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656A -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656A
KR20200080656A KR1020180170324A KR20180170324A KR20200080656A KR 20200080656 A KR20200080656 A KR 20200080656A KR 1020180170324 A KR1020180170324 A KR 1020180170324A KR 20180170324 A KR20180170324 A KR 20180170324A KR 20200080656 A KR20200080656 A KR 20200080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hamber
motor
piston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복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0656A/ko
Priority to PCT/KR2019/013935 priority patent/WO2020138675A1/ko
Publication of KR2020008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61Hydraulically actuated multiple lamella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33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by rotary pump actuation
    • F16D2048/0251Electric motor driving a piston, e.g. for actuating the mast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0Clutch systems with a plurality of fluid-actuated clutches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한편, 두 개 클러치의 접속 및 해제작동이 기구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작동 응답성을 향상하고, 인터록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피스톤이 고정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스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오일을 제1클러치 또는 제2클러치에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두 개의 클러치에 작동유압을 교차하여 생성 및 제거하는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CLUTCH ACTUATOR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본 발명은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한편, 두 개 클러치의 접속 및 해제작동이 기구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작동 응답성을 향상하고, 인터록 현상을 방지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DCT(Dual Clutch Transmission)의 경우, 홀수단과 짝수단 전용의 클러치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이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역시 홀수단과 짝수단 전용으로 2개가 필요하다.
이에, 액추에이터와 클러치 사이에 구비되는 인게이지먼트 포크조립체와, 인게이지먼트 베어링 역시 2개씩 필요하고, 이 외에도 다수의 부품들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제품의 무게가 무거운 것은 물론, 조립공수가 많고, 고장/손상의 우려가 큰 문제가 있다.
또한, 2개의 클러치 액추에이터가 클러치하우징 외부에 부착됨으로써,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설치를 위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이에 레이아웃 배치에 불리한 문제도 있었다.
특히, 두 개의 클러치가 동시에 체결되는 경우 엔진의 동력이 두 개의 입력축에 동시에 전달되는 인터록 발생으로 인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인터록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복잡한 회피제어로직이 부가되거나 페일세이프로직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8-0020232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두 개의 클러치를 하나의 액추에이터로 작동하여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단순화한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 클러치의 접속 및 해제작동이 기구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작동 응답성 향상으로 변속감을 높이는 한편, 인터록 현상을 근본적으로 회피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피스톤이 고정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스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오일을 제1클러치 또는 제2클러치에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두 개의 클러치에 작동유압을 교차하여 생성 및 제거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로터와 작동로드가 볼스크류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로드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로터에 너트부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외면에 너트부에 대응하는 스크류부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스크류부가 삽입되어, 로터의 회전에 따라 작동로드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를 관통하여 작동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양단에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모터의 양측에 제1챔버 및 제2챔버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이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 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 내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중공모터로 구성되어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가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의 일단에는 오일유입구가 각각 형성되어 오일리저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의 타단에는 오일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와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오일유입구와 오일토출구는 상기 피스톤이 이동되는 구간 내에서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토출구가 피스톤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다른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유입구가 피스톤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피스톤이 이동됨에 따라 한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토출구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되기 시작할 때에 다른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유입구가 개방상태에서 폐쇄되는 상태로 전환되기 시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와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 및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 사이에 연결된 유압라인; 상기 유압라인 내의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유압라인의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유압이 일정값 이상시, 유압라인이 폐쇄되도록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클러치의 작동유압을 유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클러치의 완전한 디스인게이지 상태에서 키스포인트까지 최대 모터속도로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클러치의 키스포인트부터 완전한 인게이지 상태까지 차량의 주행상태를 반영하여 모터속도를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 작동에 따라 어느 하나의 클러치가 체결됨과 동시에 나머지 하나의 클러치는 해제됨으로써, 작동 응답성 향상으로 변속감을 높이는 효과를 구현하는 한편, 복잡한 인터록 회피제어로직이나 페일세이프로직을 추가하지 않고도 기구적인 방법을 통해서 두 개의 클러치가 동시에 체결되는 인터록 현상을 해소하게 되는바, 인터록 발생에 의한 사고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두 개의 클러치를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통해 작동하여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부품수 및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액추에이터의 고장 및 손상율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모터를 작동하여 제1클러치를 접속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 대비 피스톤의 이송변위량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는, 크게 모터(10)와, 작동로드(20) 및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모터(1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로드(20)에 피스톤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20)가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직선방향으로 이동이 된다.
