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346A - Grape harvesting machine - Google Patents

Grape harves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346A
KR20200077346A KR1020180166760A KR20180166760A KR20200077346A KR 20200077346 A KR20200077346 A KR 20200077346A KR 1020180166760 A KR1020180166760 A KR 1020180166760A KR 20180166760 A KR20180166760 A KR 20180166760A KR 20200077346 A KR20200077346 A KR 2020007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vehicle
undercarriage
chassis
chair
harv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18016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346A/en
Publication of KR2020007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3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8Vintaging machines, i.e. grape harves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01Harvesting of standing crops with arrangements for transport of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used when harvesting grapes in a vineyard and, more specifically, to a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which can easily transport grapes harvested in the vineyard along a harvest path formed between the rows of vines, allows an operator to harvest grapes while being in the work vehicle, and can run on the harvest path of the vineyar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harvest path.

Description

포도수확용 작업차{Grape harvesting machine}Grape harvesting machine

본 발명은 포도밭에서 포도를 수확할 때 이용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포도밭에서 수확한 포도를 포도나무 열과 열 사이에 형성된 수확로를 따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작업자가 작업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포도를 수확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차의 폭이 가변 가능하여 수확로의 폭에 알맞게 작업차의 폭을 조절하여 포도밭의 수확로에서 주행할 수 있는 포도수확용 작업차에 관한 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used for harvesting grapes in a vineyar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port grapes harvested in a vineyard along a harvesting path formed between rows and rows of vines. Grapes can be harvested while riding on a work vehicle.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is variable. It's about tea.

일반적으로 포도 등과 같은 농작물을 수확시에는 무거운 수확용바구니를 작업자가 항상 들고다니면서 농작물을 수확하여 왔다. 그로 인해 매번 수확용바구니를 작업자가 이동시키면서 작업해야 됨으로 번거롭고 수확시 허리나 다리를 반복적으로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시 작업자에게 육체적인 피로가 쌓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능률과 수확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when harvesting crops such as grapes, workers have always harvested crops while carrying a heavy harvesting basket. As a result, it is cumbersome because the worker must move the harvesting basket every time, and it is cumbersome to repeatedly bend the waist or legs during harvesting. There was a problem.

특히 농가에서는 대부분의 작업자가 고령자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크게 대두 되어 왔다.In particular, most of the workers in farm households are elderly, so this problem has been rai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26236호에와 같은 농산물 수확기를 제안한 바있다. 하지만 상기 농산물 수확기는 작업자의 힘으로 수확기를 직접 움직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gricultural harvester such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6236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agricultural product harvester had a problem in that the harvester had to be moved directly by a worker.

또한 경작지마다“U”자 형태로 형성되는 밭고랑의 깊이 및 넓이가 일정하지 못해 농산물 수확기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로 밭고랑을 따라 이동시 농산물 수확기의 균형을 맞출 수 없어 작업자가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하거나, 작업자 불편한 자세로 수확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depth and width of the furrow formed in the shape of a “U” for each arable land are not constant, so when the worker moves along the furrow with the worker sitting in the agricultural product harvester, the balan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harvester cannot be balanced. A problem that requires harvesting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occurs, and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6236호(2011.03.1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6236 (2011.03.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5349호(2002.10.0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75349 (2002.1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4217호(2013.10.25.)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24217 (2013.10.25.)

본 발명은 포도수확용 작업차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포도수확용 작업차는 단순히 일정의 형태를 가지는 구조물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포도밭 수확로의 폭이 작업차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는 작업차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고;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since the conventional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is simply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wheel at the bottom of a structure having a certain shape, so as to harvest the vineyard. When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wa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 of the work vehicle was impossible;

또한 작업차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포도를 수확할 수 있도록 작업차가 구성된 경우에는, 작업자와 작업차 간의 간섭에 의하여 포도 수확 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work vehicle is configured to harvest grapes while the worker is on the work vehicle, the main problem is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problem that the vintage work is not smooth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worker and the work vehicle. It is for the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above,

수확한 포도를 적재하며 이동할 수 있는 포도수확용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는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대의 폭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를 제시한다.In the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that can be moved while loading harvested grapes, the work vehicle comprises a chass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at the bottom, and the width of the chassis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To present.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포도수확용 작업차는 폭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기 때문에, 포도밭의 수확로 폭에 알맞게 작업차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Since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variabl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harvesting path of the vineyard;

또한 작업차의 측부에 의자부재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작업자와 작업차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자의 원활한 포도수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hair memb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worker and the work vehicle, so that a smooth grape harvesting work of the worker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의 폭을 도 1의 경우보다 좁게 조절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의 폭을 도 1의 경우보다 좁게 조절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에 의자부재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에 구비된 의자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에 구비된 발받침대의 기울기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에 조이스틱이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의 전륜이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의 전륜과 후륜의 회전방향이 전환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의 전륜과 후륜의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에 포도상자 거치대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도수확 작업차의 포도상자 거치대에 포도상자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dth of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to be narrower than that of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dth of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to be narrower than that of FIG. 1.
4 is a front view showing a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a chair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a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ing state of the chair provided in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lt adjustment state of the footrest provided in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joystick is further provided in a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ront wheel of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a driving motor.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witched.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a grape box holder is further provided in a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pe box mounted on the grape box holder of the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포도밭에서 포도를 수확할 때 이용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수확한 포도를 적재하며 이동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작업차는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11)가 구비되는 차대(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대(10)의 폭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used when harvesting grapes in a vineyard, and can move while loading the harvested grapes. In particular, the work vehicle includes a chassis 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1 at the bottom. It comprises, and the width of the chassis 10 relates to a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configured to be varia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showing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포도수확용 작업차(이하, “작업차”라 칭함.)는 포도와 같은 과수농장 또는 고추와 같은 채소재배 농장에서 과수 또는 채소를 수확할 때, 수확된 과수 또는 채소를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과수 또는 채소를 수확하는 작업자가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며 과수 또는 채소를 수확할 수 있다.First, the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 vehicle”) is used when harvesting fruit trees or vegetables at fruit farms such as grapes or vegetable cultivation farms such as peppers. It can be moved by loading, and a worker harvesting fruit trees or vegetables can be moved while riding on a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rvest fruit trees or vegetables.

