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535A -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 Google Patents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535A
KR20200077535A KR1020207014344A KR20207014344A KR20200077535A KR 20200077535 A KR20200077535 A KR 20200077535A KR 1020207014344 A KR1020207014344 A KR 1020207014344A KR 20207014344 A KR20207014344 A KR 20207014344A KR 20200077535 A KR20200077535 A KR 20200077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yngoscope
lever
manual
automatic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레이라 길베르토 클레멘테
Original Assignee
페레이라 길베르토 클레멘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레이라 길베르토 클레멘테 filed Critical 페레이라 길베르토 클레멘테
Publication of KR2020007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3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4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electrical, e.g.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6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optical, e.g. for light supply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otor driv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18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integrated means for changing the degree of curvature, e.g. for easy intub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본 발명은 하부 트랜스미션 샤프트(10), 상부 트랜스미션 샤프트(9) 및 구개(3)에 안착하기 위한 레버 (8)를 구비한 수동(1) 및 자동(2) 후두경에 관한 것이다. 수동 후두경(1)은 핸들(12)의 키퍼(7)에 더하여 너클 조인트(4a) 및 비틀림 스프링(Mt)을 갖는 작동 레버(4)를 더 가지며, 이 핸들(12)은 알카라인 C2 배터리를 수용하는 구획이 있다.
자동 후두경(2) 또한 3 개의 전기 단자를 갖는 서보모터(20), 구획부(19), 상부 트랜스미션(17) 및 하부 트랜스미션(16)을 가지며 보조 패들(15)과 보조 샤프트(13)의 블레이드(14) 패들에 트랜스미션, 상부 및 하부(9 및 10) 샤프트 및 구개(3)에 있는 레버(8) 원위부 블레이드(6)가 있으며 두 후두경 모두 LED 램프 (25)에 의한 조명이 있으며 핸들(12)로부터 근위 블레이드(5)의 끝까지 내부 및 외부 와이어 시스템(21 및 24)을 위한 전기 전도를 통해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한다. 자동 버전에는 원하는 경우 비디오 시스템 사용을 위한 카메라 지원(23)이 포함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이 발명 특허는 작동되었을 때 구강 개구부와 성문을 잘 보이게하여 결과적으로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는 레버 시스템을 갖춘 후두경에 관한 것이다. 레버는 수동으로 또는 전자-전자 장비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사용자가 가하는 힘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감소시킨다.
후두경의 일부 모델은 최신 기술로 알려져 있다. 몇몇 비디오 후두경 모델도 알려져 있다. 본 장치의 발명을 위해 후두개를 쉽게 볼 수 있도록 광학식 케이블을 연결된 비디오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자동 작동 방식의 기계식 후두경을 통한 루트가 개발되었다. 시중에 이미 존재하는 모델이 선택되었다. 이 시스템이 멸균 가능 용량을 유지하고 가능한 한 많은 수의 비디오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내시경 카메라는 반투명 재료로 만들어진 수술 튜브로 덮여 있으며, 내경은 최소 5.5mm, 최대 외경은 10mm이다. 따라서, 이 솔루션에는 내시경 카메라의 직경이 3.3mm에서 6mm 사이인 상업용 시스템이 포함될 것이다.
호환 가능한 시스템의 예로는 Clarus Pocket Scope, Teslong NTS 150 RS 및 Girinecam 1.0 Soft ShortFocus가 있다. 그러나 작동 레버와 다른 레버를 사용하여 작동 메커니즘을 갖추고, 구개부에 놓고 후두개를 시진하는 후두경은 알려져 있지 않다.
최신 기술은 미국 특허 2017/0181614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구개부에 놓여 있는 후두경이 다수의 암(Arm)으로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입천장에 대고 밀어서 기도 입구를 열고 성대의 시야를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블레이드 외부에 배치된 다수의 암(5a, 5b, 5c)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하기 어렵고 환자의 구강 내에서 사용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품의 상용화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발명 특허에서 후두경은 클램프의 개방 운동을 모방하여 구강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두 개의 레버를 가지고 있어 차별화된다. 또한 전체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은 블레이드 내부에 위치하며, 수동 또는 전자적 방법으로 자동 작동될 수 있다.
