144)의 외부면에 결합될 수 있고, 수직연장부(144)의 일부의 하단은 수직연장부(144)의 다른 일부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한다.
수직연장부(144)는 하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외의 다른 형상으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수직연장부(144)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방부를 통하여 연결부(140)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리 공간(S2)에 있는 첨가제가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캡부(110), 변형부(131) 및 지지부(132)는 한 번의 성형으로 형성된 제1 피스를 구성하고, 연장부(140)는 한 번의 성형으로 형성된 제2 피스를 구성하고, 제2 피스는 제1 피스의 지지부(132) 부분과 결합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가 절취부에 의해 분리막이 절취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절취부가 분리막을 절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장부(140)의 분리 공간(S2)에는 첨가제가 채워져 있고, 연장부(140)는 절취조절부(130)에 의해 캡부(110)의 내부 공간(S1)에서 상하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으로 보호부(160)를 제거한 후 절취조절부(130)에 하방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132)와 연결된 변형부(131)의 내경부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지지부(132)와 연결된 연장부(14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직연장부(144)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은 연장부(140) 중 처음으로 분리막(120)과 접촉하여 분리막(120)을 절취하게 된다.
도 6은 도 3의 푸쉬부가 분리막을 밀어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가 절취부에 의해 분리막이 절취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리막(120)이 절취된 상태에서 지지부(132) 및 연결부(140)는 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술한 절취부(146)에 의해 처음으로 절취된 분리막(120)은 절취된 분리막(120)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부(145)에 의해 더 넓게 벌려지게 된다.
전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는 용기(1)의 토출구(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호막(160)을 분리시킨 후 절취조절부(13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연장부(14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분리막(120)을 절취하면서 외부로 밀어낸다.
특히, 연장부(140)는 상부보다 하부가 크게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132)의 행정거리를 늘리면서도 음료물질을 최대한 많이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용기
2: 토출구
100: 마개
110: 캡부
111: 상부캡부
112: 하부캡부
120: 분리막
130: 절취조절부
131: 변형부
132: 지지부
140: 연장부
141: 상부연장부
142: 중심연장부
143: 확장연장부
144: 수직연장부
145: 푸쉬부
146: 절취부
150: 외캡부
160: 보호부
S1: 내부 공간
S2: 분리 공간

Claims (31)

  1. 적어도 일부가 용기의 토출구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분리막;
    상기 캡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의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와 결합되어 상기 변형부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변형부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분리막을 절취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리막의 하부까지 이동하고, 상기 캡부의 내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확장연장부 및 상기 확장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 상기 분리막, 상기 변형부 및 상기 지지부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는 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 및 상기 지지부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부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용기의 토출구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캡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된 외경부보다 상기 지지부와 결합된 내경부가 더 상부에 위치하여 있다가 상하 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외경부보다 상기 내경부가 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변형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연장부는 하방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연장부를 연결하는 상부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확장연장부 및 수직연장부보다 상기 내부 공간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심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연장부를 연결하는 상부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연장부는 상기 상부연장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장부와 상기 중심연장부는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확장연장부는 상기 상부연장부와 상기 중심연장부가 연결된 것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의 하단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중심연장부의 하단은 연장부 중 처음으로 상기 분리막과 접촉하여 상기 분리막을 절취하고,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은 절취된 분리막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절취부가 형성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상단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는 하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장부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연장부는 일부의 단부가 다른 일부의 단부보다 상기 캡부의 내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일부가 다른 일부보다 상기 캡부의 내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절취부가 형성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이 아닌 부분에 결합되고, 절취된 분리막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직연장부의 경사진 하면의 하단은 연장부 중 처음으로 상기 분리막과 접촉하여 상기 분리막을 절취하고,
    상기 푸쉬부는 절취된 분리막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수직연장부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하단은 상기 다른 일부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상기 캡부의 내부면 중 일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캡부의 내부 공간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하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2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3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 상기 변형부 및 상기 지지부는 한 번의 성형으로 형성된 제1 피스를 구성하고,
    상기 연장부는 한 번의 성형으로 형성된 제2 피스를 구성하고,
    상기 제2 피스는 상기 제1 피스의 지지부 부분과 결합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3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에는 상기 중심연장부의 하부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절취 라인이 형성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KR1020180172082A 2018-12-28 2018-12-28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KR10220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082A KR102201873B1 (ko) 2018-12-28 2018-12-28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082A KR102201873B1 (ko) 2018-12-28 2018-12-28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995A true KR20200081995A (ko) 2020-07-08
KR102201873B1 KR102201873B1 (ko) 2021-01-12

Family

ID=7160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082A KR102201873B1 (ko) 2018-12-28 2018-12-28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8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6422A1 (en) * 2002-07-09 2004-02-12 Technology Center Membrane penetrating closure with deformable top surface
JP2005231633A (ja) * 2004-02-17 2005-09-02 Nippon Tansan Gas Co Ltd 原料封入カプセル
KR20080035708A (ko) * 2006-10-20 2008-04-24 조영국 용기의 마개
KR20100050702A (ko) * 2008-11-06 2010-05-14 제이씨텍(주) 첨가재 첨가용 용기마개
WO2014080334A1 (en) * 2012-11-20 2014-05-30 Inge S.P.A. Device for the fluid-tight conservation of a substance to be mixed to another substance contained in a container
WO2017039424A2 (ko) * 2015-09-06 2017-03-09 이성재 리필용 캡슐장치
KR20170003383U (ko) * 2016-03-21 2017-09-29 (주)패스텍 조직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6422A1 (en) * 2002-07-09 2004-02-12 Technology Center Membrane penetrating closure with deformable top surface
JP2005231633A (ja) * 2004-02-17 2005-09-02 Nippon Tansan Gas Co Ltd 原料封入カプセル
KR20080035708A (ko) * 2006-10-20 2008-04-24 조영국 용기의 마개
KR20100050702A (ko) * 2008-11-06 2010-05-14 제이씨텍(주) 첨가재 첨가용 용기마개
WO2014080334A1 (en) * 2012-11-20 2014-05-30 Inge S.P.A. Device for the fluid-tight conservation of a substance to be mixed to another substance contained in a container
WO2017039424A2 (ko) * 2015-09-06 2017-03-09 이성재 리필용 캡슐장치
KR20170003383U (ko) * 2016-03-21 2017-09-29 (주)패스텍 조직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873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1934A (en) Fixed volume discharge device
KR102207595B1 (ko)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US9650190B2 (en) Accommodating device for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P3543165A1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fill container pouring spout and package container pouring unit
CN111032231A (zh) 用于分配流体的设备、用于设备的盒、制造方法和灌注方法
CA3014492A1 (en) Container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of this type
KR20200081995A (ko)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KR101194450B1 (ko) 시린지를 갖는 용기
JP4269254B2 (ja) 二剤混合滴下容器
JP4732104B2 (ja) ブロー成形薄肉容器
KR20200081996A (ko)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JP2011235941A (ja) 蓋装置
JP2015057349A (ja) 固形物取り出し用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固形物収容容器
JP2017197224A (ja) 吐出キャップ
EP4238449A1 (en) Contents container
KR102155234B1 (ko)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342265B1 (ko) 수용부를 겸비한 위조방지 조립캡
JP6429708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KR20150003532U (ko) 기울이면 자동으로 개방이 되는 물병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JP2007302254A (ja) 吐出容器
KR20210000217U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210062280A (ko) 내부마개의 제거 전후에도 기밀성이 확보되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