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510A -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510A
KR20200081510A KR1020207018587A KR20207018587A KR20200081510A KR 20200081510 A KR20200081510 A KR 20200081510A KR 1020207018587 A KR1020207018587 A KR 1020207018587A KR 20207018587 A KR20207018587 A KR 20207018587A KR 20200081510 A KR20200081510 A KR 20200081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de
backlight
switchable
planar back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979B1 (ko
Inventor
데이비드 에이. 파탈
Original Assignee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directional light or back-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33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element [DOE] contributing to a non-imaging application
    • G02B27/425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element [DOE] contributing to a non-imaging application in illumination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9Plural grating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e.g. array of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6Transmiss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8Redirecting means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6Stacked 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of the same or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및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는, 제 1 모드 동안 광각 방출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를 이용하고 제 2 모드 동안 지향성 방출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를 이용한다.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판 도광체 및 제 2 모드 동안 도광체로부터의 안내된 광을 멀티뷰 이미지의 뷰 방향들에 대응하는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지향성 방출광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는, 제 1 모드 동안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광각 방출광을 변조하고 제 2 모드 동안 멀티뷰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향성 방출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된 광 밸브 어레이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N/A
연방 후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진술
N/A
전자 디스플레이들은 매우 다양한 기기들 및 제품들의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아주 보편적인 매체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전자 디스플레이들에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발광(electroluminescent; EL)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및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OLED(AMOLED) 디스플레이, 전기 영동(electrophoretic; EP) 디스플레이 및 전자 기계(electromechanical) 또는 전자 유체(electrofluidic) 광 변조를 이용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들(예를 들어, 디지털 미세거울(micromirror) 기기, 전기 습윤(electrowetting)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디스플레이들은 능동형 디스플레이들(즉,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들) 또는 수동형 디스플레이들(즉, 다른 원천에 의하여 제공되는 광을 변조하는 디스플레이들)로 분류될 수 있다. 능동형 디스플레이들의 가장 명백한 예들로는 CRT, PDP 및 OLED/AMOLED가 있다. 방출광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수동형으로 분류되는 디스플레이들은 LCD 및 EP 디스플레이들이다. 수동형 디스플레이들은 본질적으로 낮은 전력 소모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매력적인 성능 특성들을 종종 나타내지만, 광을 방출하는 능력이 부족한 많은 실제 응용들에서 다소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출광과 관련된 수동형 디스플레이들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수동형 디스플레이들이 외부 광원과 결합된다. 결합된 광원은 이러한 다른 수동형 디스플레이들이 광을 방출하고 실질적으로 능동형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게끔 한다. 이러한 결합된 광원들의 예들은 백라이트들이다. 백라이트들은 수동형 디스플레이를 조명하기 위하여 수동형 디스플레이 뒤에 배치되는 광원들(종종 패널 광원들)이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는 LCD 또는 EP 디스플레이에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는 LCD 또는 EP 디스플레이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한다. 방출된 광은 LCD 또는 EP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변조되고, 이후 변조된 광은 LCD 또는 EP 디스플레이로부터 방출된다. 백라이트들은 종종 백색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컬러 필터들이 백색 광을 디스플레이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컬러들로 변환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들은 LCD 또는 EP 디스플레이의 출력에 배치되거나(덜 일반적임), 또는 백라이트와 LCD 또는 EP 디스플레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예들 및 실시 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구조적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특정 주 각도 방향을 갖는 광빔의 각도 성분들의 그래픽 표현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회절 격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복수의 서브 격자들을 포함하는 회절 격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한 쌍의 멀티빔 소자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부 예들 및 실시 예들은 상술한 도면들에 도시된 특징들에 부가되거나 그 대신에 포함되는 다른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상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예들 및 실시 예들은 모드-전환가능(mode-switchable)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팅을 제공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르면, 제 1 모드에서 2차원(two-dimensional; 2D) 정보(예를 들어, 2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모드에서 멀티뷰(multiview) 또는 3차원(three-dimensional; 3D) 정보(예를 들어, 멀티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정보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2 모드는 소위 '안경 불필요(glasses-free)' 또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eoscopic)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함께 이미지들 및 유사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 이용될 수 있고, 제 1 모드는 3차원이 없거나 적어도 3차원으로부터의 이득이 없는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2D 이미지들과 같은 정보 등)를 나타내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환가능 모드들은 동일한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시스템 상에 제공된다. 2D 정보 및 멀티뷰 또는 3D 정보 모두를 동일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상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환가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D 디스플레이를 단독으로 또는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가능한 것 보다, 훨씬 더 넓은 범위의 상이한 데이터 표시 요구 사항들에 단일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적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는 모드들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특히,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제 1 층은 2D 정보를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광각(broad-angle) 또는 확산(diffuse) 방출광(emitted light)을 제공한다.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제 2 층은 멀티뷰 이미지의 여러 뷰 방향들에 대응하는 정해진 주 각도 방향들(principal angular directions)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지향성(directional) 방출광을 방출함으로써 멀티뷰 또는 3D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제 1 층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평면형(planar)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의 제 2 층은 지향성 방출광의 산란된 지향성 광빔들을 생성하기 위한 도광체(light guide) 및 멀티빔 소자(multibeam element)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드-전환가능 또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팅 및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들의 용도들은, 이동식 전화기들(예를 들어, 스마트 폰들), 시계들, 태블릿 컴퓨터들, 이동식 컴퓨터들(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들), 개인용 컴퓨터들 및 컴퓨터 모니터들, 차량 디스플레이 콘솔들, 카메라 디스플레이들, 및 다양한 기타의 이동식 및 실질적으로 비-이동식 디스플레이 응용들 및 기기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2차원 디스플레이' 또는 '2D 디스플레이'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방향에 관계 없이 (즉, 2D 디스플레이의 정해진 시야각 또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의 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로서 정의된다. 스마트 폰들 및 컴퓨터 모니터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LCD는 2D 디스플레이들의 예들이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상이한 뷰 방향들로 또는 상이한 뷰 방향들로부터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정의된다. 특히, 상이한 뷰들은 멀티뷰 이미지의 객체 또는 장면(scene)의 상이한 시점 뷰들(perspective views)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멀티뷰 이미지의 2개의 상이한 뷰들을 동시에 볼 때3차원 이미지를 보는 것과 같은 인식을 제공하는 경우, 3차원(3D) 디스플레이로도 언급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디스플레이(10)는 보여질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12)을 포함한다. 멀티뷰 디스플레이(10)는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14)을 스크린(12)에 대하여 상이한 뷰 방향들(16)로 제공한다. 뷰 방향들(16)은 스크린(12)으로부터 여러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로 연장되는 화살표들로서 도시되었고, 상이한 뷰들(14)은 화살표들(즉, 뷰 방향들(16)을 묘사함)의 말단에 음영 표시된 다각형 박스들로서 도시되었으며, 제한이 아닌 예로서 단지 4개의 뷰들(14) 및 4개의 뷰 방향들(16)이 도시되었다. 도 1a에는 상이한 뷰들(14)이 스크린 위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멀티뷰 이미지가 멀티뷰 디스플레이(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뷰들(14)은 실제로 스크린(12) 상에 또는 스크린(12)의 부근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뷰들(14)을 스크린(12) 위에 묘사한 것은 단지 도시의 간략화를 위한 것이며, 특정 뷰(14)에 대응하는 각각의 뷰 방향들(16)로부터 멀티뷰 디스플레이(10)를 보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뷰 방향 또는 대등하게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갖는 광빔은 일반적으로 각도 성분들(angular components) {θ, φ}로 주어지는 주 각도 방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 성분(θ)은 광빔의 '고도 성분(elevation component)' 또는 '고도각(elevation angle)'으로 언급된다. 각도 성분(φ)은 광빔의 '방위 성분(azimuth component)' 또는 '방위각(azimuth angle)'으로 언급된다. 정의에 의하면, 고도각(θ)은 수직 평면(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에 수직인)에서의 각도이고, 방위각(φ)은 수평 평면(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에 평행인)에서의 각도이다.