이하, 본 발명은 상기 과수 또는 채소 중 어느 하나인 포도를 바람직한 실시예로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any one of the fruit or vegetable grapes.

아울러 포도나무는 일반적으로 관리와 수확의 용이성을 위하여 포도밭에 일정의 열과 행을 이루며 식재되고, 작업자는 포도나무 열과 열 사이 또는 행과 행 사이를 이동하며 포도를 관리하거나 수확한다. 이하, 본 발명은 작업자가 포도나무 열과 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하, “수확로”라 칭함.)을 이동하며 포도를 수확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In addition, vines are generally planted in rows and rows in a vineyard for ease of management and harvest, and workers manage or harvest grapes by moving between rows and rows of vine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worker moves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ows of vines and row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rvesting furnaces”) to harvest grapes.

즉,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상기 수확로를 따라 포도밭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수확된 포도를 적재하여 운송시킬 수 있다.That is,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ported by moving the harvested grapes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neyard along the harvesting path.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작업차의 구조체 역할을 하는 차대(10)와 차대(10)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바퀴(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11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carriage 10 and the undercarriage 10 serving as a structure of the work vehicle.

즉, 상기 차대(10)는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의 길이(전장), 폭(전폭) 및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차대(10)의 하부에는 작업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바퀴(1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undercarriage 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length), width (full width), and height by combining between a plurality of frames, and a plurality of wheels for moving the work vehicle under the undercarriage 10 (11)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이때, 상기 바퀴(11)는 원형의 외주를 가지는 일반적인 바퀴(11) 또는 무한궤도(caterpillar)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하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외주를 가지는 일반적인 바퀴(11)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At this time, the wheel 1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such as a general wheel 11 or a caterpillar having a circular outer circumference, and in the following invention, the general wheel 11 having a circular outer circumference is used. It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더불어 상기 바퀴(11)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엔진 또는 구동모터(12) 등과 같은 구동체가 차대(10)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체에 의한 구동력으로 구동되어 이동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퀴(11)는 구동모터(12)가 장착되어 구동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고, 상기 구동모터(12)는 차대(10)에 별도로 장착된 배터리(13)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In addition, the wheel 11 may be manually moved by the operator; A driving body such as an engine or a driving motor 12 is mounted on the chassis 10, and may be moved by being driven by a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body. 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11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driving motor 12 is mounted and driven, and the driving motor 12 of the battery 13 separately mounted to the chassis 10. It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that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아울러 본 발명의 주안점인 상기 차대(10)는 폭(width)의 길이가 조절 가능한 구성을 한다.In addition, the mai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carriage 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width is adjustable.

즉, 일반적인 포도밭은 과수농장 또는 동일한 과수농장이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수확로의 폭을 가지게 되는데, 작업차의 폭이 항상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구성되면, 작업차의 폭이 커서 수확로에 작업차가 진입하지 못하거나, 작업차의 폭이 지나치게 짧아 수확한 포도를 작업차에 적재하기 위한 작업자의 동선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That is, even in the case of a fruit tree farm or the same fruit tree farm, a typical vineyard has a different width of the harvesting path. If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is alway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is large and the work vehicle cannot enter the harvesting path. Alterna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is too short, so that the worker's circulation for loading the harvested grapes to the work vehicle becomes long.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수확로의 폭에 따라 작업차의 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수확로에 대한 작업차의 진입 가능성 여부 및 작업자의 작업 동선을 짧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width of th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harvesting path, it is possible to realize whether the work vehicle can enter the harvesting path and shorten the worker's work flow. I can do it.

아울러 상기 차대(1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폭의 길이를 가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대(10)는 작업차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11)가 구비되는 제1차대(10a); 상기 제1차대(10a)와 이격되는 상태로 작업차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11)가 구비되는 제2차대(10b) 및; 상기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3차대(10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는 제3차대(10c)를 기준하여 수평위치가 조절되어,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 간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차대(1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carriage 10 may vary the length of the width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preferably the undercarriage 10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one or more wheels 11 at the bottom ) Is provided with the first chassis (10a); A second undercarriage (10b)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having one or more wheels (11) at the bottom; And a third chassis 10c connecting the first chassis 10a and the second chassis 10b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chassis 10a and the second chassis 10b are the third chassis ( The horizontal position is adjusted based on 10c), so that the width between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is adjusted, so that the width of the undercarriage 10 can be adjusted.

즉, 상기 구성의 차대(10)는 거시적으로 제1차대(10a), 제2차대(10b) 및 제3차대(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undercarriage 1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macroscopically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undercarriage 10a,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and the third undercarriage 10c.

구체적으로, 상기 제1차대(10a)는 작업차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11)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작업차를 폭방향 일측, 중간 및 타측으로 구분할 때,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Specifically, the first undercarriage (10a)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and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wheels (11) at the bottom, when dividing the work vehicle into one side, the middl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dth It is a configuration arranged on one side of the direction.

이때, 상기 제1차대(10a)는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의 길이, 높이 및 폭을 형성하는 형태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하부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제1차대(10a)를 지지시키는 바퀴(1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undercarriage (10a) is composed of a structure of a form that forms a certain length, height and width by the coupling between a plurality of frames,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wheel supporting the first undercarriage (10a)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11) is provided.

