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482A -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482A
KR20200077482A KR1020200075142A KR20200075142A KR20200077482A KR 20200077482 A KR20200077482 A KR 20200077482A KR 1020200075142 A KR1020200075142 A KR 1020200075142A KR 20200075142 A KR20200075142 A KR 20200075142A KR 20200077482 A KR20200077482 A KR 20200077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gain
rainfall
sign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510B1 (ko
Inventor
김상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4716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43293B1/ko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5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21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of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우 정보를 획득하는 강우 정보 획득부,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도로 정보 획득부, 송신 신호에 대한 주변 객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이득에 따라 증폭시키는 수신부, 및 강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 및 도로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부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RADAR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는 레이더 시스템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레이더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식은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레이더이다. FMCW 레이더는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방식의 레이더를 의미한다.
차량용 레이더의 송신 주파수로서 주로 사용되는 70GHz 대역에 대한 공기 및 수증기에 의한 손실은 대략 0.3~5dB/km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 주파수 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또한, 시간당 강우량이 100mm/h 인 경우, 강우에 의한 감쇠는 대략 3.0~3.3dB/0.1km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용 레이더의 탐지 범위를 100m로 고려하면 6~6.6dB의 감쇠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전파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서 차량용 레이더는 비교적 높은 송신 전력을 사용하게 되지만 EIRP(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규정에 의해 송신출력을 높이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습한 대기와 높은 순간 강우량이 존재하는 운용 환경에서는 최대 탐지 거리가 짧아지는 등 차량용 레이더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널 및 고가 도로 등의 다양한 도로 상황에서 고정된 송신 출력 및 수신 이득을 사용할 경우, 수신 신호가 너무 커서 수신기 포화 상태가 발생하거나, 수신 신호가 너무 미약하여 표적 신호를 검출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971호(2017. 04. 14.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강우 조건 및 주행 도로 조건 등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레이더 시스템의 탐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주행 환경에 강인한 레이더 탐지 성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은, 강우 정보를 획득하는 강우 정보 획득부; 송신 신호에 대한 주변 객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이득에 따라 증폭시키는 수신부; 및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부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은,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도로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고, 상기 도로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는 레인 센서(Rain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설정 주기 동안 획득된 상기 레인 센서의 출력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강우 정보에 대한 평활화를 수행하고, 상기 평활화된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평활화된 강우 정보를 상기 수신 이득의 최대값에 1을 더한 값으로 나누어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한 수신이득 조절값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도로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현재 주행 도로가 터널인 경우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감소시키고, 상기 현재 주행 도로가 고가 도로인 경우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수신부는,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의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 신호를 증폭시키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을 통해 상기 PGA의 수신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신부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강우 정보 획득부가 강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신호 처리부가,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에 대한 주변 객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및 수신부가, 수신된 반사 신호를 상기 조절된 수신 이득에 따라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강우 조건 및 주행 도로 조건 등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레이더 시스템이 수신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신 이득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주행 환경에 강인한 레이더 탐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레이더 시스템에서의 전파 손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구체적 구현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SPI 통신을 통해 PGA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키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구체적 구현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SPI 통신을 통해 PGA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은 강우 정보 획득부(100), 도로 정보 획득부(200), 송신부(300), 수신부(400) 및 신호 처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강우 정보 획득부(100)는 차량의 현재 강우 정보를 획득하여 후술할 신호 처리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강우 정보 획득부(100)는 차량의 현재 강우 정보, 즉 강우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윈드쉴드 유리 내부에 구비되어 LED 및 포토 센서를 통해 강우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Rain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우 정보 획득부(100)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강우량 정보를 검출하여 8비트 바이너리 값을 신호 처리부(5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로 정보 획득부(200)는 차량이 현재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획득하여 신호 처리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로 정보 획득부(200)는 현재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장치의 DMB 안테나를 통해 도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강우 정보 획득부(100) 및 도로 정보 획득부(2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각각 강우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신호 처리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부(300)는 차량의 주변 객체를 탐지하기 위한 신호를 차량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이 FMCW 레이더 시스템인 경우, 송신부(300)는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연속적으로 차량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부(3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PA(Power Amplifier) 및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부(400)는 송신부(300)가 송신한 송신 신호에 대한 주변 객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이득에 따라 증폭시켜 신호 처리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이 FMCW 레이더 시스템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신부(400)는 LNA(Low Noise Amplifier),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 MIXER, HPF(High Pass Filter) 및 LPF(Low Pass Fil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수신부(400)는 PGA의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수신한 반사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신호 처리부(500)는 송신부(300)를 통해 차량의 주변 객체를 탐지하기 위한 신호를 차량 외부로 송신하고, 수신부(400)를 통해 반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레이더 시스템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이 FMCW 레이더 시스템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호 처리부(500)는 Micro Controller Unit, DAC(Digital Analogue Converter) 및 ADC(Analogue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부(500)는 강우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 및 도로 정보 획득부(200)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부(400)의 수신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강우 조건 및 주행 도로 조건 등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레이더 시스템의 탐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500)는 강우 정보 및 도로 정보에 따라 수신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레이더 시스템의 강인한 탐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500)는 강우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고, 도로 정보 획득부(200)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킬 수 있다.