도 1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 방향(예를 들어, 도 1a의 뷰 방향(16))에 대응하는 특정 주 각도 방향 또는 간단히 '방향'을 갖는 광빔(20)의 각도 성분들 {θ, φ}의 그래픽 표현을 도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광빔(20)은 특정 지점으로부터 방출되거나 발산된다. 즉, 정의에 의하면, 광빔(20)은 멀티뷰 디스플레이 내의 특정 원점(point of origin)과 관련된 중심 광선(central ray)을 갖는다. 또한, 도 1b는 광빔(또는 뷰 방향)의 원점(O)을 도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멀티뷰 이미지(multiview image)'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multiview display)'라는 용어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멀티뷰(multiview)'라는 용어는 복수의 뷰들의 뷰들 간의 각도 차이(angular disparity)를 포함하거나 상이한 시점들(perspectives)을 나타내는 복수의 뷰들로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멀티뷰'라는 용어는 3개 이상의 상이한 뷰들(즉, 최소 3개의 뷰들로서 일반적으로 4개 이상의 뷰들)을 명백히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장면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단지 2개의 상이한 뷰들만을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디스플레이와는 명백히 구분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멀티뷰 이미지들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들은 3개 이상의 뷰들을 포함하지만, 멀티뷰의 뷰들 중 단지 2개만을 동시에 보게끔(예를 들어, 하나의 눈 당 하나의 뷰) 선택함으로써 멀티뷰 이미지들이 (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 상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쌍의 이미지들(stereoscopic pair of images)로 보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멀티뷰 픽셀(multiview pixel)'은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유사한 복수의 상이한 뷰들 각각의 '뷰' 픽셀들 또는 서브 픽셀들의 세트로서 정의된다. 특히, 멀티뷰 픽셀은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 각각의 뷰 픽셀에 대응하거나 그 뷰 픽셀을 나타내는 개별 뷰 픽셀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멀티뷰 픽셀의 뷰 픽셀들은 뷰 픽셀들 각각이 상이한 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뷰의 정해진 뷰 방향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소위 '지향성 픽셀들(directional pixels)'이다. 또한, 다양한 예들 및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뷰 픽셀의 상이한 뷰 픽셀들은 상이한 뷰들 각각에서 동등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위치들 또는 좌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멀티뷰 픽셀은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 각각의 {x1, y1}에 위치하는 개별 뷰 픽셀들을 가질 수 있고, 제 2 멀티뷰 픽셀은 상이한 뷰들 각각의 {x2, y2}에 위치하는 개별 뷰 픽셀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뷰 픽셀의 뷰 픽셀들의 개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뷰 픽셀은 64개의 상이한 뷰들을 갖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64개의 뷰 픽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8x4 어레이의 뷰들(즉, 32개의 뷰들)을 제공할 수 있고, 멀티뷰 픽셀은 32개의 뷰 픽셀들(즉, 각각의 뷰마다 하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각각의 상이한 뷰 픽셀은 64개의 상이한 뷰들에 대응하는 뷰 방향들 중 상이한 하나에 대응하는 관련 방향(즉, 광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멀티뷰 픽셀들의 개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들의 픽셀들(즉, 선택된 뷰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개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뷰가 640x480개의 뷰 픽셀들을 포함하는 경우(즉, 640x480 뷰 해상도),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307,220 개의 멀티뷰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뷰들이 100x100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경우,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총 10,000(즉, 100x100=10,000)개의 멀티뷰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광체(light guide)'는 내부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 TIR)를 이용하여 그 내에서 광을 안내하는 구조물로서 정의된다. 특히, 도광체는 도광체의 동작 파장(operational wavelength)에서 실질적으로 투명한 코어(cor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도광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도광체의 유전체 재료와 도광체를 둘러싸는 재료 또는 매질 사이의 경계에서 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는 유전체 광학 도파로(dielectric optical waveguide)를 지칭한다. 정의에 의하면, 내부 전반사를 위한 조건은 도광체의 굴절률이 도광체 재료의 표면에 인접한 주변 매질의 굴절률보다 커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광체는 내부 전반사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술한 굴절률 차이에 부가하여 또는 그에 대신하여 코팅(coatin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은 반사 코팅일 수 있다. 도광체는 판(plate) 또는 슬래브(slab) 가이드 및 스트립(strip) 가이드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도광체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판 도광체(plate light guide)'에서와 같이 도광체에 적용되는 경우의 '판(plate)'이라는 용어는, 종종 '슬래브' 가이드로 지칭되는, 한 장씩의(piece-wise) 또는 구분적으로 평면인(differentially planar) 층 또는 시트로서 정의된다. 특히, 판 도광체는 도광체의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즉, 대향면들)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는 2개의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들로 광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도광체로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상단 및 하단 표면들은 서로 떨어져 있고 적어도 구별적인 의미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즉, 판 도광체의 임의의 구별적으로 작은 구간 내에서, 상단 및 하단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공면(co-planar) 상에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판 도광체는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고(즉, 평면에 국한됨), 따라서 판 도광체는 평면형 도광체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판 도광체는 1개 또는 2개의 직교하는 차원들로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도광체는 단일 차원으로 만곡되어 원통형 형상의 판 도광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곡률이든 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판 도광체 내에서 내부 전반사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보존 산란 특징부(angle-preserving scattering feature)' 또는 대등하게는 '각도-보존 산란체(angle-preserving scatterer)'는 특징부 또는 산란체 상에 입사하는 광의 각도 확산(angular spread)을 산란된 광 내에서 실질적으로 보존하는 방식으로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임의의 특징부 또는 산란체이다. 특히, 정의에 의하면, 각도-보존 산란 특징부에 의하여 산란된 광의 각도 확산(σs)은 입사광의 각도 확산(σ)의 함수이다(즉, σs = f(σ)). 일부 실시 예들에서, 산란된 광의 각도 확산(σs)은 입사광의 각도 확산 또는 시준 계수(collimation factor; σ)의 선형 함수이다(예를 들어, σs = a·σ, 여기서 a 는 정수). 즉, 각도-보존 산란 특징부에 의하여 산란된 광의 각도 확산(σs)은 입사광의 각도 확산 또는 시준 계수(σ)에 실질적으로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란된 광의 각도 확산(σs)은 입사광의 각도 확산(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예를 들어, σs
Figure pct00001
σ). 균일한 회절 격자(즉, 실질적으로 균일한 또는 일정한 회절 특징부 간격 또는 격자 피치를 갖는 회절 격자)는 각도-보존 산란 특징부의 일 예이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램버시안(Lambertian) 산란체 또는 램버시안 반사체 및 일반적인 확산체(예를 들어, 램버시안 산란을 갖거나 그에 근사하는)는 각도-보존 산란체들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보존 산란 특징부(polarization-preserving scattering feature)' 또는 대등하게는 '편광-보존 산란체(polarization-preserving scatterer)'는 특징부 또는 산란체 상에 입사하는 광의 편광을 또는 적어도 편광의 정도를 산란된 광 내에서 실질적으로 보존하는 방식으로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임의의 특징부 또는 산란체이다. 따라서, '편광-보존 산란 특징부'는 특징부 또는 산란체 상에 입사하는 광의 편광의 정도가 산란된 광의 편광의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임의의 특징부 또는 산란체이다. 또한, 정의에 의하면, '편광-보존 산란(polarization-preserving scattering)'은 산란되는 광의 정해진 편광을 보존하거나 실질적으로 보존하는 (예를 들어, 안내된 광의) 산란이다. 예를 들어, 산란되는 광은 편광 광원(polarized light source)에 의하여 제공되는 편광된 광(polarized light)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회절 격자(diffraction grating)'는 일반적으로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광의 회절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열된 복수의 특징부들(즉, 회절 특징부들)로서 정의된다. 일부 예들에서, 복수의 특징부들은 주기적 또는 준-주기적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격자는 1차원(one-dimensional; 1D)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특징부들(예를 들어, 재료 표면 내의 복수의 홈들(grooves) 또는 융기들(ridges))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회절 격자는 특징부들의 2차원(2D) 어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격자는 재료 표면 상의 돌출들(bumps) 또는 재료 표면 내의 구멍들(holes)의 2D 어레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회절 격자(diffraction grating)'는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광의 회절을 제공하는 구조물이다. 광이 도광체로부터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면, 제공된 회절 또는 회절적 산란(diffractive scattering)은 회절 격자가 회절에 의하여 도광체로부터 광을 커플 아웃(couple out)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회절적 커플링(diffractive coupling)'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와 같이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회절 격자는 회절에 의하여(즉, 회절각(diffractive angle)으로) 광의 각도를 재지향시키거나 변경시킨다. 특히, 회절의 결과로서, 회절 격자를 떠나는 광은 일반적으로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광(즉, 입사광)의 전파 방향과는 상이한 전파 방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회절에 의한 광의 전파 방향의 변경은 '회절적 재지향(diffractive redirection)'으로 언급된다. 따라서, 회절 격자는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광을 회절적으로 재지향시키는 회절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구조물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광체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회절 격자는 또한 도광체로부터의 광을 회절적으로 커플 아웃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회절 격자의 특징부들은 '회절 특징부들(diffractive features)'로 언급되고, 재료 표면(즉, 2개의 재료들 간의 경계)에, 재료 표면 내에 및 재료 표면 상에 중 하나 이상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은 도광체의 표면일 수 있다. 회절 특징부들은 표면의, 표면 내의 또는 표면 상의 홈들, 융기들, 구멍들 및 돌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광을 회절시키는 다양한 구조물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격자는 재료 표면 내에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회절 격자는 재료 표면으로부터 상승하는 복수의 평행한 융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절 특징부들(예를 들어, 홈들, 융기들, 구멍들, 돌출들 등)은 정현파 프로파일, 직사각형 프로파일(예를 들어, 이진 회절 격자), 삼각형 프로파일 및 톱니 프로파일(예를 들어, 블레이즈 격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회절을 제공하는 다양한 단면 형상들 또는 프로파일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회절 격자(예를 들어, 후술될 바와 같은 멀티빔 소자의 회절 격자)는 도광체(예를 들어, 판 도광체)로부터 광을 광빔으로서 회절적으로 산란 또는 커플 아웃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국부적으로 주기적인 회절 격자의 또는 이에 의하여 제공되는 회절각(diffraction angle; θm)은 식(1)으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1)
여기서, λ는 광의 파장, m은 회절 차수, n은 도광체의 굴절률, d는 회절 격자의 특징부들 간의 거리 또는 간격, θi 는 회절 격자 상의 광의 입사각이다. 간략화를 위하여, 식(1)은 회절 격자가 도광체의 표면에 인접하고 도광체 외부의 재료의 굴절률은 1인 것(즉, nout = 1)으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회절 차수(m)는 정수로 주어진다. 회절 격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광빔의 회절각(θm)은 회절 차수가 양수인(예를 들어, m > 0) 식(1)으로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차수(m)가 1인 경우(즉, m = 1) 1차 회절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회절 격자(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회절 격자(30)는 도광체(40)의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입사각(θi)으로 회절 격자(30) 상에 입사하는 광빔(50)을 도시한다. 입사 광빔(50)은 도광체(40) 내의 안내된 광의 빔(즉, 안내된 광빔)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입사 광빔(50)의 회절의 결과로서 회절 격자(30)에 의하여 회절적으로 생성되고 커플 아웃된 지향성 광빔(60)이 도시되었다. 지향성 광빔(60)은 식(1)으로 주어진 바와 같은 회절각(θm)(또는 본 명세서에서 '주 각도 방향(principal angular direction)')을 갖는다. 회절각(θm)은 회절 격자(30)의 회절 차수 'm'에, 예를 들어 회절 차수 m=1(즉, 1차 회절 차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멀티빔 소자(multibeam element)'는 복수의 광빔들을 포함하는 광을 생성하는 백라이트 또는 디스플레이의 구조물 또는 소자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는 도광체 내에서 안내된 광의 일부를 커플링 아웃(coupling out) 또는 산란시킴으로써 복수의 광빔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백라이트의 도광체에 광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멀티빔 소자에 의하여 생성된 복수의 광빔들의 광빔들은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다. 특히, 정의에 의하면, 복수의 광빔들 중 어느 하나의 광빔은 복수의 광빔들 중 다른 하나의 광빔과는 상이한 정해진 주 각도 방향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광빔은 '지향성 광빔(directional light beam)'으로 언급되고, 복수의 광빔은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directional light beam plurality)'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은 광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은 실질적으로 원추형 공간 영역에 국한되거나 복수의 광빔들 내의 광빔들의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포함하는 정해진 각도 확산(angular spread)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광빔들의 정해진 각도 확산은 그 조합으로써(즉, 복수의 광빔들) 광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 중 여러 지향성 광빔들의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은 멀티빔 소자의 크기(예를 들어, 길이, 폭, 면적 등)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는 '연장된 점 광원(extended point light source)', 즉 멀티빔 소자의 범위(extent)에 걸쳐(across) 분포된 복수의 점 광원들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그리고 도 1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지향성 광빔은 각도 성분들 {θ, φ}로 주어지는 주 각도 방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시준기(collimator)'는 광을 시준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학 기기 또는 장치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시준기는 시준 거울 또는 반사체, 시준 렌즈, 회절 격자, 테이퍼형(tapered) 도광체 및 이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준기에 의하여 제공되는 시준량은 실시 예마다 정해진 정도나 양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시준기는 2개의 직교하는 방향들(예를 들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중 하나 또는 모두로 시준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준기는 2개의 직교하는 방향들 중 하나 또는 모두로 광의 시준을 제공하는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시준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준 계수(collimation factor)'는 광이 시준되는 정도로서 정의된다. 