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738A -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738A
KR20200080738A KR1020180170505A KR20180170505A KR20200080738A KR 20200080738 A KR20200080738 A KR 20200080738A KR 1020180170505 A KR1020180170505 A KR 1020180170505A KR 20180170505 A KR20180170505 A KR 20180170505A KR 20200080738 A KR20200080738 A KR 2020008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select
shift motor
actua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복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0738A/ko
Priority to PCT/KR2019/013938 priority patent/WO2020138677A1/ko
Publication of KR2020008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16H2061/326Actuators for range selection, i.e. actuators for controlling the range selector or the manual range valve in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025Final output mechanisms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6Selector shaft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elector or shift shaft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시프트모터 및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설치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기어액추에터를 컴팩트화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중단의 조립면을 기준으로 일면 측에는 시프트 및 셀렉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전장품들이 조립되고, 타면 측에는 상기 구동전장품들로부터 작동력을 제공받아 컨트롤샤프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가 조립되는 액추에이터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전장품들이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조립면 상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DCT용 기어액추에이터{GEAR ACTUATOR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본 발명은 두 개의 시프트모터 및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설치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기어액추에터의 컴팩트한 모듈화가 가능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작동성능을 향상시키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클러치가 있는 수동변속기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클러치 작동 및 기어 변속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써, 이러한 작동은 유압 또는 모터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기어의 변속을 위한 액추에이터로서, 컨트롤핑거의 셀렉팅 동작을 위한 셀렉트액추에이터와, 시프팅 동작을 위한 시프트액추에이터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셀렉트액추에이터 및 시프트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셀렉트레버와 시프트레버가 조작되어 변속이 이루어지며, 특히 셀렉트액추에이터에 의해 셀렉트레버를 움직여 컨트롤핑거가 다수의 시프트러그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시프트액추에이터에 의한 시프트러그의 좌우 이동에 의해 시프트레일이 이동되어 시프팅 조작됨으로써, 해당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DCT의 경우, 두 개의 클러치가 구비된 변속기로서, 홀수단 기어와 짝수단 기어의 변속을 위한 셀렉트액추에이터와 시프트액추에이터가 2개씩 구비된 기어액추에이터의 구조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어액추에이터의 경우, 셀렉트솔레노이드(셀렉트액추에이터)와 시프트모터(시프트액추에이터)가 서로 다른 평면상에 설치되어, 양산 조립설비의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시 편심 발생으로 소음을 유발하기도 하며, 특히 셀렉트 및 시프트 작동방향이 상이하여 진동에 매우 불리한 문제가 있다.
또한, 홀수단 및 짝수단의 셀렉트솔레노이드 및 시프트모터가 한쪽 방향으로 통일되게 위치하지 않아, 기어액추에이터를 모듈화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더욱이, 기어액추에이터의 조립을 위한 많은 수량의 부품이 단품으로 입고되어 조립됨으로써,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조립문제도 다발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차종패키징에 따라 커넥터/와이어 구조가 복잡하고, 커넥터 위치가 달라짐으로 인해 액추에이터 사양이 다원화되어 부품관리 및 조립공수가 많아지는 문제도 있으며, 또 차량의 협소한 패키징공간으로 인해 와이어의 굽힙인장응력에 따른 단선문제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더불어, 시프트모터의 모터축과 이를 감속하는 감속기어 간의 조립성이 불리하여 감속기어의 소음과, 저전류에 의한 작동불량 등의 품질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7-0006659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두 개의 시프트모터 및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설치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기어액추에터의 컴팩트한 모듈화가 가능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작동성능을 향상시키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중단의 조립면을 기준으로 일면 측에는 시프트 및 셀렉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전장품들이 조립되고, 타면 측에는 상기 구동전장품들로부터 작동력을 제공받아 컨트롤샤프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가 조립되는 액추에이터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장품들이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조립면 상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장품들의 축이 동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장품은, 시프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제1시프트모터 및 제2시프트모터; 셀렉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제1셀렉트솔레노이드 및 제2셀렉트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각 시프트모터의 축과 