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224A -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224A
KR20200077224A KR1020180166525A KR20180166525A KR20200077224A KR 20200077224 A KR20200077224 A KR 20200077224A KR 1020180166525 A KR1020180166525 A KR 1020180166525A KR 20180166525 A KR20180166525 A KR 20180166525A KR 20200077224 A KR20200077224 A KR 2020007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magnet
insertion hole
magn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828B1 (ko
Inventor
이채림
박시언
Original Assignee
이채림
박시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림, 박시언 filed Critical 이채림
Priority to KR1020180166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블록 완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서,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 면들에 하나 이상의 제1 자석부재들이 장착된 제1 블록체; 및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서,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 면들에 하나 이상의 제2 자석부재들이 장착된 제2 블록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블록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체에는 상기 삽입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홀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블록 완구{BLOCK TOY}
본 발명은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막대 블록과 원형 또는 다각형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완구는 오랜 과거부터 현재까지도 어린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좋은 놀이 도구이다.
재질별로 목제 완구, 플라스틱제 완구, 고무제 완구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제의 블록 완구는 작은 블록들을 서로 꼭 들어맞게 성형된 요부와 철부를 이용해 조립하여 건물, 승용물, 로봇 등을 만드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목제 블록 완구(적목 완구, wooden block)는 작은 블록들을 쌓아올려 건물 등의 여러 조형물들을 만드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쌓아올리는 방식에 비해, 요철부를 이용한 방식은 조형이 훨씬 자유롭게 분해도 쉬운 장점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적목 블록에 조형과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여러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자석을 이용한 방식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KR 10-0641366호(발명명칭: 자력차단판이 결합된 자석 완구)는 상호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여러 블록들로 이루어지는 완구를 보여준다.
상기 선행특허의 내용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면체 형상을 하며,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장착된 자석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 블록 요소들로서, 제1 단위 블록 요소와 제2 단위 블록 요소는 상호간에 자석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러한 완구들도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 즉, 자석에 의한 결합력은 조립의 관점에서는 충분하기는 하나 조립이 끝난 후 사용할 때나 보관할 때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또한, 블록들간 조립 방식은 여전히 쌓아올리는 데에 그쳐, 확장성이 크지 않고, 그로 인해 블록을 갖고서 할 수 있는 놀이 방식에 한계가 존재하기도 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조형물을 제작하고자 하는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함과 동시에 조립 후 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매우 높은 확장성을 갖는 블록 완구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서,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 면들에 하나 이상의 제1 자석부재들이 장착된 제1 블록체; 및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서,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 면들에 하나 이상의 제2 자석부재들이 장착된 제2 블록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블록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체에는 상기 삽입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블록체의 외주면보다 작은 크기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제2 블록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제2 블록체를 두께 방향으로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블록체를 두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하는 제2 삽입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자석부재가 장착되는 최상부 장착면(TS)을 갖고, 상기 최상부 장착면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들 중 최상부 제1 자석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최상부 제1 자석부재는 상기 제1 블록체의 삽입부가 상기 제2 블록체의 제1 삽입홀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 블록체의 접하는 장착면에 장착된 제2 자석부재와 동일한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블록체들의 상기 자석부재들이 장착되는 장착면들에는 상기 자석부재들의 장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부재들은 상기 슬롯들에 삽입 및 최상부면만이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자석부재의 최상부면이 상기 장착면들과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체의 슬롯은 상기 장착면을 소정의 깊이만큼 뚫고 들어간 형상이고, 상기 자석부재의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로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삽입홀로부터 일정 거리 오프셋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가 상기 자석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도피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기술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함과 동시에 조립 후 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블록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매우 높은 확장성을 가져 다양한 방식으로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는 블록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제1 블록체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제2 블록체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블록체와 제2 블록체간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다양한 조립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추가 블록체가 조립 블록체의 제1 블록체에 조립되는 상황을, 도 6b는 조립 블록체의 제2 블록체에 조립되는 상황을 각각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에 제1 블록체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제1 블록체(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제2 블록체(2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블록체와 제2 블록체간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제1 블록체(100)와 제2 블록체(200)를 포함한다.
제1 블록체(1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이다. 긴 사각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블록체(2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형상이다. 낮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블록체가 원형 형상을 갖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블록체들의 재질은 목제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틱제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블록체들간 조립을 위해, 블록체들(100, 200)은 자석부재들(110, 210)을 갖는다.