아울러 상기 제2차대(10b)는 상기 제1차대(10a)와 이격되는 상태로 작업차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11)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작업차를 폭방향 일측, 중간 및 타측으로 구분할 때,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one wheel 11 is provided at the bottom, the work vehicl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divided into one side, the middle and the other side, it is a configuration arrang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이때, 상기 제2차대(10b)는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의 길이, 높이 및 폭을 형성하는 형태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하부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제2차대(10b)를 지지시키는 바퀴(1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forms a certain length, height and width by the coupling between a plurality of frames,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wheel supporting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11) is provided.

더불어 상기 제3차대(10c)는 상기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작업차를 폭방향 일측, 중간 및 타측으로 구분할 때, 폭방향 중간에 배치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third undercarriage (10c)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to each other, when the work vehicle is divided into one side, the middl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width direction It is a composition.

이때, 제3차대(10c)는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의 길이, 높이 및 폭을 형성하는 형태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작업차의 폭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는 가지는 복수 개의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undercarriage 10c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that forms a certain length, height, and width by coupling between a plurality of frames, and a plurality of thirds having a certain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It may be composed of the chassis frame (10c-1, 10c-2).

즉, 상기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제1차대(10a)에 연결되는 구성을 하고,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제2차대(10b)에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차대(10a)에는 상기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의 길이방향 일측이 끼워질 수 있는 연결소켓(10a-1)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소켓(10a-1)은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의 길이방향 일측 일정 구간에서 수평위치 조절된 후 위치고정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s for the third chassis 10c-1 and 10c-2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hassis 10a,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chassis 10b. Make a composition. At this time, the first undercarriage 10a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socket 10a-1 into which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s for the third undercarriage 10c-1 and 10c-2 is fitted, and the connecting socket 10a. -1) may be fixed after the horizontal position is adjusted in a certain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chassis frames 10c-1 and 10c-2.

아울러 상기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제2차대(10b)에 연결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제2차대(10b)에는 상기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의 길이방향 타측이 끼워질 수 잇는 연결소켓(10b-1)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소켓(10b-1)은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의 길이방향 타측 일정 구간에서 수평위치 조절된 후 위치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chassis frame (10c-1, 10c-2)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hassis (10b), the second chassis (10b) is the third chassis frame ( 10c-1, 10c-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socket 10b-1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fitted, and the connecting socket 10b-1 is a frame for the third chassis 10c-1, 10c-2 ) Can be fixed after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in a certain sec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기 구성의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는 제3차대(10c)에 대한 수평위치가 조절될 수 있어서,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고, 그 결과 수확로의 폭에 따라 작업차의 폭을 조절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That is, the horizont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hird undercarriage 10c of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This can be adjust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width of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harvesting furnace.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은 작업차의 전방에서 후방을 형성시키는 제1차대(10a) 및 제2차대(10b)의 전방과 후방 각각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 제3차대용 프레임(10c-1, 10c-2) 중 작업차의 전방 쪽에 위치되는 제3차대(10c)용 전방프레임(10c-1)과 작업차의 후방 쪽에 위치되는 제3차대(10c)용 후방프레임(10c-2)에는 수확된 포도가 담겨진 포도상자(60)를 적재시킬 수 있는 선반(40, 상부 선반)이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third chassis frames 10c-1 and 10c-2 connect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first chassis 10a and the second chassis 10b, which form the rear from the front of the work vehicle,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ieces are configured so as to allow them. In one embodiment, the third frame (10c-1, 10c-2) of the third chassis (10c) for the front frame 10c-1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work vehicle and the rear side of the work vehicle In the rear frame 10c-2 for the third chassis 10c, a shelf 40 (top shelf) capable of loading the grape box 60 containing the harvested grapes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상기와 같이 폭이 조절되는 구성을 함과 동시에 수확된 포도를 수확로에서 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차에 탑승한 상태로 포도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width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transport the harvested grapes from the harvesting furnace, and allow the worker to harvest the grapes while on the work vehicle. have.

즉, 작업차의 전방, 후방 또는 양쪽 측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대 또는 의자(27)가 마련되고, 작업자는 상기 탑승대에 선 상태 또는 의자(27)에 앉은 상태로 포도를 수확할 수 있다.That is, in one or more portions of the front, rear, or both sides of the work vehicle, a boarding platform or a chair 27 is provided for the operator to board, and the operator is standing on the boarding or sitting on the chair 27 Grapes can be harves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폭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차에 탑승한 상태에서의 포도나무에 대한 작업자의 작업 영역을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작업 동선을 최소화하여 보다 능률적인 포도 수확작업을 실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dth, the worker can adjust the work area of the worker for the vine in the state of boarding the work car, thereby minimizing the worker's work flow to make the grape more efficient. Harvesting can be realized.

일실시예로, 상기 제1차대(10a) 또는 제2차대(1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대 측부에는 작업자가 앉은 상태로 포도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부재(20)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ide of the undercarriage of the first undercarriage 10a or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may be configured with a chair member 20 that allows a worker to harvest grapes while sitting.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의자부재(20)는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2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써, 작업차의 측부에 해당하는 제1차대(10a) 또는 제2차대(1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대의 측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작업차와 포도나무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앉은 상태로 포도 수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air member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hair 27 on which an operator can sit, and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undercarriage 10a or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and, so that the worker can perform the vintage work while sitting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ork car and the vine.

이때, 상기 의자부재(2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대(10)의 측부에 고정 장착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랙(22, Rack)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의자 걸이프레임(21); 상기 랙(22)에 걸리는 지지 샤프트(24b)가 구비되고, 의자(27)가 구비되는 의자 프레임(23) 및; 상기 의자 프레임(23)의 측하방으로 돌출 구비되고, 작업자의 발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발받침대(26)가 구비된 발받침대 프레임(25);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ir member 20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forms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preferably fixed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undercarriage 10, a plurality of racks (22, Rack) protruding to the side Chair hang frame 2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hair frame 23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24b hanging from the rack 22 and provided with a chair 27;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hair frame 23, the footrest frame 25 is provided with a footrest 26 that can seat the foot of the operator.

