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16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167A
KR20200078167A KR1020180167809A KR20180167809A KR20200078167A KR 20200078167 A KR20200078167 A KR 20200078167A KR 1020180167809 A KR1020180167809 A KR 1020180167809A KR 20180167809 A KR20180167809 A KR 20180167809A KR 20200078167 A KR20200078167 A KR 2020007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group
image
color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698B1 (ko
Inventor
김지혜
김병현
박영인
문주선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698B1/ko
Priority to US16/716,956 priority patent/US11217203B2/en
Priority to PCT/KR2019/018252 priority patent/WO2020130737A1/en
Publication of KR2020007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26Control of mixing and/or overlay of colours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 및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가 촬영한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영상을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복수의 색을,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하고, 선택된 복수의 색이 적용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영상의 표시뿐만 아니라, 디지털 영상을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조작하는 디지털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처리로는, 디지털 영상 내의 특징을 추출하여 활용하거나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영상 처리를 위해서는, 디지털 영상이 지닌 속성을 수치화하거나 디지털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일 측면은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색을 추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가 촬영한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영상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복수의 색을,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이 적용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픽셀 별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픽셀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1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할 복수의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제1색 및 제2색 각각의 색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을 동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의 명도에 기초하여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에 기초하여 상기 최하위 영역 및 상기 최상위 영역에 적용할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상기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하고, 상기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을 상기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의 개수가 상기 영역의 개수 보다 많은 경우, 상기 명도가 두번째로 높은 그룹을 상기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에 기초하여 상기 미들 영역에 적용할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상기 미들 영역 중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하고, 상기 채도가 두번째로 높은 그룹을 상기 제1 미들 영역의 상위에 배치된 제2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 중 상기 그룹의 채도 순으로 상기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하위 영역 및 상기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최하위 영역에 할당된 그룹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복수의 영역을 병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역의 개수, 형태, 순서, 가중치 또는 상기 영역에 적용될 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가 촬영한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복수의 색을,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이 적용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및 상기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픽셀 별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복수의 색을,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하는 것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및 상기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할 복수의 색을 선택하고,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을 적용하는 것은,상기 그룹의 명도에 기초하여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에 기초하여 상기 최하위 영역 및 상기 최상위 영역에 적용할 색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을 적용하는 것은,상기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에 기초하여 상기 미들 영역에 적용할 색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명도 또는 채도가 서로 다른 색을 각각의 영역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을 보다 적절하게 반영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에 포함된 영역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색을 영역에 적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140),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으로, 외부 장치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는 영상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메라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카메라 장치로부터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직접 수신할 수 있고, 서버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카메라 장치가 촬영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부(110)가 수신하는 영상은 다양한 컨텐츠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식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외부 장치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색을 추출된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색 데이터는 특정 색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영상에 포함된 각 픽셀의 색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색 데이터는 표준화된 색상 모델의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색상 모델의 좌표는 3원색 각각이 하나의 축을 이루고 있으며, 구체적인 하나의 색은 좌표계 내에서 하나의 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색상 모델로는 RGB(Red-Green-Blue) 모델, HSV(Hue-Saturation-Value) 모델, CMYK(Cyan-Magenta-Yellow-Black) 모델, HSL(Hue-Saturation-Lightness) 모델, TCbCr 모델 등이 있다.
