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686A -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686A
KR20200077686A KR1020180166605A KR20180166605A KR20200077686A KR 20200077686 A KR20200077686 A KR 20200077686A KR 1020180166605 A KR1020180166605 A KR 1020180166605A KR 20180166605 A KR20180166605 A KR 20180166605A KR 20200077686 A KR20200077686 A KR 2020007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al
signal
frequency band
sound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혁기
강성찬
김재흥
윤용섭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686A/ko
Priority to US16/404,020 priority patent/US10917714B2/en
Publication of KR2020007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Abstract

공간 음향 녹음 소자는 음향이 입력되는 음향 입력부(inlet); 상기 음향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 출력부(outlet): 상기 음향 입력부와 상기 음향 출력부 사이에, 상기 음향 입력부로 입력되는 음향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반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진동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patial audio recording device, spatial audio record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patial audio sensor}
개시된 실시예들은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에 대한 것이다.
생활 가전 제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가상 현실 장치, 증강 현실 장치, 인공지능 스피커 등에 장착되어 음향이 오는 방향을 탐지하고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의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음향 방향을 탐지하는 센서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도달하는 음향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음향이 오는 방향을 계산한다. 이러한 구조는 고품질, 고해상도의 음향 센싱을 위해서 복수의 마이크로폰 사이의 거리가 충분한 떨어져 있어야 하며, 시스템 전체의 부피가 커지고 전력 소모도 많아진다.
공간 음향을 효율적으로 센싱할 수 있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유형에 따르면, 입력 음향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반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 상기 입력 음향의 방향과 관계없이 반응하는 무방향성 진동체; 상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 및 상기 무방향성 진동체 각각에 대해 상기 입력 음향에 의한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 및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판독 회로; 및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방향성 진동체의 분해능은 상기 무방향성 진동체의 분해능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채널 중 타겟 채널을 선정하고,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타겟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제거하는 연산으로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며, 상기 타겟 채널의 음향 신호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중간 보정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를 가감하여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채널은 복수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다른 채널의 음향 신호를 모두 제거하여 상기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는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성분과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차이가 없는 마이너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메이저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없는 마이너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이저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비율과 같도록, 상기 메이저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를 가감하여 상기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보정 신호 형성을 위해 상기 마이너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를 반으로 줄이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채널 모두를 하나씩 상기 타겟 채널로 선정하여 상기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열되며, 상기 무방향성 진동체 중심과 연직으로 마주하는 상기 평면상의 중심점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는 상기 무방향성 진동체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평면 상에 나누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평면은 서로 나란한 제1평면 및 제2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평면은 상기 제1평면, 제2평면과 수직이며 서로 나란한 제3평면 및 제4평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평면은 상기 제1평면, 제2평면, 제3평면, 제4평면과 수직이며 서로 나란한 제5평면 및 제6평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면, 상술한 어느 하나의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보정된 상기 복수 채널의 음향 신호가 방향성에 맞추어 재생되는 다채널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방향을 커버하는 전방위(omnidirectional) 촬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면, 입력되는 음향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반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를 이용하여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입력되는 음향의 방향에 무관하게 반응하는 무방향성 진동체를 이용하여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채널 중 타겟 채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타겟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는 연산으로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음향 신호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중간 보정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를 가감하여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채널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다른 채널의 음향 신호를 모두 제거하여 상기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는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성분과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차이가 없는 마이너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메이저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없는 마이너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이저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비율과 