즉, 상기 구성의 의자부재(20)는 거시적으로 의자 걸이프레임(21), 의자 프레임(23) 및 발받침대 프레임(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chair member 2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croscopic chair hanger frame 21, a chair frame 23 and a footrest frame 25.

구체적으로, 상기 의자 걸이프레임(21)은 차대(10)의 측부에 의자 프레임(23)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차대(10)의 측부에 고정 장착되고, 측방에는 복수 개의 랙(22, Rack)이 상하방향으로 일정의 간격을 가지며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Specifically, the chair hanger frame 21 is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chair frame 23 on the side of the undercarriage 10, is fixed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undercarriage 10, a plurality of racks (22, Rack) on the side ) Is configured to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보다 상세하면, 상기 차대(10)가 제1차대(10a), 제2차대(10b) 및 제3차대(1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의자 걸이프레임(21)은 상기 제1차대(10a) 또는 제2차대(1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대의 측방에 고정 방식 또는 착탈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성을 하고, 의자 걸이프레임(21)의 측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랙(22)은 의자 걸이프레임(21)의 폭방향 양쪽 각각에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랙(22)에 하기 의자 프레임(23)의 지지 샤프트(24b)가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when the chassis 1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chassis 10a, the second chassis 10b, and the third chassis 10c, the chair hanger frame 21 may include the first chassis 10a. ) Or the second chassis (10b)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side of any one or more of the undercarriage fixed or detachable, a plurality of racks 22 formed on the side of the chair hanger frame 21 is a chair hanger frame (21 ) Is formed in a pair on each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shaft 24b of the chair frame 23 below is stably caught in a pair of racks 22 spaced from each other.

아울러 상기와 같이 의자 걸이프레임(21)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랙(22)은 의자 프레임(23)의 지지 샤프트(24b)의 걸림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의자(27)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작업자의 앉은키 또는 포도나무에 열린 포도의 높낮이에 따라 의자(27)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acks 22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chair hanger frame 21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lec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support shaft 24b of the chair frame 23, the chair 27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as a result, it exerts an effect of proper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hair 27 according to the sitting height of the worker or the height of the grapes opened on the vine.

또한 상기 의자 프레임(23)은 상기 랙(22)에 걸리는 지지 샤프트(24b)가 구비되고, 의자(27)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작업자가 앉은 상태로 포도수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27)를 구비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chair frame 23 is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24b to be hung on the rack 22, and a chair 27 is provided, so that the worker can sit and work with the grape harvesting work (27). ).

즉, 상기 의자 프레임(23)은 상기 의자 걸이프레임(21)의 랙(22)에 걸림을 형성하는 지지 사프트가 상부 또는 일측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측방에는 의자(27)가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chair frame 23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upport shaft forming a hook on the rack 22 of the chair hanger frame 21 is provided on the upper or one side, and the chair 27 is provided on the side. Do it.

이때, 상기 지지 샤프트(24b)는 상하방향으로 이중 이상의 층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가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support shaft 24b may be configured to form two or more lay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샤프트(24b) 중 어느 하나의 지지 샤프트(24b)인 상부 지지 샤프트(24b)는 서로 다른 층을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랙(22) 중 상부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랙 한 쌍(22a)에 걸림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 샤프트(24b)인 하부 지지 샤프트(24b)는 하부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랙 한 쌍(22b)에 걸림이 형성되어, 의자 프레임(23)이 보다 견고하게 의자 걸이프레임(21)에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upport shaft 24b, which is one of the support shafts 24b, the upper support shaft 24b is one pair of racks located at the top among the plurality of racks 22 forming different layers ( 22a) is formed, the other support shaft (24b) of the lower support shaft (24b) is formed on the other pair of racks (22b) located on the lower, the chair frame (23) is more It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chair hanger frame 21 firmly.

아울러 상기 구성의 의자 프레임(23)은 지지 샤프트(24b)가 의자 걸이프레임(21)의 랙(22)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의자 걸이프레임(21)에 의자 프레임(23)을 필요에 따라 착탈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chair frame 23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support shaft 24b is hung or released from the rack 22 of the chair hanger frame 21, the chair frame 23 is placed in the chair hanger frame 21. ) Can be used in a detachable manner if necessary.

더불어 상기 발받침대 프레임(25)은 상기 의자 프레임(23)의 측하방으로 돌출 구비되고, 작업자의 발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발받침대(26)가 구비된 구성으로서, 포도수확 중인 작업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footrest frame 25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and downward of the chair frame 23, and is provided with a footrest 26 capable of seating an operator's foot, which is more comfortable for workers harvesting grapes. It is provided.

즉, 상기 발받침대 프레임(25)의 길이방향 상부는 상기 의자 프레임(23)의 측방 일정부분 또는 하부에 체결되고, 하부는 상기 상부에서 측하방으로 길이연장된다. 이때, 발받침 프레임의 하부에는 작업자의 발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발받침대(26)가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upp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rest frame 25 is fastened to a certain portion or the lower side of the chair frame 23, and the lower portion is extended lengthwis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rest frame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footrest 26 that can seat the foot of the operator.

또한 상기 구성의 발받침대 프레임(25)의 상부는 의자 프레임(23)의 측방 또는 하부 일정 부분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otrest frame 25 of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in a fixed position on a side or a lower portion of the chair frame 23, or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y fastened.

구체적으로, 상기 발받침대 프레임(25)의 상부 일정 부분은 의자 프레임(23)의 측부 또는 하부와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 부분(25a)의 상부에 해당하는 일정 부분에는 복수 개의 핀홀(25b)이 힌지 결합 부분(25a)을 중심으로 호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핀홀(25b)에는 의자 프레임(23)의 측방 또는 하부에 형성된 고정홀(25c)과 핀홀(25b)을 관통시키는 고정핀(25d)이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ootrest frame 25 is hinged with the side or lower portion of the chair frame 23, and a plurality of pinholes 25b ar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inged portion 25a.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arou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25a, and the pinhole 25b has a fixing hole 25c and a pinhole 25d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chair frame 23 and through the pinhole 25b. ) May be configured.