특히,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시준 계수는 시준된 광의 빔 내의 광선들(light rays)의 각도 확산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시준 계수(σ)는 시준된 광의 빔 내의 대부분의 광선들이 특정한 각도 확산 내에(예를 들어, 시준된 광빔의 중심 또는 주 각도 방향에 대하여 +/- σ도) 있음을 명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 따르면, 시준된 광빔의 광선들은 각도 측면에서 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가질 수 있고, 각도 확산은 시준된 광빔의 피크(peak) 세기의 절반만큼에서 결정되는 각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원(light source)'은 광의 원천(예를 들어, 광을 생성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학 방출기(optical emitter))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광원은 활성화되거나 턴 온 되는 경우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광학 방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광원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의 원천이거나, LED, 레이저, OLED, 중합체 LED, 플라즈마-기반 광학 방출기, 형광 램프, 백열 램프 및 사실상 임의의 다른 광의 원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학 방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 의하여 생성된 광은 컬러를 가질 수 있거나(즉, 광의 특정 파장을 포함할 수 있음), 또는 파장들의 범위일 수 있다(예를 들어, 백색광).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은 복수의 광학 방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한 세트 또는 그룹의 광학 방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학 방출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같은 세트 또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학 방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광의 컬러 또는 파장과는 상이한 컬러를, 또는 대등하게는 파장을, 갖는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컬러들은 원색들(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polarized)' 광원은 정해진 편광(polarization)을 갖는 광을 생성하거나 제공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원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편광 광원은 광원의 광학 방출기의 출력에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표현은 특허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의미, 즉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멀티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멀티빔 소자를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멀티빔 소자'는 '상기 멀티빔 소자(들)'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단', '하단', '상부', '하부', '상', '하', '전', '후', '제1', '제 2', '좌' 또는 '우'에 대한 언급은 본 명세서에서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수치 값에 적용되는 경우의 '약'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수치 값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장비의 허용 오차 범위 내를 의미하거나, ±10%, 또는 ±5%, 또는 ±1%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대부분, 또는 거의 전부, 또는 전부, 또는 약 51% 내지 약 100% 범위 내의 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며, 제한이 아닌 논의의 목적으로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가 제공된다. 도 3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3a는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를 도시하고, 도 3b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를 도시한다. 도 3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c에는, 제한이 아닌 예로서,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가 도시되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광을 방출광(102)으로서 제공하거나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도 3a 내지 도 3c에 여러 화살표들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로부터 멀어지는(예를 들어, 그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출광(102)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예들 및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방출광(102)은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를 이용하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조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출광(102)은 디스플레이 응용에서 광 밸브들(예를 들어, 후술될 광 밸브들(106))의 어레이를 조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예를 들어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에서 이용되는 경우,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를 이용하는 전자 디스플레이는, 방출광(102)을 이용하여 2차원(2D) 이미지 및 3차원(3D) 또는 멀티뷰 이미지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다양한 동작 모드들에 따라, 방출광(102)은 상이한 특성들을 갖거나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에 의하여 방출광(102)으로서 방출된 광은 지향성 및 확산성의 광 또는 실질적으로 비-지향성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에 따라 상이한 특성들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될 바와 같이, 제 1 모드에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방출광(102)을 광각 방출광(102')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제 2 모드에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방출광(102)을 지향성 방출광(102")으로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2 모드 동안 제공되는 지향성 방출광(102")은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한다.
정의에 의하면, '광각' 방출광(102')은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와 관련된 멀티뷰 디스플레이 또는 멀티뷰 이미지의 뷰의 원추각(cone angle)보다 더 큰 원추각을 갖는 광으로서 정의된다. 특히,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각 방출광(102')은 약 20도보다 더 큰(예를 들어, ± 20° 초과) 원추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광각 방출광(102')의 원추각은 약 30도보다 더 크거나(예를 들어, ± 30° 초과), 약 40도보다 더 크거나(예를 들어, ± 40° 초과), 약 50도보다 더 클 수 있다(예를 들어, ± 50° 초과). 예를 들어, 광각 방출광(102')의 원추각은 약 60도일 수 있다(예를 들어, ± 60° 초과).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각 방출광(102')의 원추각은 광각 시청에 적합한 LCD 컴퓨터 모니터, LCD 태블릿, LCD 텔레비전, 또는 유사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기의 시야각(예를 들어, 약 ± 40° 내지 65°)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광각 방출광(102')은 또한, 확산광(diffuse light), 실질적으로 확산광, 비-지향성 광(즉, 임의의 특정한 또는 정의된 지향성이 결여된), 또는 단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향을 갖는 광으로서 특징지어지거나 설명될 수 있다.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에는 광각 방출광(102')이 점선 화살표들로서 도시되었다. 그러나, 광각 방출광(102')을 나타내는 점선 화살표들은 방출광(102)의 임의의 특정한 지향성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를 들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로부터의, 광의 방출 및 투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모드 동안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향성 방출광(102")은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또는 간단히 '상이한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은 광 필드이거나 광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에는 지향성 방출광(102")의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이 복수의 분기하는 화살표들로서 도시되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2 모드에서 또는 제 2 모드 동안, 지향성 방출광(102")의 지향성 광빔들 중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의 광빔들은 멀티뷰 이미지 또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각각의 뷰 방향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 중 일부에서, 예를 들어 멀티뷰 또는 3D 이미지 컨텐츠를 갖는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용이하도록, 방출광(102)의 지향성 광빔들이 (예를 들어, 후술될 광 밸브들(106)을 이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 2 모드에서 지향성 광빔들의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은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에 인접한 또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전방의 비교적 제한된 공간 영역을, 예를 들어 뷰박스(viewbox)(미도시)를, 향하는 방향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예를 들어 뷰박스에 이미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향성 방출광(102")의 지향성 광빔들이 (예를 들어, 광 밸브들에 의하여) 변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를 포함한다.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제 1 모드 동안 광각 방출광(102')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평면형 발광면(110')을 갖는다(예를 들어, 도 3a 참조).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발광면(110')을 갖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백라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직접-방출(direct-emitting) 또는 직접 조명(directly illuminated) 평면형 백라이트일 수 있다. 직접-방출 또는 직접 조명 평면형 백라이트들은, 평면형 발광면(110')을 직접 조명하고 광각 방출광(102')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냉-음극 형광 램프들(cold-cathode fluorescent lamps; CCFLs), 네온 램프들 또는 LED들의 평면형 어레이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패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계 발광 패널(electroluminescent panel; ELP)은 직접-방출 평면형 백라이트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이다.
다른 예들에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간접 광원을 이용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간접적으로 조명되는 백라이트는 다양한 형태의 에지-결합(edge-coupled) 또는 소위 '에지-릿(edge-lit)' 백라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에지-릿 백라이트는 일반적으로 도광체 또는 이와 유사한 안내 구조물(guiding structure)(예를 들어, 중공 안내 공동(hollow guiding cavity) 또는 도광체)의 에지 또는 측부에 결합된 광원(도 3a 내지 도 3c에는 미도시)을 포함한다. 에지-결합 광원은 에지-릿 백라이트 내에 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내 구조물을 조명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에지-결합 광원은 CCFL 및 LED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안내 구조물은 내부 전반사(TIR), 거울 표면(mirrored surface)(예를 들어, 거울 후면(mirrored back surface)), 또는 이의 조합을 이용하여 에지-결합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에 이용된 에지-릿 백라이트의 안내 구조물은 평행한 대향면들(예를 들어, 상단 및 하단 표면들)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직사각형-형상(rectangular-shaped)' 안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안내 구조물은 대향하는 제 2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지 않은 제 1 표면을 갖는 테이퍼형 또는 쐐기-형상(wedge-shaped) 단면(즉, 안내 구조물은 '쐐기-형상'일 수 있음)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로서 이용되는 에지-릿 백라이트는 추출 특징부(extraction feature)(도 3a 내지 도 3c에는 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추출 특징부는 안내 구조물로부터 광을 추출하고 추출된 광을 안내 구조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에지-릿 백라이트의 추출 특징부는 광을 광각 방출광(102')으로서 추출하고, 광각 방출광(102')을 평면형 발광면(1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지향시킬 수 있다. 추출 특징부들은, 안내 구조물 자체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이의 한 쌍의 대향면들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다양한 산란체 또는 반사체뿐만 아니라, 안내 구조물의 표면(예를 들어, 상단 표면)에 인접한 다양한 구형 산란 구조물들(구형 산란체들), 미세-프리즘(micro-prismatic) 필름들 또는 층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의 에지에 결합된 광원(112)을 포함한다. 에지-결합 광원(112)은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 내에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복수의 추출 특징부들(114a) 및 평행한 대향면들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안내 구조물(114)(또는 도광체)(즉, 직사각형-형상 안내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 특징부들(114a)은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의 평면형 발광면(110')에 인접한 안내 구조물(114)의 표면(즉, 상단 표면)에 위치한 구형 산란체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에지-결합 광원(112)으로부터 출발하여 직사각형-형상 안내 구조물(114) 내에서 안내된 광은, 광각 방출광(102')을 제공하기 위한 추출 특징부들(114a)에 의하여 안내 구조물(114)로부터 재지향되거나 산란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직접-방출이든 또는 에지-릿이든(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산체 또는 확산층, 휘도 향상 필름(brightness enhancement film; BEF), 및 편광 재순환(polarization recycling) 필름 또는 층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층들 또는 필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체는, 추출 특징부들(114a) 단독에 의하여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각 방출광(102')의 방출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휘도 향상 필름은 광각 방출광(102')의 전체 휘도를 증가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향상 필름(BEF)은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St. Paul, MN)에 위치한 쓰리엠 광학 시스템 부문(3M Optical Systems Division)으로부터 VikuitiTM BEF II로서 구할 수 있으며, 이는 프리즘 구조를 이용하여 최대 60%의 밝기 이득을 제공하는 미세-복제(micro-replicated) 향상 필름이다. 편광 재순환층은 직사각형-형상 안내 구조물(114)을 향하여 제 2 편광을 다시 반사시키면서 제 1 편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재순환층은 반사형 편광자(reflective polarizer) 필름 또는 이중 휘도 향상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을 포함할 수 있다. DBEF 필름들의 예들은,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위치한 쓰리엠 광학 시스템 부문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3M VikuitiTM DBEF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들에서, 고급형 편광 변환 필름(advanced polarization conversion film; APCF), 또는 휘도 향상 필름과 APCF 필름의 조합이 편광 재순환층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의 평면형 발광면(110') 및 안내 구조물(114)에 인접한 확산체(116)를 더 포함하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를 도시한다. 또한, 도 4에는, 평면형 발광면(110')에 인접한, 휘도 향상 필름(117) 및 편광 재순환층(118)이 도시되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평면형 발광면(110')에 대향하는 안내 구조물(114)의 표면에(즉, 후면 상에) 인접한 반사층(119)을 더 포함한다. 반사층(119)은 반사성 금속의 층 또는 ESR 필름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반사성 필름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ESR 필름들의 예들은,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위치한 쓰리엠 광학 시스템 부문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VikuitiTM ESR 필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는 도광체(122) 및 멀티빔 소자들(124)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들(124)은 도광체(122)에 걸쳐(across) 서로 이격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빔 소자들(124)의 어레이는 제 2 모드 동안 도광체(122)로부터의 안내된 광(104)을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지향성 방출광(102")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의 지향성 광빔들은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가지며,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은 멀티뷰 이미지의 뷰 방향들에 대응한다.
