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424A - 자석조립식완구 - Google Patents

자석조립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424A
KR20110069424A KR1020090126153A KR20090126153A KR20110069424A KR 20110069424 A KR20110069424 A KR 20110069424A KR 1020090126153 A KR1020090126153 A KR 1020090126153A KR 20090126153 A KR20090126153 A KR 20090126153A KR 20110069424 A KR20110069424 A KR 20110069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block
magnet
end portion
bloc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12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9424A/ko
Publication of KR2011006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자석조립식완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바퀴형으로 형성되며, 그 회전중심에 끼움부(14)가 구비된 제1형블록(10); 끝단부(110)가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탈부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도록 축형으로 형성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제1형블록(10)과 결합되는 제2형블록(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를 제시한다.
완구, 조립, 블록, 자석, 바퀴, 축

Description

자석조립식완구{MAGNET TOY}
본 발명은 완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자석조립식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아의 창작 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한 완구로서, 여러 블록들을 조립하여 건물, 자동차, 로봇 등을 만들면서 즐길 수 있는 조립식완구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완구는 벽돌 모양의 기본 블록을 비롯하여, 여기에 부속품이나 특수 블록(예컨대, 바퀴, 축 등)을 더하여 기차·자동차 등 움직이는 완구를 만드는 세트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완구는 단순히 블록들의 면과 면이 닿도록 붙이거나 쌓는 방식의 토막쌓기방식이거나, 서로 꼭 들어맞도록 각각 따로 성형된 요부(凹部)와 철부(凸部)에 의한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완구는 토막쌓기방식이나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이 쉬운게 장점이면서, 조립 도중이나 조립완성된 완구를 가지고 놀때 쉽게 와해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조립위치가 제한된다는 점 등이 단점이다.
또한, 끼움방식의 경우, 블록과 블록의 끼움공차를 작게 하면 블록들의 끼움 결합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지만 조립 및 조립해체하는데 많이 힘과 노력이 요구되며, 블록과 블록의 끼움공차가 크면 조립은 쉽지만 쉽게 와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및 조립해체가 쉬우면서 블록과 블록의 결합력이 충분히 확보되어 와해가 방지될 수 있는 자석조립식완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퀴형으로 형성되며, 그 회전중심에 끼움부(14)가 구비된 제1형블록(10); 끝단부(110)가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탈부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도록 축형으로 형성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제1형블록(10)과 결합되는 제2형블록(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를 제시한다.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와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 중 어느 하나는 자석(16)이 장착되고, 그 나머지 하나는 자석(120) 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자석(16)이 장착되고,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자석(120) 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16)은 상기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끼움결합방향을 따라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와 맞접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석(16)은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링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형블록(10)은 상기 자석(16)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장착용부품(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는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홈(14A) 또는 홀(14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형블록(20)은 자석(120) 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끝단부(110) 및, 상기 끝단부(110)와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끝단부(110)가 일체로 결합된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는 나무 소재이고,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상기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는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삽입되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홈(100A)이 구비되며,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적어도 상기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2형블록(20)의 본체부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부(100)와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상기 끝단부(110) 이외 부분인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모재(114) 및, 상기 모재(114)에 결합되는 자석(120) 또는 제1형블록(10)의 자석(16)에 붙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자석접합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형블록(20)은 전체적으로 축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형블록(20)은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 이외 부분에, 상기 제1형블록(10) 또는 상기 또 다른 제2형블록(20) 또는 제1형,제2형 이외의 제3형블록(30)과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석(13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형블록과 제2형블록이 끼움결합 및 자력에 의한 결합에 의해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조립해체가 쉬우면서 제1형블록과 제2형블록의 결합력이 충분히 확보되어 와해가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자석조립식완구는 특히 자동차 조립의 주요 구성인 바퀴 조립에 관한 것으로서, 바퀴형으로 형성되며, 그 회전중심에 끼움부(14)가 구비된 제1형블록(10)과; 끝단부(110)가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탈부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도록 축형으로 형성되며, 자력에 의해 제1형블록(10)과 결합되는 제2형블록(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이 구조적인 끼움 결합 및 자력에 의한 접합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자력에 의해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석조립식완구를 조립하는 중이나 조립된 자석조립식완구를 가지고 놀 때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이 힘없이 와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자력에 의해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조립해체가 용이하도록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끼움공차를 충분히 크게 설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이 구조적으로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제2형블록(20)에 상부 하중(화살표 F) 등이 작용하더라도 제2형블록(20)의 하중작용방향으로의 슬립(slip)이 방지될 수 있는바, 제2형블록(20)에 작용하는 하중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을 정도로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 결과, 본발명에 따른 자석조립식완구는 조립을 완성해나가고 조립완성품을 가지고 놀 때, 지속적으로 성취감 및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보다 신뢰성이 고취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들을 끼움결합과 아울러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방식은, 상술한 퀴형의 제1형블록(10)과 축형의 제2형블록(20) 이외의 모양의 블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자동차 등 바퀴에 의해 움직이는 완구는 바퀴부분에 상대적으로 상부 하중이 많이 작용하고 움직임이 있는 곳이며 구조적으로 조립부분이 한 곳으로 한정되어 있는 바, 특히 제1형블록(10) 및 제2형블록(20)을 끼움결합과 아울러 자력에 의한 결합에 의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의미가 크고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에 따른 자석조립식완구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형블록(10) 및 제2형블록(20)은 여러가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1형블록(10) 및 제2형블록(20)의 전체적인 형상, 구조를 이루는 본체부(12,100)는 친환경적인 나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는 제1형블록(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형블록(20)에 삽입될 수도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제1형블록(10)의 직경보다 규격이 작은 축형으로 형성된 경우라면,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는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 7 이외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4A)이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4B)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가 충분히 넓게 형성됨으로써,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이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조립 후,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와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은닉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실제 조형에 가깝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조립을 위한 자력 형성을 위해,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16)이 장착되고, 그 나머지 하나에는 상대 블록의 자석(16)에 붙을 수 있는 소재가 구비될 수 있다(도 10, 도 13 이외의 도면 참조). 또는,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 모두 자석(16,120)이 장착될 수 있다(도 10 및 도 13 참조).