같도록, 상기 메이저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를 가감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 및 방법에 따르면 무방향성 진동체와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를 사용하여 낮은 전력 소모로 공간 음향을 센싱, 녹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는 센싱된 공간 음향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흐름도에서 복수 채널의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방향에서 입력되는 제1 원본 음향 및 제1방향에 해당하는 채널의 방향성 진동체에서 제1 원본 음향이 수신된 신호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2방향에서 입력되는 제2 원본 음향 및 제2방향에 해당하는 채널의 방향성 진동체에서 제2 원본 음향이 수신된 신호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제1 원본 음향과 제2 원본 음향이 혼합된 음향이 무방향성 진동체에서 수신된 신호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그래프로부터 타겟 채널의 음향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의 진동체 배치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의 진동체 배치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구성 요소들의 물질 또는 구조가 다름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설명된 순서대로 행하여야 한다는 명백한 언급이 없다면,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모든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용어로 인해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는 입력 음향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반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 및 입력 음향의 방향과 관계없이 반응하는 무방향성 진동체(115)를 포함한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의 개수를 N이라고 할 때, k는 1에서 N까지의 정수이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는 또한,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 및 무방향성 진동체(115) 각각에 대해 입력 음향에 의한 복수 채널의 음향 신호 및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판독 회로(170) 및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참조하여 복수 채널의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프로세서(180)를 포함한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는 또한, 프로세서(180)의 실행을 위한 코드, 프로세서(180)의 실행결과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음향이 입력되는 음향 인입구(inlet)(134), 음향 인입구(134)를 통해 입력된 음향이 배출되는 음향 배출구(outlet)(1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인입구(134)와 음향 배출구(135)의 형성을 위해, 음향 인입구(134)와 음향 배출구(135)의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130)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30)는 음향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30)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30)에 형성된 음향 인입구(134)와 음향 배출구(135)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를 지지하고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가 음향에 반응하여 진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에 관통홀(TH)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지지부(120)에 일단이 지지되며, 관통홀(TH)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TH)은 방향성 진동체(110_k)가 외력에 의해 진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를 만족하는 한,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120)는 실리콘 기판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음향 인입구(134)로 입력되는 음향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반응하도록 배열된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음향 인입구(134)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서로 겹침이 없이 평면적으로 배열되며, 음향 인입구(134)에 대해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 전체가 노출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평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무방향성 진동체(115)의 중심과 연직으로 마주하는 상기 평면상의 중심점(C)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가 중심점(C)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 배열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심점(C)에 대해 소정의 대칭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다각형이나 타원형의 궤적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음향 배출구(135)는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 전체와 마주할 수 있다. 도시된 음향 배출구(135)의 크기는 예시적인 것이고, 음향 배출구(135)의 크기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음향 인입구(134)와 음향 배출구(135)의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를 동일한 정도로 노출할 수 있는 임의의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무방향성 진동체(115)는 예를 들어 음향 배출구(135)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들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평면상에 무방향성 진동체(115)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들은 무방향성 진동체(115)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무방향성 진동체(115)가 배치되는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위치에 무방향성 진동체(115)를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30)의 외부에 무방향성 진동체(115)가 위치할 수도 있다.
무방향성 진동체(115)는 방향성 진동체(110_k)들과 달리 모든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에 대해 거의 동일한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무방향성 진동체(115)는 원형 박막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무방향성 진동체(115)가 음향 배출구(135) 내에 배치되는 경우, 원형의 무방향성 진동체(115)의 중심과 음향 배출구(135)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무방향성 진동체(115)가 배치될 수 있다.
방향성 진동체(110_k)의 개수 N에 의해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의 물리적인 각도 분해능, 즉, 입사 음향의 방향성을 탐지하는 정확도가 정해질 수 있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는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 각각의 출력 크기를 비교하여 입사하는 소리의 방향을 탐지할 수 있으며, 상호 비교할 방향성 진동체(110_k)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입사 음향의 방향성이 잘 판독할 수 있다.