반면 McCoy의 후두경은 표준 매킨토시 블레이드를 기반으로 하여 시장에 널리 알려져 있다. 주요 특징은 연접식 팁으로 기기 뒷면의 레버에 의해 조작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McCoy는 성문을 보기 위해 후두개를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McCoy 후두경은 블레이드의 끝부분만 움직이는 반면, 이 후두경은 작동될 때 후두개와 다른 부위(예: 혀의 밑부분과 인두의 앞벽)를 제거해주는 연접식으로 된 긴 부분이 있다. 따라서 더 큰 유용성과 취급 용이성을 제공한다.
위에 열거한 기구는 사용자의 노고를 줄이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으며, 여전히 삽관을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반복적인 시도로 인한 사용자의 피로가 유발된다는 점을 눈여겨볼만하다. 그러나 수동 메커니즘을 사용하거나 자동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이 발명품을 통해 불편함이 현저하게 감소될 것이다. 필요한 힘이 입으로 전달되었다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기관 삽관을 수행할 때 가장 큰 우려점은 절차의 성공과 적절한 유지와 연관되어 있으며, 어려운 기도의 존재가 주요 난제 중 하나라는 사실과 관련된다. 이는 본 발명 특허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존의 문제점 중 하나이다. 기도의 부적절한 취급은 특정 분야(마취학)와 관련된 합병증의 가장 빈번한 원인이며, 전적으로 마취 원인으로 인한 사망의 30%를 차지한다.
미국 마취과 의사 협회(ASA)의 전문가 보호 위원회는 마취과 의사들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분석하고 합의에 의해 해결된 소송을 검토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대다수의 부작용은 폐와 기도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세 가지 원인 - 호흡의 어려움(38%), 삽관 실패(17%), 삽관 어려움 또는 불가능(18%)이 합병증의 75%를 차지했다. 이들 사례의 85%에서 사망이나 뇌 손상이 발생했는데, 대부분 문제의 심각성을 즉시 인식하지 못하고, 기도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부족하며,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동하지 않는 등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했다.
어려운 기도를 부적절하게 다루는 것과 관련된 주요 결과는 사망, 뇌 부상, 심폐 정지, 불필요한 기관절개, 기도나 치아 외상이다.
어려운 기도는 훈련된 의사가 환자의 삽관이나 수동 인공 호흡 유지 둘 다에 어려움을 겪는 임상적 상황으로 정의된다.
어려운 후두경 검사는 기존의 후두경 검사를 사용하여 성대의 일부를 볼 수 없다.
후두경 검사의 목적은 기관 삽관이 가능한 방식으로 성문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예상되는 시야는 원통형 구조로, 중심 슬릿이 반전된 "V"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는 후두가 보이는 성대이다. 때로는 해부학적 어려움으로 인해 후두경 검사 중에 관찰할 수 있거나 관찰할 수 없는 후두 구조에 따라 이 이미지가 제한되기도 한다. Cormack과 Lehane은 1984년에 실용적인 분류를 제시했다.
이들의 분류에서 후두경 검사는 눈에 보이는 구조에 따라 4가지
범주로 나뉜다.
▶ 범주 I - 성문이 명확하게 보임
▶ 범주 II - 성문의 뒤쪽 부분만 볼 수 있음
▶ 범주 III - 후두개만 볼 수 있으며 성문은 보이지 않음
▶ 범주 IV - 후두개와 성문 모두 보이지 않음
후두경 검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턱 이동성, 목 이동성, 직경 및 길이, 구강 개구부, 상부 앞니의 길이, 구개의 형태, 혀 크기 등과 같은 몇 가지 요인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 및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첨부 도면을 통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레버 역할을 하는 작동 메커니즘, 구개 받침 레버 및 원위부
블레이드를 볼 수 있는 측면 개구부로 수동 작동 후두경의 측면도.
도 2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후두경이 반대쪽에 켜진 경우 도 1과 동일한 뷰.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수동 작동 후두경의 사시도.
도 3a는 후두경의 상부 커버에 부착된 상이한 크기 및 곡률을 갖는 2개의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1과 동일하지만 후두경의 레버 시스템이 작동되고 작동 레버가 핸들에 잠겨있는 모습.
도 5는 전자 메커니즘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후두경의 전방 경사 사시도.
도 6은 자동 작동 후두경의 측면도.
도 7은 수동 작동 후두경의 사선 후면도.