전자의 경우,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 중 어느 한쪽에만 자석(16)을 장착하기 때문에, 자석 간 인력,척력 작용에 제한받지 않고 자석(16)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자석(16)이 회전되거나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전자의 경우 특히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삽입되는 구조라면,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자석(16)이 장착되고,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자석(16)에 붙을 수 있는 소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자석(16)이 은닉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형블록(10)의 자석(16)은 도 11 및 도 12 이외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이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끼움결합방향으로 배치된 막대자석(16A) 등으로 형성되어,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끼움결합방향을 따라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와 맞접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형블록(10)의 자석은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에 끼워질 수 있는 중공을 갖도록 갖도록 링형자석(16B)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자석장착용부품(18)에 의해 자석(16)이 보다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 중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6 및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자체가 금속 소재(112)로만 형성될 수도 있 고, 도 8 내지 도 1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와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 모재(114) 및 모재(114)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의 자석접합부재(116)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도 전자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자석접합부재(116)가 모재(114)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6 및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는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삽입되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홈(100A)이 구비되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적어도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부분에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돌기 구조인 경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결합부분이 은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드라이버(D) 등의 공구에 의해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에는 공구 결합용 홈(112B)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공구 결합용 홈(112B)에 의한 굴곡 때문에 유아, 어린이가 다칠 수 있고, 유아, 어린이의 호기심에 의해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로부터 스크류 결합해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공구 결합용 홈(112B)이 형성된 상태로 제조된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스크류 결합되며, 이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결합용 홈(112B)이 형성된 부분이 갈아지거나 잘려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못(113)에 의해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만 못(113)이 외부로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접착제에 의해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만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와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의 소재 특성으로 인해 접착제의 종류가 제한될 수 있으며 접착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자력 형성 위치는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이 상호 조립시 맞접되는 부분이라면 어디든 될 수 있으나, 특히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와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 사이에서 자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와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의 끼움 결합 위치와 자력 형성 위치가 일치함에 따라서, 자력에 의해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끼워질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에 미숙한 유아, 어린이들도 보다 쉽게 조립을 할 수 있으며,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와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의 끼움 결합 위치와 자력 형성 위치가 일치함에 따라서, 자력 형성을 위해 제1형블록(10) 에 구비된 자석(16)이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의 내부에 은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형블록(10)의 자석(16)은 은닉됨에 따라, 유아, 어린이의 호기심 등에 의한 분리,제거가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자력 형성 위치가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조립 중심과 일치하기 때문에 자력 형성 위치가 한 곳이어도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이 안정적으로 자력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 형성 위치는 제1형블록(10)의 본체부(12)와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가 상호 조립시 맞접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력 형성 위치가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조립 중심에서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이 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조립되게 하기 위해서는, 자력 형성 위치가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와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있어야 하거나, 자력 형성을 위한 자석(16,120) 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가 링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다 많은 개수 및/또는 크기의 자석 및/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가 요구된다.
한편, 자력 형성을 위한 자석(16,120)은 그 자체만으로 제1형블록(10) 또는 제2형블록(20)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자석장착용부품(18)에 의해 제1형블록(10) 또는 제2형블록(20)에 장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석장착용부품(18)은 여러가지방법으로 제1형블록(10) 또는 제2형블록(20) 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자석장착용부품(18)은 제1형블록(10)의 본체부(12) 또는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보다는 강성이 더 큰 소재로 형성되며, 제1형블록(10)의 본체부(12) 또는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박힐 수 있는 쐐기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형블록(10)의 본체부(12) 또는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가 나무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자석장착용부품(18)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석장착용부품(18)은 자석이 제1형블록(10) 또는 제2형블록(20)에 형성된 홈(즉 제1블록(10)의 끼움부(14))에 장착되는 경우라면,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홈을 덮을 수 있는 캡(cap)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캡 구조의 자석장착용부품(18)은 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이 수용되는 개방형 자석수용공간(18A)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지 홈을 덮기 위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석장착용부품(18)은 2개의 부재에 의해 밀폐형 자석수용공간(18A)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2개의 캡 구조 자석장착용부품(18)이 조합되어 밀폐형 자석수용공간(18A)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수용공간(18A)이나 제1형블록(10) 또는 제2형블록(20)에 자석 장착을 위해 형성된 홈은, 자석(16,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16,120)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자석(16,1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자석(16,12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 자석과 자석 간 자력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석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호 상이한 극이 만나 인력이 작용하여 어떠한 경우라도 자력에 의한 조립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형블록(20)은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만 축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축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2형블록(20)의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유아,어린이가 쉽게 취급할 수 있으며, 다른 블록과의 조립에 의해 보다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냄으로써 창의력을 보다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제1블록(10)의 끼움부(14)에 끼워진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무방하나, 다만 제1블록(10)의 끼움부(14)와 대응되는 형상을 취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제1블록(10)의 끼움부(14)와 함께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원형(도 5a), 사각형(도 5b), 육각형(도 5c)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형블록(200의 본체부(100)와 동일한 단면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부(100)와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보다 직경 등의 단면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형블록(20), 보다 정확하게는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제1형블록(10) 또는 또 다른 제2형블록(20) 또는 제1형,제2형 이외의 제3형블록(30)과 자 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석(13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장착되는 자석(13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장착용부품(18)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이하는 본발명에 따른 자석조립식완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상태 단면도.
도 5는 제2형블록의 여러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제2형블록의 본체부와 끝단부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2실시예의 제1형블록의 단면도.
도 8은 제3실시예의 제2형블록의 단면도.
도 9는 제4실시예의 제2형블록의 단면도.
도 10은 제5실시예의 제1형블록과 제2형블록의 분해상태 단면도.
도 11은 제6실시예의 제1형블록과 제2형블록의 분해상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7실시예의 제1형블록과 제2형블록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1형블록 14; 끼움부
16; 자석 18; 자석장착용부품
20; 제2형블록 30; 제3형블록
100; 본체부 110; 끝단부