방향성 진동체(110_k) 각각이 음향을 센싱하는 감도 분해능은 방향성 진동체(110_k)가 외력에 반응하여 움직일 때, 이러한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요소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보다 복잡하고 정밀한 회로 요소가 구비되어야 하며, 방향성 진동체(110_k)의 개수, N이 커질수록 시스템의 복잡성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회로 요소들은 판독 회로(170)에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서 판독 회로(170)는 블록도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를 구성하는 개개의 회로 요소는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 무방향성 진동체(115)에서 수신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이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케이스(1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정밀한 회로 요소가 요구되어 시스템이 복잡해질수록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의 부피는 증가하고 전력 소모도 높아지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는 방향성 진동체(110_k)의 분해능을 무방향성 진동체(115)의 분해능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방향성 진동체(110_k)의 분해능을 높이는 데에는 시스템 전체의 부피 증가, 복잡성, 전력 소모의 증가가 수반된다.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가 음향을 센싱하는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무방향성 진동체(115)는 높은 분해능을 가지도록 하고, 방향성 탐지를 위해 많은 개수가 요구되는 방향성 진동체(110_k)는 상대적으로 낮은 분해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성 진동체(110_k)의 분해능은 무방향성 진동체(115)의 분해능의 1/10 이하로 할 수 있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의 프로세서(180)가 이러한 낮은 분해능의 방향성 진동체(110_k)에서의 출력 신호를 무방향성 진동체(115)의 출력 신호를 사용하여 원본 음향에 가깝게 보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방법을 도 3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될 방법은 도 1의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향성 진동체와 무방향성 진동체를 구비하는 다른 구성의 공간 음향 녹음 소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흐름도에서 복수 채널의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방법은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를 이용하여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 무방향성 진동체를 이용하여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은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 무방향성 진동체가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 무방향성 진동체는 1에 예시된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는 다른 방향에서 입력되어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에 수신되는 음향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참조하여,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보정한다(S30). 방향성 음향 신호는 무방향성 음향 신호에 비해 분해능이 낮은 신호일 수 있다. 방향성 획득을 위해 다수개, 즉, 가능한 많은 수의 방향성 진동체가 구비되기 때문에 이들 모두가 높은 분해능을 갖게 하는 경우, 시스템의 복잡성, 전력 소모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방법은 분해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방향성 음향 신호를 상대적으로 높은 분해능으로 획득한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참조하여 보정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방향성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과정(S30)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보정 대상인 타겟 채널(CH_T)을 선정한다(S31). 음원이 공간상에 분포하는 형태에 따라 방향성 음향 신호는 복수개의 진동체에 의해 복수개로 획득될 수 있고, 이들은 모두 저해상도의 음향 신호이므로 원본 음향에 가까워지도록 보정 대상이 된다. 즉, 이러한 복수개의 음향 신호는 순서대로 타겟 채널로 선정된다.
다음, 무방향성 음향 신호에서 타겟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여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한다(S33). 다른 채널의 음향 신호가 복수개인 경우, 이들 모두가 중간 보정 신호에 고려될 수 있다.
다음, 타겟 채널 음향 신호의 주파수별 세기 비율에 따라 중간 보정신호를 가감하여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한다(S35).
이와 같이, 고해상도의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타겟 채널의 음향 신호를 재구성하기 위해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고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인 방향성 음향 신호 그래프 및 무방향성 음향 신호 그래프를 예시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제1방향에서 입력되는 제1 원본 음향 및 제1방향에 해당하는 채널의 방향성 진동체에서 제1 원본 음향이 수신된 신호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5a와 같은 제1 원본 음향(OR1)은 방향성 진동체에 의해, 도 5b와 같이, 제1신호(SG1)의 형태로 센싱된다. 제1신호(SG1)는 주파수 대역별 신호 값(power)이 제1 원본 음향(OR1)과 동일하지 않으며, 이는 방향성 진동체의 낮은 분해능에 의해 신호값이 낮은 영역에서 노이즈 성분과 원본 음향이 잘 구별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제1신호(SG1)는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성분(MC2, MC3, MC5, MC6, MC7)과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차이가 없는 마이너 성분(NC)을 포함한다. 마이너 성분(NC)은 노이즈와 제1 원본 음향에 포함된 작은 신호값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이저 성분(MC2, MC3, MC5, MC6, MC7)은 각각 주파수 대역 f2, f3, f5, f6, f7에서 마이너 성분(NC)을 제외한 신호값으로 표시되고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2방향에서 입력되는 제2 원본 음향 및 제2방향에 해당하는 채널의 방향성 진동체에서 제2 원본 음향이 수신된 신호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6a와 같은 제2 원본 음향(OR2)은 방향성 진동체에 의해 도 6b와 같이, 제2신호(SG1)의 형태로 센싱된다. 제2신호(SG2)도 마찬가지로, 주파수 대역별 신호 값(power)이 제2 원본 음향(OR2)과 동일하지 않으며, 이는 방향성 진동체의 낮은 분해능에 의해 신호값이 낮은 영역에서 노이즈 성분과 원본 음향이 잘 구별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제2신호(SG2)는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성분(MC1, MC2, MC5)과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차이가 없는 마이너 성분(NC)을 포함한다. 마이너 성분(NC)은 노이즈와 제2 원본 음향(OR2(에 포함된 작은 신호값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이저 성분(MC1, MC2, MC5)은 각각 주파수 대역 f1, f2, f5에서 마이너 성분(NC)을 제외한 신호값으로 표시되고 있다.