각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축이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조립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시프트모터와 제2시프트모터가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 및 제2셀렉트솔레노이드가 상기 제1시프트모터와 제2시프트모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시프트모터의 축과 제2시프트모터의 축이 이어지는 제1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와 제2셀렉트솔레노이드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의 축과 상기 제2셀렉트솔레노이드의 축이 이어지는 제2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시프트모터와 제2시프트모터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은 조립면의 일측에 마련된 제1하우징과, 조립면의 타측에 마련된 제2하우징이 결합되어 구성이 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통 형상으로 모터케이스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터케이스 내부에 시프트모터가 조립되며; 상기 시프트모터의 외주면 일부에 와이어링커넥터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케이스를 덮는 형상으로 모터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모터케이스와 모터커버 외주면 일부에 상기 와이어링커넥터에 대응하는 커넥터빌트홈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링커넥터가 상기 커넥터빌트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시프트모터의 작동력을 컨트롤샤프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로서 볼스크류 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스크류가 시프트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에 삽입된 너트가 컨트롤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프트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스크류의 단부에 스플라인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은 조립면의 일측에 마련된 제1하우징과, 조립면의 타측에 마련된 제2하우징이 결합되어 구성이 되고;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외주면 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솔레노이드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홀과 경계를 이루는 제1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플랜지와 대응하는 플랜지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의 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조립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조립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작동력을 컨트롤샤프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로서 솔레노이드헤드와 셀렉트레버가 포함되어 구성이 되고;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의 단부에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상기 솔레노이드헤드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헤드의 타단에 셀렉트레버의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셀렉트레버의 타단이 컨트롤샤프트에 연결되되, 상기 셀렉트레버가 중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이동에 따라 컨트롤샤프트에 셀렉트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헤드의 일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작동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헤드가 작동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는 로크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헤드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디텐트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 내에 상기 디텐트그루브에 걸려지는 디텐트핀이 마련되어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제1시프트모터 및 제2시프트모터와, 제1셀렉트솔레노이드 및 제2솔렉트솔레노이드가 액추에이터하우징의 한 쪽면에 동일 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양산 조립설비의 시설을 단순화하게 되고, 또한 부품들의 정렬 상태로 기어액추에이터가 모듈화되는바, 패키징공간이 축소되어 제품을 컴팩트화하는 것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시프트모터가 모터케이스 내에 조립되어 시프트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터케이스를 통해 방열됨으로써, 시프트모터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와이어링커넥터의 위치가 빌트인 방식으로 규제됨으로써, 와이어링작업의 편의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와이어의 단선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시프트모터에서 제공되는 작동력이 볼스크류 구조를 통해 컨트롤샤프트에 전달됨으로써, 기존 감속기어에 의한 소음문제와 저전류 작동불량 문제를 개선하여 작동효율을 향상시키고, 볼스크류 리드량 축소를 통해 토크가 증대되어 기존 대비 동일한 시프트 작동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전류가 축소되어 연비 향상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동로드의 회전조작에 의해 솔레노이드헤드를 이동하여 셀렉트조립부와 샤프트조립부의 높이 차이인 조립공차를 제거하는 보정을 실시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액추에이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하우징에 조립되는 시프트모터 및 셀렉트솔레노이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하우징에 시프트모터와 셀렉트솔레노이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모터가 볼스크류 구조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렉트솔레노이드와 셀렉트레버의 결합관계 및 조립공차를 보상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핀과 디텐트그루브의 설치 위치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DCT용 기어액추에이터는, 구동전장품과 전달기구가 조립되는 액추에이터하우징(1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액추에이터하우징(10) 중단의 조립면(SF)을 기준으로 일면 측에는 시프트 및 셀렉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전장품들이 조립되고, 타면 측에는 상기 구동전장품들로부터 작동력을 제공받아 컨트롤샤프트(60)에 전달하는 전달기구가 조립된다.