제1 블록체는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 면들(S)에 하나 이상의 제1 자석부재들(110)을 갖는다. 제2 블록체는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 면들(S)에 하나 이상의 제2 자석부재들(210)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체의 전체적인 막대 형상을 결정하는 상하전후의 네 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제1 자석부재들(110)이 장착된다. 앞면에 1개와 대칭적으로 뒷면에 1개, 윗면에 2개와 대칭적으로 아랫면에 2개, 그리고, 좌측면에 1개와 대칭적으로 우측면에 1개 해서, 총 8개의 제1 자석부재들이 장착된다. 사시도를 표현하는 도 1에서는 앞면, 윗면 및 좌측면에 배치된 자석부재들만이 도시된다.
제1 자석부재들은 모두 서로 크기가 동일한 것들일 수 있다. 영구자석일 수 있다.
구별을 위해 상하전후의 네면은 도면부호 S로, 좌측면과 우측면은 도면부호 TS로 참조된다. 그리고, 상하전후의 네면에 장착된 제1 자석부재들은 도면부호 110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장착된 제1 자석부재들은 도면부호 110T로 참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제1 자석부재가 장착된 면들이 장착면으로 참조된다.
계속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블록체의 전체적인 원형 형상을 결정하는 상하의 두 면과 외주면에 각각 제2 자석부재들이 장착된다. 윗면에 1개와 대칭적으로 아랫면에 1개, 그리고, 원형의 원주면에 4개 해서, 총 6개의 제2 자석부재들이 장착된다. 사시도를 표현하는 도 2에서는 윗면 및 외주면에서 일부분에 배치된 자석부재들만이 도시된다.
제2 자석부재들은 모두 서로 크기가 동일한 것들일 수 있다. 영구자석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2 자석부재가 상술한 제1 자석부재보다 크기가 작은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이 자석부재의 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체로 블록체의 전체 크기에 맞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블록체에서는 상하면들과 외주면이 모두 도면부호 S로 참조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이들 제2 자석부재가 장착된 면들이 장착면으로 참조된다.
자석부재들은 각 장착면들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슬롯에 억지끼움결합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자석부재들과 슬롯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블록체들간 조립을 위해, 요철 구조를 갖는다. 제1 블록체(100)는 철부 구조를 갖는다. 대응적으로, 제2 블록체(200)는 요부 구조를 갖는다. 제1 블록체의 삽입부가 제2 블록체의 삽입홀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체(100)에는 삽입부(120)가 형성된다.
삽입부는 제1 블록체의 좌측과 우측에 좌우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는 좌우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는 제1 블록체의 외주면보다 작은 크기의 외주면을 갖는다. 따라서, 본체와 삽입부 사이에는 단차부(ST)가 마련될 수 있다. 단차부(ST)는 삽입홀로의 삽입 깊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삽입부는 제1 블록체의 양측 단부의 일부를 삭제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사각 기둥 형상의 양측 단부를 원기둥 형상으로 깎아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경계에는 단차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가 원기둥 형상을 갖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로 삽입시 고정될 수 있는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하여, 제2 블록체(200)에는 상기 삽입부에 상호보완적인 형상의 삽입홀(220)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삽입홀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삽입홀들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홀(220)은 제2 블록체(20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록체를 두께 방향으로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홀은 제2 블록체의 윗면으로부터 아랫면을 관통하는 홀 가공을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잇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홀이 원통 형상을 갖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삽입부의 수용시 고정시킬 수 있는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원통형의 삽입홀은 여러 가지 다각형의 삽입부를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환성이 우수하다.
