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394A - 조립식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2394A KR20220022394A KR1020200103514A KR20200103514A KR20220022394A KR 20220022394 A KR20220022394 A KR 20220022394A KR 1020200103514 A KR1020200103514 A KR 1020200103514A KR 20200103514 A KR20200103514 A KR 20200103514A KR 20220022394 A KR20220022394 A KR 20220022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y
- protective member
- assembly pieces
- pieces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조립식 완구는 바디부 및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 완구; 및 상기 삽입부와 억지끼움 결합구조의 홈부를 포함하는 제2 완구;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경 및 내경을 정의하는 복수의 조립각편들 및 상기 조립각편들의 내부면에 면접하는 보호부재를 갖는다. 본 기술에 따르면 나무재질의 조립식 완구에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구들간에 억지끼움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는 완구에 관한 것이다.
완구는 오랜 과거부터 현재까지도 어린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좋은 놀이 도구이다.
재질별로 목제 완구, 플라스틱제 완구, 고무제 완구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제의 블록 완구는 작은 블록들을 서로 꼭 들어맞게 성형된 요부와 철부를 이용해 조립하여 건물, 승용물, 로봇 등을 만드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목제 블록 완구(적목 완구, wooden block)는 작은 블록들을 쌓아올려 건물 등의 여러 조형물들을 만드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쌓아올리는 방식에 비해, 요철부를 이용한 방식은 조형이 훨씬 자유롭고 분해도 쉬운 장점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전세계적인 친환경 움직임에 따라 완구 시장에서도 소재를 플라스틱에서 나무재질로 변화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런데, 요철부를 이용한 나무재질의 완구의 경우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특히 암수결합이 이루어지는 억지끼움결합 방식의 구조에서 그러한 내구성 약화가 더욱 크게 드러난다.
예를 들어, 수형 구조가 닳아서 외경이 얇아지거나, 또는 이의 카운터파트인 암형 구조가 닳아서 내경이 넓어지는 경우, 억지끼움결합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는 수형 구조가 파손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나무 재질 자체의 특성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요철부를 이용한 나무재질의 완구에서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완구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는 바디부 및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 완구; 및 상기 삽입부와 억지끼움 결합구조의 홈부를 포함하는 제2 완구;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경 및 내경을 정의하는 복수의 조립각편들 및 상기 조립각편들의 내부면에 면접하는 보호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의 외경은 상기 삽입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조립각편들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압박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안쪽의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바깥쪽의 레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와 상기 레이어부의 재질은 서로 다른 크기의 반발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이어부의 반발탄성력이 상기 코어부의 반발탄성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코어부는 자석 또는 나무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어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복수의 조립각편들 사이 공간들로 연장하는 날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복수의 조립각편들 상부로 돌출하는 언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내구성이 향상된 나무재질의 조립식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구와 제2 완구가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구와 제2 완구가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구와 제2 완구가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는 상호 억지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완구(100) 및 제2 완구(200)를 포함한다.
제1 완구(100)는 바디부(110) 및 삽입부(120)를 포함한다. 바디부는 제1 완구의 외형을 결정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이용하는 부분이다. 삽입부는 바디부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다른 완구(제2 완구와 같이)와의 결합을 위해 이용되는 부분이다. 도면에서는 일방향으로만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지만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쪽으로 2개의 삽입부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완구(200)는 바디부(210) 및 홈부(220)를 포함한다. 바디부는 제2 완구의 외형을 결정하며,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2 완구를 손으로 잡고 이용하는 부분이다. 홈부는 바디부로부터 내부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완구(제1 완구와 같이)와의 결합을 위해 이용되는 부분이다.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여 총 6개의 홈부들이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지만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수의 홈부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완구와 제2 완구 상호간에만 억지끼움 결합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완구에 삽입부와 홈부가 모두 형성된다면 제1 완구들간의 결합도 가능하며 또는 제2 완구들간의 결합도 가능하다. 즉, 제1 완구와 제2 완구는 다양한 바디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가 바디부의 양쪽으로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바디부에 삽입부와 홈부가 모두 형성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바디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삽입부 및 그러한 바디부로부터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구의 삽입부(110)가 제2 완구의 홈부(210)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삽입부(110)의 크기(d1, d2, 도 4 참조)는 홈부(210)의 크기(D, 도 2 참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식 완구의 스케일을 고려했을 때, 그 직경이 0.5~1.0mm 정도 클 수 있다. 조립식 완구의 스케일에 따라 삽입부의 크기와 홈부의 크기 차이(즉, d1-D 또는 d2-D)는 가변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구의 삽입부(110)는 복수의 조립각편들(IP) 및 복수의 조립각편들 내에 위치하는 보호부재(EP)를 포함한다.
복수의 조립각편들(IP)은 삽입부의 외경 및 내경을 정의한다.
보호부재(EP)는 복수의 조립각편들의 내부면에 면접한다. 원통 형상을 가지며, 보호부재의 원통 외면이 조립각편들의 내부면에 면접한다.
