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299A -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 - Google Patents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299A
KR20200080299A KR1020207015839A KR20207015839A KR20200080299A KR 20200080299 A KR20200080299 A KR 20200080299A KR 1020207015839 A KR1020207015839 A KR 1020207015839A KR 20207015839 A KR20207015839 A KR 20207015839A KR 20200080299 A KR20200080299 A KR 2020008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est
waiting
guests
queue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150B1 (ko
Inventor
카일 피 핸리
토마스 마틴 게라그티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8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10Movable barriers with register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011/02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lated to amusement pa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011/04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lated to queu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은 입구로부터 입장할 게스트를 모니터링하고 센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프로세서와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가상 대기줄 제어기를 포함하고, 이 가상 대기줄 제어기는 게스트 입장 정보를 운영자 장치에 전달하고 - 여기서, 게스트 입장 정보는 운영자 장치가 임의 시간 간격 동안 입장될 게스트의 목표 수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그 시간 간격 동안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 수를 결정하고, 목표 수와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 수에 기초하여, 입장될 나머지 게스트를 나타내는 잔여 수를 결정하며, 입장 대기 신호를 운영자 장치에 전달하여 운영자 장치가 그 잔여 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1월 3일자로 출원된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QUEUE MONITORING TECHNIQUES)"이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62/581,182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18년 4월 11일자로 출원된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QUEUE MONITORING TECHNIQUES)"이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62/656,225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놀이공원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트랙션에 대한 줄서기(queuing for attractions)를 포함하는 놀이 공원 경험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초 이래로, 놀이 공원의 인기는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하는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놀이 공원은 어트랙션과 공간을 추가하여 확장하였다. 어트랙션(예컨대, 놀이 기구, 음식점, 상점 및 쇼)의 추가는 일반적으로 놀이 공원에 더 많은 게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추가 수용 능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어트랙션은 일반적으로 잠재적인 게스트에게 놀이 공원을 방문할 동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특정 놀이 공원이 추가 수용 능력을 추가한다고 해서, 이러한 추가 수용 능력으로 인해 항상 게스트가 공원 엔터테인먼트(예컨대, 쇼핑, 관람 쇼, 놀이 기구 타기)에 참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어트랙션에 대한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는 종종 상응하는 방문율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운영 효율성 때문에, 방문율이 낮은 시간 동안, 어트랙션의 이용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가 많다. 따라서, 공원 활동에 대한 참여를 제한할 수 있는 어트랙션에 대한 줄서기는 놀이 공원의 영원한 이슈이다.
게스트는 더 크고, 더 좋고, 더 정교한 어트랙션을 요구해 왔지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경험도 요구하고 기대한다. 놀이 공원 게스트에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려면 어트랙션의 줄서기와 관련된 특정 이슈를 해결해야 한다. 실제로, 줄 서서 대기하는 시간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현재 공원 게스트가 특정 놀이 공원을 재방문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게스트가, 대기줄에서 대기하는 소비 시간으로 인해, 놀이 공원 비즈니스(예컨대, 상점)를 거치지 않게 될 수 있다. 실제로, 과거에는 게스트가 놀이 공원에서 몇몇 더 인기있는 어트랙션을 경험하기 위해 몇 시간 동안 줄을 서서 기다렸다. 또한, 개개의 게스트가 다른 어트랙션보다 특정 어트랙션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공원 수용 능력이 좋다고 해서 반드시 게스트들이 그 수용 능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현재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놀이 공원 줄서기 시스템 및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원래 청구된 주제에 상응하는 특정 실시예가 이하에 요약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는 청구된 주제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당 주제의 가능한 형태에 대해 간단한 요약만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실제로, 해당 주제는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구로부터 입장한 게스트를 모니터링하고 센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또한 프로세서와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가상 대기줄 제어기를 포함하고, 이 가상 대기줄 제어기는 게스트 입장 정보를 운영자 장치(operator device)에 전달하고 - 여기서, 게스트 입장 정보는 운영자 장치가 임의 시간 간격 동안 입장될 게스트의 목표 수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그 시간 간격 동안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 수를 판단하고, 목표 수와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 수에 기초하여, 입장될 나머지 게스트를 나타내는 잔여 수를 판단하며, 입장 대기 신호를 운영자 장치에 전달하여 운영자 장치가 그 잔여 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은 입구를 통한 입장에 대한 시간 간격을 시작하는 단계와, 이 시간 간격에 대한 목표 입장객 수를 제공하는 단계와, 입구를 통해 입장한 게스트의 수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인원수와 해당 시간 간격의 목표 입장객 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입장 대기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입장 대기 정보는 대기 입구를 통해 입장되는 잔여 입장객 수를 포함함 -, 및 대기 입구를 통해 입장될 잔여 입장객 수를 운영자 장치에 표시하도록 입장 대기 신호를 운영자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대기줄 제어기를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가상 대기줄 제어기는 프로세서와 통신 회로를 포함하되, 임의 시간 간격 동안 입장될 게스트의 목표 수를 포함하는 게스트 입장 정보를 전달하고, 생성된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 간격 동안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의 수를 판단하고, 대기 정보를 결정하며 - 대기 정보는 목표 수와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의 수에 기초하여 입장될 대기 게스트의 잔여 수를 포함함 -, 또한 잔여 수에 기초하여 대기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은, 또한, 게스트 입장 정보와, 목표 수를 표시하는 대기 정보와, 대기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 간격 내의 남은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간격 정보를 수신하고, 시간 간격 동안 대기 게스트 입장의 운영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운영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문자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기술에 따른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테마 파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기술에 따른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기술에 따른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데이터 모델의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데이터 모델의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기술에 따른 운영자 장치의 표시 스크린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이다.
도 8은 본 기술에 따른 운영자 장치의 표시 스크린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이다.
도 9는 본 기술에 따른 운영자 장치의 표시 스크린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이다.
테마 파크나 놀이 공원 어트랙션이 점점 인기를 얻고 있으며, 탑승자에게 독특한 모션과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놀이 공원 어트랙션이 만들어졌다. 다양한 놀이 공원 어트랙션에 입장하는 게스트는 실제 대기줄이 아닌 가상 대기줄에 게스트를 배치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게스트가, 가상 대기줄에서의 그들의 위치가 진행되는 동안, 놀이 공원의 다른 피처를 즐길 수 있게 한다. 어트랙션에 가상 대기줄 기능을 도입하면, 어트랙션에 도착하는 게스트의 흐름이 영향을 받는다.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게스트는 어트랙션에 입장할 복귀 시간 범위를 부여 받는다. 게스트가 정확한 시간에 돌아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리고 여기에 설명된 다른 요인들로 인해, 어트랙션으로 돌아오는 게스트의 흐름은 하루종일 다양하고 예측하기 어렵다.