Claims (14)

  1. 바퀴형으로 형성되며, 그 회전중심에 끼움부(14)가 구비된 제1형블록(10);
    끝단부(110)가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탈부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도록 축형으로 형성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제1형블록(10)과 결합되는 제2형블록(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와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 중 어느 하나는 자석(16)이 장착되고, 그 나머지 하나는 자석(120) 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에 자석(16)이 장착되고,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자석(120) 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석(16)은 상기 제1형블록(10)과 제2형블록(20)의 끼움결합방향을 따 라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와 맞접될 수 있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석(16)은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형블록(10)은 상기 자석(16)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장착용부품(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블록(10)의 끼움부(14)는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홈(14A) 또는 홀(14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형블록(20)은 자석(120) 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끝단부(110) 및, 상기 끝단부(110)와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끝단부(110)가 일체로 결합된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는 나무 소재이고,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금속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는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가 삽입되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홈(100A)이 구비되며,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적어도 상기 제2형블록(20)의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2형블록(20)의 본체부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부(100)와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는 상기 끝단부(110) 이외 부분인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모재(114) 및, 상기 모재(114)에 결합되는 자석(120) 또는 제1형블록(10)의 자석(16)에 붙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자석접합부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및,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블록(20)은 전체적으로 축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및,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블록(20)은 상기 제2형블록(20)의 끝단부(110) 이외 부분에, 상기 제1형블록(10) 또는 상기 또 다른 제2형블록(20) 또는 제1형,제2형 이외의 제3형블록(30)과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석(13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조립식완구.
KR1020090126153A 2009-12-17 2009-12-17 자석조립식완구 KR20110069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53A KR20110069424A (ko) 2009-12-17 2009-12-17 자석조립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53A KR20110069424A (ko) 2009-12-17 2009-12-17 자석조립식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24A true KR20110069424A (ko) 2011-06-23