특히,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들(124)은 도광체(122) 내부로부터의 안내된 광(104)의 일부를 산란시키고, 산란된 부분을 도광체(122)의 제 1 표면(122')으로부터 또는 대등하게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제 1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된 광의 일부는 멀티빔 소자(124)에 의하여 제 1 표면(122')을 통해 산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표면에 대향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제 2 표면은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의 평면형 발광면(110')에 인접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향성 방출광(102")의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은 전술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이거나 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즉,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지향성 광빔은 지향성 방출광(102")의 다른 지향성 광빔들과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을 갖는다. 또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에서 시작하여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를 통과하는 점선 화살표들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로부터의 광각 방출광(102')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두께(thickness)를 통해 통과 또는 투과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적어도 제 1 모드에서). 즉,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에 의하여 제공되는 광각 방출광(102')은 제 1 모드 동안, 예를 들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투명성에 의하여,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를 통해 투과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광체(122) 및 이격된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124)은 제 1 표면(122') 및 제 2 표면(122'') 모두를 통하여 광이 도광체(12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멀티빔 소자들(124)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 및 멀티빔 소자(124)의 상대적으로 큰 소자간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투명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특히 멀티빔 소자들(124)이 후술될 바와 같은 회절 격자들을 포함하는 경우, 멀티빔 소자들(124)은 도광체의 표면들(122', 122'')에 직교하게 전파하는 광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로부터의 광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멀티빔 소자 어레이와 도광체(122)를 통해 직교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한 쌍의 전환가능 모드들, 즉 제 1 및 제 2 모드들을 갖는다. 제 1 모드에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를 통하여 투과될 광각 방출광(102')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모드에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는 지향성 방출광(102")의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a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에 의하여 제공되는 광각 방출광(102')을 갖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제 1 모드를 나타내고, 도 3b는 지향성 방출광(102")이 (예를 들어, 지향성 광빔들로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에 의하여 제공되는 모드-전환 가능 백라이트(100)의 제 2 모드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1 및 제 2 모드들은 시간적으로 또는 시간에 대하여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즉,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임의의 특정한 시점에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일부는 제 1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다른 일부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는 도광체(12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광체(122)는 판 도광체일 수 있다. 도광체(122)는 (예를 들어 후술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안내된 광(104)으로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안내된 광(104)은 제 1 전파 방향(103)으로, 예를 들어 도 3b에 굵은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안내된다. 도광체(122)는 도광체(122)의 길이를 따라 광을 안내된 광(104)으로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광체(122)는 광학 도파로로서 구성된 유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재료는 유전체 광학 도파로를 둘러싸는 매질의 제 2 굴절률보다 큰 제 1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절률들의 차이는 도광체(122)의 하나 이상의 안내 모드에 따라 안내된 광(104)의 내부 전반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광체(122)는 연장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실질적으로 평면형 시트의,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슬래브 또는 판 광학 도파로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평면형 시트의 유전체 재료는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여 안내된 광(104)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도광체(122)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는 다양한 유형의 유리(예를 들어, 실리카 유리(silica glass), 알칼리-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alkali-aluminosilicate glass), 보로실리케이트 유리(borosilicate glass) 등) 및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플라스틱들 또는 중합체들(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아크릴 유리(acrylic glas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유전체 재료들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도광체(122)는 도광체(122)의 표면(예를 들어,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적어도 일부 상에 클래딩층(cladding layer)(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 따르면, 클래딩층은 내부 전반사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광체(122)는 도광체(122)의 제 1 표면(122')(예를 들어 '전'면 또는 앞쪽) 및 제 2 표면(122")(예를 들어, '후'면 또는 뒤쪽) 사이에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로 내부 전반사에 따라 안내된 광(104)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안내된 광(104)은 도광체(122)의 제 1 표면(122')과 제 2 표면(122") 사이에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로 반사되거나 '바운싱(bouncing)'됨으로써 전파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안내된 광(104)은 상이한 컬러별, 0이 아닌 전파 각도들 각각으로 도광체(122)에 의하여 안내되는 광의 상이한 컬러들의 복수의 안내된 광빔들을 포함한다. 도시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는 0이 아닌 전파 각도가 도시되지 않았음에 유의한다. 그러나, 전파 방향(103)을 묘사하는 여러 도면들의 굵은 화살표는 도광체의 길이를 따르는 안내된 광(104)의 일반적인 전파 방향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0이 아닌 전파 각도(non-zero propagation angle)'는 도광체(122)의 표면(예를 들어, 제 1 표면(122') 또는 제 2 표면(122"))에 대한 각도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0이 아닌 전파 각도는 0보다 크고 도광체(122) 내의 내부 전반사의 임계각보다 작다. 또한, 도광체(122) 내의 내부 전반사의 임계각보다 작게 선택되는 한, 특정한 0이 아닌 전파 각도가 특정한 구현을 위하여 선택(예를 들어, 임의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안내된 광(104)은 0이 아닌 전파 각도로 도광체(122) 내부로 유입되거나 커플(couple)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안내된 광(104) 또는 대등하게는 도광체(122) 내부로 광을 커플링함으로써 생성된 안내된 '광빔(light beam)'은 시준된 광빔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준된 광(collimated light)' 또는 '시준된 광빔(collimated light beam)'은 일반적으로 광빔(예를 들어, 안내된 광(104))의 광선들이 광빔 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광의 빔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시준된 광빔으로부터 분기되거나 산란되는 광의 광선들은 시준된 광빔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는 도광체(122) 내부로 유입되는 광을 시준하도록 구성된 렌즈, 반사체 또는 거울, 또는 회절 격자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시준기(collim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의 원천(예를 들어, 광원)은 시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안내된 광(104)은 시준 계수(σ)에 따라 시준되거나 시준 계수(σ)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는 멀티빔 소자들(124)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들(124)은 도광체(122)의 제 1 표면(122')에 (예를 들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제 1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미도시), 멀티빔 소자들(124)은 도광체(12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멀티빔 소자들(124)은 도광체(122)의 제 2 표면(122")에 또는 제 2 표면(122") 상에 (예를 들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제 2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멀티빔 소자(124)의 크기는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광 밸브의 크기와 유사하다. 즉,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예를 들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 및 이의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광 밸브 어레이의 광 밸브의 크기와 유사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제한이 아닌 예로서 (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광 밸브들(106)의 어레이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정 광 밸브들, 전기 영동 광 밸브들 및 전기 습윤 기반의 또는 이를 이용하는 광 밸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광 밸브들 중 임의의 것이 광 밸브 어레이의 광 밸브들(106)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의 각각의 멀티빔 소자(124)마다 하나의 고유한 세트의 광 밸브들(106)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고유한 세트의 광 밸브들(106)은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멀티뷰 픽셀(106')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크기'는 길이, 폭 또는 면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방식들 중 임의의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밸브의 크기는 그 길이일 수 있고, 멀티빔 소자(124)의 유사한 크기는 멀티빔 소자(124)의 길이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크기는 면적을 지칭할 수 있고, 멀티빔 소자(124)의 면적은 광 밸브의 면적과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124)의 크기는 광 밸브의 크기와 유사할 수 있고,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50% 내지 약 200%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의 크기를 's'로 나타내고 광 밸브의 크기를 'S'로 나타내는 경우(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의 크기(s)는 식(2)으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pct00003