즉, 상기 구성의 받받침대 프레임은 의자 프레임(23)(바람직하게는 의자(27))을 중심으로 수직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발받침대(2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발받침대 프레임(25)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발받침대 프레임(25)을 차대(10)의 측부 쪽으로 접어놓을 수도 있는 효과를 실현시킨다.That is, since the base frame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vertically rotated and fixed around the chair frame 23 (preferably the chair 27), the height of the footrest 26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selection. When the footrest frame 25 is unnecessary, the effect that the footrest frame 25 can be folded toward the side of the undercarriage 10 is realized.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엔진 또는 구동모터(12) 등과 같은 구동체가 장착되어 구동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의자(27) 또는 발받침대 프레임(25)에는 작업차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는 조이스틱(30, joystick)이 구비되고, 상기 조이스틱(30)은 작업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어, 작업자가 조이스틱(30)을 조절하여 작업차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a driving body such as an engine or a driving motor 12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chair 27 or the footrest frame 25 is moved by the work vehicle. A joystick 30 that can be adjusted is provided, and the joystick 30 is located between the legs of an operator,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joystick 30 to drive the work vehicle.

즉, 상기 조이스틱(30)은 작업차의 구동체와 연결되어 작업차의 이동여부 및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joystick 3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body of the work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the work vehicle moves or not and the movement speed.

더불어 상기 조이스틱(30)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30)은 작업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포도수확 중인 작업자에 조이스틱(30)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고, 작업자가 두 손으로는 포도를 수확하며 다리를 이용해서 조이스틱(30)을 조절함으로써 작업차를 이동시킬 수도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 specific operation method for the joystick 30 may be by a known technique. However, since the joystick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located between the legs of the worker, the joystick 30 may not be disturbed to the worker who is harvesting grapes, and the worker harvests the grapes with both hands and the legs By adjusting the joystick 30 us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moving the work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차대(10)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11)는 작업차의 전방쪽에 위치되고, 구동체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한 쌍의 전륜(11a)과; 작업차의 후방쪽에 위치되는 한 쌍의 후륜(11b);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wheels 11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undercarriage 10 of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work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body and is driven by a pair of front wheels 11a;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rear wheels (11b)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work vehicle.

즉, 상기 구성의 바퀴(11)는 거시적으로 한 쌍의 전륜(11a)과 한 쌍의 후륜(11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전륜(11a)은 상기 엔진 또는 구동모터(12) 등과 같은 구동체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wheel 11 of th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croscopic pair of front wheels 11a and a pair of rear wheels 11b, and the pair of front wheels 11a is the engine or drive motor 12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driving body such as driving.

구체적으로, 상기 차대(10)가 제1차대(10a), 제2차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륜(11a) 중 어느 하나의 전륜(11a-1)은 상기 제1차대(10a)의 전방쪽에 구비되고, 다른하나의 전륜(11a-2)은 상기 제2차대(10b)의 전방쪽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후륜(11b) 중 어느 하나의 후륜(11b-1)은 상기 제2차대(10b)의 후방쪽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후륜(11b-2)은 상기 제2차대(10b)의 후방쪽에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Specifically, when the undercarriag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undercarriage 10a and a second undercarriage 10b, any one of the front wheels 11a of the pair of front wheels 11a-1 is the first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the other front wheel 11a-2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One rear wheel 11b-1 of the pair of rear wheels 11b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and the other rear wheel 11b-2 of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I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이때, 상기 한 쌍의 전륜(11a)은 단일 개의 구동체와 연결되어 일괄적으로 구동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각각의 전륜(11a)에 서로 다른 구동체가 각각 연결되는 구성을 하여 별개로 구동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front wheels (11a) is connected to a single driving body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in a batch, each of the front wheels (11a)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different driving body is driven separately You can configure.

보다 상세하면, 상기 구동체가 구동모터(12)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12)는 차대(10)의 전방쪽 일정 부분 또는 차대(10)와 전륜(11a)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륜(11a) 지지프레임(하기의 바퀴 지지프레임(14a)과 대응됨.)의 일정 부분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고, 구동모터(12) 또는 구동모터(12)와 연결된 감속기(12a)는 전륜(11a)과 체인(15), 밸트 또는 기어와 연결되는 구성을 하여,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이 전륜(11a)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driving body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motor 12, the driving motor 12 connect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hassis 10 or the chassis 10 and the front wheel 11a to each other. The front wheel 11a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certain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corresponding to the following wheel support frame 14a), and the drive motor 12 or the reducer 12a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2 is a front wheel. (11a) and the chain (15),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a belt or gear,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12 can be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11a).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12) 또는 감속기(12a)와 전류의 사이에는 구동모터(12)의 구동력 전달을 연결 또는 비연결시키는 클러치 모듈(17)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필요에 따라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을 해제하여 작업자가 직접 작업차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driving motor 12 or the reducer 12a and the current, a clutch module 17 that connects or disconnects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 is further provided, and if necessary, the driving motor (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driving force of 12) so that the worker can directly move the work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차대(10)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11)는 차대(10)와 바퀴(11)를 서로 연결시키는 바퀴 지지부재(14)에 의하여 차대(10)와 연결되고, 상기 바퀴 지지부재(14)는 차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바퀴(11)의 회전방향이 작업차의 측방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heels 11 provided under the undercarriage 10 of th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ndercarriage 10 by a wheel support member 14 connecting the undercarriage 10 and the wheels 11 to each other. And, the wheel support member 14 is mounted to be rotatable on the undercarriage 10, so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heel 11 can be configured to be switched to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즉, 상기 구성의 바퀴 지지부재(14)는 차대(10)와 바퀴(11)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바퀴(11)가 차대(10)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되, 필요한 경우 차대(10)에 대한 바퀴(11)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작업차가 전진 및 후진이 아닌 측방(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wheel support member 14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configuration that interconnects the undercarriage 10 and the wheel 11, so that the wheel 11 can rotate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undercarriage 10, if necessary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heel 11 relative to the undercarriage 10, the work vehicle can be moved to the side (left and right) rather than forward and backwar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포도밭의 길이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며 작업자의 포도수확을 돕게 되는데,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포도밭의 입구, 출구 또는 포도밭 내에서 포도받을 폭방향으로 이동해야할 때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여, 상기 바퀴 지지부재(14)는 작업차의 전진 및 후진방향으로 회전하는 바퀴(11)를 작업차의 측방(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 전환시켜, 바퀴(11)가 작업차의 측방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neyard and assists the worker in harvesting grapes.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worker, there may be a time when the vineyard needs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to receive grapes in the vineyard. . On the other hand, the wheel support member 14 turns the wheel 11 rota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work vehicle to the side (left or right) of the work vehicle, so that the wheel 11 is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Can be rotated.