게스트가 공원 내의 어떤 어트랙션에 접근하는 비율은 임의성을 수반한다. 하루 중의 시간, 공원 내와 주변에서 일어나는 다른 이벤트, 게스트에게 특별한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 여부, 및 일반적인 게스트 행동과 같은 요인이 어트랙션에의 비정상적인 교통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어트랙션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부하(load) 사이클(예컨대, 어트랙션의 탑승 차량 부하)에서 어트랙션으로 입장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게스트의 정상적인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정 시간에, 실제 대기줄 내의 게스트와 가상 대기줄 내에서 임박한 복귀 시간(즉, 현재 시간)을 갖는 게스트의 총합이, 어트랙션이 태울 수 있는 수보다 많도록 하여, 흐름이 끊어지지 않도록 가상 대기줄에 없는 게스트를 어트랙션에 대한 실제 대기줄에 입장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게스트 행동의 변동성으로 인해, 다시 게스트의 대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이 이 문제를 해결한다.
이점을 염두에 두고,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정 기간 동안 탑승 저활용(ride underutilization), 탑승 과밀 및/또는 비효율적인 탑승 자원 사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줄서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시스템(100)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되는 컴퓨터 시스템(102), 모니터링 센서(104), 무선 통신 시스템(106), 시스템 디스플레이(108), 게스트 연관 장치(110)(예컨대, 액세스 가능 데이터와 통신 피처를 포함하는 팔찌, 게스트 모바일 장치) 및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놀이 공원 게스트(120)가 가상 대기줄 내의 한 위치를 획득하고, 이후 제한된 길이의 대기 로딩 그룹(standby loading group)(122)이나 물리적 대기줄에 입장할 수 있도록 가상 줄서기를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물리적인 대기(122)에 게스트(120)가 소비하는 시간을 제한하고, 식사, 쇼핑 및 기타 오락 장소(예컨대, 놀이 기구, 쇼)와 같은 놀이 공원의 다른 구역에서의 참여를 장려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대기줄(attraction queue)은 가상 대기줄과 실제 대기줄을 통해 중재된다. 또한, 가상 대기줄에의 입장은 복귀 시간이 임박한 게스트에게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귀 시간 범위가 오후 2시부터 오후 2시 15분까지인 게스트는 오후 2시 이후에 임박한 복귀 시간을 갖고, 탑승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 당일 오후 2시 이후에 언제든지 가상 대기줄 입구로 입장될 것이다. 어떤 게스트는 그들의 복귀 시간 범위 내에 가상 대기줄 입구에서 스스로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지만, 다른 게스트는 그들의 복귀 시간과 연관된 시간 이후까지 지연되어, 가상 대기줄을 통해 입장하는 게스트의 수에 변동이 생길 수 있다. 즉, 각 시간 슬롯에 대한 복귀 시간을 분배하여(예컨대, 각 시간 슬롯에서 특정 번호의 복귀 시간을 분배하는 것을 통해) 게스트의 정상적인 흐름을 권장할 수 있지만, 가상 대기줄을 통한 실제 입장은 더욱 예측할 수 없다. 또한 가상 대기줄은 특별 패스(entitlement pass)를 가진 게스트의 입장도 허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게스트는 복귀 시간이 따로 없기 때문에, 그들의 입장 또한 예측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게스트(120)가 발권 장소(124)(예컨대, 호텔 프런트 데스크, 키오스크, 게스트 서비스 카운터, 파크 게이트)에 도착하면, 게스트(120)는 공원 지도, 가상 줄서기 안내 및 편의 시설 안내와 같은 다른 항목들 중에서 입장 자격 증명(예컨대, 티켓 또는 액티브 웨어러블(110))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 매체(예컨대, 오디오, 비디오)와 지침 표시판은 이러한 모든 발권 장소(124)에 존재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게스트(120)는 도착 전에 입장 자격 증명을 획득했을 수 있고, 발권 장소(124)에서 그러한 자격 증명을 획득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게스트는 출입구(126)를 통해 공원이나 공원 구역으로 출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출입구(126)는, 출입구(126)가 개방되도록 의도될 때, 출입구(126)의 통과를 방해할 수 있는 물리적 개찰구나 유사한 물리적 통과 카운트 또는 제어 피처를 배제할 수 있다. 즉, 출입구(126)는 작동 동안 개찰구가 없을 수 있다. 게스트(120)가 이미 자신의 입장 자격 증명, 또는 액티브 웨어러블("AW(Active Wearable)")이나 게스트 연관 장치(110)로 전송된 식별 코드나 번호를 가질 경우, 게스트(120)는 기본적으로 공원이나 공원 구역에 바로 들어갈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하게 활성화된 게스트 연관 장치(110)를 가진 게스트(120)는 멈추지 않고 출입구(126)를 통과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게스트(120)에 의해 보유되거나 착용되는 게스트 연관 장치(110)와 연관된 자격 증명이 검출되어 공원 직원(예컨대, 보안 서비스 회사)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게이트 모니터링 시설(128)에 제공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것은 출입구(126)를 통과하는 게스트(120)의 사진(예컨대, 게스트의 얼굴 사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진은 입장 특전(entry privilege) 확인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문이나 다른 식별 양태(예컨대, 안면 인식)과 같은 다른 피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게스트 연관 장치(110)와 관련하여 예시되어 있지만, 개시된 기술은 포켓 반송용(pocket-carried) 장치와 휴대용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와 같은 게스트 정보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게스트 연관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게스트 연관 장치는 방수이다.
게스트(120)가 게스트 연관 장치(110)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게스트 연관 장치(110)가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그들은 다수의 게이트 모니터링 시스템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게이트 모니터링 시설(128)로의 정보 전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캐너(134)에 티켓 매체(132)를 삽입하여, 게스트(120)가 공원이나 공원 구역에 입장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을 공원 직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인이 부여되면, 게스트 연관 장치(110)를 그들에게 배포하고, 게스트의 얼굴 사진을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126)에 근접하여 위치된 카메라(136)에 의해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동일한 카메라(136)가 또한 모니터링 목적, 예컨대, 게스트 입장 및/또는 어트랙션 환경으로부터의 출구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게스트 연관 장치(110)를 획득하는 게스트(120)의 사진이 다른 위치에서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게스트(120)가 출입구(126)를 거쳐 지나간 후 또는 출입구(126)를 거쳐 지나가기 전에 게스트 연관 장치(110)를 획득할 수 있다.