이러한 색상 모델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RGB 모델은 컬러 CRT 모니터나 컴퓨터 그래픽스분야에서 사용하는 모델이고, YIQ는 TV방송을 위한 색상모델, CMY는 컬러 영상의 출력을 위해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색상모델이다. 사람이 색을 인지하는 모델과 가까운 직관적인 모델로, 색상, 채도, 명도를 다루는 시스템은 HSV, HSL, HIS 색상 모델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HSV 모델 및 RGB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은 각 픽셀의 색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러한 색 데이터는 각 픽셀의 R(Red), G(Green), 및 B(Blue)의 파라미터값에 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H(Hue), S(Saturation) 및 V(Value)의 파라미터값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색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색이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기초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된 픽셀 별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된 픽셀 별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색 별 픽셀 수를 확인할 수 있고, 동일한 색을 갖는 픽셀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동일한 색 데이터를 갖는 픽셀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색 데이터를 갖는 픽셀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색을 추출하는 것은 영상의 픽셀 정보로부터 특정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획득된 색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색을 해당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색 중 유사한 색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유사한 색은, 색 데이터 각각의 파라미터값이 유사한 색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한 분류 결과, 즉 적어도 하나의 색을 포함하는 그룹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고, 할당된 색을 해당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미리 정해진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표시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은 미리 정해진 크기, 모양, 배치 순서, 깊이(depth)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크기, 모양, 배치 순서, 깊이(depth)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패턴은 디스플레이(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색 보정을 위한 패턴으로, 디스플레이(140)에서 출력되는 영상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병합함으로써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병합함으로써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패턴에 기초하여 색 보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색 할당, 할당된 색에 대한 보정 등의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입력부(12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3 원색, 즉 적색, 녹색, 청색을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색을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 모델 기반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영상 뿐만 아니라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4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영역의 개수, 형태, 순서, 가중치 또는 영역에 적용될 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용할 색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영역에 할당될 색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색 데이터의 파라미터값을 직접 입력하거나 색 데이터의 파라미터값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함으로써 영역에 할당된 색을 변경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140)와 상호 영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터치 패드와 상호 영역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40)는 입력부(120)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3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에 포함된 영역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패턴에 기초하여 영상을 생성 또는 표시할 수 있고, 이러한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을 생성 또는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패턴이 존재함에 따라, 이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다양한 형태, 색상, 배치 순서, 깊이(depth)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최하위에 배치되는 제1 영역(L1), 제1 영역(L1)의 상위 영역으로 배치되는 제2 영역(L2), 제2 영역(L2)의 상위 영역으로 배치되는 제3 영역(L3), 최상위에 배치되는 제4 영역(L4)를 포함하는 패턴에 따라 영상을 생성 또는 표시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영역(L1) 내지 제4 영역(L4) 각각의 형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병합함으로써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영역을 병합함으로써 각각의 영역에 대한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가중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의하여 표시될 색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영역 각각에 의하여 표시될 색 데이터의 파라미터값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제1 영역(L1) 내지 제 4 영역(L4)가 병합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L1)는 최하위에 배치되며, 제2 영역(L2), 제3 영역(L3), 제4 영역(L4) 순으로 상위에 배치된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제1 영역(L1) 내지 제 4 영역(L4)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하여 병합할 수 있고, 영역 각각에 대한 가중치에 의하여 영역들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서의 색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색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중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 받을 수 있고, 제어부(130)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색을 영역에 적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 환경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으로부터 해당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영상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 환경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는 영상(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A1, A2, A3, A4)에 대한 색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색 추출을 위한 영역(A1, A2, A3, A4)은 픽셀 단위로 구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된 픽셀 별 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픽셀 별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셀에 대응하는 색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픽셀 별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색 별 픽셀 수를 확인할 수 있고, 동일한 색을 갖는 픽셀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동일한 색 데이터를 갖는 픽셀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색 데이터를 갖는 픽셀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색을 추출하는 것은 영상의 픽셀 정보로부터 특정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획득된 색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에 포함된 픽셀 중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픽셀이 동일한 색 데이터를 갖는 경우, 해당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은 해당 영상에 포함된 주요 색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된 픽셀 중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픽셀이 공통으로 갖는 색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영상에 포함된 주요 색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추출된 색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영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된 픽셀 중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픽셀이 공통으로 갖는 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영역은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인접한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색을 해당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영상으로부터 