특히, 상기 구동전장품들이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10)의 조립면(SF) 상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구동전장품들의 축이 동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전장품은 홀수단과 짝수단의 시프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제1시프트모터(20a) 및 제2시프트모터(20b)와, 홀수단과 짝수단의 셀렉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제1셀렉트솔레노이드(30a) 및 제2셀렉트솔레노이드(30b)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즉, 상기 제1시프트모터(20a) 및 제2시프트모터(20b)와, 제1셀렉트솔레노이드(30a) 및 제2솔렉트솔레노이드가 액추에이터하우징(10)의 한 쪽면에 동일 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양산 조립설비의 시설을 단순화하게 되고, 또한 부품들이 정렬된 상태로 기어액추에이터가 모듈화되는바, 패키징공간이 축소되어 제품을 컴팩트화하는 것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셀렉트 및 시프트 작동방향이 동일하여 작동시 진동에 강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각 시프트모터(20)의 축과 각 셀렉트솔레노이드(30)의 축이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10)의 조립면(SF)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방향으로 조립이 된다.
즉, 상기 시프트모터(20)와 셀렉트솔레노이드(30)가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10)의 일면 측에서 타면 측으로 상기 조립면(SF)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설치가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시프트모터(20a)와 제2시프트모터(20b)가 액추에이터하우징(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30a) 및 제2셀렉트솔레노이드(30b)가 상기 제1시프트모터(20a)와 제2시프트모터(20b)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시프트모터(20a)의 축과 제2시프트모터(20b)의 축이 이어지는 제1가상선(VL1)을 기준으로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30a)와 제2셀렉트솔레노이드(30b)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30a)의 축과 상기 제2셀렉트솔레노이드(30b)의 축이 이어지는 제2가상선(VL2)을 기준으로 상기 제1시프트모터(20a)와 제2시프트모터(20b)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시프트모터(20)와 셀렉트솔레노이드(30)가 액추에이터하우징(10)의 일면에 마름모꼴 형태를 이루어 배열됨으로써, 부품들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제품을 컴팩트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10)은 조립면(SF)의 일측에 마련된 제1하우징(10a)과, 조립면(SF)의 타측에 마련된 제2하우징(10b)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시프트모터(20a) 및 제2시프트모터(20b)가 상기 제1하우징(10a)에 조립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0a)의 일면에 원통 형상으로 모터케이스(1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터케이스(11) 내부에 시프트모터(20)가 조립된다. 이때에, 상기 모터케이스(11)와 시프트모터(20) 사이에는 씰링 구조가 마련되어 기밀성능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모터(20)의 외주면 일부에 와이어링커넥터(13)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케이스(11)를 덮는 형상으로 모터커버(14)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모터케이스(11)와 모터커버(14) 외주면 일부에 상기 와이어링커넥터(13)에 대응하는 커넥터빌트홈(12, 15)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링커넥터(13)가 상기 커넥터빌트홈(12, 15) 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조립된다.
즉, 시프트모터(20)가 모터케이스(11) 내에 조립됨으로써, 시프트모터(20)의 스테이터가 모터케이스(11)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모터(20)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터케이스(11)에 열전도되어 방열됨으로써, 시프트모터(20)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시프트모터(20)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링커넥터(13)의 위치가 모터케이스(11)와 모터커버(14)에 빌트인 방식으로 규제됨으로써, 와이어링커넥터(13)의 위치를 일치시켜 와이어링작업의 편의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시프트모터(20)에 연결된 와이어의 단선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시프트모터(20)의 작동력을 컨트롤샤프트(60)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로서 볼스크류 구조가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스크류의 스크류(22)가 시프트모터(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22)에 삽입된 너트(23)가 컨트롤샤프트(60)에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이때에, 상기 시프트모터(20)의 회전축(21)이 상기 스크류(22)의 단부에 스플라인(S) 구조로 결합이 된다.