대기 시간은 공원이나 공원 구역의 여러 위치에서 제공된 디스플레이를 보고 게스트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특정 또는 모든 어트랙션에서, 디스플레이(108)는 특정 어트랙션에 대한 대기 시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워터 슬라이드(142)는 해당 어트랙션에 대한 대기 시간을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44)를 포함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정보는 모니터링 센서(104)로 AW(110)를 추적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공원 구역(예컨대, 탑승구 및 출입구)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또는 모든 어트랙션의 출구에서, 모든 어트랙션(예컨대, 공원이나 공원 구역의 모든 어트랙션)의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 슬라이드(142)의 출구 구역은 모든 주변 어트랙션(예컨대, 놀이 기구(148))에 대한 대기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4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46)는 심지어 음식점(150)에 대한 대기 시간과 같은 비승차 어트랙션에 대한 대기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6)는 특정 공원 구역(152) 내의 어트랙션(예컨대, 공원 "마을(village)")에 대한 대기 시간의 표시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원 구역(152) 내에서,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보드(154)(예컨대, 중앙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08))는 모든 공원 어트랙션이나 공원 구역(152) 내의 어트랙션에 대한 대기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게스트(120)가 그들의 휴대용 장치(예컨대, 휴대폰)를 보관함(160)에 넣기 전에, 대기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를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스트(120)는 어트랙션 입구로 걸어가 입구 포털을 거쳐 대기줄로 들어간다. 예를 들어, 게스트(120)는 워터 슬라이드(142)로 걸어 가서 그것의 어트랙션 스테이션(166)을 통과할 수 있다. 게스트(120)가 걸어서 포털(166)을 지나가면, 게스트의 게스트 연관 장치(110)는 가상 대기줄에 추가되고 있음을 (예컨대, 톤, 진동, 조명을 통해) 게스트에게 통지할 것이다. 이것은 어트랙션 스테이션(166)에서 모니터링 센서(104)로 게스트 연관 장치(110)를 검출함으로써 그리고 게스트 연관 장치(110)의 양태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더 논의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게스트(120)는 어트랙션의 명칭과 현재 대기 시간을 나타낼 수 있는 대기줄 엔트리 포스트(168)로 걸어가고 이 포스트(168)를 게스트 연관 장치(110)와 연결함으로써 가상 대기줄로 들어갈 수 있다. 이는 게스트 연관 장치(110)를 포스트(168)에 태핑(tapping)하거나 그 근처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168)는 각각의 어트랙션의 출구나 입구 및 각각의 공원 구역(152)이나 마을 내의 중앙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별 포스트(168)는 하나의 어트랙션과만 연관될 수 있어서, 포스트(168)와 연결되면 게스트(120)는 자동으로 연관된 어트랙션의 가상 대기줄로 입장되는데, 예컨대, 그 포스트(168)에서 게스트가 서로 다른 어트랙션들 중 선택할 필요 없이 가상 대기줄에 입력되고, 포스트를 태핑하거나 연결하는 것은 연관된 어트랙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단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기줄 엔트리 포스트(168) 및/또는 어트랙션 스테이션(166)이, 어트랙션에 근접하여 위치하면, 이미 가상 대기줄에 있는 게스트에 대한 입구 검증기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대기줄 엔트리 포스트(168)와 어트랙션 스테이션(166)은 게스트를 가상 대기줄에 추가하기 위해 서로 유사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입구에서와 같이 어트랙션에 근접하여 위치될 때, 어트랙션 스테이션(166)은 또한 게스트가 어트랙션에 대한 유효한 입장 위치에 있는 경우에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검증은, 게스트가 어트랙션 스테이션(166)에 태핑할 때, 게스트 연관 장치(110)와 연관된 사용자 식별자에 액세스하기 위해 게스트 연관 장치(110)와의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식별자는 어트랙션 스테이션(166)에서 원격으로 중앙 가상 대기줄 제어 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이는 다시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실시간 대기줄 위치에 액세스하고, 규칙 기반 필터링을 수행하며, 어트랙션 입장에 대한 가상 대기줄의 유효 위치나 무효 위치의 검증 출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규칙 기반 필터링의 일 예에서, 게스트 위치가 가상 대기줄의 앞(위치 1)에 있을 때, 게스트의 입장이 승인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게스트 위치가 프론트 그룹에 있을 때(예컨대, 위치 1-10), 게스트의 입장이 승인된다. 일 실시예에서, 게스트가 입장을 위해 어트랙션으로 복귀하도록 권장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번호(예컨대, 10 또는 5) 미만의 가상 대기줄의 모든 위치는 위치 1로 표시되거나 게스트 연관 장치(110)에 표시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입장이 유효한 것으로 표시(예컨대, 톤, 진동,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예에서, 가상 대기줄에서 위치 1 ~ x에 있는 게스트들이 아직 어트랙션에 나타나지 않고, 게스트가 위치 x+1에 있는 경우, 게스트가 승인된다. 그러나, x의 값은 비교적 작은 값(10 이하)으로 정의하여, 게스트가 입장 지위를 얻기 훨씬 전에 어트랙션에 나타나지 않도록 권장할 수 있다. 유효성은 게스트 연관 장치(11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또는 게스트 연관 장치(110)상의 통지나 어트랙션 스테이션(166) 상의 통지(예컨대, 톤 또는 디스플레이)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통해 게스트에게 표시된다.
게스트가 대기줄 엔트리 포스트(168)와 연결하면, 게스트의 게스트 연관 장치(110)는 가상 대기줄에 추가되어 있음을 (예컨대, 톤, 진동, 일루미네이터를 통해) 게스트에게 통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게스트 연관 장치(110)는 게스트 연관 장치(110)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168)는 대기줄에 성공적으로 추가되었다는 통지를 부가적으로 또는 대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통지는 중앙 가상 대기줄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게스트 연관 장치(110)에 생성 및/또는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지는 대기줄 엔트리 포스트(168)에 의해 생성 및/또는 전달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게스트(120)는 대기줄 키오스크(172)(예컨대, 공원이나 공원 구역의 모든 가상 줄서기 어트랙션에 대한 명칭과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단일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는 가상 대기줄 스테이션으로 걸어감으로써 가상 대기줄로 들어갈 수 있다. 대기줄 키오스크(172)는 각각의 어트랙션의 입구나 출구 및 각각의 공원 구역(152) 내의 중앙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게스트(120)는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대기줄을 선택하고, 자신의 게스트 연관 장치(110)와 키오스크를 연결(예컨대, 태핑)한다. 게스트(120)가 대기줄 키오스크(172)를 연결하면, 게스트의 게스트 연관 장치(110)는 가상 대기줄에 추가되어 있는 것을 (예컨대, 톤, 진동, 일루미네이터를 통해) 게스트(120)에게 통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게스트 연관 장치(110)는 게스트 연관 장치(110)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72)는 대기줄에 성공적으로 추가되었다는 통지를 부가적으로 또는 대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게스트 연관 장치(110)로의 통지는 대기줄 키오스크(172)의 근거리 통신기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게스트 연관 장치(110)에 대한 통지는 장거리나 중거리 통신기를 통해 전달될 수 있고, 대기줄 키오스크(172)가 아닌 중앙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될 수도 있다.