제1 블록체의 삽입부(120)는 제2 블록체의 삽입홀(22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삽입홀의 내경보다 삽입부의 외경이 약간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블록체의 삽입부가 제2 블록체에 형성된 여러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됨으로써 블록체들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여러 가지 방식의 조립이 가능하다. 제1 블록체의 삽입부가 제2 블록체의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될 수도 있고, 삽입부와 삽입홀간 결합 없이 제1 블록체의 자석부재가 제2 블록체의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해서만 결합함으로써 조립될 수도 있다. 이때, 자석 결합의 방향은 위아래로 붙을 수도 있고, 옆으로 붙을 수도 있다. 즉, 제1 블록체와 제2 블록체가 서로 위아래로 붙을 수도 있고, 제1 블록체와 제2 블록체가 서로 옆으로 붙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체와 제2 블록체간 결합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5는 그 결합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해,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블록체의 삽입부(120)가 제2 블록체의 삽입홀(220)로 삽입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삽입부와 삽입홀간 약간의 유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억지끼움결합 방식이므로 유격 없이 서로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종료 위치는 삽입부의 높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단차부(ST)가 삽입 종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삽입이 종료된(즉, 완료된) 위치에서, 제1 블록체의 최상부 장착면(TS)은 제2 블록체의 장착면(S)과 하나의 평면(AP)에 놓인다. 이들은 하나의 평면을 공유한다. 즉,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제1 블록체의 최상부 장착면(TS)은 제2 블록체의 장착면(S)이 형성하는 평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블록체의 최상부 장착면(TS)에 장착된 최상부 제1 자석부재(110T)도 그 최상부면(112)이 제2 블록체의 장착면(S)과 하나의 평면(AP)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제1 블록체의 최상부 장착면, 최상부 제1 자석부재의 최상부면 및 이들과 접하는 제2 블록체의 장착면은 하나의 평면(AP)을 공유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블록체들간 다양한 조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도 5를 더욱 참조하면, 블록체들(100, 200)의 장착면들(S, TS)에는 자석부재들의 장착을 위한 슬롯들(130, 230)이 형성된다. 슬롯들은 자석부재의 개수에 맞추어 구비될 수 있다.
각 자석부재(110, 210)는 각 블록체에 마련된 슬롯(130, 230)으로 삽입 장착된다. 슬롯들은 자석부재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자석부재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블록체의 슬롯(230)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제2 블록체(200)의 장착면(S)에 형성된 슬롯(230)으로 제2 자석부재(210)가 삽입 고정된다. 슬롯(230)은 장착면(S)을 소정의 깊이만큼 뚫고 들어간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2 자석부재(210)는 그 최상부면(212)이 장착면(S)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즉, 자신의 최상부면만이 슬롯을 통해 노출되도록 블록체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장착된다. 이는 깨끗한 블록체들간 조립면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슬롯(230)은 자석부재(2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로 구비되는 수용공간(232)을 포함한다. 슬롯에서 수용공간이 차지하는 구간이 도면에서 S1으로 참조된다. 수용공간은 자석부재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슬롯(230)은 도피공간(234)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슬롯에서 도피공간이 차지하는 구간이 도면에서 S2로 참조된다. 도피공간은, 제1 블록체의 삽입부가 제2 블록체의 삽입홀로 삽입될 때 삽입부(120)와 제2 자석부재(210)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피공간은 삽입홀(22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간섭을 방지할만큼 충분히 오프셋된 위치까지 내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충분한 도피공간이 마련되지 않으면, 삽입시 삽입부가 제2 자석부재를 밖으로 밀어내어 제자리를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 완구의 조립과 분해가 오랜 시간 반복되는 경우 내구성이 문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의 삽입홀(220)은, 임베디드 타입으로 장착된 제2 자석부재가 삽입홀의 내주면으로부터 충분히 오프셋된 거리에(즉, S2만큼 내측으로 오프셋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제1 블록체는 삽입부를 갖는 요소에 해당하므로, 도피공간 없이 수용공간만이 형성되어도 충분하며, 수용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2 블록체의 슬롯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다양한 조립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6은 다른 제1 블록체(100B)(이하, 추가 블록체라 함)가 더해질 때, 이 추가 블록체가 조립된 제1 및 제2 블록체들(이하, 조립 블록체라 함)에 어떻게 조립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조립 블록체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추가 블록체(100B)는 조립 블록체의 제1 블록체(100)로 조립될 수 있다. 추가 블록체의 자석부재와 제1 블록체의 자석부재간 자력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추가 블록체는 상술한 제1 블록체와 길이만 다를 뿐 대체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추가 블록체인 제1 블록체의 최하부면에 장착된 제1 자석부재가 조립 블록체의 제1 블록체의 최상부면에 장착된 제1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추가 블록체(100B)는 조립 블록체의 제2 블록체(200)로 조립될 수 있다. 