이때, 상기 바퀴 지지부재(14)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바퀴(11)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바퀴 지지프레임(14a); 상기 바퀴 지지프레임(14a)의 상부에 수직하게 길이를 형성하며 배치되고, 차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샤프트(14b); 상기 샤프트(14b)의 일정 부분에 체결되어 샤프트(14b)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회전모듈(14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heel support member 14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preferably, a wheel support frame 14a for supporting the wheel 11 to be rotatable; A shaft 14b which is arranged to form a length vertic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wheel support frame 14a and is fastened to the chassis 10 so as to be rotatabl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aft rotating module (14c) that is fasten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shaft (14b) to rotate the shaft (14b).

즉, 상기 구성의 바퀴 지지부재(14)는 거시적으로 바퀴 지지프레임(14a), 샤프트(14b) 및 샤프트 회전모듈(1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wheel support member 14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wheel support frame 14a, a shaft 14b, and a shaft rotation module 14c macroscopically.

구체적으로, 상기 바퀴 지지프레임(14a)은 바퀴(1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바퀴(1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구성이고; 상기 샤프트(14b)는 상기 바퀴 지지프레임(14a)의 상부 또는 측부에 길이방향 하부가 연결되고, 길이방향 중간부 또는 상부는 차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Specifically, the wheel support frame 14a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11 to support the wheel 11 in a rotatable state; The shaft 14b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longitudinal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an upper or side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frame 14a, and a longitudinal intermediate portion or uppe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assis 10.

즉, 상기 샤프트(14b)는 길이방향이 차대(10)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차대(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어 바퀴 지지프레임(14a)을 회전시킴으로써 바퀴(11)의 회전 방향을 작업차의 측방으로 전환시키는 구성이다.That is, the shaft 14b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ndercarriage 10 and is fastened to the undercarriage 10 in a rotatable state to rotate the wheel support frame 14a to rotat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11. It is a configuration to switch to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이때, 상기 샤프트 회전모듈(14c)은 상기 샤프트(14b)의 중간부 또는 상부 일정 부분에 구비되어 샤프트(14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 회전모듈(14c)은 샤프트(14b)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샤프트(14b)와 일측이 연결되어 샤프트(14b)를 회전시키는 제1링크(14c-1); 일측은 상기 제1링크(14c-1)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차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14c-1)를 당기거나 미는 제2링크(14c-2); 상기 제2링크(14c-2)의 타측 일정부분과 연결되어 제2링크(14c-2)를 회전시키는 핸들(14c-3a, 14c-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ft rotation module 14c may be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r 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14b to rotate the shaft 14b. That is, the shaft rotation module 14c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can rotate the shaft 14b, and preferably, the first lin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aft 14b to rotate the shaft 14b ( 14c-1);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14c-1)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assis 10, the second link (14c-1) for pulling or pushing the first link (14c-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handles (14c-3a, 14c-3b) for rotating the second link (14c-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14c-2).

즉, 상기 구성의 샤프트 회전모듈(14c)은 거시적으로 제1링크(14c-1), 제2링크(14c-2) 및 핸들(14c-3a, 14c-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shaft rotation module 14c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link 14c-1, the second link 14c-2 and the handles 14c-3a, 14c-3b macroscopically.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링크(14c-1)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샤프트(14b)의 중간부 또는 상부와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제2링크(14c-2)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제1링크(14c-1)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차대(10)의 일정 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제2링크(14c-2)가 회전되면 제1링크(14c-1)가 당겨지거나 밀어지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first link (14c-1)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iddle or upper portion of the shaft (14b). Also, the second link 14c-2 has a predetermined length, bu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k 14c-1,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otates at a certain portion of the undercarriage 10. It is connected to be possible, so that the first link 14c-1 is pulled or pushed when the second link 14c-2 is rotated.