(2)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60% 초과, 또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70%, 또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80% 초과, 또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90% 초과이고, 멀티빔 소자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180% 미만, 또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160% 미만, 또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140% 미만, 또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120% 미만이다. 예를 들어, '유사한 크기'에 의하면,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75% 내지 약 150% 사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124)는 광 밸브와 크기 면에서 유사할 수 있고,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광 밸브의 크기의 약 125% 내지 약 85%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빔 소자(124) 및 광 밸브의 유사한 크기들은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들 간의 암 영역들(dark zones)을 감소시키도록, 또는 일부 예들에서는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동시에, 멀티빔 소자(124) 및 광 밸브의 유사한 크기들은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또는 대등하게는 멀티뷰 이미지의 뷰들 간의 중첩을 감소시키도록, 또는 일부 예들에서는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124)의 크기(예를 들어, 폭)는 광 밸브 어레이 내의 광 밸브(106)의 크기(예를 들어, 폭)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다른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광 밸브 어레이의 인접한 광 밸브들(106) 간의 거리(예를 들어, 중심간 거리)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밸브들(106)은 광 밸브 어레이 내의 광 밸브들(106) 간의 중심간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예를 들어 광 밸브(106) 자체의 크기 또는 광 밸브들(106) 간의 중심간 거리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 중 멀티빔 소자들(124)과 그에 대응하는 멀티뷰 픽셀들(106')(예를 들어, 광 밸브들(106)의 세트들) 간의 관계는 일대일(one-to-one) 관계일 수 있다. 즉, 멀티뷰 픽셀들(106')의 개수와 멀티빔 소자들(124)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도 3c는 상이한 세트의 광 밸브들(106)을 포함하는 각각의 멀티뷰 픽셀(106')이 점선으로 둘러싸인 것으로 도시된 일대일 관계를 예로서 명시적으로 도시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멀티뷰 픽셀들(106')의 개수와 멀티빔 소자들(124)의 개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 중 한 쌍의 인접하는 멀티빔 소자들(124) 간의 소자간 거리(예를 들어, 중심간 거리)는, 예를 들어 광 밸브 세트들로 나타내지는, 대응하는 한 쌍의 인접하는 멀티뷰 픽셀들(106') 간의 픽셀간 거리(예를 들어, 중심간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멀티빔 소자들(124)의 쌍들 및 대응하는 광 밸브 세트들의 상대적인 중심간 거리들은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들(124)은 멀티뷰 픽셀들(106')을 나타내는 광 밸브 세트들 간의 간격(즉, 중심간 거리)보다 크거나 작은 소자간 간격(즉, 중심간 거리)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124)의 형상은 멀티뷰 픽셀(106')의 형상과, 또는 대등하게는 멀티뷰 픽셀(106')에 대응하는 광 밸브들(106)의 세트(또는 '서브 어레이(sub-array)')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124)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멀티뷰 픽셀(106')(또는 대응하는 한 세트의 광 밸브들(106)의 배열)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124)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즉 폭 또는 횡방향 치수보다 큰 길이 또는 종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멀티빔 소자(124)에 대응하는 멀티뷰 픽셀(106')(또는 대등하게는 광 밸브들(106)의 세트의 배열)은 유사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c는 정사각형-형상의 멀티빔 소자들(124) 및 광 밸브들(106)의 정사각형 세트들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정사각형-형상의 멀티뷰 픽셀들(10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 다른 예들에서(미도시), 멀티빔 소자들(124) 및 대응하는 멀티뷰 픽셀들(106')은 삼각형 형상, 육각형 형상 및 원형 형상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이에 근사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멀티빔 소자(124)는 오직 하나의 멀티뷰 픽셀(106')에게 지향성 방출 광(102")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들(124) 중 주어진 하나에 대하여,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뷰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지향성 방출광(102")은, 대응하는 하나의 멀티뷰 픽셀(106') 및 이의 광 밸브들(106)에, 즉 멀티빔 소자(124)에 대응하는 한 세트의 광 밸브들(106)에, 실질적으로 국한된다. 이와 같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의 각각의 멀티빔 소자(124)는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에 대응하는 한 세트의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지향성 방출광(102")의 대응하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한다(즉, 한 세트의 지향성 광빔들은 상이한 뷰 방향들 각각에 대응하는 방향을 갖는 광빔을 포함함).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멀티빔 소자들(124)은 안내된 광(104)의 일부를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많은 상이한 구조물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구조물들은 회절 격자들, 미세 반사 소자들, 미세 굴절 소자들, 또는 이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124)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지향성 방출광(102")으로서 회절적으로 커플 아웃시키거나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미세 반사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124)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반사적으로 커플 아웃시키거나 산란시키도록 구성되고, 미세 굴절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124)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굴절에 의하여 또는 굴절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커플 아웃시키거나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즉, 안내된 광의 일부를 굴절적으로 산란시킴).
도 5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124)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124)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5a 및 도 5b는 회절 격자(124a)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멀티빔 소자(124)를 도시한다. 회절 격자(124a)는 안내된 광(104)의 일부를 지향성 방출광(102")의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회절적으로 커플 아웃시키거나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회절 격자(124a)는 안내된 광의 일부의 회절적 산란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절 특징부 간격(또는 회절 특징부 피치 또는 격자 피치)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 복수의 회절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회절 격자(124a)의 회절 특징부들의 간격 또는 격자 피치는 서브 파장(sub-wavelength)(즉, 안내된 광(104)의 파장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124)의 회절 격자(124a)는 도광체(122)의 표면에, 또는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 격자(124a)는 도광체(122)의 제 1 표면(122')에 위치하거나 제 1 표면(12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T도광체(122)의 제 1 표면(122')의 회절 격자(124a)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제 1 표면(122')을 통하여 지향성 방출광(102")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회절적으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투과 모드 회절 격자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 격자(124a)는 도광체(122)의 제 2 표면(122")에 위치하거나 제 2 표면(12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 2 표면(122")에 위치하는 경우, 회절 격자(124a)는 반사 모드 회절 격자일 수 있다. 반사 모드 회절 격자로서, 회절 격자(124a)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회절시키고, 지향성 방출광(102")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제 1 표면(122')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회절된 안내된 광의 일부를 제 1 표면(122')을 향하여 반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회절 격자는, 예를 들어 투과 모드 회절 격자 및 반사 모드 회절 격자 중 하나 또는 모두로서, 도광체(122)의 표면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지향성 방출광(102")의 지향성 광빔들의 주 각도 방향들은, 도광체의 표면에서 도광체(122)를 빠져나가는 지향성 광빔들로 인한 굴절의 영향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5b는 지향성 방출광(102")이 제 1 표면(122')을 지나갈 때 굴절률의 변화로 인한 지향성 광빔들의 굴절(즉, 휨(bending))을 도시한다. 후술되는 도 8a 및 도 8b도 참조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회절 격자(124a)의 회절 특징부들은 서로 이격된 홈들 및 융기들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홈들 또는 융기들은 도광체(122)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광체(122)의 표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홈들 및 융기들은 도광체의 재료 이외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광체(122)의 표면 상에 다른 재료의 필름 또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124)의 회절 격자(124a)는 회절 특징부 간격이 회절 격자(124a) 전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변하지 않는 균일한 회절 격자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회절 격자(124a)는 처프된(chirped) 회절 격자일 수 있다. 정의에 의하면, '처프된' 회절 격자는 처프된 회절 격자의 범위(extent) 또는 길이에 걸쳐 변화하는 회절 특징부들의 회절 간격(즉, 격자 피치)을 나타내거나 갖는 회절 격자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처프된 회절 격자는 거리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회절 특징부 간격의 '처프(chirp)' 또는 변경을 갖거나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의에 의하면, 처프된 회절 격자는 '선형적으로 처프된' 회절 격자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124)의 처프된 회절 격자는 회절 특징부 간격의 비-선형 처프를 나타낼 수 있다. 지수적 처프, 로그적 처프 또는 실질적으로 비-균일 또는 랜덤하지만 단조로운 방식으로 변화하는 처프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비-선형 처프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정현파 처프 또는 삼각형 또는 톱니 처프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비-단조(non-monotonic) 처프들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처프들 중 임의의 조합도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회절 격자(124a)는 복수의 회절 격자들 또는 대등하게는 복수의 서브 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복수의 서브 격자들을 포함하는 회절 격자(124a)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격자들은 도광체(122)의 표면(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면(122")) 상의 멀티빔 소자(124)의 회절 격자(124a) 내의 제 1 서브 격자(124a') 및 제 2 서브 격자(124a")를 포함한다. 도 6에 멀티빔 소자(124)의 크기(s)가 도시되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 중 상이한 멀티빔 소자들(124) 간의 회절 격자(124a) 내의 서브 격자들의 차등적인 밀도는, 상이한 멀티빔 소자들(124) 각각에 의하여 회절적으로 산란되는 지향성 방출광(102")의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의 상대적인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멀티빔 소자들(124)은 각각 회절 격자들(124a) 내에 서브 격자들의 상이한 밀도들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서브 격자 밀도들은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의 상대적인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회절 격자(124a) 내에 더 적은 개수의 서브 격자들을 갖는 멀티빔 소자(124)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개수의 서브 격자들을 갖는 다른 멀티빔 소자(124)에 비하여 더 낮은 세기(또는 빔 밀도)를 갖는 지향성 방출광(102")의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한 쌍의 멀티빔 소자들(124)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멀티빔 소자들(124) 중 제 1 멀티빔 소자(124-1)는, 한 쌍의 멀티빔 소자들(124) 중 제 2 멀티빔 소자(124-2) 내에 존재하는 것에 비하여 회절 격자(124a) 내에 서브 격자들의 더 높은 밀도를 갖는다. 특히, 제 2 멀티빔 소자(124-2)는 제 1 멀티빔 소자(124-1)에 비하여, 서브 격자가 없는 더 많은 위치들(123) 및 더 적은 개수의 서브 격자들을 갖는 회절 격자(124a)를 갖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1 멀티빔 소자(124-1) 내의 서브 격자들의 더 높은 밀도는, 제 2 멀티빔 소자(124-2)에 의하여 제공되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의 세기보다 더 큰 세기를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차등적인 서브 격자 밀도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 각각의 더 큰 및 더 작은 세기들은, 전파(propagation) 거리의 함수로서 도광체 내의 안내된 광의 광학적 세기의 변화를 보상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 7은 또한 만곡된 회절 특징부들을 갖는 서브 격자들을 갖는 회절 격자들(124a)을 도시한다.