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게스트의 게스트 연관 장치(110)는 추정된 복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스트 연관 장치(110)의 디스플레이는 게스트가 로딩 그룹(122)에 들어가기 위해 복귀해야 하는 시간(예컨대, 오후 5:02)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가상 대기줄에서 모니터링이나 대기를 용이하게 한다. 게스트(120)는 짧은 수용 능력의 어트랙션(예컨대, 파도 풀, 수영장, 스플래시 패드, 유수풀(lazy river), 대기 시간이 없는 놀이기구), 음식, 음료 또는 판매 장소를 방문하거나, 단순히 휴식(예컨대, 라운지 의자에서 휴식)을 취함으로써 가상 대기줄에서 대기할 수 있다. 가상 대기줄의 어트랙션 대기 시간이 변경되면, 이 정보는 통신 시스템(106)을 통해 게스트 연관 장치(11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착용 게스트(120)에게 통지하고 업데이트된 대기 시간을 표시할 것이다. 게스트(120)가 다른 가상 대기줄을 위해 현재 가상 대기줄을 떠나고자 하는 경우, 게스트는 상기의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새로운 가상 대기줄에 참여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다. 게스트가 가상 대기줄에서 기다리는 동안 공원(또는 경우에 따라 공원 구역)을 떠나는 경우, 현재 그들이 위치하는 모든 가상 대기줄에서 자동적으로 제거된다. 본 실시예는, 가상 대기줄에서 기다리는 동안, 공원 내에서 지리적 제한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게스트(120)는 임의의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공원 내에서 임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어트랙션 경험의 개시 및 참여를 장려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게스트의 탑승 시간 전에 게스트(120)에게 통지할 것이다. 사전 통지 시간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시스템(100)은 수용 능력을 최적화하도록 다수의 인자, 즉, 어트랙션에서의 현재 대기 시간, 어트랙션으로부터 게스트(120)의 현재 거리, 게스트의 현재 활동 및 이전 가상 대기줄로부터의 도착 속도에 대한 게스트의 이력을 이용할 것이다. 게스트에게 통지되면, 게스트(120)는 어트랙션으로 이동하고 제한된 대기 그룹(122)을 수용하는 로드 플랫폼으로 걸어 간다. 이들 인자 또는 변수는, 모니터링 센서(104)와의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4)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306)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2)(예컨대, 컴퓨터 네트워크(302))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어트랙션 스루풋이 소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은 대기 그룹(122)(10분 미만)이 각각의 어트랙션에서 로드 플랫폼 이전에 형성될 수 있고 특정 실시예에서 대기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게스트 연관 장치(110)는 데이터베이스 상의 게스트의 개인 프로파일 계정에 링크될 것이며, 공원 전체에 분포된 키오스크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게스트 연관 장치(110)와 키오스크 사이의 이러한 상호 작용은 게스트가 공원에서 아이템을 예약하고 주문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게스트는 셀프 서비스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VQ 슬롯, 카바나, 보관함, 타월 등을 예약하고, 사물함과 카바나에 넣어 보호할 수 있으며, 게스트가 데이터베이스의 게스트 프로파일에 첨부된 신용 카드를 사용하여 음식, 음료 및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한다. 공원을 떠날 때, 게스트에게 웨어러블을 반환하라는 프롬프트가 표시될 것이고, 반환된 웨어러블이 그들의 계정에 기록되며, 결제 방법은 반환된 웨어러블과 연결이 해제되어, 다음 날 재사용하기 위해 장치가 초기화되도록 준비된다.
게스트는 특정 어트랙션(예컨대, 놀이 기구)에서 가상 대기줄로 입장한다. 게스트는 어트랙션에 위치될 수 있는 가상 대기줄 예약 지점, 키오스크 또는 놀이 기구 입장 스테이션에서 웨어러블을 태핑하여 가상 대기줄에 안전하게 입장할 수 있다. 일단 안전하게 입장되면, 웨어러블은 공원 시스템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정보를 계속 수신하고, 대기 시간이 업데이트되어 게스트의 웨어러블에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게스트는 최대 2개의 가상 대기줄에 입장할 수 있으며, 가상 대기줄의 상태를 언제든지 그들의 웨어러블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원 내 어트랙션은 2개의 클래스(예컨대, 리드 타임이 긴 것과 리드 타임이 짧은 것)로 나눌 수 있고, 한 게스트가 언제든 입장할 수 있는 2개의 VQ는 각 유형 중 하나로 제한될 수 있다.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대기줄 입구를 통해 입장하는 게스트의 수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할 때, 놀이 기구나 쇼 운영자가 안정된 트래픽 패턴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이 시스템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대기 입구를 통해 게스트를 입장시킴으로써 작동된다. 각 간격에서 대기 입구를 통해 입장된 게스트의 수는 어트랙션의 동작 수용 능력과 이전 시간 간격 동안 가상 대기줄 입구를 통해 입장하는 게스트의 수를 기반으로 한다.
시스템은 시스템의 상태가 모니터링되는 운영자 인터페이스(예컨대,도 2의 운영자 인터페이스(332) 및/또는 도 3의 운영자 인터페이스(414))를 포함할 수 있고,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시작, 일시 중지, 재개 및 재설정할 수 있다. 시스템은 지정된 게스트의 수까지 입장하도록 운영자에게 지시하는 대기 입구에 위치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센서를 통과하는 게스트의 수를 카운트하는 인원 카운팅 장치(예컨대, 티켓 스캐너, 적외선 빔 카운터, 오버헤드 열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물리적 개찰구 또는 기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센서가 각각의 입구에 위치될 수 있다.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운영자는 탑승 시간당 수용 능력과 대기 간격을 설정한 후에 시스템을 시작한다. 또한,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트랙션에 대한 수동 다운타임(manual downtime)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다운타임이 어트랙션의 작동을 방해하는 경우, 시스템은 어트랙션 다운타임 동안 복귀 예정인 게스트에게 새로운 복귀 시간을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스트는 제공된 복귀 시간 중에서 선택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각각의 시간 간격 동안, 가상 대기줄 입구를 통해 입장된 게스트의 수는 인원 카운팅 방법(예컨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카운터, 센서)에 의해 카운트된다. 적절한 자격 증명을 가진 게스트는 가상 대기줄 입구에 지속적으로 입장할 수 있게 한다.
각 간격의 끝에서, 대기 입구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2의 대기줄 모니터링 장치(333) 및/또는 도 3의 모니터링 장치(466))는 다음 간격 동안 대기 입구를 통해 얼마나 많은 게스트가 입장하는 지를 나타낸다. 얼마나 많은 대기 게스트가 입장하는 지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다양한 입력을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은 가상 대기줄과 대기 입구 양쪽 모두에서 이전의 모든 게스트의 목록일 수 있다.
대기 입구에서의 인원 카운팅 방법은 게스트가 입장할 때 게스트를 카운팅하고 대기 입구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한다. 대기 입구를 통해 더 이상 게스트가 입장하지 않으면, 대기 입구 디스플레이는 운영자에게 대기를 표시한다.
위의 단계는 어트랙션의 동작 동안 반복되며, 실제 대기줄로부터의 게스트로 수용 능력의 미사용 부분을 채운다.