이때, 제2링크(14c-2)에 의하여 당겨지거나 밀어지는 제1링크(14c-1)는 샤프트(14b)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바퀴(11)가 연결된 바퀴 지지프레임(14a)을 작업차의 측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바퀴(11)가 작업차의 측방으로 회전방향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link 14c-1, which is pulled or pushed by the second link 14c-2, rotates the shaft 14b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wheel support frame to which the wheel 11 is connected ( By rotating 14a) to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the wheel 11 can be rotated to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또한 상기 핸들(14c-3a, 14c-3b)은 상기 제2링크(14c-2)의 타측 일정부분과 연결되어 제2링크(14c-2)가 길이방향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작업자에 의한 수동 작동 또는 전원을 이용한 자동 작동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Also, the handles 14c-3a and 14c-3b are connect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14c-2 so that the second link 14c-2 can be rotated arou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it can be rotated by a manual operation by an operator or an automatic operation method using a power source.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구성의 바퀴 지지부재(14)는 작업차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11)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차대(10)에 제1차대(10a), 제2차대(10b)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차대(10a), 제2차대(10b)에 한 쌍의 전륜(11a) 및 한 쌍의 후륜(11b)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전륜(11a) 각각을 회전방향 전환시키는 핸들(14c-3a)은 단일 개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14c-3a)은 한 쌍의 전륜(11a) 각각과 연결된 바퀴 지지부재(14)의 한 쌍의 제2링크(14c-2)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단일의 핸들축(14c-3a)에 연결되어, 단일의 핸들(14c-3a) 회전으로 한 쌍의 전륜(11a)을 동시에 회전방향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wheel support member 14 of the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mounted to a plurality of wheels 11 provided in the work vehicle, the first undercarriage 10a, the first undercarriage 10 When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is included, and the first undercarriage (10a),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of a pair of front wheels (11a) and a pair of rear wheels (11b) is mounted, the pair The handles 14c-3a for converting each of the front wheels 11a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e composed of a single piece, and the handles 14c-3a are a pair of wheel support members 14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front wheels 11a. Is connected to a single handle shaft (14c-3a)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14c-2), a single handle (14c-3a) rotation to simultaneously switch a pair of front wheels (11a) in the rotation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또한 상기 한 쌍의 후륜(11b) 역시, 상기 한 쌍의 후륜(11b) 각각을 회전방향 전환시키는 핸들(14c-3b)은 단일 개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14c-3b)은 한 쌍의 후륜(11b) 각각과 연결된 바퀴 지지부재(14)의 한 쌍의 제2링크(14c-2)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단일의 핸들축(14c-3b)에 연결되어, 단일의 핸들(14c-3b) 회전으로 한 쌍의 후륜(11b)을 동시에 회전방향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rear wheels (11b) also, each of the pair of rear wheels (11b) is a single handle (14c-3b) for converting the rotation direction is composed of a single, the handle (14c-3b) is a pair of rear wheels ( 11b) connected to a single handle shaft 14c-3b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second links 14c-2 of the wheel support member 14 connected to each, a single handle 14c-3b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pair of rear wheels 11b in the rotational direction.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측방에는 작업자가 수확한 포도를 담는 포도상자(60)를 거치 또는 안착시킬 수 있는 포도상자 거치대(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rape box holder 50 that can be mounted or mounted on the grape box 60 containing the grape harvested by the worker.

즉, 상기 포도상자 거치대(50)는 차대(10)의 측부 구조물에 해당하는 제1차대(10a) 또는 제2차대(10b)의 측방에 고정 또는 착탈방식으로 구비되어, 포도상자(60)를 거치 또는 안착시키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grape box holder 50 is provided in a fixed or detachable manner on the side of the first chassis (10a) or the second chassis (10b) corresponding to the side structure of the chassis 10, the grape box 60 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r seated.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에 상기 의자부재(2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도상자 거치대(50)는 의자부재(20)의 옆에 해당하는 작업차의 전측방 또는 후측방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의자(27)에 앉은 상태로 수확한 포도를 곧바로 작업자의 옆에 위치한 포도상자 거치대(50)에 거치된 포도상자(60)에 담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hair member 20 is provided in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e box holder 50 is provided i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work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chair member 20 , It is possible to allow the grape harvested while sitting on the chair 27 to be placed in the grape box 60 mounted on the grape box holder 50 located next to the worker.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rough the above embodiment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in.

10 : 차대 10a : 제1차대
10a-1 : 연결소켓 10b : 제2차대
10b-1 : 연결소켓 10c : 제3차대
10c-1 : 제3차대용 전방프레임 10c-2 : 제3차대용 후방프레임
11 : 바퀴 11a, 11a-1, 11a-2 : 전륜
11b, 11b-1, 11b-2 : 후륜 12 : 구동모터
12a : 감속기 13 : 배터리
14 : 바퀴 지지부재 14a : 바퀴 지지프레임
14b : 샤프트 14c : 샤프트 회전모듈
14c-1 : 제1링크 14c-2 : 제2링크
14c-3a, 14c-3b : 핸들 14c-3c, 14c-3d : 핸들축
15 : 체인 17 : 클러치 모듈
20 : 의자부재 21 : 의자 걸이프레임
22, 22a, 22b : 랙 23 : 의자 프레임
24 : 지지 샤프트 24a : 상부 지지 샤프트
24b : 하부 지지 샤프트 25 : 발받침대 프레임
25a : 힌지 결합 부분 25b : 핀홀
25c : 고정홀 25d : 고정핀
26 : 발받침대 27 : 의자
30 : 조이스틱 40 : 선반
50 : 포도상자 거치대 60 : 포도상자
10: chassis 10a: first chassis
10a-1: Connection socket 10b: Second chassis
10b-1: Connection socket 10c: Third chassis
10c-1: Front frame for 3rd chassis 10c-2: Rear frame for 3rd chassis
11: wheels 11a, 11a-1, 11a-2: front wheels
11b, 11b-1, 11b-2: rear wheel 12: drive motor
12a: reducer 13: battery
14: wheel support member 14a: wheel support frame
14b: shaft 14c: shaft rotating module
14c-1: First link 14c-2: Second link
14c-3a, 14c-3b: handle 14c-3c, 14c-3d: handle shaft
15: chain 17: clutch module
20: chair member 21: chair hanger frame
22, 22a, 22b: rack 23: chair frame
24: support shaft 24a: upper support shaft
24b: lower support shaft 25: footrest frame
25a: hinge coupling portion 25b: pinhole
25c: fixing hole 25d: fixing pin
26: footrest 27: chair
30: joystick 40: shelf
50: grape box holder 60: grape box