챔버는 상기 작동로드(20)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스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오일을 제1클러치(110) 또는 제2클러치(110')에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두 개의 클러치(110, 110')에 작동유압을 교차하여 생성 및 제거하는 구조가 된다.
예컨대, 상기 챔버가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 및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연결되어 오일이 제공되고, 상기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 및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는 DCT의 제1클러치(110) 및 제2클러치(110')에 연결되어 오일이 제공되도록 구성이 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터(10)를 일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 작동로드(20)와 함께 피스톤이 일측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피스톤에 의해 챔버에 수용된 오일이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제공되고, 이에 제1클러치(110)에 작동유압이 생성되어 제1클러치(110)가 접속된다.
다만, 이와 동시에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 측에 제공된 오일은 챔버 내에 유입됨으로써, 제2클러치(110')의 작동유압이 제거되고, 이에 제2클러치(110')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 같은 원리에 따라, 모터(10)를 타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 작동로드(20)와 함께 피스톤이 타측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위의 작동과는 반대로 제2클러치(110')가 접속되고, 제1클러치(110)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1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어느 하나의 클러치가 체결되면, 이와 동시에 나머지 하나의 클러치는 해제됨으로써, 작동 응답성 향상으로 변속감을 높이는 한편, 복잡한 인터록 회피제어로직이나 페일세이프로직을 추가하지 않고도 기구적인 방법을 통해서 두 개의 클러치(110, 110')가 동시에 체결되는 인터록 현상을 해소하게 되는바, 인터록 발생에 의한 사고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클러치(110, 110')를 하나의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통해 작동하여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부품수 및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액추에이터의 고장 및 손상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10)의 회전 작동을 작동로드(20)의 직선방향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볼스크류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10)의 로터(11)와 작동로드(20)가 볼스크류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로드(2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10)를 구성하는 로터(11)에 너트부(12)가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작동로드(20)의 외면에는 너트부(12)에 대응하는 스크류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12)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스크류부(2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로터(11)의 회전에 따라 작동로드(2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가 된다.
여기서, 로터(11)에 고정된 너트부(12)의 경우 축방향 이동은 제한하면서 회전운동만 허용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작동로드(20)의 경우 회전운동은 제한하면서 축방향 이동만 허용하는 역할의 작동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액추에이터는 제1클러치(110) 및 제2클러치(110')에 선택적으로 작동유압을 제공하도록 2개의 피스톤과 2개의 챔버를 포함하는 구성이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터(10)를 관통하여 작동로드(2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20)의 양단에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30')이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0)의 양측에 제1챔버(40) 및 제2챔버(40')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30')이 상기 제1챔버(40) 및 제2챔버(40') 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작동로드(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챔버(40) 및 제2챔버(40') 내에서 제1피스톤(30)과 제2피스톤(30')이 동일한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가 된다.
이때에, 상기 제1피스톤(30)과 제2피스톤(30')의 외면 둘레가 상기 제1챔버(40)와 제2챔버(40')의 내면 둘레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피스톤(30)과 제2피스톤(30')의 외면 둘레에 씰링구조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피스톤(30)과 제2피스톤(30')의 이동 작동시 상기 제1챔버(40) 및 제2챔버(40') 내의 오일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와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모터(10) 구동시, 제1챔버(40) 내에서 이동하는 제1피스톤(30)의 작동에 의해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오일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제2챔버(40') 내에서 이동하는 제2피스톤(30')의 작동에 의해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오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모터(10)는 중공모터로 구성되어 액추에이터하우징(50)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40) 및 제2챔버(40')가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5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구조가 된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50) 내부에 모터(10)와 작동로드(20)와 챔버가 마련됨으로써,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크지 않아, 레이아웃 배치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챔버(40) 및 제2챔버(40')의 일단에는 오일유입구(41, 4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오일유입구(41, 41')가 오일리저버(6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40) 및 제2챔버(40')의 타단에는 오일토출구(42, 42')가 각각 형성되어, 각 오일토출구(42, 42')가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와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연결된다.