본 기술은 가상 대기줄 입구의 트래픽 흐름이 개선되도록 동작한다. 이 시스템은 개별 쇼 주기와는 독립적이며, 결과적으로 단일 탑승 주기에 비해 더 긴 기간에 걸친 트래픽 변동을 수용할 수 있다. 시스템의 자동화된 특성은 대기 입구를 운용하는 팀원에 의한 수동 카운팅이나 추측 작업이 없어진다. 시스템은 대기줄 입장을 밀접 배치할 필요가 없다. 이는, 특히, 실제 대기줄의 게스트가 가상 대기줄의 게스트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단일 운영자가 가상 대기줄 게스트와 대기 게스트가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판정할 수 없는 경우에 유리한다.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에의 입력은, 시간당 탑승 수용 능력(Hourly Ride Capacity)(예컨대, 시간당 어트랙션을 경험할 수 있고,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영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게스트의 수)와, 사이클 시간(Cycle Time)(예컨대, 어트랙션 사이클당 시간)과, 사이클 수용 능력(Cycle Capacity)(예컨대, 사전 쇼 및/또는 탑승에 소요된 시간 및/또는 어트랙션 구동 시간에 따라 사전 설정될 수 있는, 어트랙션 사이클당 수용된 게스트의 수)와, 잔여 시간(Time Remaining)(사이클에 남은 시간)과, (시스템에 의해 계산된) 오버런(Overruns)과, 가상 대기줄 입장(대기줄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통해 제공되는 대로 사이클 동안 입장된 게스트의 수)와, 대기 보류(대기줄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통해 제공되는 순서대로 게스트를 대기 상태로 유지)와, 지금 대기 승인(Standby Admit Now)(대기 승인 명령을 통해 대기줄 모니터링 장치로 출력)과, 대기 승인(Standby Admit)(대기줄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통해 제공되는 대로 입장된 대기 게스트)과, 일시 중지/일시 중지 해제(Paused/Unpaused)와, 사이클 수와, 총 런타임(Total Run Time)과, 총 수용 능력(Total Capacity)과, VQ 입장(VQ Adimt)과, SB 입장(SB Admit), 및 사이클 시간(초)(Cycle Time in Second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클 수용 능력이 총 게스트 40명이고, 이용 가능한 가상 대기줄 게스트가 없는 경우, 명령은 사이클(예컨대, 2분)에 대해 40명의 입장 대기를 표시하게 할 것이다. 입장은 사이클을 통한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그룹으로서 입장될 수 있다. 일단 입장되면, 디스플레이 명령은 사이클이 채워져서 사이클의 나머지 기간 동안 실제 대기줄에 입장할 수 없음을 표시하도록 업데이트된다. 사이클이 끝나면, 명령이 업데이트되어 40개의 새로운 잠재적 입장 그룹이 표시된다. 가상 대기줄 게스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수용 능력이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또는 가상 대기줄 게스트를 더는 이용할 수 없을 때까지 모든 가상 대기줄 게스트가 입장된다. 모든 가상 대기줄 게스트가 입장되고, 나머지 사이클 시간 동안 사이클의 나머지 수용 능력(예컨대, 10명분의 공간)이 있을 경우, 실제 대기줄 게스트는 이용 가능한 경우, 그룹으로 입장되거나 나머지 사이클 동안 남은 자리를 채우기 위해 롤링 방식(rolling basis)으로 입장된다. 따라서, 시스템은 가상 대기줄과 대기 게스트의 사전 설정된 비율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실시간 트래픽 조건에 응답하여 가상 대기줄 조건에 따라 실제 대기줄로부터의 입장를 동적으로 변경하고 어트랙션을 채운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은, 게스트 유입에 대응하지만 복귀 시간의 분배에 영향을 미치거나 변경하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도록, 가상 대기줄 복귀 시간 분배기와는 독립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
도 2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314)의 블록도이다.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은 게스트 연관 장치(320), 디스플레이 유닛(326) 또는 이들의 조합과 통신하는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예컨대, 가상 대기줄 제어기(130))를 포함한다. 어트랙션에 대한 가상 대기줄에 입장하기 위해, 게스트 연관 장치(320)는 게스트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대기줄 요청 신호(350)를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로 전송한다.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는 대기줄 요청 신호(350)를 수신하고, 게스트에 대한 대기 시간을 결정하며, 대기 시간 신호(322)를 게스트 연관 장치(320), 디스플레이 유닛(326)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한다. 게스트 연관 장치(320)와 디스플레이 유닛(326)은 대기 시간 신호(322)를 수신하고 게스트에 대한 대기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게스트 연관 장치(320), 디스플레이 유닛(326) 및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는, 이들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안테나, 무선 송수신기 회로, 신호 처리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예컨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필터, A/D 변환기, 멀티플렉서 증폭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회로(35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352)는 IR 무선 통신, 위성 통신, 브로드캐스트 라디오, 마이크로파 라디오, Bluetooth, Zigbee, Wifi, UHF, NFC 등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또한 라디오 타워, 셀 타워 등과 같은 중간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356a)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354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56a)는 가상 대기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에 의해 수신된 게스트 스루풋 입력(358)과 탑승 스케줄 데이터 입력(360)에 기초하여 게스트와 게스트 입장 정보(예컨대, 입장 대기)에 대한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탑승 스케줄 데이터 입력은 사용자 입력,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는 스케줄링(또는 리스케줄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대기 시간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는, 대기 시간을 결정할 때, 탑승 스케줄 데이터 입력(360)과 게스트 스루풋 입력(358)을 조합하여 추가 입력을 수신 및 이용할 수 있다.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의 프로세서(356a)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비일시적인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또는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기계 실행 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나 다른 프로세서 기반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는 운영자 인터페이스(332)(예컨대, 입출력 인터페이스(364)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 워크스테이션이나 모바일 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56b)와 메모리(354b)를 구비하는 게스트 연관 장치(320)는 개인용 게스트 장치(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랩톱 등)나 게스트에게 할당된 공원 대기줄 장치(예컨대, 스마트 손목 밴드, 액티브 웨어러블, 휴대용 통신 장치 등)일 수 있다. 공원 대기줄 장치에는 대기 시간을 보고 대기줄 요청을 보내기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개인 게스트 장치를 사용하는 게스트는 프로그램(예컨대, 웹 기반 프로그램, 스마트 폰 앱,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마 파크 입장권이나 확인 이메일은 프로그램에 액세싱하기 위한 사용자 이름, 암호 또는 이들의 조합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찾기 위한 세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게스트과 연관된 개인 정보(키, 체중, 나이, 및 기타 인적 사항)는 게스트 식별 정보가 대기줄 요청 신호와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이름 및/또는 암호에 링크될 수 있다. 공원 대기줄 장치를 사용하는 게스트는, 장치가 게스트에게 할당될 때, 그들의 게스트 정보를 공원 대기줄 장치에 업로드할 수 있다.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는, 여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대기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 게스트 식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게스트가 시간을 보고 대기줄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추가 리소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대기줄 스테이션(예컨대, 게스트 키오스크)을 포함할 수 있다. 게스트는 일종의 게스트 식별자(예컨대, 사용자 이름, 암호, 카드, RF 팔찌, 개인 정보 등)를 사용하여 대기줄 스테이션의 줄서기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다. 