Claims (7)

수확한 포도를 적재하며 이동할 수 있는 포도수확용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는,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11)가 구비되는 차대(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대(10)의 폭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
In the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that can be moved while loading the harvested grapes,
The work vehicle,
A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comprising a chassis 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1 at a lower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chassis 10 i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10)는,
작업차의 일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11)가 구비되는 제1차대(10a);
상기 제1차대(10a)와 이격되는 상태로 작업차의 타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11)가 구비되는 제2차대(10b) 및;
상기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3차대(10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는 제3차대(10c)를 기준하여 수평위치가 조절되어, 제1차대(10a)와 제2차대(10b)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carriage 10,
A first undercarriage 10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 vehicle and having one or more wheels 11 at the bottom;
A second undercarriage 10b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 vehicl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having one or more wheels 11 at the bottom;
And a third chassis 10c connecting the first chassis 10a and the second chassis 10b to each other.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horizontal position is adjusted based on the third undercarriage 10c,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dercarriage 10a and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is adjusted. Grape harvesting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대(10a) 또는 제2차대(1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대 측부에는,
작업자가 앉은 상태로 포도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부재(2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
According to claim 1,
On the side of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undercarriage (10a) or the second undercarriage (10b),
A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chair member (20) to allow the worker to harvest grapes in a sitting st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재(20)는,
상기 차대(10)의 측부에 고정 장착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랙(22, Rack)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의자 걸이프레임(21);
상기 랙(22)에 걸리는 지지 샤프트(24b)가 구비되고, 의자(27)가 구비되는 의자 프레임(23) 및;
상기 의자 프레임(23)의 측하방으로 돌출 구비되고, 작업자의 발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발받침대(26)가 구비된 발받침대 프레임(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
According to claim 4,
The chair member 20,
Chair rack frame 21 is fixed to the side of the undercarriage 10, a plurality of racks (22, Rack) protruding to the sid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hair frame 23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24b hanging from the rack 22 and provided with a chair 27;
Grape harvesting work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provided with a footrest frame (25) provided with a footrest (26) capable of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chair frame (23) and seating the operator's feet; ca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27) 또는 발받침대 프레임(25)에는,
작업차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는 조이스틱(30, joystick)이 구비되고,
상기 조이스틱(30)은 작업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어, 작업자가 조이스틱(30)을 조절하여 작업차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
According to claim 4,
On the chair 27 or the footrest frame 25,
Joystick (30, joystick) that can adjust the movement of the work vehicle is provided,
The joystick 30 is located between the legs of the worker, the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drive the work vehicle by adjusting the joystick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10)에 구비되는 바퀴(11)는,
작업차의 전방쪽에 위치되고, 구동체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한 쌍의 전륜(11a)과;
작업차의 후방쪽에 위치되는 한 쌍의 후륜(11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 11 is provided on the chassis 10,
A pair of front wheels 11a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work vehicle and driven in connection with the driving body;
A pair of rear wheels (11b)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work vehicle; grape harvest work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1)는,
차대(10)와 바퀴(11)를 서로 연결시키는 바퀴 지지부재(14)에 의하여 차대(10)와 연결되고,
상기 바퀴 지지부재(14)는,
차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바퀴(11)의 회전방향이 작업차의 측방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수확용 작업차.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 11,
The undercarriage 10 and the wheel 11 are connected to the undercarriage 10 by a wheel support member 14 connecting each other,
The wheel support member 14,
Mounted rotatably on the undercarriage (10), a work vehicle for harvesting grape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heel 11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to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KR1020180166760A 2018-12-20 2018-12-20 Grape harvesting machine KR202000773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60A KR20200077346A (en) 2018-12-20 2018-12-20 Grape harves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60A KR20200077346A (en) 2018-12-20 2018-12-20 Grape harvest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346A true KR20200077346A (en) 2020-06-30

Family

ID=7112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760A KR20200077346A (en) 2018-12-20 2018-12-20 Grape harves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7346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349A (en) 2002-08-31 2002-10-04 정이모 Orchard movable operator
KR20110026236A (en) 2009-09-07 2011-03-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Working carrier for gathering agricultural products
KR101324217B1 (en) 2013-04-12 2013-11-01 대경정공(주) Working carri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for gathering agricultural produc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349A (en) 2002-08-31 2002-10-04 정이모 Orchard movable operator
KR20110026236A (en) 2009-09-07 2011-03-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Working carrier for gathering agricultural products
KR101324217B1 (en) 2013-04-12 2013-11-01 대경정공(주) Working carri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for gathering agricultural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825B1 (en) Electric vehicle for harvesting fruits and vegetables
KR101707977B1 (en) Dual Type Bean Reaper
KR101896472B1 (en) multi-purpose farming machine
KR20200077346A (en) Grape harvesting machine
US1370347A (en) Agricultural machine
KR100881215B1 (en) Harvest vehicle which has adjuster of brake system
KR101412965B1 (en) Working carri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for gathering agricultural products
JP2004357590A (en) Farming implement
JPH11225542A (en) Leaf vegetable harvester for leek or the like
KR200224977Y1 (en) Self Propelled Type Cultivator for Agriculture
JP2508779Y2 (en) Self-propelled work trolley
JP3715404B2 (en) Potato harvester
KR102024031B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crop
JP3715403B2 (en) Harvest storage device
JP2017063660A (en) Transplanting machine
JP3860457B2 (en) Small trash processing equipment in agricultural product harvesting machine
JP2605709Y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014212728A (en) Auxiliary machine for harvest work of processing tomato
JP4263318B2 (en) Produce harvester
JP2796586B2 (en) Agricultural sorting equipment
JP2769767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H08149913A (en) Agricultural product harvester
US876623A (en) Guide for row cultivating and root harvesting machines.
JP4523701B2 (en) Produce harvester
JP2588124Y2 (en) Agricultural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