도 8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124)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124)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8a 및 도 8b는 미세 반사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124)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다. 멀티빔 소자(124)로서 이용되거나 멀티빔 소자(124) 내에 이용되는 미세 반사 소자들은, 반사성 재료 또는 이의 층(예를 들어, 반사성 금속)을 이용하는 반사체 또는 내부 전반사(TIR) 기반의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반사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124)는 도광체(122)의 표면(예를 들어, 제 2 표면(122"))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미세 반사 소자는 제 1 및 제 2 표면(122', 122") 사이에서 도광체(12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는 도광체(122)의 제 2 표면(12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반사면들을 갖는 미세 반사 소자(124b)(예를 들어, '프리즘형' 미세 반사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124)를 도시한다. 도시된 프리즘형 미세 반사 소자(124b)의 반사면들은 도광체(122)로부터의 안내된 광(104)의 일부를 지향성 방출광(102")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반사(즉, 반사적으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반사면들은 도광체(122)로부터의 안내된 광의 일부를 지향성 방출광(102")으로서 반사하기 위하여, 안내된 광(104)의 전파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즉,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반사면들은 도광체(122) 내에 반사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면(122") 내의 프리즘형 공동(cavity)의 표면들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리즘형 공동이 이용되는 경우, 공동 표면들에서의 굴절률 변화가 반사(예를 들어, TIR 반사)를 제공할 수 있거나, 반사면들을 형성하는 공동 표면들이 반사성 재료로 코팅되어 반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8b는 반구형(semi-spherical) 미세 반사 소자(124b)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곡면을 갖는 미세 반사 소자(124b)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124)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미세 반사 소자(124b)의 특정한 표면 곡선은 안내된 광의 일부를 안내된 광(104)이 접촉하는 곡면 상의 입사점에 의존하는 상이한 방향들로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체(122)로부터 반사적으로 산란되는 안내된 광의 일부는 제 1 표면(122')을 빠져나가거나 제 1 표면(122')으로부터 방출된다. 도 8a의 프리즘형 미세 반사 소자(124b)와 마찬가지로, 도 8b의 미세 반사 소자(124b)는 도광체(122) 내의 반사성 재료이거나,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면(122") 내에 형성된 공동(예를 들어, 반원형(semi-circular) 공동)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또한, 제한이 아닌 예로서, 2개의 전파 방향들(103, 103')(굵은 화살표들로 도시됨)을 갖는 안내된 광(104)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전파 방향들(103, 103')을 이용하는 것은 대칭적인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지향성 방출광(102")의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124)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9는 미세 굴절 소자(124c)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124)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미세 굴절 소자(124c)는 안내된 광(104)의 일부를 도광체(122)로부터 굴절적으로 커플 아웃 또는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굴절 소자(124c)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지향성 방출광(102")으로서 도광체(122)로부터 커플 아웃 또는 산란시키기 위하여 굴절(예를 들어, 회절 또는 반사와 반대인)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미세 굴절 소자(124c)는 반구 형상, 직사각 형상, 또는 프리즘 형상 및 역 프리즘 형상(즉, 경사면들을 갖는 형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미세 굴절 소자(124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체(122)의 표면(예를 들어, 제 1 표면(122')) 밖으로 연장되거나 돌출될 수 있고, 또는 표면 내의 공동(미도시)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미세 굴절 소자(124c)는 도광체(122)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미세 굴절 소자(124c)는 도광체의 표면에 인접하는, 일부 예들에서는 도광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는 광원(126)을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원(126)은 도광체(122) 내에서 안내될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광원(126)은 도광체(122)의 입구(entrance) 표면 또는 단부(입력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광원(126)은 하나 이상의 LED들 또는 레이저(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의 원천(예를 들어, 광학 방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126)은 특정한 컬러로 나타나는 협대역 스펙트럼을 갖는 실질적으로 단색광(monochromatic light)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학 방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색광의 컬러는 특정한 색 공간 또는 컬러 모델(예를 들어, 적-녹-청(red-green-blue; RGB) 컬러 모델)의 원색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광원(126)은 실질적으로 광대역 또는 다색광(polychromatic light)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광대역 광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26)은 백색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126)은 광의 상이한 컬러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상이한 광학 방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광학 방출기들은 광의 상이한 컬러들 각각에 대응하는 안내된 광의 상이한, 컬러별, 0이 아닌 전파 각도들을 갖는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126)은 시준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준기는 광원(126)의 광학 방출기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비-시준된(uncollimated) 광을 수신할 수 있다. 시준기는 실질적으로 비-시준된 광을 시준된(collimated) 광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준기는,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가지며 정해진 시준 계수(σ)에 따라 시준되는 시준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컬러들의 광학 방출기들이 이용되는 경우 시준기는, 상이한, 컬러별, 0이 아닌 전파 각도들을 갖거나 상이한 컬러별 시준 계수들을 갖거나 이들 모두를 갖는 시준된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준기는 전술한 안내된 광(104)으로서 전파될 수 있도록, 시준된 광을 도광체(122)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사이에 차광층(light-blocking layer; 130)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광층(130)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제 2 표면(예를 들어, 후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로 입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차광층(130)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로부터 일반적으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를 향하여, 즉 '제 1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반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적어도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그리고 적어도 일부의 동작 모드들에서, 차광층(130)은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로부터 일반적으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의 제 2 표면을 향하여, 즉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광층(130)은 단방향 차광층(130)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차광층(130)은 광이 차광층(130)을 통과하여, 예를 들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에 도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차광층(130)은, 예를 들어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특정 모드들 동안에만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b에서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광층(130)이 크로스-해칭을 사용하여 도시되었고, 도 3a에서 광(예를 들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로부터의 방출광(102))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되는 차광층(130)이 크로스-해칭 없이 도시되었다.
도 10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부분은,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 및 제 1 및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들(110, 120) 사이의 차광층(130)을 포함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130)은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130)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에서 발생하여 일반적으로 음(negative)의 z-방향으로 전파하는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124)에 의한 안내된 광(104)의 회절의 결과는, 지향성 방출광(102")으로서 산란된 광(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양(positive)의 z-방향으로 지향됨) 및 일반적으로 음의 z-방향으로 지향되거나 산란되는 2차 광빔(102a) 모두일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130)은 2차 광빔(들)(102a)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130)은 제 2 모드 동안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로부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를 향하여 양의 z-방향으로 전파하는 광(102b)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차광층(130)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가 활성화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지향성 방출광(102")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2 모드에서, 양의 z-방향으로 전파하는 광(102b)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즉,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차광층(130)에 의하여 차단된 양의 z-방향으로 지향된 광(102b)은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된 광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양의 z-방향으로 지향된 광(102b)은,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에 의하여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를 향해 후방 산란되거나 반사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로부터의 광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광층(130)은 제 1 방향으로 전파되는 광의 수동형 차광 또는 능동형(예를 들어, 전환형(switched)) 차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130)은 제 1 방향으로 전파되는 광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 2 방향으로 전파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실질적으로 수동형 층(passive layer)일 수 있다. 따라서, 차광층(130)은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동작의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모두에서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차광층(130)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수동형 층들의 예들은, 소위 단방향 완전 흡수체(unidirectional perfect absorber), 편광자 또는 편광층, 및 각 필터(angular filter)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동형 층들의 다른 예들은, 예를 들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에 의하여 생성된 광의 특정 파장들을 선택적으로 차단(예를 들어, 반사, 흡수 등)하는 반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에 의하여 생성된 광의 상이한 파장들은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다-대역 필터(예를 들어, 다-대역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차광층(130)은, 광-차단 모드 또는 조건에서 광 투과를 차단하고 광-투과 모드 또는 조건에서 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능동형 층(active layer)일 수 있다. 능동형 차광층(130)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가 활성인 경우(예를 들어, 제 2 모드에서), 광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로부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를 향하여 그 내부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차단 조건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광층(130)은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가 활성인 경우(예를 들어, 제 1 모드에서), 광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를 통하여 그 외부로 방출광(102)으로서 전파될 수 있도록, 광-투과 조건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능동형 차광층(130)의 예들은, 광 밸브(예를 들어, 액정 광 밸브) 또는 유사한 전환가능 흡수층(switchable absorption layer)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들은, 전계흡수(electroabsorption)(예를 들어, 반도체-기반), 다양한 비-선형 결정들 및 유기 중합체들, 및 전자기계 구조들(예를 들어, 미세전자기계(microelectromechanical) 또는 MEMs 거울들 등)을 기반으로 하는 소위 '능동형' 셔터(shutter) 구성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124)는 단방향 산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c에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130)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는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제 1 모드에서 2차원(2D) 이미지의 픽셀들에 대응하는 또는 이를 나타내는 변조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모드에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는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의 픽셀들(뷰 픽셀들)에 대응하는 또는 이를 나타내는 변조된 지향성 방출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예를 들어, 제 1 모드는 2D 모드로 언급될 수 있으며, 제 2 모드는 멀티뷰 모드로 언급될 수 있다. 제 1 모드 또는 2D 모드에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는 2D 정보(예를 들어, 2D 이미지들, 텍스트 등)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제 2 모드 또는 멀티뷰 모드에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는 멀티뷰 정보(예를 들어, 멀티뷰 이미지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는 제 2 모드에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또는 안경 불필요 3D 전자 디스플레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지향성 방출광의 변조되고 상이하게 지향된 광빔들의 상이한 각각은, 멀티뷰 정보 또는 멀티뷰 이미지와 관련된 상이한 '뷰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뷰들은, 제 2 모드에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안경 불필요'(예를 들어, 오토스테레오스코픽, 홀로그램 등) 표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2D 이미지들, 텍스트, 및 멀티뷰 이미지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2D 정보 또는 멀티뷰 정보를 나타내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제 1 모드 동안 광각 방출광(202')을 포함하는 변조된 광(202)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변조된 광각 방출광(202')은 2D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2D 픽셀들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드(모드 2) 동안 도 11에 도시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멀티뷰 이미지의 픽셀들을 나타내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변조된 지향성 방출광(202")을 포함하는 변조된 광(202)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은, 제 2 모드에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의 상이한 뷰 방향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1에서 광각 방출광(202') 및 지향성 방출광(202")의 변조를 강조하기 위하여 점선이 이용되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를 포함한다.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는 제 1 모드(모드 1) 동안 광각 방출광(204')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는, 전술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는, 직사각형-형상의 도광체로부터 광을 추출하고 추출된 광을 확산체를 통하여 광각 방출광(204')으로서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 광 추출층을 갖는, 직사각형-형상 도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의 평면형 발광면에 인접한 확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체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에 의하여 방출되는 광을 광각 방출광(204')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220)를 더 포함한다. 