대기줄 스테이션은 테마 파크 주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기줄 스테이션은 어트랙션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게스트에게 어트랙션에 근접한 위치에서 어트랙션을 줄서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기줄 스테이션은 게스트가 대기줄 스테이션에 가장 근접한 어트랙션에 대해서만 줄서기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반적인 대기줄 스테이션은 테마 파크(110) 전체에 걸쳐 있으며, 이는 테마 파크에서의 어트랙션에 대한 대기줄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326)은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로부터 대기 시간 신호(322)를 수신하고 어트랙션에 대한 현재 대기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326)은 각각의 어트랙션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가장 근접한 어트랙션에 대한 현재 대기 시간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유닛은 테마 파크 주변의 일반적인 위치(예컨대, 식사 구역, 산책로 등)에 배치된다. 일반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수의 어트랙션에 대한 현재 대기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모니터링 장치(466)를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430)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466)는 가상 대기줄 제어기(430)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통신 회로(452d)를 구비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466)는 또한 프로세서(456c)와 메모리 장치(454c)를 구비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466)는 현재 대기줄 조건을 모니터링 및/또는 결정하고, 대기줄 조건 신호(468)를 가상 대기줄 제어기(430)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물리적 대기줄과 대기 구역의 양쪽 모두를 사용하여, 한 게스트가 정시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최대 탑승 인원까지 놀이기구를 채울 복수의 게스트가 어트랙션에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466)는 물리적 대기줄의 현재 대기줄 조건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모니터링 장치(466)는 물리적 대기줄, 가상 대기줄,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현재 대기줄 조건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466)는 대기줄의 길이, 대기줄 내의 게스트 수, 대기줄에 출입하는 게스트의 유동률, 대기줄 내의 특정 개인(예컨대, 대기줄에서의 게스트 식별), 대기줄 내의 하위 대기줄의 수, 대기줄 내의 게스트 유형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현재 대기줄 조건을 모니터링하거나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466)는 대기줄 내의 특정 위치(예컨대, 지리적 위치, 대기줄 존 등)를 모니터링하고, 각각의 특정 위치에서 게스트의 수를 가상 대기줄 제어기로 출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466)는 대기줄의 시작이나 끝에서 게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줄의 중간에서 게스트가 대기줄을 떠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466)는 대기줄 내의 게스트의 다양한 특성(예컨대, 유형, 성별, 연령, 인원수 등)을 결정하고, 어트랙션과 관련하여 대기줄과 연관된 이력 스루풋 데이터를 추적 및 기록하기 위해 가상 대기줄 제어기(430)로 해당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466)는 대기줄 조건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카운팅 메커니즘(47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기줄 내의 게스트의 수는 카운팅 메커니즘(470)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는데, 이는 수동 시스템일 수 있고/있거나 대기줄에 근접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는 대기줄에 물리적으로 근접하여 배치되고, 가상 대기줄 제어기(43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472)(예컨대, 광학 센서, 카메라, 기계식 발판(mechanical treadle), RF 감지 시스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72)는 현재 대기줄 조건과 연관된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414)에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스트가 각각 RF 식별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모니터링 장치와 연관된 RF 센서는 특정 게스트(들)가 대기줄에 출입하는 시기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데이터를 가상 제어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센서(472)는 대기줄의 입구 및 출구에서 개별 게스트를 인식하고, 그 정보를 가상 대기줄 제어기(430)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대기줄의 다양한 조건(예컨대, 대기 시간, 대기줄 길이 등)이 개별 게스트가 대기줄 내에서 보낸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이 입장된 게스트를 카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472)는 다수의 입구 및/또는 대기줄을 캡처하도록 위치 결정된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들)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대기줄 제어기(430)는 다수의 대기줄에 대한 게스트를 한 번에 해결하거나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게스트 카운팅 정보는 입구에 위치한 기계식 게이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구 제어 장치에 대한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게스트의 수에 기초하여, 기계적 게이트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도 4는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방법(500)은, 예컨대, 입구를 통해 어트랙션 환경으로의 입장에 대한 시간 간격을 개시(블록 502)하는 것을 시작한다. 시간 간격은, 여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중앙 운영자 입력 및/또는 제어기 설정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시간 간격은 운영자 장치, 예컨대, 도 3의 운영자 장치(480)에 제공되고/제공되거나 블록 504에서 중앙 제어기, 예컨대, 도 3의 가상 대기줄 제어기(430)에 표시되는 게스트 입장 정보와 연관된다. 게스트 입장 정보는 각 시간 간격마다 입장될 목표 게스트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 위치에서, 입장된 게스트는 수동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카운트되고, 입장된 게스트의 수가 제공된다(블록 506). 목표 수와 입장된 게스트 수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잔여 수가 결정되어(블록 508), 대기줄과 연관된 적절한 운영자 장치에 전달된다(블록 510). 잔여 수가 0보다 큰 경우, 대기 게스트는 실제 대기줄을 통해 입장되고, 업데이트된 입장 수는 시간 간격 동안 제공된다(블록 512).
특정 실시예에서, 잔여 수가 0보다 큰 경우, 방법(500)은 시간 간격이 경과하거나 실제 대기줄을 통해 게스트가 입장하기 위해 시간 간격의 일부(예컨대, 10% 미만)만 남아 있을 때까지 대기하도록 정보를 운영자 장치에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귀 시간이 임박한 게스트를 위해 지정된 복귀 시간 입구에서의 모든 게스트 부족분은 실제 대기줄에서의 게스트로 채워 마감될 수 있다. 시간 간격이 빈번하게(예컨대, 매분, 2분마다, 5분마다, 10분마다)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은 어트랙션 환경으로 입장하는 대기 게스트의 수를 빈번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복귀 시간과 대기 게스트를 유지한 게스트로부터의 어트랙션 스루풋은 동적이며 복귀 시간 게스트의 가용 인원수에 따라 조정된다. 이는 지정된 복귀 시간 이후 하루 중 언제라도 유효한 복귀 시간을 유지하는 게스트의 적시성(timeliness)에 대한 일별 또는 시간별 변동을 완화한다. 예를 들어, 점심 식사 직후의 복귀 시간은 적시에 도착하는 게스트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어트랙션 스루풋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실제 대기줄에서 게스트의 복귀 시간의 부족분을 보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개별 위치의 데이터 모델이다. 각각의 위치는 놀이기구나 엔터테인먼트 어트랙션을 포함할 수 있는 개별 테마 파크 위치(600)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위치(600)는 실제 대기줄(650)과 다른 대기줄(618)(예컨대, 복귀 시간 대기줄)을 포함한다. 사이클에 걸친 어트랙션의 수용 능력에 따라, 위치(600)의 하나 이상의 구역에 게스트가 입장된다. 각 위치(600)의 데이터 모델은 위치 식별 정보(602), 이름 정보(604), 수용 능력 정보(606), 작동 개시 시간 정보(608), 작동 종료 시간 정보(610)와 연관되고, 특정 실시예에서는, 테마와 그래픽 정보(612)와 연관된다. 데이터는 중앙 제어기(예컨대, 가상 대기줄 제어기(330, 430))에 상주하고 적절하게 원격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위치(600)와 연관된 운영자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와 명령은 적절한 그래픽과 테마를 포함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운영자 장치가 위치(600)에 등록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위치(600)로 등록이 변경될 때 상호 교환될 수 있다.