추가 블록체의 자석부재와 제2 블록체의 자석부재간 자력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 블록체는 상술한 제1 블록체와 길이만 다를 뿐 대체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추가 블록체인 제1 블록체의 최하부면에 장착된 제1 자석부재가 조립 블록체의 제2 블록체의 윗면에 장착된 제2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블록체(100)와 제2 블록체(200)가 조립된 이후라도, 추가된 제1 블록체(100B)는 제1 블록체나 제2 블록체 어느 것에도 직접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만약,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와 삽입홀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추가 블록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만 조립이 가능하다. 제2 블록체에서 정해진 제2 자석부재의 위치들을 제외하고는 조립될 수 있는 위치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와 삽입홀 구조는 제2 블록체에서 정해진 제2 자석부재의 위치에 더해 추가적인 조립 위치를 제공한다. 제1 블록체의 제1 자석부재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조립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조립 블록체 위로 추가 블록체를 조립할 때 조립 블록체 중 제1 블록체 위로도 직접 조립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많은 블록체들간 결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조형물을 만들 때, 이와 같은 확장성은 사용자의 사고력과 창작력을 크게 증진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3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에 제1 블록체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에 대응하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 및 도 8과 달리 뒤집어 놓은 상태로 도시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으로서, 제1 블록체의 삽입부의 삽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홀들(320)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제2 블록체(200)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외관 및 삽입홀 형성 각도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요소들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홀들(320)은 제2 블록체(30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록체(300)를 두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각도는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들이 가운데를 기준으로 서로 거울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러한 삽입홀 구조는 블록체들간 조립의 다양성을 확보한다. 상하좌우전후의 직각 조립 방식에서 나아가 대각선 방향으로의 조립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건물과 같은 조형물을 만들 때 다양성을 제공한다. 지붕이나 천장과 같은 구조를 생각하면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좌측의 제1 블록체(100A)의 삽입부(120A)가 제2 블록체(300)의 도면상 좌측 삽입홀(320)로 삽입된다. 삽입 완료 위치는 상술한 단차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삽입홀이 비스듬하게 형성되므로, 단차부의 일부(도면에 도시된 좌측 일부)만이 제2 블록체의 도면상 하부의 장착면(S)에 걸려 스토핑될 수 있다.
동일하게, 우측의 제1 블록체(100B)의 삽입부(120B)가 제2 블록체(300)의 도면상 우측 삽입홀(320)로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삽입 완료 위치는 상술한 단차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삽입홀이 비스듬하게 형성되므로, 단차부의 일부(도면에 도시된 우측 일부)만이 제2 블록체의 도면상 하부의 장착면(S)에 걸려 스토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스듬하게 마련되는 삽입홀들에 대해서도 상술한 슬롯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제2 블록체(300)의 삽입홀(320) 또한, 임베디드 타입으로 장착된 제2 자석부재(310)가 삽입홀의 내주면으로부터 충분히 오프셋된 거리에(즉, S2만큼 내측으로 오프셋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블록체(300)의 삽입홀(320) 설계시, 제2 블록체의 장착면에 형성되는 슬롯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수용공간과 도피공간을 포함하도록 삽입홀의 형성 각도를 설계할 수 있다. 요컨대, 삽입홀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각도는 슬롯의 위치를 고려하여, 슬롯의 수용공간과 도피공간을 삭제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제2 블록체에 형성된 모든 삽입홀들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삽입홀들만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제시된 제1 블록체와 제2 블록체간 조립 방식은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일 뿐, 도시된 조립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의 조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블록체들간 요철 구조를 이용한 조립 구조 및 자석부재의 자력을 이용한 조립 구조를 갖는다. 자석부재는 제1 블록체의 주요 면들 중 최상부면(또는 최하부면)에도 마련되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더하여 새로운 자석 조립 위치를 제공한다. 이는 블록 완구 조립의 확장성을 높인다. 또한, 자석부재의 장착을 위한 슬롯은 블록체들에 형성되는 삽입홈들과 오프셋 위치 관계를 가지므로, 삽입부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함과 동시에 조립 후 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매우 높은 확장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A, 100B : 제1 블록체
110 : 제1 자석부재
112 : 최상부면
120, 120A, 120B : 삽입부
130 : 슬롯
200, 300 : 제2 블록체
210, 310 : 제2 자석부재
220, 320 : 삽입홀
230 : 슬롯
232 : 수용공간
234 : 도피공간
S : 장착면
TS : 최상부 장착면
ST : 단차부