즉, 기존에는 시프트모터(20)에서 제공되는 작동력이 리드스크류와 감속기어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기어 미스얼라인으로 인해 소음문제 및 저전류 작동불량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감속기어를 제거하고 이를 볼스크류 구조로 대체 적용함으로써, 시프트모터(20)와 스크류(22)를 직결하여 센터링 기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감속기어에 의한 소음문제와 저전류 작동불량 문제를 개선하여 작동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볼스크류 리드량 축소를 통해 토크가 증대되어 기존 대비 동일한 시프트 작동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전류가 축소되어 연비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30a) 및 제2셀렉트솔레노이드(30b)가 제1하우징(10a)에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30)의 외주면 중단에 플랜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a)에 원형의 솔레노이드조립홀(16)이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홀(16)과 경계를 이루는 제1하우징(10a)의 외면에 상기 플랜지(31)와 대응하는 플랜지조립부(17)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30)의 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조립홀(16)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랜지(31)가 상기 플랜지조립부(17)에 조립되는 구조가 된다.
아울러,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30)의 작동력을 컨트롤샤프트(60)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로서 솔레노이드헤드(40)와 셀렉트레버(50)가 포함되어 구성이 된다.
그리고,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30)의 단부에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로드(32)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32)의 단부에 상기 솔레노이드헤드(4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헤드(40)의 타단에는 셀렉트레버(50)의 일단이 삽입된다.
예컨대, 상기 솔레노이드헤드(40)의 타단에 작동홈이(42)이 형성되고, 상기 셀렉트레버(50)의 일단에 상기 작동홈(42)에 수용되는 핀 형상의 작동돌기(53)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돌기(53)가 상기 작동홈(42)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셀렉트레버(50)의 타단이 컨트롤샤프트(60)에 연결되는데, 이때에 상기 셀렉트레버(50)가 'L'형상으로 형성되고, 중단에 셀렉트핀(51)이 삽입되어, 상기 셀렉트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작동로드(32)의 이동에 따라 컨트롤샤프트(60)에 셀렉트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이 된다.
즉,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30)의 작동에 따라 작동로드(32)가 직선 이동되면, 상기 작동로드(32)에 결합된 솔레노이드헤드(40)가 함께 직선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솔레노이드헤드(40)의 직선운동이 셀렉트레버(5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상기 셀렉트레버(50)가 회전작동되고, 이에 상기 셀렉트레버(50)에 연결된 컨트롤샤프트(60)를 셀렉트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헤드(40)의 위치를 조정하여 셀렉트레버(50)와 컨트롤샤프트(60) 간의 누적 조립공차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작동로드(32)의 단부에 수나사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헤드(40)의 일단에 암나사부(41)가 형성되어, 수나사부(33)가 암나사부(4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작동로드(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헤드(40)가 작동로드(32)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작동로드(32)의 단부에는 드라이버공구홈이 형성되어, 드라이버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셀렉트레버(50) 타단의 셀렉트조립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셀렉트조립부가 조립되는 컨트롤샤프트(60)의 샤프트조립부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셀렉트조립부와 샤프트조립부의 높이 차이인 조립공차를 검출한다.