도 7a는 자동 작동 후두경의 비스듬한 후면도.
도 8은 수동 작동 후두경의 레버와 핸들 세트의 측면도.
도 8a는 이 레버의 비틀림 스프링을 표시하기 위해 작동 메커니즘의 너클 조인트 부분.
도 9는 수동 작동 후두경의 레버와 트랜스미션 샤프트의 작동 중 방향.
도 10은 작동 중 자동으로 작동되는 후두경의 레버와 트랜스미션 샤프트의 방향.
도 11은 블레이드의 측면도, 작동 메커니즘 반대쪽, 자동 작동 메커니즘의 일부.
도 12는 레버를 움직이는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서보 패들(18)과 함께 서보모터와 그 구획의 사시도.
도 13은 자동 작동 메커니즘의 작동 중 움직임.
도 14는 구개 받침대와 서보모터와 자동 작동 메커니즘의 어셈블리.
도 15는 구개 받침대와 함께 전체 자동 작동 메커니즘.
도 15a는 작동 메커니즘의 중심부에 대한 "분해" 이미지.
도 16은 전선이 조명 시스템의 전기 전도를 위해 통과하는 채널 보기와 함께 단면의 근위부 블레이드.
도 17은 내부 배터리(ies)가 장착된 하부(Ti) 및 상부(Ts) 커버에서 분리된 후두경 핸들.
도 18은 수동 후두경 핸들을 덮는 실리콘 그립에서 분리된 수동 후두경 핸들.
도 19는 후두경 측면부를 보여주며, 핸들의 전기적 부분과 근위부 블레이드의 원위부까지 빛을 내는 근위부 블레이드.
도 20은 후두경 검사의 목적이 성문을 노출시켜 기관 삽관이 가능할 때 예상되는 모습. 원통형 구조로, 중심 슬릿이 반전된 "V"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는 후두가 보이는 성대이다.
도 21은 후두경 검사 동안 일반적으로 관찰할 수있는 후두 구조를 가진 Cormack과 Lehane이 제안한 분류.
첨부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이 발명은 수동 또는 자동 작동 레버가 있는 후두경을 포함하며, 자동 작동 레버는 전자-전자 작동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수동과 자동 후두경 모두 기관 삽관의 어려움을 줄일 것이며, 특히 '삽관이 어렵다'고 여겨지는 환자의 경우 삽관 어려움을 줄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노고도 감소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동 작동 후두경(1)은 근위부 블레이드(5)와 원위부 블레이드(6), 하부 트랜스미션 샤프트(10), 상부 트랜스미션 샤프트(9) 및 구개 받침 레버(8)가 근위부 블레이드(5)에서 대각선으로 위치하며, 이 레버는 접합부를 통해 구개부(3)에 연결된다.
수동 후두경(1)에는 작동 레버(4)와 키퍼(7)도 있어 환자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핸들(12)에는 두 개의 C2 알칼라인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구획이 있으며, 핸들에서 근위부 블레이드 끝까지의 내부 및 외부 와이어 시스템(21 및 24)을 통한 전기 전도를 통해 LED 램프(25)로 구성된 조명 시스템을 공급한다.
핸들(12a)을 덮는 실리콘 그립(12a)도 있어 인체 공학적인 부분이 개선되었다. 수동 후두경(1)의 작동 메커니즘은 레버(4)를 핸들(12) 쪽으로 누르는 것을 포함하며, 이 핸들은 근위 블레이드(5)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너클 조인트(4a)가 상부 및 하부 트랜스미션 샤프트(9 및 10)에 부착되어 이들 샤프트(9 및 10)의 전후 이동을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구개 받침 레버(8)를 밀어 올려 구개 받침(3)을 입천장(연구개)에 대고 도 4, 8, 9에서 보듯이 원위부 블레이드(6)에 의해 형성된 다른 구강 내 레버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이 생성된다.
너클 조인트(4a)는 도 8a에서 보듯이 비틀림 스프링(Mt)으로 고정되며, 레버를 누르지 않을 때 정지 위치로 되돌리는 기능이 있다.