도 7은 제1 원본 음향과 제2 원본 음향이 혼합된 음향이 무방향성 진동체에서 수신된 신호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혼합 신호(SG0)는 무방향성 진동체에 의해 방향성이 구별되지 않고 전 방향에서의 음향이 혼합된 형태의 신호이며, 방향성의 제1신호(SG1), 제2신호(SG2)에 비해 높은 분해능의 신호이다.
도 5b, 도 6b의 제1신호(SG1), 제2신호(SG2)는 분해능이 높은 혼합 신호(SG0)를 이용하여 보다 원본에 가깝게 보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6b의 제2신호(SG2)를 재구성할 타겟 채널로 선정하여 보정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그래프로부터 타겟 채널의 음향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도 7의 혼합 신호(SG0)로부터 도 6a의 제1신호(SG1)의 메이저 성분을 제거하여 중간 보정 신호(SG_TM)가 형성됨이 도시되고 있다. 도 6a에 표시한 메이저 성분(MC2, MC3, MC5, MC6, MC6)은 혼합 신호(SG0)의 해당 주파수 대역 f2, f3, f5, f6, f7에서 차감되어, 도 8b와 같은 중간 보정 신호(SG_TM)가 형성된다.
설명에서, 제2신호(SG2)의 채널이 타겟 채널이고, 타겟 채널외 다른 채널의 신호는 제1신호(SG1) 하나로 예시되고 있으나, 보다 많은 개수의 채널에 대한 신호가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 보정 신호(SG_TM)는 복수의 다른 채널의 신호의 메이저 성분을 모두 차감하여 추출될 수 있다.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면, 도 8b의 중간 보정 신호(SG_TM)로부터 최종 보정 신호(SG_TF)가 형성됨이 도시되고 있다.
최종 보정 신호(SG_TF)의 형성을 위해 타겟 채널의 신호로 선정된 도 6b의 제2신호(SG2)가 고려된다.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겟 채널의 제2신호(SG2)의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없는 마이너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즉, 주파수 대역, f1, f2, f5는 메이저 주파수 대역, f3, f4, f6, f7는 마이너 주파수 대역이다. 제2신호(SG2)의 메이저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값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중간 보정 신호(SG_TM)의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값이 가감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간 보정 신호(SG_TM)에서 주파수 대역 f1, f2, f5에서의 신호값의 상대적인 비율이 제2신호(SG2)에서 주파수 대역 f1, f2, f5에서의 신호값의 상대적인 비율과 같아지도록, 중간 보정 신호(SG_TM)의 신호값이 조절된다. 이를 위해, 먼저, 주파수 대역 f1의 신호값 P0가 제2신호(SG2)의 주파수 대역 f1의 신호값 P1과 같아지도록 신호값을 증폭할 수 있다.