이에, 상기 높이 차이만큼 작동로드(32)를 회전시키면, 솔레노이드헤드(40)가 직선 이동되면서 셀렉트레버(50)가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셀렉트조립부의 높이가 변경되어 셀렉트조립부와 샤프트조립부의 높이를 일치시키게 되는바, 상기 조립공차를 제거하여 보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작동로드(32)의 단부에 로크너트(3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헤드(40)를 지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솔레노이드헤드(40)의 최종 위치를 이중 너트효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샤프트(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디텐트그루브(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10)의 제2하우징(10b) 내에 상기 디텐트그루브(61)에 걸려지는 디텐트핀(70)이 마련되어 셀렉트솔레노이드(3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샤프트(60)가 중실축과 중공축으로 구성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중실축이 홀수단 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중공축이 짝수단 구현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상기 중실축과 중공축에 디텐트그루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디텐트핀(70) 역시 상기 디텐트그루브(61)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솔레노이드 내부에 디텐트핀(70)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로드(32)에 디텐트그루가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샤프트(60)에 디텐트그루브(61)를 형성하여 컨트롤샤프트(60)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셀렉트 작동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시프트모터(20a) 및 제2시프트모터(20b)와, 제1셀렉트솔레노이드(30a) 및 제2솔렉트솔레노이드가 액추에이터하우징(10)의 한 쪽면에 동일 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양산 조립설비의 시설을 단순화하게 되고, 또한 부품들의 정렬 상태로 기어액추에이터가 모듈화되는바, 패키징공간이 축소되어 제품을 컴팩트화하는 것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더욱이, 시프트모터(20)가 모터케이스(11) 내에 조립되어 시프트모터(20)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터케이스(11)를 통해 방열됨으로써, 시프트모터(20)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키게 되고, 또한 와이어링커넥터(13)의 위치가 빌트인 방식으로 규제됨으로써, 와이어링작업의 편의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와이어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게 된다.
더불어, 시프트모터(20)에서 제공되는 작동력이 볼스크류 구조를 통해 컨트롤샤프트(60)에 전달됨으로써, 기존 감속기어에 의한 소음문제와 저전류 작동불량 문제를 개선하여 작동효율을 향상시키고, 볼스크류 리드량 축소를 통해 토크가 증대되어 기존 대비 동일한 시프트 작동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전류가 축소되어 연비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작동로드(32)의 회전조작에 의해 솔레노이드헤드(40)를 이동하여 셀렉트조립부와 샤프트조립부의 높이 차이인 조립공차를 제거하는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액추에이터하우징
10a : 제1하우징
10b : 제2하우징
11 : 모터케이스
12 : 커넥터빌트홈
13 : 와이어링커넥터
14 : 모터커버
15 : 커넥터빌트홈
16 : 솔레노이드조립홀
17 : 플랜지조립부
20 : 시프트모터
20a : 제1시프트모터
20b : 제2시프트모터
21 : 회전축
22 : 스크류
23 : 너트
30 : 셀렉트솔레노이드
30a : 제1셀렉트솔레노이드
30b : 제2셀렉트솔레노이드
31 : 플랜지
32 : 작동로드
33 : 수나사부
34 : 로크너트
40 : 솔레노이드헤드
41 : 암나사부
50 : 셀렉트레버
60 : 컨트롤샤프트
61 : 디텐트그루브
70 : 디텐트핀
SF : 조립면
VL1 : 제1가상선
VL2 : 제2가상선

Claims (13)

  1. 중단의 조립면을 기준으로 일면 측에는 시프트 및 셀렉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전장품들이 조립되고, 타면 측에는 상기 구동전장품들로부터 작동력을 제공받아 컨트롤샤프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가 조립되는 액추에이터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장품들이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조립면 상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장품들의 축이 동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장품은,
    시프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제1시프트모터 및 제2시프트모터;
    셀렉트 작동력을 제공하는 제1셀렉트솔레노이드 및 제2셀렉트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각 시프트모터의 축과 각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축이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조립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방향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시프트모터와 제2시프트모터가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 및 제2셀렉트솔레노이드가 상기 제1시프트모터와 제2시프트모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시프트모터의 축과 제2시프트모터의 축이 이어지는 제1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와 제2셀렉트솔레노이드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셀렉트솔레노이드의 축과 상기 제2셀렉트솔레노이드의 축이 이어지는 제2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시프트모터와 제2시프트모터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은 조립면의 일측에 마련된 제1하우징과, 조립면의 타측에 마련된 제2하우징이 결합되어 구성이 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통 형상으로 모터케이스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터케이스 내부에 시프트모터가 조립되며;