제 2 평면형 백라이트(220)는 도광체(222) 및 서로 이격된 멀티빔 소자들(224)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멀티빔 소자들(224)의 어레이는 제 2 모드 동안 도광체(222)로부터 안내된 광을 지향성 방출광(204")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빔 소자들(224)의 어레이의 개별 멀티빔 소자(224)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향성 방출광(204")은, 제 2 모드에서 또는 제 2 모드 동안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뷰 이미지의 뷰 방향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220)는 전술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특히, 도광체(222) 및 멀티빔 소자들(224)은 각각 도광체(122) 및 멀티빔 소자들(124)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체(222)는 판 도광체일 수 있다. 또한, 멀티빔 소자들(224)의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224)는, 안내된 광을 지향성 방출광(204")으로서 산란시키기 위하여 도광체(222)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회절 격자, 미세 반사 소자 및 미세 굴절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224) 또는 대등하게는 멀티빔 소자들(224)의 어레이는 도광체(222)의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2 표면은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의 발광면에 인접할 수 있고, 멀티빔 소자(224)는 안내된 광을 제 1 표면을 통하여 지향성 방출광(204")의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광 밸브 어레이(230)를 더 포함한다. 광 밸브 어레이(230)는, 제 1 모드 동안 2차원(2D)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광각 방출광(204')을 변조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모드 동안 멀티뷰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향성 방출광(204")을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광 밸브 어레이(230)는 제 1 모드 동안 광각 방출광(202')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각 방출광(204')을 수신하고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광 밸브 어레이(230)는 제 2 모드 동안 변조된 지향성 방출광(202")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향성 방출광(204")을 수신하고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 밸브 어레이(230)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광 밸브들(106)의 어레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밸브 어레이의 광 밸브는 액정 광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들(224)의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224)의 크기는 광 밸브 어레이(230)의 광 밸브의 크기와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22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의 평면형 발광면과 광 밸브 어레이(23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220)는 제 1 모드 동안 광각 방출광(204')에 대하여 투명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사이에 차광층을 더 포함한다. 차광층은 전술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차광층(130)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210)와 제 2 평면형 백라이트(220)의 사이에 전환가능 차광층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환가능 차광층은, 제 1 모드에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의 광각 방출광(204')을 통과시키고, 제 2 모드에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220)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도광체의 입력부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원(240)을 더 포함한다. 광원(240)은,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갖는 것 및 정해진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되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안내된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은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광원(126)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원(240)은 광의 상이한 컬러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즉, 컬러 광원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 밸브 어레이(230)는 컬러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광 밸브들(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나타내는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00)는 컬러 이미지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컬러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2개의 모드들, 즉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모드는 2차원(2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 2 모드는 3차원(3D) 이미지 또는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3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300)은 제 1 모드 동안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발광면으로부터 광을 광각 방출광으로서 방출(310)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1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모드 및 방출(310)된 광은 각각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제 1 모드(예를 들어, 모드 1) 및 광각 방출광(102')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300)은 제 2 모드 동안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 광을 지향성 방출광으로서 방출(32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도광체 및 도광체로부터 안내된 광을 지향성 방출광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전술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제 2 평면형 백라이트(1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특히, 도광체는 도광체(122)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고,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는 멀티빔 소자들(124)의 어레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으며, 지향성 방출광은 지향성 방출광(102")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모드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제 2 모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는 도광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별적인 멀티빔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적인 멀티빔 소자는, 도광체에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지향성 방출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회절 격자, 미세 반사 소자 및 미세 굴절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향성 방출광은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 방향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300)은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광각 방출광 및 멀티뷰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지향성 방출광을 변조(33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변조(330)는 광 밸브 어레이를 이용하며,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는 광 밸브 어레이의 광 밸브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를 갖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 밸브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 또는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23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광 밸브 어레이(230)의 또는 대등하게는 광 밸브들(106)의 어레이의 광 밸브(106)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300)은 제 1 모드 동안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를 통하여 광각 방출광을 투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광각 방출광에 대하여 투명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300)은 광원을 이용하여 광을 도광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공된 광은 도광체 내에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갖는 것 및 안내된 광의 정해진 각도 확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되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안내된 광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은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100)의 광원(126)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300)은 제 2 모드 동안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능동형 차광층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차광층은 전술한 차광층(130)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 쌍의 모드들을 제공하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및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의 예들 및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다. 전술한 예들은 단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을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인 예들 및 실시 예들 중 일부를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백히, 당업자는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 많은 다른 구성들을 쉽게 고안할 수 있다.

Claims (24)

  1.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로서,
    제 1 모드 동안 광각 방출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발광면을 갖는 제 1 평면형 백라이트; 및
    도광체 및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는 제 2 모드 동안 상기 도광체로부터의 안내된 광을 멀티뷰 이미지의 뷰 방향들에 대응하는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지향성 방출광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상기 발광면에 인접하며,
    상기 멀티빔 소자는, 광 밸브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 및 상기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멀티뷰 픽셀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에 의하여 제공되는 상기 광각 방출광은, 상기 제 1 모드 동안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를 통하여 투과되도록 구성된
    모드- 전환 가능 백라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상기 광 밸브의 크기의 50% 내지 200% 사이인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소자는, 상기 안내된 광의 일부를 상기 지향성 방출광의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회절적으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는, 복수의 서브 격자들을 포함하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소자는 미세 반사 소자 및 미세 굴절 소자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반사 소자는 상기 안내된 광의 일부를 상기 지향성 방출광의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반사적으로 산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세 굴절 소자는 상기 안내된 광의 일부를 상기 지향성 방출광의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굴절적으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소자는 상기 도광체의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표면은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상기 발광면에 인접하며,
    상기 멀티빔 소자는 상기 안내된 광을 상기 제 1 표면을 통하여 상기 지향성 방출광의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의 입력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갖는 것 및 정해진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되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상기 안내된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와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사이에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에 의하여 방출되는 광이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에 도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 및 광이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를 통과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10. 제 1 항의 상기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디스플레이로서,
    상기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광 밸브를 포함하는 광 밸브들의 어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 밸브들의 어레이는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광 밸브들의 어레이는, 상기 제 1 모드 동안 2차원(2D)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광각 방출광을 변조하고 상기 제 2 모드 동안 상기 멀티뷰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지향성 방출광의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변조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디스플레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밸브들의 어레이는, 복수의 액정 광 밸브들을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
  12.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로서,
    제 1 모드 동안 광각 방출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1 평면형 백라이트;
    도광체 및 서로 이격되며 제 2 모드 동안 상기 도광체로부터의 안내된 광을 지향성 방출광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 2 평면형 백라이트; 및
    상기 제 1 모드 동안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광각 방출광을 변조하고 상기 제 2 모드 동안 멀티뷰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지향성 방출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된 광 밸브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는, 상기 광 밸브 어레이의 광 밸브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 및 상기 멀티빔 소자와 관련된 멀티뷰 픽셀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는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평면형 발광면에 인접한 확산체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체는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에 의하여 방출된 광을 상기 광각 방출광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는 광 추출층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 도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 추출층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 도광체로부터 광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을 상기 광각 방출광으로서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의 개별 멀티빔 소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상기 지향성 방출광은, 상기 멀티뷰 이미지의 뷰 방향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평면형 발광면과 상기 광 밸브 어레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상기 제 1 모드 동안 상기 광각 방출광에 대하여 투명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의 상기 멀티빔 소자는, 상기 안내된 광을 상기 지향성 방출광으로서 산란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광체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회절 격자, 미세 반사 소자 및 미세 굴절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상기 도광체의 입력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갖는 것 및 정해진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되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상기 안내된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와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의 사이에 전환가능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가능 차광층은,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의 상기 광각 방출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
  20. 모드-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 1 모드 동안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발광면으로부터 광을 광각 방출광으로서 방출하는 단계;
    제 2 모드 동안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 광을 지향성 방출광으로서 방출하는 단계-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도광체 및 상기 도광체로부터의 광을 상기 지향성 방출광으로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함-; 및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광각 방출광을 변조하고 멀티뷰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지향성 방출광을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변조는 광 밸브 어레이를 이용하고,