Family

ID=4440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53A KR20110069424A (ko) 2009-12-17 2009-12-17 자석조립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9424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4245A1 (en) * 2011-07-05 2013-01-10 Lego A/S Toy building set
KR101273054B1 (ko) * 2011-07-18 2013-06-10 이규휘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101471635B1 (ko) * 2012-08-30 2014-12-22 김연태 빨대를 이용한 조립 완구
EP3012006A1 (en) * 2014-10-22 2016-04-27 Fang Yi Lin Building block structure
EP3135360A1 (en) * 2015-08-31 2017-03-01 Klaus Heinrich Ehrmann Toy construction set
KR20200077224A (ko) * 2018-12-20 2020-06-30 이채림 블록 완구
KR20200085110A (ko) * 2019-01-04 2020-07-14 여인수 멀티행거
CN111744220A (zh) * 2019-03-28 2020-10-09 林芳毅 防松脱的积木结构
CN111744219A (zh) * 2019-03-28 2020-10-09 棒棒转有限公司 嵌扭式积木结构
KR20220162475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캠핑고래 조립식 캠핑 테이블
KR20240042685A (ko) 2022-09-26 2024-04-02 (주)나비북스 톱니 자석을 이용한 사칙연산 놀이용 착탈식 완구
KR20240000818U (ko) 2022-11-08 2024-05-16 최용수 조립용 완구 유닛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4245A1 (en) * 2011-07-05 2013-01-10 Lego A/S Toy building set
US10016694B2 (en) 2011-07-05 2018-07-10 Lego A/S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d producing a user-defined toy construction element
US10596479B2 (en) 2011-07-05 2020-03-24 Lego A/S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d producing a user-defined toy construction element
KR101273054B1 (ko) * 2011-07-18 2013-06-10 이규휘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101471635B1 (ko) * 2012-08-30 2014-12-22 김연태 빨대를 이용한 조립 완구
EP3012006A1 (en) * 2014-10-22 2016-04-27 Fang Yi Lin Building block structure
EP3135360A1 (en) * 2015-08-31 2017-03-01 Klaus Heinrich Ehrmann Toy construction set
WO2017037582A1 (en) * 2015-08-31 2017-03-09 Klaus Heinrich Ehrmann Toy construction set
KR20200077224A (ko) * 2018-12-20 2020-06-30 이채림 블록 완구
KR20200085110A (ko) * 2019-01-04 2020-07-14 여인수 멀티행거
CN111744220A (zh) * 2019-03-28 2020-10-09 林芳毅 防松脱的积木结构
CN111744219A (zh) * 2019-03-28 2020-10-09 棒棒转有限公司 嵌扭式积木结构
CN111744219B (zh) * 2019-03-28 2021-11-02 棒棒转有限公司 嵌扭式积木结构
CN111744220B (zh) * 2019-03-28 2021-12-21 林芳毅 防松脱的积木结构
KR20220162475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캠핑고래 조립식 캠핑 테이블
KR20240042685A (ko) 2022-09-26 2024-04-02 (주)나비북스 톱니 자석을 이용한 사칙연산 놀이용 착탈식 완구
KR20240000818U (ko) 2022-11-08 2024-05-16 최용수 조립용 완구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424A (ko) 자석조립식완구
JP6159342B2 (ja) 磁石装着用部品およびこれを含む磁石玩具
JP4510051B2 (ja) 回転型磁石結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立式玩具
KR101027913B1 (ko) 장난감 조립용 블록
JP2019507659A (ja) 磁気ビルディングタイル
KR101377026B1 (ko) 조립식 완구
CN101094709A (zh) 具有可移除磁性框架的结构模件化系统
KR20110026895A (ko) 자석완구의 회전자석 장착구
KR101646435B1 (ko) 자석 블록 완구
KR10144767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KR101334775B1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석완구
KR101783296B1 (ko) 조립식 완구
KR20170028801A (ko) 장난감 블록
KR20040090653A (ko) 조립식 블록 및 조립식 블록완구세트
KR200323144Y1 (ko) 회전형 자석 접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완구
KR101227652B1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석완구
KR20130057531A (ko) 유아용 변형완구
KR200263127Y1 (ko) 자석을 이용한 완구조립용 구성부재
KR101039011B1 (ko)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JP2016131874A (ja) 組立式ブロック玩具
KR200469966Y1 (ko) 조립식 블록 완구
CN102711937A (zh) 手持玩具
KR20070087531A (ko)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KR200480402Y1 (ko) 블록완구의 블록과 블록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