먼저, 신호 처리부(500)가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신호 처리부(500)는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것과 같이 강우 정보 획득부(100)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강우량 정보를 검출하여 8비트 바이너리 값을 신호 처리부(500)로 출력할 수 있으며, 레인 센서의 출력값은 주어진 비트(bit) 수 내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출력값이 8비트인 경우 00000000b가 최소값이 되며, 11111111b가 최대값이 된다. 레인 센서의 출력값이 최소가 되는 경우는 강우량이 전혀 없는 상태로 볼 수 있으며, 레인 센서의 출력값이 최대가 되는 경우는 레인 센서가 감지할 있는 최대의 순간 강우량이 존재하는 상태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부(500)는 레인 센서로부터의 출력값이 클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수신부(400)의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500)는 설정 주기 동안 획득된 레인 센서의 출력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강우 정보에 대한 평활화를 수행하고, 평활화된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할 수 있다.
즉, 레인 센서의 출력값이 잡음 등의 원인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강우량을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설정 주기 동안 획득된 레인 센서의 출력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활화를 적용하여 수신 이득 조절 상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레인 센서의 출력값들을 획득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주기는 설계자의 및 실험적 결과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로서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레인 센서의 출력값이 8비트로 구성되고, 수신 이득이 4비트로 구성됨을 가정하는 경우, 신호 처리부(500)는 평활화된 강우 정보, 즉 설정 주기 동안 획득된 레인 센서의 출력값들의 평균값을, 수신 이득의 최대값에 1을 더한 값으로 나누어 그 결과를 1차 수신 이득 조절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비트로 구성되는 수신 이득의 최대값은 1111b이며, 수신 이득 최대값에 1을 더한 10000b(=16)으로 평활화된 레인 센서의 출력값을 나누어 1차 수신 이득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수신 이득이 1차 조절된 경우, 신호 처리부(500)는 도로 정보 획득부(200)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500)는 도로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현재 주행 도로가 터널인 경우에는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감소시키고, 현재 주행 도로가 고가 도로인 경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현재 주행 도로가 터널인 경우에는 수신 신호가 너무 커서 수신부(400)의 포화 상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처리부(500)는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주행 도로가 고가 도로인 경우에는 수신 신호가 너무 미약하여 표적 신호를 검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호 처리부(500)는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키는 증감량은 설계자의 의도 및 실험적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강우 정보에 따라 수신 이득이 1차 조절되고, 도로 정보에 따라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이 증감되는 과정을 통해 수신부(400)의 수신 이득은 최적화되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수신부(400)는 그 내부에 포함된 PGA의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수신한 반사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이때, PGA는 수신부(400)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수신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내부에 기능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최근의 수신 MMIC에는 PGA를 통한 수신 이득 조절 기능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며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을 통해 수신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50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SPI 통신을 통해 수신 MMIC에 기능적으로 구현된 PGA의 수신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수신부(400)의 수신 이득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7은 PGA를 통한 수신 이득 조절 기능을 갖는 수신 MMIC에 대한 SPI 제어 메시지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 SPI 제어 메시지의 비트 수는 24비트이고, PGA를 Enable/Disable 하기 위한 1개의 비트가 할당되어 있으며, PGA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4개의 비트가 할당되어 있다. LSB(Least Significant Bit)에 위치한 Control Bit는 SPI 메시지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PGA를 통해 수신 이득을 조절하기 위해 PGA Enable 비트를 On(1)으로 설정하고, PGA Gain에 할당된 4개 비트에 전술한 과정을 거쳐 최적 조절된 수신 이득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키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강우 정보 획득부(100)는 강우 정보를 획득한다(S100). 강우 정보 획득부(100)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강우량 정보를 검출하여 8비트 바이너리 값을 신호 처리부(5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도로 정부 획득부(200)는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획득한다(S200). 도로 정보 획득부(200)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DMB 안테나를 통해 도로 정보를 획득하여 신호 처리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신호 처리부(500)는 강우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 및 도로 정보 획득부(200)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부(300)가 송신한 송신 신호에 대한 주변 객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신 이득을 조절한다(S300).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S300 단계에서 신호 처리부(500)는 강우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한 후(S310), 도로 정보 획득부(200)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S310 단계에서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킨다(S330).
S310 단계에서, 신호 처리부(500)는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500)는 설정 주기 동안 획득된 레인 센서의 출력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강우 정보에 대한 평활화를 수행하고, 평활화된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S330 단계에서 신호 처리부(500)는 도로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현재 주행 도로가 터널인 경우(S331)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감소시키고(S333), 현재 주행 도로가 고가 도로인 경우(S335)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가시며(S337), 현재 주행 도로가 터널 또는 고가 도로가 아닌 일반 도로인 경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유지할 수 있다(S339).