서로 다른 제1색 및 제2색이 추출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색 및 제2 색 각각의 색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색 및 제2 색을 동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색 및 제2 색은 서로 다른 색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로 다른 색에 대한 색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차이가 미리 정해진 분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거나 다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서로 다른 색 각각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의 파라미터값 각각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고, 산출된 파라미터값 각각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분류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색을 동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산출된 파라미터값 각각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분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해당 색을 다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색 데이터는 HSV 데이터 또는 RGB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색 데이터의 파라미터값 각각은 R(Red), G(Green), 및 B(Blue)의 파라미터값 뿐만 아니라, H(Hue), S(Saturation) 및 V(Value)의 파라미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색상 모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색상 모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색의 HSV 데이터와 제2 색의 HSV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고, HSV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제1 분류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색 및 제2 색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색과 제2 색의 HSV 데이터의 파라미터값 각각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고, 이러한 차이에 따라 제1 색 및 제2 색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분류 조건은 파라미터값 각각의 차이에 대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색 및 제2 색의 HSV 데이터 사이의 H(Hue) 파라미터값의 차이가 20° 이하이고, S(Saturation) 파라미터값의 차이가 50% 이하이고, V(Value) 파라미터값의 차이가 50% 이하인 경우, 제1 색 및 제2 색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H(Hue)가 60°, S(Saturation)가 30%, V(Value)가 80%인 제1색과 H(Hue)가 50°, S(Saturation)가 45%, V(Value)가 60%인 제2 색은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제1색의 RGB 데이터와 제2 색의 RGB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고, RGB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제2 분류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색 및 제2 색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색과 제2 색의 RGB 데이터의 파라미터값 각각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고, 이러한 차이에 따라 제1 색 및 제2 색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제2 분류 조건은 파라미터값 각각의 차이에 대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색의 RGB 데이터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파라미터값과 제2 색의 해당 파라미터의 값의 차이가 10 이하이고, 나머지 두 파라미터값에 대한 제1 색 및 제2 색 사이의 차이의 합이 50 이하인 경우, 제1 색 및 제2 색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R(Red)가 200, G(Green)가 150, B(Blue)가 180인 제1 색과 R(Red)가 195, G(Green)가 135, B(Blue)가 160인 제2 색은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특정 그룹으로 분류된 색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색과 특정 그룹으로 분류된 색 각각의 색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색이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색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색을 해당 그룹에 분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색과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제2 색 사이의 색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색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제어부(130)는 제1 색과 제2 색 사이의 색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분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색을 제1 그룹에 추가할 수 있고, 제1 색과 제2 색 사이의 색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분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제2 그룹을 생성하고, 제2 색을 제2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생성된 그룹 및 그룹에 추가된 색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그룹에 추가된 색과 관련된 정보는 해당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된 색에 대한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그룹의 명도 또는 채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그룹의 명도 또는 채도 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그룹에 속하는 색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에 할당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할당된 그룹을 명도 또는 채도 순으로 배열할 수 있고,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색을 명도 또는 채도 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그룹의 명도에 기초하여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을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최하위 영역은 특정 패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최하위에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최상위 영역은 최상위에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 중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고,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에 포함된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된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 각각에 대한 명도의 평균값을 그룹의 명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 중 가장 밝은 색의 명도를 해당 그룹의 명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색상 모델 사이의 좌표값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색을 지정하는 색 데이터가 RGB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30)는 RGB 데이터를 HSV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색의 명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에 포함된 색 중 명도가 가장 높은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의 개수, 분류 결과로서 생성된 그룹의 개수가 특정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영역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제어부(130)는 명도가 2번째로 높은 그룹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 중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은 제외하고, 2번째로 높은 그룹에 포함된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명도가 가장 높은 흰색이 일괄적으로 최하위 영역에 할당되는 것을 방지하고, 영상에서 추출된 보다 다양한 명도의 색이 영역에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 중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을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고,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에 포함된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에 포함된 색 중 명도가 가장 낮은 색을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을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미들 영역은 특정 패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의미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미들 영역 각각에 할당하기로 결정한 그룹에 포함된 색을 해당 미들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해당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의 채도 순으로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으며, 미들 영역 중 하위에 배치된 영역일수록 높은 채도의 그룹이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미들 영역 중 하위에 배치된 영역일수록 채도가 높은 색을 할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 