    상기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는, 상기 광 밸브 어레이의 광 밸브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 및 관련된 멀티뷰 픽셀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 동안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를 통하여 상기 광각 방출광을 투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는 상기 광각 방출광에 대하여 투명한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는 상기 도광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별 멀티빔 소자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개별 멀티빔 소자는 상기 도광체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회절 격자, 미세 반사 소자 및 미세 굴절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개별 멀티빔 소자는 상기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 방향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포함하는 상기 지향성 방출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광원을 이용하여 상기 도광체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된 광은, 상기 도광체 내에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갖는 것 및 상기 안내된 광의 정해진 각도 확산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되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상기 안내된 광인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 동안 상기 제 2 평면형 백라이트로부터 상기 제 1 평면형 백라이트의 방향으로 방출된 광을 능동형 차광층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18587A 2017-12-18 2017-12-18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및 방법 KR10242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67122 WO2019125390A1 (en) 2017-12-18 2017-12-18 Mode-switchable backlight, display,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510A true KR20200081510A (ko) 2020-07-07
KR102422979B1 KR102422979B1 (ko) 2022-07-21

Family

ID=6699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587A KR102422979B1 (ko) 2017-12-18 2017-12-18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27337B2 (ko)
EP (1) EP3728941A4 (ko)
JP (1) JP7023381B2 (ko)
KR (1) KR102422979B1 (ko)
CN (1) CN111492305B (ko)
CA (1) CA3084793C (ko)
TW (1) TWI728289B (ko)
WO (1) WO2019125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2285A (zh) 2017-03-25 2019-11-15 镭亚股份有限公司 模式可切换的背光体、隐私显示器及方法
WO2018187019A1 (en) 2017-04-02 2018-10-11 Leia Inc. Dual view zone backlight, dual-mode display, and method
JP6986568B2 (ja) 2017-04-04 2021-12-22 レ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Leia Inc. 片側バックライト、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および傾斜回折格子を使用する方法
CN110463198B (zh) 2017-04-08 2022-12-23 镭亚股份有限公司 一种模式可切换背光体、2d/3d模式可切换显示器以及2d/3d模式可切换背光体的操作方法
WO2019125479A1 (en) 2017-12-21 2019-06-27 Leia Inc. Mode-selectable backlight, privacy display, and method
KR102440643B1 (ko) 2018-01-27 2022-09-06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서브파장 격자들을 이용하는 편광 재순환 백라이트, 방법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
CN108198238B (zh) * 2018-01-30 2021-06-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全息投影设备、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84195B2 (ja) 2018-06-29 2023-05-30 レ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混合フォーマットバックライ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方法
CN109031757A (zh) * 2018-08-08 2018-1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EP3899648A4 (en) 2018-12-20 2022-11-30 LEIA Inc. MULTIPLE VIEW DISPLAY, SYSTEM AND METHOD WITH SLIDING PLANE OF CONVERGENCE
EP3903147A4 (en) 2018-12-27 2022-08-24 LEIA Inc. MULTI-VIEW DISPLAY, SYSTEM AND METHOD HAVING DYNAMIC COLOR SUB-PIXEL REMAPPING
JP2020106711A (ja) * 2018-12-28 2020-07-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を組み込んだ電子機器
CA3125202A1 (en) 2019-01-25 2020-07-30 Leia Inc. Multi-directional backlight, multi-user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CA3130745A1 (en) 2019-03-14 2020-09-17 Leia Inc. Mode-switchable backlight, privacy display, and method employing emitter arrays
JP7373582B2 (ja) 2019-03-17 2023-11-02 レ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ュアルビューゾーンバックライト、デュアルモードディスプレイ、及び指向性エミッタを使用する方法
JP7213370B2 (ja) 2019-04-02 2023-01-26 レ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位置合わせ方法及びシステム
EP3997382A4 (en) * 2019-07-11 2023-03-01 LEIA Inc. MULTI-VIEW BACKLIGH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A MULTI-BEAM ELEMENT WITHIN A LIGHT GUIDE
JP7245955B2 (ja) 2019-08-01 2023-03-24 レ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収コリメータを採用した、コリメートバックライト、電子ディスプレイ、および方法
JP7402971B2 (ja) * 2019-08-25 2023-12-21 レ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屈折率導光層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散乱要素、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及び方法
CA3148748C (en) * 2019-08-27 2023-09-19 Leia Inc. Multiview backlight, display, and method employing an optical diffuser
KR20220045044A (ko) * 2019-09-12 2022-04-12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반사성 멀티빔 소자들을 이용하는 멀티뷰 백라이트,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방법
CA3153716A1 (en) 2019-10-15 2021-04-22 Leia Inc. Privacy-mode backlight, privacy display, and method
TWI725727B (zh) * 2020-02-05 2021-04-21 瑞儀光電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以及顯示器之視角調整方法
WO2022146445A1 (en) * 2020-12-31 2022-07-07 Leia Inc. Backlight, multiview backlight, and method having global mode mixer
CN112684536B (zh) * 2021-03-19 2021-06-04 北京至格科技有限公司 一种光波导器件及近眼显示设备
WO2023060382A1 (zh) * 2021-10-11 2023-04-20 镭亚股份有限公司 混合背光体、混合显示器和混合背光体的操作方法
TWI832573B (zh) * 2022-11-22 2024-02-11 宏碁股份有限公司 多視域顯示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0048A1 (en) * 2015-03-30 2016-10-06 Leia Inc. 2d/3d mode-switchable electronic display with dual layer backlight
WO2017041073A1 (en) * 2015-09-05 2017-03-09 Leia Inc. Multiview display with head tracking
WO2017204840A1 (en) * 2016-05-23 2017-11-30 Leia Inc. Diffractive multibeam element-based backlighting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1558A (en) 1993-10-18 1996-10-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ffractive optical device
JP3605572B2 (ja) * 2001-03-28 2004-12-22 大阪大学長 三次元映像表示装置及び点状光出射部材及び点状光透過部材
GB0119176D0 (en) * 2001-08-06 2001-09-26 Ocuity Ltd Optical switching apparatus
GB0328005D0 (en) 2003-12-03 2004-01-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2D/3D Displays
KR100774061B1 (ko) 2005-05-17 2007-11-06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백라이트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100277803A1 (en) 2006-12-14 2010-11-04 Nokia Corporation Display Device Having Two Operating Modes
WO2009122716A1 (ja) 2008-04-03 2009-10-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WO2010052366A1 (en) * 2008-11-10 2010-05-14 Nokia Corporation Diffractive backlight structure
WO2010119426A2 (en) * 2009-04-16 2010-10-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light guide apparatus
KR101632317B1 (ko) 2010-02-04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전환가능한 영상 표시 장치
US20110216266A1 (en) 2010-03-02 2011-09-08 Microsoft Corporation Wedge backlight with diffraction grating
JP5045826B2 (ja) 2010-03-31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光源デバイスおよび立体表示装置
JP5545068B2 (ja) * 2010-06-25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光源デバイスおよび立体表示装置
KR101680770B1 (ko) * 2010-07-09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12038856A1 (en) 2010-09-21 2012-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view display device
JP4930631B2 (ja) * 2010-09-27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TW201224515A (en) 2010-12-13 2012-06-16 Ind Tech Res Inst Display with dimension switchable function
JP5674023B2 (ja) 2011-01-27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
JP4973794B1 (ja) * 2011-04-06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2226294A (ja) * 2011-04-06 2012-11-15 Sony Corp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2012237961A (ja) * 2011-04-28 2012-12-06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252249A (ja) * 2011-06-06 2012-12-20 Sony Corp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
JP2013083904A (ja) * 2011-09-28 2013-05-09 Sony Corp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2013076725A (ja) * 2011-09-29 2013-04-25 Sony Corp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US8903207B1 (en) 2011-09-30 2014-12-02 Rockwell Collin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extending vertical field of view in head up display utilizing a waveguide combiner
US9389415B2 (en) 2012-04-27 2016-07-12 Leia Inc. Directional pixel for use in a display screen
US9188731B2 (en) 2012-05-18 2015-11-17 Reald Inc. Directional backlight
US9459461B2 (en) 2012-05-31 2016-10-04 Leia Inc. Directional backlight
US9201270B2 (en) 2012-06-01 2015-12-01 Leia Inc. Directional backlight with a modulation layer
JPWO2013179679A1 (ja) 2012-06-01 2016-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TWI502254B (zh) 2012-06-26 2015-10-0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及組合成之顯示系統
JP2014103049A (ja) 2012-11-21 2014-06-05 Sony Corp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TWI504988B (zh) 2012-11-28 2015-10-2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背光模組及液晶顯示裝置
US20150355403A1 (en) * 2013-01-30 2015-1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rectional grating-based backlighting
US9298168B2 (en) 2013-01-31 2016-03-29 Leia Inc. Multiview 3D wrist watch
WO2014142851A1 (en) * 2013-03-13 2014-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cklight having collimating reflector
CN104508353B (zh) 2013-07-30 2018-08-31 镭亚股份有限公司 基于多束衍射光栅的背光照明
US9557466B2 (en) 2014-07-30 2017-01-31 Leia, Inc Multibeam diffraction grating-based color backlighting
TWI575254B (zh) * 2014-12-17 2017-03-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背光模組
CN104460115B (zh) 2014-12-31 2017-09-01 苏州大学 一种多视角像素指向型背光模组及裸眼3d显示装置
WO2016111708A1 (en) 2015-01-10 2016-07-14 Leia Inc. Two-dimensional/three-dimensional (2d/3d) switchable display backlight and electronic display
KR102243288B1 (ko) * 2015-01-28 2021-04-22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3차원(3d) 전자 디스플레이
KR102329108B1 (ko) 2015-04-23 2021-11-18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광 가이드 격자-기반 백라이트 및 이를 사용한 전자 디스플레이
KR20170014217A (ko) * 2015-07-29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802212B2 (en) 2015-09-05 2020-10-13 Leia Inc. Angular subpixel rendering multiview display using shifted multibeam elements
KR102130133B1 (ko) * 2015-10-16 2020-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TWI573123B (zh) * 2015-11-27 2017-03-0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及其驅動方法以及具有此背光模組的顯示裝置
KR102367308B1 (ko) 2016-01-30 2022-02-24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수렴 시점들을 갖는 다중 빔 요소-기반 역광 조명
EP3408705A4 (en) 2016-01-30 2019-09-11 LEIA Inc. MULTI-LAYERED ELEMENT BASED BACKLIGHTING AND DISPLAY THEREOF
JP7165051B2 (ja) * 2016-06-08 2022-11-02 レ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フトマルチビーム素子を使用した角度サブピクセルレンダリング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
CN106125189B (zh) * 2016-08-30 2019-1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KR102370247B1 (ko) 2017-06-16 2022-03-04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뷰 백라이트,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오프셋 멀티빔 소자들을 이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0048A1 (en) * 2015-03-30 2016-10-06 Leia Inc. 2d/3d mode-switchable electronic display with dual layer backlight
WO2017041073A1 (en) * 2015-09-05 2017-03-09 Leia Inc. Multiview display with head tracking
WO2017204840A1 (en) * 2016-05-23 2017-11-30 Leia Inc. Diffractive multibeam element-based backlig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01165A1 (en) 2020-09-24
CA3084793C (en) 2022-08-30
TW201932940A (zh) 2019-08-16
TWI728289B (zh) 2021-05-21
CN111492305B (zh) 2024-03-22
EP3728941A1 (en) 2020-10-28
EP3728941A4 (en) 2021-07-28
KR102422979B1 (ko) 2022-07-21
WO2019125390A1 (en) 2019-06-27
JP2021508165A (ja) 2021-02-25
CN111492305A (zh) 2020-08-04
CA3084793A1 (en) 2019-06-27
JP7023381B2 (ja) 2022-02-21
US11327337B2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979B1 (ko) 모드-전환가능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및 방법
KR102335721B1 (ko) 모드-선택가능 백라이트, 방법, 및 지향성 산란 피처를 채용하는 디스플레이
US11531152B2 (en) Time-multiplexed backlight and multiview display using same
US10810917B2 (en) 2D/3D mode-switchable electronic display with dual layer backlight
EP3607246A1 (en) Unilateral backlight,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employing slanted diffraction gratings
US11314099B2 (en)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KR20200089343A (ko) 모드-선택가능 백라이트,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 및 방법
JP2020506507A (ja) カラー調整された発光パターンを有するマルチビューバックライト
KR102632185B1 (ko) 시간 다중화 백라이트,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방법
CN113574447A (zh) 模式可切换背光、隐私显示器和采用发射器阵列的方法
US11635619B2 (en) Backlit transparent display, transparent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440643B1 (ko) 서브파장 격자들을 이용하는 편광 재순환 백라이트, 방법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
KR20200017556A (ko)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멀티빔 소자 기반 백라이트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KR102617358B1 (ko) 광 재순환 광원을 이용하는 격자 시준기, 백라이트 시스템 빛 방법
JP7299343B2 (ja) マルチゾーンバックライト、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及び方法
KR102422976B1 (ko) 바 시준기, 백라이트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