    상기 시프트모터의 외주면 일부에 와이어링커넥터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케이스를 덮는 형상으로 모터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모터케이스와 모터커버 외주면 일부에 상기 와이어링커넥터에 대응하는 커넥터빌트홈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링커넥터가 상기 커넥터빌트홈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모터의 작동력을 컨트롤샤프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로서 볼스크류 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스크류가 시프트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에 삽입된 너트가 컨트롤샤프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스크류의 단부에 스플라인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은 조립면의 일측에 마련된 제1하우징과, 조립면의 타측에 마련된 제2하우징이 결합되어 구성이 되고;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외주면 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솔레노이드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홀과 경계를 이루는 제1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플랜지와 대응하는 플랜지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의 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조립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조립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작동력을 컨트롤샤프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로서 솔레노이드헤드와 셀렉트레버가 포함되어 구성이 되고;
    상기 셀렉트솔레노이드의 단부에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상기 솔레노이드헤드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헤드의 타단에 셀렉트레버의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셀렉트레버의 타단이 컨트롤샤프트에 연결되되, 상기 셀렉트레버가 중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이동에 따라 컨트롤샤프트에 셀렉트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헤드의 일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작동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헤드가 작동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는 로크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헤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디텐트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 내에 상기 디텐트그루브에 걸려지는 디텐트핀이 마련되어 셀렉트솔레노이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KR1020180170505A 2018-12-27 2018-12-27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KR20200080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505A KR20200080738A (ko) 2018-12-27 2018-12-27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PCT/KR2019/013938 WO2020138677A1 (ko) 2018-12-27 2019-10-23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505A KR20200080738A (ko) 2018-12-27 2018-12-27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738A true KR20200080738A (ko) 2020-07-07

Family

ID=7112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505A KR20200080738A (ko) 2018-12-27 2018-12-27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0738A (ko)
WO (1) WO202013867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659A (ko) 2003-08-21 2007-01-11 리카르도 유케이 리미티드 기어 선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68B1 (ko) * 2009-08-31 2009-12-24 주식회사 인팩 리드스크류 축을 이용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작동기
CN205331407U (zh) * 2015-12-28 2016-06-22 杭州杰牌传动科技有限公司 用于传动装置中的拨叉限位结构
KR101833628B1 (ko) * 2016-07-18 2018-02-28 현대다이모스(주)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KR101833627B1 (ko) * 2016-07-18 2018-04-13 현대다이모스(주)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KR20180068415A (ko) * 2016-12-14 2018-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파워 모듈 및 변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659A (ko) 2003-08-21 2007-01-11 리카르도 유케이 리미티드 기어 선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677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503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CN211869498U (zh) 车辆转向系统和车辆
US8069743B2 (en) Shift operation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1272948B1 (ko) 클러치용 액추에이터
US10808841B2 (en) Gear actuator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EP3324081B1 (en) Actuator for shift by wire automatic transmission
CN206802276U (zh) 一种电动车用四挡amt换挡执行机构
CN107061714A (zh) 一种电动车用四挡amt换挡执行机构
CN111878549A (zh) 用于驱动电动车辆的设备
US10704681B2 (en) Gear actuator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KR20200080738A (ko) Dct용 기어액추에이터
EP4051453B1 (en) Method, power tool and two-speed gear assembly for a power tool
KR101628104B1 (ko) 차량용 변속조작기구
CN215928345U (zh) 一种电动amt选换挡装置及汽车
KR10078353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20200120331A (ko) 변속 엑츄에이터용 편심감속기
KR101795734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구동장치
KR20180068415A (ko) 파워 모듈 및 변속기
CN100388601C (zh) 用于汽车换档带有电机的执行机构
KR101916833B1 (ko) 자동화 변속기의 변속기구
CN110043645B (zh) 采用离合液压换挡方式的汽车变速箱
KR101877136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KR101944033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구동장치
CN210830341U (zh) 一种电动汽车用新型自动变速器
CN216975743U (zh) 换挡装置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