중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미들 영역 중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고, 채도가 2번째로 높은 그룹을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의 상위 영역(이하, 제2 미들 영역이라 한다)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된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 각각에 대한 채도의 평균값을 그룹의 채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 중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의 채도를 해당 그룹의 채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색상 모델 사이의 좌표값을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색의 채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제어부(130)는 생성된 그룹 중 특정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 중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미들 영역 중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최하위 영역에 할당된 그룹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최하위 영역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 중 특정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최하위 영역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고, 색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색을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20)를 통하여 색 데이터에 적용할 가중치 또는 특정 영역에 할당될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미들 영역 중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에 색이 할당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최하위 영역, 최상위 영역 및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제1 미들 영역의 상위 영역, 제2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최하위 영역, 최상위 영역 및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 중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제2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특정 색이 할당되지 않은 미들 영역 중 하위에 배치된 미들 영역일수록, 특정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 중 채도가 높은 그룹의 색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색이 할당되지 않은 미들 영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최하위 영역의 상위 영역, 즉 2번째로 하위에 배치된 영역에 할당된 그룹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2번째로 하위에 배치된 영역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 중 특정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제2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2번째로 하위에 배치된 영역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고, 색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색을 제2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색 데이터에 적용할 가중치 또는 특정 영역에 할당될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제어부(130)는 특정 패턴에 포함된 모든 영역에 대하여 색이 할당될 때까지 전술한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X)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이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4개의 영역(A1, A2, A3, A4)으로부터 서로 다른 색이 추출되고, 이러한 4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색이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제어부(130)는 최하위에 배치된 제1 영역(L1)에 가장 명도가 높은 그룹의 색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최상위에 배치된 제4 영역(L4)에 가장 명도가 낮은 그룹의 색을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영역(L1) 및 제4 영역(L4)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 중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제1 영역(L1)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영역(L2)에 할당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제1 영역(L1), 제2 영역(L2) 및 제4 영역(L4)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 중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제2 영역(L2)의 상부에 배치된 제3 영역(L3)에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명도 또는 채도가 서로 다른 색을 각각의 영역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색상을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수신된 영상이 비슷한 계열의 색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30)는 다양한 색상을 추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명도 또는 채도가 다양한 패턴에 의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보다 적절하게 반영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픽셀 별 색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501), 동일한 색을 갖는 픽셀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2).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페어링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는 영상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동일한 색을 갖는 픽셀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503).
이 때, 색 데이터는 특정 색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영상에 포함된 각 픽셀의 색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색 데이터는 표준화된 색상 모델의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색을 추출하는 것은 영상의 픽셀 정보로부터 특정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획득된 색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된 픽셀 중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픽셀이 공통으로 갖는 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영역은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인접한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색이 미리 생성된 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4). 구체적으로, 이 때 그룹은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을 분류하기 위한 그룹을 의미하며, 미리 생성된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색이 분류된 그룹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색과 미리 생성된 그룹으로 분류된 색 각각의 색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색이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색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색을 해당 그룹에 분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다른 색에 대한 색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차이가 미리 정해진 분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추출된 색이 미리 생성된 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색 데이터는 HSV 데이터 또는 RGB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색 데이터의 파라미터값 각각은 R(Red), G(Green), 및 B(Blue)의 파라미터값 뿐만 아니라, H(Hue), S(Saturation) 및 V(Value)의 파라미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색상 모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색상 모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색의 HSV 데이터(또는 RGB 데이터)와 미리 생성된 그룹에 포함된 색의 HSV 데이터(또는 RGB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고, HSV 데이터(또는 RGB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제1 분류 조건을 만족하면, 추출된 색이 미리 생성된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추출된 색을 해당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추출된 색이 미리 생성된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504의 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그룹에 추출된 색을 추가할 수 있다(505).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생성된 그룹 및 그룹에 추가된 색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그룹에 추가된 색과 관련된 정보는 해당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출된 색이 미리 생성된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504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색을 분류하기 위한 새로운 그룹을 생성할 수 있고, 새로운 그룹에 추출된 색을 추가할 수 있다(506).