Claims (8)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서,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 면들에 하나 이상의 제1 자석부재들이 장착된 제1 블록체; 및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서,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 면들에 하나 이상의 제2 자석부재들이 장착된 제2 블록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블록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체에는 상기 삽입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블록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블록체의 외주면보다 작은 크기의 외주면을 갖는, 블록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제2 블록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블록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제2 블록체를 두께 방향으로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블록체를 두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하는 제2 삽입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자석부재가 장착되는 최상부 장착면을 갖고, 상기 최상부 장착면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들 중 최상부 제1 자석부재가 장착되는, 블록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제1 자석부재는 상기 제1 블록체의 삽입부가 상기 제2 블록체의 제1 삽입홀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 블록체의 접하는 장착면에 장착된 제2 자석부재와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블록 완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들의 상기 자석부재들이 장착되는 장착면들에는 상기 자석부재들의 장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부재들은 상기 슬롯들에 삽입 및 최상부면만이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자석부재의 최상부면이 상기 장착면들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블록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체의 슬롯은 상기 장착면을 소정의 깊이만큼 뚫고 들어간 형상이고,
    상기 자석부재의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로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삽입홀로부터 일정 거리 오프셋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가 상기 자석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도피공간을 갖는, 블록 완구.
KR1020180166525A 2018-12-20 2018-12-20 블록 완구 KR10219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25A KR102198828B1 (ko) 2018-12-20 2018-12-20 블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25A KR102198828B1 (ko) 2018-12-20 2018-12-20 블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24A true KR20200077224A (ko) 2020-06-30
KR102198828B1 KR102198828B1 (ko) 2021-01-05

Family

ID=7112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525A KR102198828B1 (ko) 2018-12-20 2018-12-20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296B1 (ko) * 2022-05-11 2023-04-19 김나연 조립 어셈블리
WO2023211052A1 (ko) * 2022-04-29 2023-11-02 최용수 조립용 완구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924U (ko) * 1990-03-29 1991-12-13
KR100545658B1 (ko) * 2005-08-16 2006-01-26 김면수 자력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KR100641366B1 (ko) * 2005-08-05 2006-11-02 (주)마그넷포유 자력차단판이 결합된 자석 완구
KR20110069424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자석조립식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924U (ko) * 1990-03-29 1991-12-13
KR100641366B1 (ko) * 2005-08-05 2006-11-02 (주)마그넷포유 자력차단판이 결합된 자석 완구
KR100545658B1 (ko) * 2005-08-16 2006-01-26 김면수 자력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KR20110069424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자석조립식완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052A1 (ko) * 2022-04-29 2023-11-02 최용수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30002128U (ko) * 2022-04-29 2023-11-07 최용수 조립용 완구 유닛
KR102523296B1 (ko) * 2022-05-11 2023-04-19 김나연 조립 어셈블리
WO2023219367A1 (ko) * 2022-05-11 2023-11-16 김나연 조립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828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621B2 (ja) 玩具組立要素
KR101414360B1 (ko) 조립식 완구블록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CN101983095B (zh) 玩具积木、玩具积木连接元件和用于制造玩具积木的玩具积木元件
JP2008532679A (ja) 玩具組み立てセット
KR20170005521A (ko) 장난감 블록
KR102198828B1 (ko) 블록 완구
US20140227935A1 (en) Magnetic block toy
US11406909B2 (en) Magnetic building block
KR101684922B1 (ko) 조립완구용 면블록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유닛
KR101471335B1 (ko) 자석블록 완구
KR100545658B1 (ko) 자력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KR101783296B1 (ko) 조립식 완구
KR20140100714A (ko) 완구용 블럭
US20090130947A1 (en) Toy building set
KR101540866B1 (ko) 자석 완구용 자석캡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2198777B1 (ko) 구성형 장난감
KR200469542Y1 (ko)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KR20200097980A (ko) 조립식 완구
KR200380938Y1 (ko) 유희용 완구의 입체패널
JP3175375U (ja) 組み合わせ式積木
KR20220022394A (ko) 조립식 완구
KR101556634B1 (ko)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
EP3706880A1 (en) A toy building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