각각의 위치(600)는 중앙 제어기 운영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는 사이클 정보(680)와 같은 어트랙션 특정 정보와 연관된다. 사이클 정보(580)는 시간 간격 길이(680), 다음 시간 슬롯이나 간격(684)까지 남은 시간, 일시 중지 시간(686), 및 사이클 상태(690)와 식별자(69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600)은 게스트가 위치(600)로 입장하는 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300초 간격으로 총 100명의 게스트를 원하거나 사전 설정된 게스트 사이클을 정의하는 개별 사이클의 경우, 게스트는 먼저 복귀 시간 대기줄을 통해 입장한다. 입장된 게스트는 센서나 다른 카운팅 메커니즘에 의해 카운트되며, 이들 입장된 참석자는 총 게스트 사이클로부터 감산된다. 위치 제어기는 사이클이 끝날 때까지(예컨대, 300초의 사이클) 복귀 시간 대기줄로부터 게스트가 입장하도록 승인할 수 있고, 이 시점에서 개별 사이클에 대한 나머지 게스트 수용 능력은 실제 대기줄에 의해 채워진다. 따라서, 실제 대기줄 게스트는 각 사이클의 끝이나 그 근처에서 또는 개별 사이클 사이에서 버스트(burst)로 실제 대기줄로부터 입장될 수 있는 반면, 복귀 시간 대기줄 게스트는 각각의 개별 사이클에 걸쳐 롤링 방식으로 입장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모델(600)은 데이터 메트릭 정보(626)(총 카운트(630), 총 수용 능력(632), 총 사이클 번호(634) 및 식별자(636)와 날짜 당 총계(638) 정보)뿐만 아니라 대기줄 정보(618)(간격 당 목표 게스트 수(620), 시작 또는 현재 입장된 게스트 수(622), 및 잔여 게스트 수(6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또한 게스트 스루풋의 운영자 추정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카운팅은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데이터는 중앙 제어기에 제공되고, 대기줄 운영자에게는 입장 승인된 게스트 수를 표시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제 대기줄 운영자의 디스플레이는 "WAIT" 또는 "ADMIT 20"(예컨대, 또는 실제 대기줄로부터의 결정된 입장객 수)을 나타낼 수 있다. 게스트가 입장함에 따라, 표시되는 입장객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귀 시간 대기줄의 운영자의 경우, 중앙 제어기는 총 사이클 수용 능력에 도달할 때까지 복귀 시간 게스트가 사이클 내에서 입장할 수 있도록 허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총 사이클 수용 능력에 도달하면, 복귀 시간 대기줄 운영자의 휴대용 디스플레이에 더 이상 게스트가 입장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실제 대기줄의 운영자의 경우, 휴대용 제어기는 사이클이 활성임을 표시할 수 있다(예컨대, 복귀 시간 게스트가 입장되는 동안의 사이클의 활성 기간). 사이클이 끝에 가까워지거나 끝에 도달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에는 사전 설정된 게스트 사이클 합계에 도달하도록 허용될 수 있는 잔여 게스트의 수가 표시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사이클마다 입장된 총 게스트의 수는 해당 위치에 대한 바쁜 시간 동안 원활하거나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대기줄과 실제 대기줄의 게스트 비율은 사이클마다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이클에서는 80명의 복귀 시간 대기줄 게스트와 20명의 대기 게스트가 입장할 수 있는 반면, 후속하는 제 2 사이클에서는 50명의 복귀 시간 대기줄 게스트와 50명의 대기 게스트가 입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대기줄에 입장할 수 있는 게스트의 복귀 시간 대기줄(특별한 탑승 권한이나 패스, 기존 복귀 시간 및/또는 가상 대기줄 내의 게스트 지점이 있는 게스트를 나타낼 수 있음)의 수요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대기줄에 입장할 수 없는 게스트는 실제 대기줄로 입장할 수 있다.
도 6은 다수의 개별 위치(700)가 중앙 제어기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모델이다. 각각의 개별 위치(700)는 어트랙션 사양(702)에 따라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대기줄 식별 정보(708), 수용 능력 정보(710) 및 간격 정보(712)와 같은 대기줄 특정 정보(706)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위치는 하나의 대기줄(704), 2개의 다른 대기줄(704), 3개의 다른 대기줄(70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대기줄(704)로부터의 데이터는 대기줄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개별 센서(720)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될 수 있고, 그들의 지정된 대기줄(704)을 통해 입장되는 게스트를 카운트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위치는 입장, 퇴장 및 상태 정보와 같은 대기줄 사이클 데이터(716)와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위치(700)는 해당 위치에서의 어트랙션의 유형에 따라 사이클 시간을 통해 개별화된 사이클 시간 및 어트랙션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 제어기는 각각의 위치(700)에서 센서(7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위치에서 원하는 게스트 사이클 합계를 달성하기 위해 입장될 나머지 게스트를 결정하고, 각 위치의 대기줄에 있는 운영자 휴대용 장치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데이터는 시간당 카운트 데이터(726) 및 추가 스루풋 정보(728)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위치(700)는 모듈 방식으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위치(700)는 어트랙션이 대기줄(704)을 제거하거나 추가하기 위해 업데이트됨에 따라 재구성될 수 있고, 시스템은 그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단일 위치(700)가 도시되어 있지만, 추가 위치가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휴대용 디스플레이는 어트랙션의 테마에 따라 각각의 개별 위치에 테마화되거나 맞춤화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운영자 장치의 스크린 표시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남은 입장객 수와 잔여 시간, 예컨대, 카운트다운을 도시한다. 그러나, 카운트업 유형의 디스플레이도 또한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 표시(예컨대, 깜빡이는 스크린, 녹색)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는 입구가 입장 모드에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남은 입장객 수와 잔여 시간을 나타낸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잔여 수가 임계값 미만일 때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게스트 및/또는 대기 게스트가 입장되지 않는 WAIT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정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일어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에 부합하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개선하고,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인 것이 아닌 실질적인 성질의 물질적 대상과 구체적인 예에 참조되고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마지막에 첨부된 청구항이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라는 것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방식으로 지정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청구 범위에 대해서는, 이러한 구성 요소가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0)

  1.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를 모니터링하고 센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프로세서와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가상 대기줄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대기줄 제어기는,
    게스트 입장 정보를 운영자 장치(operator device)에 전달하고 - 상기 게스트 입장 정보는, 상기 운영자 장치가 시간 간격 동안 입장될 게스트의 목표 수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상기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수와 상기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의 수에 기초하여, 입장될 잔여 게스트를 나타내는 잔여 수를 결정하며,
    입장 대기 신호를 상기 운영자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운영자 장치가 상기 잔여 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개별 게스트를 식별하여 상기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의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임박한 복귀 시간을 유지하는 게스트에 의해 공급되는 가상 대기줄 입구인,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입구에 인접하거나 상기 입구를 공유하는 실제 대기줄을 통해 입장된 대기 게스트를 추가로 모니터링하도록 위치 결정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대기줄 제어기는, 입장된 대기 게스트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잔여 수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대기줄 제어기는,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에 새로운 시간 간격을 시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새로운 시간 간격 동안 입장될 상기 게스트의 목표 수는, 상기 시간 간격 동안 입장될 상기 게스트의 목표 수와 동일한,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시간 간격의 길이는 상기 시간 간격과 동일한,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대기줄 제어는, 제어 신호를 상기 입구의 기계적 게이트로 전달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의 수가 상기 목표 수와 동일해질 때까지 기계식 게이트가 개방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장 대기 신호는, 실제 대기줄로부터 게스트를 입장시키기 전의 대기 지시를 더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지시는, 상기 시간 간격의 잔여 시간에 기초하고, 대기 게스트는, 상기 시간 간격의 임계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입장되지 않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12.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입구를 통해 입장하는 시간 간격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간격의 목표 입장객 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를 통해 입장된 게스트의 수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수와 상기 시간 간격의 상기 목표 입장객 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입장 대기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입장 대기 정보는, 대기 입구를 통해 입장되는 잔여 입장객 수를 포함함 -, 및
    상기 대기 입구를 통해 입장되는 상기 잔여 입장객 수를 상기 운영자 장치에 표시하도록 입장 대기 신호를 상기 운영자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된 후에 새로운 시간 간격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된 후에 상기 목표 입장객 수를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입장객 수가 0보다 크고 상기 시간 간격의 불충분한 부분이 경과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대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신호를 전달한 후, 상기 시간 간격의 충분한 부분이 경과된 후에 상기 대기 신호를 전달하는,
    대기줄 모니터링 방법.