이러한 추출된 색에 대한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다(507).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미리 정해진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표시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은 미리 정해진 크기, 모양, 배치 순서, 깊이(depth)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크기, 모양, 배치 순서, 깊이(depth)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패턴은 디스플레이(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색 보정을 위한 패턴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40)에서 출력되는 영상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으로부터 다양한 색상을 추출할 수 있다. 특히 비슷한 계열의 색상을 포함하는 영상이 수신되어도 다양한 색상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다양한 추출된 색상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분류된 색의 그룹을 제어 기초로써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 순으로 그룹을 정렬할 수 있다(601). 이 때, 정렬되는 그룹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된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 각각에 대한 명도의 평균값을 그룹의 명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 중 가장 밝은 색의 명도를 해당 그룹의 명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색상 모델 사이의 좌표값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색을 지정하는 색 데이터가 RGB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30)는 RGB 데이터를 HSV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색의 명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의 개수가 영역의 개수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602). 이 때, 영역은 미리 정해진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패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색 보정을 위한 패턴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의 개수, 분류 결과로서 생성된 그룹의 개수가 특정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영역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602의 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2번째로 높은 그룹의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603).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2번째로 높은 그룹의 색 중 명도가 가장 높은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2번째로 높은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가장 높은 흰색이 일괄적으로 최하위 영역에 할당되는 것을 방지하고, 영상에서 추출된 보다 다양한 명도의 색이 영역에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성된 그룹의 개수가 특정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영역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602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의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604).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의 색 중 명도가 가장 높은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의 색을 최상위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605).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에 포함된 색 중 명도가 가장 낮은 색을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최상위 영역에 특정 색을 할당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도 순으로 그룹을 정렬할 수 있다(606). 이 때, 채도 순으로 정렬되는 그룹은 생성된 모든 그룹을 의미할 수 있고,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룹의 채도 순으로 미들 영역에 색을 할당할 수 있다(607). 이 때, 미들 영역은 특정 패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들 영역 각각에 할당하기로 결정한 그룹에 포함된 색을 해당 미들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해당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의 채도 순으로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으며, 미들 영역 중 하위에 배치된 영역일수록 높은 채도의 그룹이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들 영역 중 하위에 배치된 영역일수록 채도가 높은 색을 할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분류된 그룹 중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미들 영역 중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고, 채도가 2번째로 높은 그룹을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의 상위 영역(이하, 제2 미들 영역이라 한다)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된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 각각에 대한 채도의 평균값을 그룹의 채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 중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의 채도를 해당 그룹의 채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색상 모델 사이의 좌표값을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색의 채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단계 60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생성된 그룹 중 특정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 중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미들 영역 중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하위 영역에 할당된 그룹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하위 영역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색 중 특정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가중치가 적용된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하위 영역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된 색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고, 색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색을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603, 604, 605, 60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20)를 통하여 색 데이터에 적용할 가중치 또는 특정 영역에 할당될 색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에 할당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패턴에 포함된 모든 영역에 대하여 색이 할당될 때까지 전술한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도 또는 채도가 서로 다른 색을 각각의 영역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색상을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수신된 영상이 비슷한 계열의 색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색상을 추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명도 또는 채도가 다양한 패턴에 의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보다 적절하게 반영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
150: 저장부

Claims (20)