자동 후두경(2)은 핸들(12)와 근위부 블레이드(5)를 상호 연결하도록 배열된 구획(19)에 들어 있는 서보모터(20)로 구성된다. 이 서보모터(20)는 서보 패들(18)을 통해 상부 트랜스미션(17) 및 하부 트랜스미션(16)을 작동시키는 작동 버튼(22)에 의해 작동된다. 보조 샤프트(13)에 의해 보조 패들(15)과 블레이드 패들(14)에 연결되면 상부 및 하부 트랜스미션 샤프트(9와 10)로의 전후 이동을 제공한다. 상부 트랜스미션 샤프트(9)를 당기는 것과 같은 단계에서 구개 받침 레버(8)를 당김으로써 각도가 높아져 구개 받침대(3)가 높아진다.
그런 다음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부 트랜스미션 샤프트(10)를 눌러 원위부 블레이드(6)의 상부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도 10, 13, 14, 15에 표시된 움직임과 같이 환자의 성문을 열고 혀의 밑부분을 밀게 된다.
서보모터(20)에는2개의 공급용 전기 단자와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기 단자 1개가 있다.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식 배터리(Bt) 또는 주전원에 연결된 DC 전원 공급 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설계되었다. 서보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이 설계되었다.
조명 시스템은 핸들(12)에 들어 있는 카트리지(11) 내부의 충전식 배터리(Bt)로 구성된다. 근위부 블레이드(5)에 위치한 LED 램프(25)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은 핸들에 위치한 버튼에 의해 작동되며 수동 후두경(1)과 유사한 전도 시스템(21와 25)에 의해 램프로 전달된다.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는 레버가 달린 후두경은 자동 버전(도 5)과 수동 버전(도 1)이 있다. 자동 버전에는 원하는 경우 비디오 시스템 사용을 위한 카메라 지원(23)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모델은 일부 예일 뿐이다. 이 후두경은 자동 또는 수동 설계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모양과 크기가 상이한 디자인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6)

  1. 기계식 후두경에 있어서, 성문에 대한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관 삽관에 사용되며 근위부 블레이드(5)에 내부적으로 배열된 원위부 블레이드(6)와 구개 받침대(3)를 위한 레버(8)를 포함하는 후두경(1과 2)으로 구성되고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후두경.
  2. 제1항에 있어서,
    원위부 블레이드(6)와 레버(8)가 구개 받침대(3)와 함께 움직이고, 이것은 서보패들(18), 상부 트랜스미션(17), 하부 트랜스미션(16)을 작동시키기 위해 핸들(12)과 근위 블레이드(5)를 연결하는 구획(19)에 수용된 서보모터(20)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보조 패들(15)과 보조 샤프트(13)에 의해 블레이드 패들(14)에 연결되며, 이는 상부 트랜스미션 샤프트(9)와 하부 트랜스미션 샤프트(10)에 전후로 이동하며 레버(8)와 구개 받침대(3)를 앞뒤로 당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핸들(12) 내부의 카트리지(11)에 수용된 배터리(Bt)에 의한 조명 및 전기-전자 작동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내부 및 외부 와이어(21, 24)를 통한 전기 전도를 통해 LED 램프(25)에 전원을 공급하고, PCI 카드를 통해 서보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트랜스미션 샤프트(10), 상부 트랜스미션 샤프트(9) 및 구개 받침대(3)와 함께 레버(8)로 구성된 근위부 블레이드(5) 내부의 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메커니즘을 사용한 기계식 후두경.