  17.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와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가상 대기줄 제어기와,
    운영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대기줄 제어기는,
    시간 간격 동안 입장될 게스트의 목표 수를 포함하는 게스트 입장 정보를 전달하고,
    생성된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입구로부터 입장된 게스트의 수를 결정하고,
    대기 정보 - 상기 대기 정보는, 상기 목표 수와 상기 입구로부터 입장된 상기 게스트의 수에 기초하여 입장될 대기 게스트의 잔여 수를 포함함 - 를 결정하며,
    상기 잔여 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운영자 장치는,
    상기 게스트 입장 정보와 상기 대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목표 수와 상기 시간 간격 내의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간격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대기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시간 간격 동안 대기 게스트 입장에 대한 운영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장치는, 상기 시간 간격 내의 상기 잔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 게스트의 표시된 입장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장치는,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된 후에 상기 잔여 수까지의 허용된 입장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대기 게스트의 상기 표시된 입장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대기줄 제어기는, 상기 목표 수, 상기 시간 간격의 길이 및 일별 시간 간격의 수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해 제어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대기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7015839A 2017-11-03 2018-11-02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 KR102655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1182P 2017-11-03 2017-11-03
US62/581,182 2017-11-03
US201862656225P 2018-04-11 2018-04-11
US62/656,225 2018-04-11
PCT/US2018/059032 WO2019090130A1 (en) 2017-11-03 2018-11-02 Queue monitoring techn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299A true KR20200080299A (ko) 2020-07-06
KR102655150B1 KR102655150B1 (ko) 2024-04-04

Family

ID=6436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839A KR102655150B1 (ko) 2017-11-03 2018-11-02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640626B2 (ko)
EP (1) EP3704676A1 (ko)
JP (1) JP7311506B2 (ko)
KR (1) KR102655150B1 (ko)
CN (1) CN111279398B (ko)
CA (1) CA3079249A1 (ko)
RU (1) RU2020117579A (ko)
SG (1) SG11202003447UA (ko)
WO (1) WO2019090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2840B2 (en) 2016-03-16 2018-12-11 Universal City Studios Llc Virtual queue system and method
US11568333B2 (en) * 2019-06-27 2023-01-31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virtual queue
US11922212B2 (en) 2020-08-07 2024-03-05 Micron Technology, Inc. Virtual queue optimization
US11941927B2 (en) * 2020-08-11 2024-03-26 Riya RANJAN Electromechanical device that counts, calculates, and reports wait times and occupancy rates in real-ti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8400A (en) * 1978-03-28 1979-10-04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uxiliary equipment for vending admission tickets
JP2007509396A (ja) * 2003-10-15 2007-04-12 ディズニー エンタープライゼ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群衆が集中する中心地に関する人の流れの無線制御による管理
JP2011215787A (ja) * 2010-03-31 2011-10-27 Sogo Keibi Hosho Co Ltd 人数計測装置、精度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57275A (ko) * 1959-10-26
JPH05270620A (ja) * 1992-03-25 1993-10-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品の在庫管理方法
US6173209B1 (en) * 1999-08-10 2001-01-09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ttraction admission
US7222080B2 (en) 1999-08-10 2007-05-22 Disney Enterprises, Inc.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in relation to centers of crowd concentration
US20020007292A1 (en) * 2000-03-28 2002-01-17 Paxton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ing a place in line
CN1571973A (zh) * 2001-02-07 2005-01-26 环球影城公司 用于主题公园的预订系统和方法
EP1407427A1 (en) * 2001-07-10 2004-04-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route planning and virtual queue handling
WO2003034350A2 (en) * 2001-10-19 2003-04-24 Lo-Q, Plc Queuing system and methods
US8832772B2 (en) 2002-12-10 2014-09-09 Ol2, Inc. System for combining recorded application state with application streaming interactive video output
KR101503624B1 (ko) 2006-03-16 2015-03-17 엠.브루베이커 커티스 이동 객체에 하이퍼-관련 광고의 표시를 통한 수익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2567A (ko) 2007-12-05 2010-10-19 온라이브, 인크. 검출된 인트라프레임 동작 또는 장면 복잡성에 기초하여 타일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비디오를 압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R2927452B1 (fr) 2008-02-12 2013-07-05 Ingenico Sa Procede de controle d'acces, dispositif et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s.
EP2975561B1 (en) * 2014-07-14 2023-12-13 Gerrit Böhm Capacity prediction for public transport vehicles
US20160055429A1 (en) 2014-08-20 2016-02-25 Universal City Studios Llc Virtual queu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8400A (en) * 1978-03-28 1979-10-04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uxiliary equipment for vending admission tickets
JP2007509396A (ja) * 2003-10-15 2007-04-12 ディズニー エンタープライゼ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群衆が集中する中心地に関する人の流れの無線制御による管理
JP2011215787A (ja) * 2010-03-31 2011-10-27 Sogo Keibi Hosho Co Ltd 人数計測装置、精度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2635A (ja) 2021-01-28
CN111279398B (zh) 2023-02-03
RU2020117579A (ru) 2021-12-03
WO2019090130A1 (en) 2019-05-09
US20190139104A1 (en) 2019-05-09
RU2020117579A3 (ko) 2022-04-04
JP7311506B2 (ja) 2023-07-19
US11640626B2 (en) 2023-05-02
KR102655150B1 (ko) 2024-04-04
CN111279398A (zh) 2020-06-12
EP3704676A1 (en) 2020-09-09
CA3079249A1 (en) 2019-05-09
SG11202003447UA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589B2 (en) Virtual queuing system and method
US11670126B2 (en) Virtual queue system and method
KR102655150B1 (ko) 대기줄 모니터링 기술
KR20190082865A (ko) 가상 대기열 기법
US109229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seating in amusement park ven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