다음, 이를 기준으로 하여, 주파수 대역 f1에서의 신호값, 주파수 대역 f2에서의 신호값, 주파수 대역 f5에서의 신호값의 비율이 도 6b의 제2신호(SG2)에서의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비율, 즉, (NC+MC1):(NC+MC2):(NC+MC5)와 같아지도록, 주파수 대역 f2, f5의 신호값을 보정할 수 있다.
마이너 주파수 대역, f3, f4, f6, f7에 대해서는 해당 대역의 신호 값을 반으로 줄이는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마이너 주파수 대역의 신호값은 타겟 채널 외 다른 채널의 음향 신호의 마이너 성분과 노이즈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차감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다만, 반으로 줄이는 것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비율로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도 8d는 최종 보정 신호(SG_TF)와 함께, 점선으로 도 6a의 제2 원본 음향의 신호값을 표시하고 있다. 최종 보정 신호(SG_TF)는 타겟 채널 외 다른 채널의 마이너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제2 원본 음향의 신호값보다 높은 신호값을 갖는 영역이 나타나고 있다. 최종 보정 신호(SG_TF)는 보정된 제2신호(SG2)로서, 도 6a의 제2신호(SG2)보다 향상된 정확성을 갖는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분해능의 방향성 제2신호(SG2)를 분해능이 높은 무방향성의 혼합 신호(SG0) 및 다른 방향성의 제1신호(SG1)를 사용하여 원본 음향에 가깝게 보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2신호(SG2)를 타겟 채널로 설정한 것을 예시하였고, 제1신호(SG1)를 타겟 채널로 설정하여 유사한 과정으로 제1신호(SG1)를 원본 음향에 가깝게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두 개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 즉, 제1신호(SG1), 제2신호(SG2)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 개 이상의 복수 채널의 음향 신호가 획득된 경우 복수 채널 모두를 하나씩 타겟 채널로 선정하여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본 음향에 포함된 모든 방향성이 추정될 수 있고, 관련된 음향 신호가 원본 음향에 가깝게 보정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의 진동체 배치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200)는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의 배열이 도 1의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와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무방향성 진동체(115)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평면 상에 나누어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무방향성 진동체(11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두 평면상에 나뉘어 배열될 수 있다. 즉, XY 평면과 나란한 평면상에 제1그룹(GR1)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고, 나머지 일부는 XY 평면과 나란한 다른 평면상에 제2그룹(GR2)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의 진동체 배치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300)는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가 배열된 평면이 XY 평면과 나란한 두 평면 외, YZ 평면과 나란한 두 평면으로 확장되는 점에서 도 9의 공간 음향 녹음 소자(200)와 차이가 있다.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제1그룹(GR1), 제2그룹(GR2), 제3그룹(GR3), 제4그룹(GR4)으로 나뉘어 배열될 수 있고, 제1그룹(GR1), 제2그룹(GR2)은 XY 평면과 나란한 두 평면 상에 각각 위치하고, 제3그룹(GR3), 제4그룹(GR4)은 YZ 평면과 나란한 두 평면 상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110_k)는 무방향성 진동체(115)를 중심에 두고, XY 평면과 나란한 두 평면, YZ 평면과 나란한 두 평면 및 XZ 평면과 나란한 두 평면에 나뉘어 배열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는 칩 솔루션(Chip solution) 형태의 센서로 구현되어 모바일 기기, IT, 가전,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음원 추적, 잡음 제거, 공간 녹음(Spatial recording)등을 수행할 수 있고, 파노라마 촬영,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분야 등에도 활용 가능하다.
실시예의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활용하는 전자 장치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500)는 공간 음향 녹음/재생 장치이다.