이때에, 상기 오일유입구(41, 41')와 오일토출구(42, 42')는 상기 피스톤이 이동되는 구간 내에서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예컨대, 모터(10)와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제1챔버(40)와 제2챔버(40')의 바깥쪽 끝부분에 오일토출구(42, 42')가 형성되고, 모터(10)와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제1챔버(40)와 제2챔버(40')의 안쪽 부분에 오일유입구(41, 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유입구(41, 41')와 오일토출구(42, 42')는 어느 한쪽의 클러치가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 한쪽의 클러치가 해제될 수 있도록 그 형성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한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토출구가 피스톤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다른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유입구가 피스톤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이 이동됨에 따라 한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토출구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되기 시작할 때에 다른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유입구가 개방상태에서 폐쇄되는 상태로 전환되기 시작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상태에서 모터(10)가 회전되어 작동로드(20)가 이동되면, 제1피스톤(3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챔버(40)에 형성된 제1오일유입구(41)가 제1피스톤(30)에 의해 차단되기 시작하고, 이와 함께 제1챔버(40) 내에 수용된 오일이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제공되어 제1클러치(110)에 작동유압을 생성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이와 동시에 제2피스톤(30')도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챔버(40')에 형성된 제2오일토출구(42')가 개방되기 시작하고, 이와 함께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제공되어 있던 오일이 제2챔버(40') 내에 유입되어 제2클러치(110')의 작동유압이 제거되기 시작한다.
즉, 모터(10)의 작동과 함께 한쪽 클러치가 접속되면, 이와 동시에 다른쪽 클러치가 접속 해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반클러치 등과 같이 클러치의 작동이 오랜 시간 지속되는 경우, 솔레노이드밸브(100, 100')를 이용하여 모터(10)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챔버(40)와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의 사이와, 상기 제2챔버(40')와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 사이에 각각 유압라인(80, 80')이 연결이 되는데, 상기 각 유압라인(80, 80') 내의 유압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90, 9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라인(80, 80')의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솔레노이드밸브(100, 100')가 마련된다.
이에, 상기 압력센서(90, 90')에서 측정된 유압이 일정값 이상시, 제어기(CLR)가 유압라인(80, 80')이 폐쇄되도록 솔레노이드밸브(100, 100')의 작동을 제어하여 해당 클러치의 작동유압을 유지하게 된다.
즉, 제1피스톤(30) 또는 제2피스톤(30')이 이동되어 유압라인(80, 80') 내에 적정 클러치 작동유압이 생성된 경우, 솔레노이드밸브(100, 100')로 유압라인(80, 80')을 차단하여 유압라인(80, 80') 내에 생성된 작동유압을 그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작동으로 발열 및 과다 전류 소모를 하는 모터(10)보다 더욱 적은 전류를 소모함으로써 작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외에, 다른 방안으로, 모터(10) 내에 전자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작동함으로써, 작동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모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CL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 모터(10)의 작동을 제어기(CLR)는 별도 마련될 수도 있으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00, 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CLR)를 활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기(CLR)는, 클러치의 상태에 따라 모터(10)의 작동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클러치의 완전한 디스인게이지 상태에서 키스포인트까지는 최대 모터속도로 모터(1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때에는 최대한 빠르게 모터(10)를 가속하여 키스포인트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의 키스포인트부터 완전한 인게이지 상태까지는 차량의 주행상태를 반영하여 모터속도를 가변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이때에는 차량 및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클러치의 변위 제어를 정밀하게 실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클러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제1클러치(110)가 체결 해제되고, 제2클러치(110')는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모터(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모터(10)의 로터(11)에 고정된 너트부(12)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너트부(12)의 회전에 따라 작동로드(20)가 우측으로 직선 이동된다.
그러면, 제1피스톤(30)이 제1챔버(40) 내의 오일을 밀게 됨으로써, 제1챔버(40) 내의 오일이 제1오일토출구(42)를 통해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제공되는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클러치(110)가 접속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2피스톤(30')이 모터(10)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70')에 제공된 오일이 제2오일토출구(42')를 통해 제2챔버(40') 내에 유입되는바, 제2클러치(110')의 접속은 해제된다.