  5. 제1항 및 4항에 있어서,
    상단 및 하단 트랜스미션 샤프트(9과 10)에 고정된 너클 조인트(4a)와
    비틀림 스프링(Mt)이 있고 하단에는 키퍼 고정용 톱니(dt)가 있는 작동 레버(4)를 통한 수동 작동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6. 제1항, 4항, 5항에 있어서,
    수동 후두경(1)은 실리콘 그립(12a) 외에 배터리 내부 구획이 포함된 핸들(12)과 LED 램프(25) 및 내부 및 외부 와이어를 통한 전기 전도(21 및 24)를 특징으로 하는 수동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KR1020207014344A 2017-10-23 2018-10-16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KR20200077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02017022831-2A BR102017022831A2 (pt) 2017-10-23 2017-10-23 Laringoscópio mecânico com mecanismo automático ou manual de alavancas para facilitação da intubação traqueal
BRBR1020170228312 2017-10-23
PCT/BR2018/050379 WO2019079872A1 (pt) 2017-10-23 2018-10-16 Laringoscópio mecânico com mecanismo automático ou manual de alavancas para facilitação da intubação traque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535A true KR20200077535A (ko) 2020-06-30

Family

ID=6624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344A KR20200077535A (ko) 2017-10-23 2018-10-16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253466A1 (ko)
EP (1) EP3705026A4 (ko)
JP (1) JP2021502872A (ko)
KR (1) KR20200077535A (ko)
CN (1) CN111372505A (ko)
BR (1) BR102017022831A2 (ko)
CA (1) CA3079915A1 (ko)
RU (1) RU2020116433A (ko)
WO (1) WO20190798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295A (ko) * 2021-04-02 2022-10-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레이드 각도가 가변되는 비디오 후두경
KR20220141518A (ko) * 2021-04-13 2022-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레이드 각도가 가변되는 비디오 후두경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231A (en) * 1994-03-07 1996-03-12 Franicevic; Klaus Intubating laryngoscope
US5938591A (en) * 1998-06-09 1999-08-17 Minson; Matthew Alan Self retaining laryngoscope
GB0127130D0 (en) * 2001-11-13 2002-01-02 Mcmorrow Roger A laryngoscope
US6991604B2 (en) * 2003-09-04 2006-01-31 Scope Co, Inc. Dual blade laryngoscope with esophageal obturator
US8083672B2 (en) * 2006-10-06 2011-12-27 Matthew Minson Laryngoscope
US20160206189A1 (en) * 2007-06-12 2016-07-21 University Hospitals Of Cleveland Facilitating tracheal intubation using an articulating airway management apparatus
US8419634B2 (en) * 2007-06-12 2013-04-16 University Hospitals Of Clevel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irway management
WO2011150469A1 (en) * 2010-06-04 2011-12-08 Paul Christopher Hales Improvements in laryngoscopy
US8715172B1 (en) * 2011-07-11 2014-05-06 Magdy S. Girgis Double bladed laryngoscope having video camera and liquid crystal display for facilitating intubation procedure
US10602922B2 (en) * 2015-12-29 2020-03-31 Lennon Keith Bartozzi Intubation device
EP3422925A4 (en) * 2016-03-01 2019-10-30 Inscope Medical Solutions, Inc. IMPROVED LARYNGOSCOPE
CN206252488U (zh) * 2016-07-06 2017-06-16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带有声门暴露装置及硬腭支撑装置的气管插管用喉镜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295A (ko) * 2021-04-02 2022-10-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레이드 각도가 가변되는 비디오 후두경
KR20220141518A (ko) * 2021-04-13 2022-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레이드 각도가 가변되는 비디오 후두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9872A1 (pt) 2019-05-02
US20200253466A1 (en) 2020-08-13
EP3705026A4 (en) 2021-10-06
JP2021502872A (ja) 2021-02-04
RU2020116433A (ru) 2021-11-25
CA3079915A1 (en) 2019-05-02
EP3705026A1 (en) 2020-09-09
BR102017022831A2 (pt) 2019-05-07
CN111372505A (zh)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8732B2 (en) Airway intubation device
CA2758832C (en) Laryngoscope
US20110137127A1 (en) Dual screen intubation system
US20120059223A1 (en) Laryngscope insertion section with tube guide
JP2018512194A (ja) 気管挿管のための装置
EP2756795A1 (en) Intubation device
US20060183978A1 (en) Laryngoscope
KR20170130353A (ko) 삽관 장치
US20190320888A1 (en) Laryngoscope
JP6244603B2 (ja) 挿管支援装置
US9662068B2 (en) Medical device for conducting a medical examination and/or intervention
KR20200077535A (ko)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식 후두경
US9386915B2 (en) Disposable, self-contained laryngoscop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90328223A1 (en) Laryngoscope
US6764443B1 (en) Laryngoscope
US10039444B1 (en) Free size laryngoscope blade
US10327628B2 (en) Pediatric laryngoscope, and method of use
US10799104B2 (en) Laryngoscope with spreadable blades
CN211155702U (zh) 一种简易手持式喉镜
US20140206943A1 (en) Light guide for assisting intubation
CN115363513A (zh) 一种气管插管用无线视频喉镜
KR20180038664A (ko) 비디오완드
MXPA98006512A (en) Laringo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