전자 장치(500)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510), 녹음된 음향을 방향성에 맞추어 재생하는 다채널 스피커(55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500)는 또한 공간 음향 녹음 소자(510)에서 센싱되고 보정된 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530), 메모리(530)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가 방향성에 맞추어 재생되도록 다채널 스피커(55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5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510)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200)(30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변형, 조합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음향의 방향성을 추정할 수 있고, 센싱된 음향 신호를 원본 음향에 가깝게 보정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20)의 신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520)의 실행 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30)에는 이외에도, 전자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프로세서(520)에서 제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0)는 음향의 입력 방향을 추정한 결과를 활용하여, 원하는 음원에 집중하는 녹음이나, 또는, 원하는 음원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녹음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장치(500)는 방향성 음향을 센싱, 보정하여 녹음하고, 녹음된 음원을 방향성에 맞추어 재생함으로써, 콘텐츠(contents)의 현장감을 증강시키고, 몰입감, 실제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500)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장치에 활용될 수도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600)는 전방위에 놓인 객체에 대한 파노라마 촬영이 가능한 전방위 카메라이다. 전자 장치(600)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610), 전방위(omnidirectional) 촬영 모듈(640), 공간 음향 녹음 소자(610)에서 센싱한 방향성 음향 신호와 전방위 촬영 모듈(640)에서 촬영한 전방위 영상 신호가 정합하도록, 공간 음향 녹음 소자(610)와 전방위 촬영 모듈(64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620) 및 상기 방향성 음향 신호 및 상기 전방위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630)를 포함한다.
전방위 촬영 모듈(640)로 일반적인 파노라마 촬영 모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60도 회전 가능한 본체 내에 광학 렌즈들과 이미지 센서 등의 구성이 구비된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61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간 음향 녹음 소자(100)(200)(300)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이 변형, 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간 음향 녹음 소자(6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음향의 방향성을 추정할 수 있고, 센싱된 음향 신호를 원본 음향에 가깝게 보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의 제어에 따라, 공간 음향 녹음 소자(610)에서 센싱된 신호 중에서, 전방위 촬영 모듈(640)에서의 촬영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의 음향이 선택적으로 메모리(6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위 카메라(600)에 의해, 360° 파노라마 영상 신호와 영상에 정합하는 음향 신호가 신호가 메모리(6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음향 정보는 다채널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재생되며 현장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장치에 활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공간 음향 녹음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공간 음향 녹음 소자
110_k,..진동체
120.. 지지부
130.. 케이스
134.. 음향 인입구
135.. 음향 배출구
500, 600.. 전자 장치

Claims (21)

  1. 입력 음향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반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
    상기 입력 음향의 방향과 관계없이 반응하는 무방향성 진동체;
    상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 및 상기 무방향성 진동체 각각에 대해 상기 입력 음향에 의한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 및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판독 회로; 및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진동체의 분해능은 상기 무방향성 진동체의 분해능보다 낮은, 공간 음향 녹음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채널 중 타겟 채널을 선정하고,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타겟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제거하는 연산으로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며,
    상기 타겟 채널의 음향 신호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중간 보정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를 가감하여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채널은 복수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모두 제거하여 상기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는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성분과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차이가 없는 마이너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메이저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없는 마이너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이저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비율과 같도록, 상기 메이저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를 가감하여 상기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보정 신호 형성을 위해 상기 마이너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를 반으로 줄이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채널 모두를 하나씩 상기 타겟 채널로 선정하여 상기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열되며,
    상기 무방향성 진동체 중심과 연직으로 마주하는 상기 평면상의 중심점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열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는 상기 무방향성 진동체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평면 상에 나누어 배열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면은 서로 나란한 제1평면 및 제2평면을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면은 상기 제1평면, 제2평면과 수직이며 서로 나란한 제3평면 및 제4평면을 더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면은 상기 제1평면, 제2평면, 제3평면, 제4평면과 수직이며 서로 나란한 제5평면 및 제6평면을 더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소자.
  14. 제1항의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보정된 상기 복수 채널의 음향 신호가 방향성에 맞추어 재생되는 다채널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방향을 커버하는 전방위(omnidirectional) 촬영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입력되는 음향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반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방향성 진동체를 이용하여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입력되는 음향의 방향에 무관하게 반응하는 무방향성 진동체를 이용하여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채널 중 타겟 채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타겟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제거하는 연산으로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중간 보정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를 가감하여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채널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를 모두 제거하여 상기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공간 음향 녹음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는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성분과 주파수 대역별 신호 세기 차이가 없는 마이너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무방향성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메이저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의 방향성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있는 메이저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세기에 차이가 없는 마이너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최종 보정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이저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비율과 같도록, 상기 메이저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를 가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간 음향 녹음 방법.