물론, 도 2의 상태에서 모터(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로드(20)가 좌측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클러치(110')가 접속되고, 제1클러치(110)는 접속 해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1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어느 하나의 클러치가 체결됨과 동시에 나머지 하나의 클러치는 해제됨으로써, 작동 응답성 향상으로 변속감을 높이는 한편, 복잡한 인터록 회피제어로직이나 페일세이프로직을 추가하지 않고도 기구적인 방법을 통해서 두 개의 클러치(110, 110')가 동시에 체결되는 인터록 현상을 해소하게 되는바, 인터록 발생에 의한 사고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클러치(110, 110')를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통해 작동하여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부품수 및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액추에이터의 고장 및 손상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모터
11 : 로터
12 : 너트부
20 : 작동로드
21 : 스크류부
30 : 제1피스톤
30' : 제2피스톤
40 : 제1챔버
40' : 제2챔버
41 : 제1오일유입구
41' : 제2오일유입구
42 : 제1오일토출구
42' : 제2오일토출구
50 : 액추에이터하우징
60 : 오일리저버
70 :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
70' :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
80, 80' : 유압라인
90, 90' : 압력센서
100, 100' : 솔레노이드밸브
110 : 제1클러치
110' : 제2클러치
CLR : 제어기

Claims (9)

  1.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피스톤이 고정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스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오일을 제1클러치 또는 제2클러치에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두 개의 클러치에 작동유압을 교차하여 생성 및 제거하는 챔버;를 포함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로터와 작동로드가 볼스크류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로드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로터에 너트부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외면에 너트부에 대응하는 스크류부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스크류부가 삽입되어, 로터의 회전에 따라 작동로드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관통하여 작동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양단에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모터의 양측에 제1챔버 및 제2챔버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이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 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 내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중공모터로 구성되어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가 상기 액추에이터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의 일단에는 오일유입구가 각각 형성되어 오일리저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의 타단에는 오일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와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오일유입구와 오일토출구는 상기 피스톤이 이동되는 구간 내에서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한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토출구가 피스톤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다른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유입구가 피스톤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피스톤이 이동됨에 따라 한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토출구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되기 시작할 때에 다른쪽 챔버에 형성된 오일유입구가 개방상태에서 폐쇄되는 상태로 전환되기 시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와 제1클러치 작동실린더 및 제2클러치 작동실린더 사이에 연결된 유압라인;
    상기 유압라인 내의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유압라인의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유압이 일정값 이상시, 유압라인이 폐쇄되도록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클러치의 작동유압을 유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클러치의 완전한 디스인게이지 상태에서 키스포인트까지 최대 모터속도로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클러치의 키스포인트부터 완전한 인게이지 상태까지 차량의 주행상태를 반영하여 모터속도를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KR1020180170324A 2018-12-27 2018-12-27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KR20200080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324A KR20200080656A (ko) 2018-12-27 2018-12-27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PCT/KR2019/013935 WO2020138675A1 (ko) 2018-12-27 2019-10-23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324A KR20200080656A (ko) 2018-12-27 2018-12-27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56A true KR20200080656A (ko) 2020-07-07

Family

ID=7112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324A KR20200080656A (ko) 2018-12-27 2018-12-27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0656A (ko)
WO (1) WO20201386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232A (ko) 2006-08-31 2008-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클러치의 엑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2249B1 (en) * 1999-03-08 2001-10-16 Lord Corporation Linear-acting controllable pneumatic actuator and motion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field responsive mediu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5007252B2 (ja) * 2008-02-21 2012-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装置
CN101943227B (zh) * 2010-08-18 2012-06-2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双离合器操纵系统及其分离接合控制方法
CN103851105B (zh) * 2012-12-07 2016-05-1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式分离系统
EP3126716B1 (de) * 2014-04-01 2018-05-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etriebesteuer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232A (ko) 2006-08-31 2008-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클러치의 엑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675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853B2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CN102292525B (zh) 用于控制压力介质流的控制阀及相应的内燃机相位调节器
EP2314898B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transmission
JP2009079757A (ja) 油圧式車両クラッチ機構及び方法
EP3099569B1 (en) A hydraulic system for a vehicle
US5009125A (en) Speed control structure
JP2009036373A (ja) 油圧式車両クラッチ機構及び方法
JP7162659B2 (ja) 走行モータシフトバルブ、走行モータおよび工学機械
SE1350238A1 (sv) Hydraulisk skivkoppling för ett AWD-fordon med en avstängningsventil
CA1044559A (en) Responsive pilot-operated control valve for front wheel valve
EP2962006B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hydraulic disc coupling in an awd vehicle and a coupling therefore
CN104913082B (zh) 控制液力变矩器的锁止离合器的控制阀
EP2670987B1 (en) Directional valve equipped with pressure control
CN110848384B (zh) 液压系统以及机动车变速器
WO2019216195A1 (ja) 弁装置
KR20200080656A (ko) Dct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US7258212B2 (en) Oil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4946680B2 (ja) 油圧パイロット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及びクレーン用ウインチの駆動制御装置
CA1221559A (en) Control system for hydraulic operating fluid pressure
US8967351B2 (en) Transmission clutch piston compensator feed circuit
US6021876A (en) Electrical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KR20080019214A (ko) 기어 액츄에이션 제어 장치
JP6939245B2 (ja) アクチュエータ駆動装置
KR101703375B1 (ko) 유압모터용 제어장치 및 유압모터 조립체
CN201487182U (zh) 车辆变速箱电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