한편, 본 실시예의 수신부(400)는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의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반사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PGA가 수신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내부에 기능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500)는 SPI 통신을 통해 수신 MMIC에 기능적으로 구현된 PGA의 수신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수신부(400)의 수신 이득을 조절할 수도 있다.
S300 단계 이후, 수신부는 수신된 반사 신호를 S300 단계에서 조절된 수신 이득에 따라 증폭시킨다(S400).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강우 조건 및 주행 도로 조건 등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레이더 시스템이 수신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신 이득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주행 환경에 강인한 레이더 탐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강우 정보 획득부
200: 도로 정보 획득부
300: 송신부
400: 수신부
500: 신호 처리부

Claims (14)

  1. 강우 정보를 획득하는 강우 정보 획득부;
    송신 신호에 대한 주변 객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이득에 따라 증폭시키는 수신부; 및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부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도로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고, 상기 도로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는 레인 센서(Rain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설정 주기 동안 획득된 상기 레인 센서의 출력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강우 정보에 대한 평활화를 수행하고, 상기 평활화된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평활화된 강우 정보를 상기 수신 이득의 최대값에 1을 더한 값으로 나누어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한 수신이득 조절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도로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현재 주행 도로가 터널인 경우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감소시키고, 상기 현재 주행 도로가 고가 도로인 경우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의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 신호를 증폭시키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을 통해 상기 PGA의 수신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신부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8. 강우 정보 획득부가 강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신호 처리부가,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에 대한 주변 객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및
    수신부가, 수신된 반사 신호를 상기 조절된 수신 이득에 따라 증폭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 획득부가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강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도로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도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 정보 획득부는 레인 센서(Rain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설정 주기 동안 획득된 상기 레인 센서의 출력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강우 정보에 대한 평활화를 수행하고, 상기 평활화된 강우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호 처리는, 상기 평활화된 강우 정보를 상기 수신 이득의 최대값에 1을 더한 값으로 나누어 상기 수신 이득을 1차 조절한 수신이득 조절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감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도로 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현재 주행 도로가 터널인 경우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감소시키고, 상기 현재 주행 도로가 고가 도로인 경우 상기 1차 조절된 수신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의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 신호를 증폭시키고,
    상기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을 통해 상기 PGA의 수신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신부의 수신 이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00075142A 2017-11-07 2020-06-19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142A KR102332510B1 (ko) 2017-11-07 2020-06-19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68A KR102343293B1 (ko) 2017-11-07 2017-11-07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00075142A KR102332510B1 (ko) 2017-11-07 2020-06-19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68A Division KR102343293B1 (ko) 2017-11-07 2017-11-07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482A true KR20200077482A (ko) 2020-06-30
KR102332510B1 KR102332510B1 (ko) 2021-11-29

Family

ID=7112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142A KR102332510B1 (ko) 2017-11-07 2020-06-19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5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3540A (ja) * 2011-10-11 2013-05-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車載レーダ装置および車載レーダ装置の制御方法
KR20150052557A (ko) * 2013-11-06 2015-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이의 수신 신호 이득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3540A (ja) * 2011-10-11 2013-05-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車載レーダ装置および車載レーダ装置の制御方法
KR20150052557A (ko) * 2013-11-06 2015-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이의 수신 신호 이득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510B1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0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in cellular telephone systems
US7729669B2 (en) Processor controlled variable gain cellular network amplifier
KR102168359B1 (ko)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이의 수신 신호 이득 조절 방법
US11956001B2 (en) Millimeter wave (mmWave) system and methods
US10136437B2 (en) Automatically adjustable radiofrequency link
EP188738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interference caused by antenna leakage signals
KR101202337B1 (ko) 밀리미터파를 이용하는 송수신기
KR20020067636A (ko) 자동 이득 제어를 갖는 수신 디바이스
US7907084B2 (en) Radar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radar device
KR102332510B1 (ko)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43293B1 (ko)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14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JP4290714B2 (ja) レーダ装置
KR101912519B1 (ko) 하이브리드 마이크로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4883211A (zh) 一种基于赋能通信技术的vhf/uhf对空超视距通信装置
JPH1164488A (ja) レーダ装置
KR100519806B1 (ko) 초광대역 전송 시스템의 수신신호 전력 제어 방법
US20080032644A1 (en) Automatic linear transmitter spectral optimization using transistor bias adjustment
US10567073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processing interference between signals transmitted in neighbouring transmitting spots, method associated therewith
JP6207800B1 (ja) アンテナ装置
JP2010237085A (ja) 目標観測装置
JP2023042899A (ja) レーダ装置
JP4528670B2 (ja) 気象レーダ装置
JP2005175636A (ja) 信号増幅回路、送信アンテナ、およびその出力レベル制御方法
WO2024102410A1 (en) System for controlling emissions of a 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