KR1020180166605A 2018-12-20 2018-12-20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77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05A KR20200077686A (ko) 2018-12-20 2018-12-20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6/404,020 US10917714B2 (en) 2018-12-20 2019-05-06 Spatial audio recording device, spatial audio record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patial audio recor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05A KR20200077686A (ko) 2018-12-20 2018-12-20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686A true KR20200077686A (ko) 2020-07-01

Family

ID=7109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605A KR20200077686A (ko) 2018-12-20 2018-12-20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17714B2 (ko)
KR (1) KR20200077686A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837Y2 (ja) 1988-09-12 1994-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風雑音検出装置
US5193117A (en) * 1989-11-27 1993-03-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crophone apparatus
JPH05316587A (ja) * 1992-05-08 1993-11-26 Sony Corp マイクロホン装置
JP5006364B2 (ja) * 2008-07-28 2012-08-22 アオイ電子株式会社 指向性マイクロフォン
JP2011147103A (ja) * 2009-12-15 2011-07-28 Canon Inc 音声信号処理装置
JP5756907B2 (ja) * 2010-07-02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指向性マイクロホン装置及びその指向性制御方法
US9237383B2 (en) 2010-08-27 2016-01-12 Intel Corporation Peer to peer streaming of DVR buffered program data
JP2012104905A (ja) 2010-11-08 2012-05-31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マイクロホン装置
US20150281834A1 (en) * 2014-03-28 2015-10-01 Funai Electric Co., Ltd. Microphone device and microphone unit
KR101610145B1 (ko) * 2014-11-28 2016-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마이크로폰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1673347B1 (ko) * 2015-07-07 2016-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마이크로폰
JP6539846B2 (ja) 2015-07-27 2019-07-1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及びマイクロホン装置
KR102335774B1 (ko) * 2017-09-01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공진기 어레이를 포함하는 소리 방향 탐지 센서
KR102452952B1 (ko) * 2017-12-06 2022-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향성 음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77099B1 (ko) 2018-08-21 202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리 방향 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17714B2 (en) 2021-02-09
US20200204910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3076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beamformed audio signals with steerable nulls
US9196238B2 (en) Audio processing based on changed position or orientation of a portable mobile electronic apparatus
US99660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object audio recording and electronic apparatus
US9516241B2 (en) Beamfo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 signal
US9913027B2 (en) Audio signal beam forming
US8908880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icrophones with controllable front-side gain and rear-side gain
US201500226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capture using face detection in noisy environments
WO2017113937A1 (zh) 移动终端和降噪方法
KR20150066455A (ko) 오디오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80084215A1 (en) Beam forming for microphones on separate faces of a camera
CN102006403A (zh) 摄像装置及再生装置
EP2834995A1 (en) Flexible spatial audio capture apparatus
US20170188140A1 (en) Controlling audio beam forming with video stream data
JP7409833B2 (ja) 音源分離装置及び音源分離方法
CN110392334A (zh) 一种麦克风阵列音频信号自适应处理方法、装置及介质
US11792512B2 (en) Panoramas
KR20200077686A (ko) 공간 음향 녹음 소자, 공간 음향 녹음 방법 및 공간 음향 녹음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220454B (zh) 一种音频降噪方法、介质和电子设备
US20190342495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CN114333831A (zh) 信号处理的方法和电子设备
US20230105785A1 (en) Video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video content providing device
US11747192B2 (en) Acoustic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sensing sound using the same
US20220215856A1 (en) Voice capturing method and voice capturing system
CN113014797A (zh) 用于旋转照相机和麦克风配置的装置和方法
WO2014132533A1 (ja) 音声入力装置およびその音声入力装置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