  1.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가 촬영한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영상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복수의 색을,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이 적용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픽셀 별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픽셀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1 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을 추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할 복수의 색을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제1색 및 제2색 각각의 색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을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의 명도에 기초하여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에 기초하여 상기 최하위 영역 및 상기 최상위 영역에 적용할 색을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상기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하고, 상기 명도가 가장 낮은 그룹을 상기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의 개수가 상기 영역의 개수 보다 많은 경우, 상기 명도가 두번째로 높은 그룹을 상기 최하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에 기초하여 상기 미들 영역에 적용할 색을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상기 미들 영역 중 최하위에 배치된 제1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하고, 상기 채도가 두번째로 높은 그룹을 상기 제1 미들 영역의 상위에 배치된 제2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 중 상기 그룹의 채도 순으로 상기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하위 영역 및 상기 최상위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최하위 영역에 할당된 그룹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들 영역에 할당될 색을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복수의 영역을 병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역의 개수, 형태, 순서, 가중치 또는 상기 영역에 적용될 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가 촬영한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복수의 색을,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이 적용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및
    상기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픽셀 별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색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복수의 색을,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하는 것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색의 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및
    상기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적용할 복수의 색을 선택하고,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을 적용하는 것은,
    상기 그룹의 명도에 기초하여 최하위 영역 및 최상위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에 기초하여 상기 최하위 영역 및 상기 최상위 영역에 적용할 색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상기 선택된 복수의 색을 적용하는 것은,
    상기 그룹의 채도에 기초하여 미들 영역에 할당될 그룹을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그룹에 포함된 색에 기초하여 상기 미들 영역에 적용할 색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167809A 2018-12-21 2018-12-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20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09A KR102620698B1 (ko) 2018-12-21 2018-12-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716,956 US11217203B2 (en) 2018-12-21 2019-12-1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9/018252 WO2020130737A1 (en) 2018-12-21 2019-12-2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09A KR102620698B1 (ko) 2018-12-21 2018-12-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167A true KR20200078167A (ko) 2020-07-01
KR102620698B1 KR102620698B1 (ko) 2024-01-04

Family

ID=7109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809A KR102620698B1 (ko) 2018-12-21 2018-12-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17203B2 (ko)
KR (1) KR102620698B1 (ko)
WO (1) WO20201307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39387A1 (en) * 2021-11-04 2023-05-04 Lx Semicon Co., Ltd. Ir drop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riv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6976A1 (en) * 2006-08-11 2008-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correction function in projector
US20130147860A1 (en) * 2011-12-09 2013-06-13 Hiroshi Ishida Display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80072337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15B1 (ko) 2006-06-23 2009-09-02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색상 기반 이미지 코드의 색상 판별 방법
KR101381350B1 (ko) 2007-07-20 2014-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및 이의 디밍 방법
WO2013136427A1 (ja) * 2012-03-13 2013-09-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記録画像生成方法
KR20150111725A (ko)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통한 객체 색상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623273B1 (ko) 2014-10-15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102468270B1 (ko) * 2015-09-23 2022-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KR101764998B1 (ko) 2016-02-16 2017-08-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6706792B2 (ja) * 2016-03-31 2020-06-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6976A1 (en) * 2006-08-11 2008-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correction function in projector
US20130147860A1 (en) * 2011-12-09 2013-06-13 Hiroshi Ishida Display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80072337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39387A1 (en) * 2021-11-04 2023-05-04 Lx Semicon Co., Ltd. Ir drop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r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02810A1 (en) 2020-06-25
US11217203B2 (en) 2022-01-04
KR102620698B1 (ko) 2024-01-04
WO2020130737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270B1 (ko)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CN103004213B (zh) 色调和色域映射方法和装置
EP3493185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7776B1 (ko) 색각 이상자를 위한 색 변환 방법 및 장치
US104460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1303354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color gamut
JP5318587B2 (ja) グラデーション作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KR10259014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92150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보정 방법
KR102259693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391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179253A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147194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3680403A (zh) 控制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的操作的方法和装置
US11651530B2 (en) Modification of color contrast ratio based on target contrast
US2015027136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7680141A (zh) 一种色域映射方法及其色域映射装置
CN104751792A (zh) 控制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的亮度的方法和设备
KR1026206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40135B2 (en) Chromaticity adjustment for LED video screens
KR102261759B1 (ko) 표시 장치
US10506209B2 (en) Image output control device, image output control method, image outpu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CN113724644B (zh) 补偿显示装置的亮度与色度的方法及相关设备
US20240032179A1 (en) Controlling an array of light segment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 virtual representations in color space
US20160260415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