이를 위해, 보호부재의 외경은 삽입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식 완구의 스케일을 고려했을 때, 보호부재의 외경이 0.5~1.0mm 정도 클 수 있다. 조립식 완구의 스케일에 따라 삽입부와 보호부재의 크기 차이는 가변적으로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호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호부재는 전체가 탄성을 갖는 단일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가운데보다 바깥쪽이 높은 탄성력을 갖는 2중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운데를 제외한 바깥쪽만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술한다.
탄성을 갖되 복수의 조립각편들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보호부재는 조립각편들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압박한다.
조립각편들과 그 안의 보호부재는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체결감을 전달함과 동시에 완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체결감은 완구들간 체결력이 양 손으로 제1 완구와 제2 완구를 서로 결합했을 때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기도 하며, 양 손으로 제1 완구와 제2 완구를 서로 분리했을 때 어린이의 힘 정도로 빠질 수 있을 정도를 해제가 가능한 수준을 의미한다.
만약 보호부재가 없다면(즉, 보호부재 없이 복수의 조립각편들로만 삽입부가 형성되면), 반복되는 착탈 횟수에 따라 삽입부의 넥 부위(삽입부와 바디부간 연결부위와 같이)가 약해져 파손될 우려가 있다. 안쪽에서 버텨주는 저항체가 없기 때문이다. 삽입 과정에서는 삽입부가 홈부보다 크게 형성된 크기만큼(예를 들어, d1-D 만큼) 변형이 수반되게 되는데, 저항체가 없다면 변형이 조립각편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조립각편들 내에 보호부재의 존재는 최대한 삽입부의 변형을 작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보호부재가 없다면 사용자에게 적절한 체결감을 전달하기 위한 체결력을 순전히 삽입부와 홈부간의 크기 차이(예를 들어, d1-D)로만 유지해야 하므로, 그만큼 크기 차이를 더 크게 설계할 수밖에 없고, 이는 크기 차이로 인한 삽입 과정에서 수반되는 변형을 더욱 크게 함으로써 내구성 약화로 귀결된다. 여기서 조립각편들 내에 보호부재의 존재는 삽입부와 홈부간 보다 작은 크기 차이(즉, d1-D)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복수의 조립각편들(IP)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개일 수 있다. 4개의 조립각편들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립각편들이 4개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부재를 그 안에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개수로 존재할 수 있다. 일례로 2개나 3개여도 무방하다. 다만, 홈부 내에서 대칭적으로 균등한 압박을 받거나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체결감을 전달할 수 있도록 3~5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완구가 제2 완구에 마련된 여러 개의 홈부들 중 좌측에 마련된 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필요에 따라 다른 홈부에 삽입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상의 제1 완구가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상의 제2 완구의 홈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삽입부 및 홈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다양한 형상의 제1 완구 및 제2 완구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부재가 삽입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보호부재를 수용한 조립각편들이 벌어질 수 있다(d1<d2, 도 4). 즉, 바디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립각편들은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는 본 발명의 억지끼움 결합구조에서 유리한 역할을 한다. 조립각편들이 홈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시점별로 살펴보면, 그 삽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견고한 수준의 체결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d1보다 큰 d2를 통해 쉽게 삽입되지 않도록 함). 삽입이 진행 중인 시점에서는 부드럽게 끝까지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d2보다 작은 d1을 통해 덜 들어가는 부분 없이 완전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 삽입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조립각편들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서 골고루 홈부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한다(결합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d2=d1이 대략적으로 성립함을 생각하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술한 도 1의 평면도에 해당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EP)는 가운데와 바깥쪽이 서로 다른 2중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보호부재는 안쪽의 코어부(EPi) 및 코어부를 둘러싸는 바깥쪽의 레이어부(EPo)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어부와 레이어부의 재질은 서로 다른 크기의 반발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코어부의 반발탄성력보다 레이어부의 반발탄성력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반발탄성력(Resilience)은 물체에 가해진 에너지에 대해 발생하는 반발에너지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수치로서, 코어부(EPi)보다 레이어부(EPo)가 높은 반발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각편들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우수하게 나타난다.
즉, 안쪽보다 바깥쪽의 반발탄성력이 더 높게 설계됨으로써, 보호부재의 코어부가 조립각편들과 보호부재간 전체 상호작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조립식 완구의 스케일을 고려할 때, 보호부재의 EPo 구간만 탄성 영역으로 활용해도 충분하는 점에 기인한다. 즉, 보호부재와 조립각편들간 상호작용에서 필요한 반발탄성력을 얻기 위해서는 보호부재의 전체 직경을 모두 탄성 영역으로 활용하지 않아도 되며, 바깥쪽의 EPo 구간만 활용해도 충분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체결감 전달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해, 삽입부는 홈부보다 일정 크기만큼(예를 들어, d1-D 만큼) 크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삽입 과정에서 변형이 수반되게 되는데, 전체 조립식 완구의 크기 대비 d1-D 자체의 크기가 작으므로, 보호부재의 바깥쪽의 EPo 구간만 탄성을 가져도 충분한 것이다. 이처럼 표피층의 얇은 구간(즉, EPo)만으로도 탄성력이 확보가 가능할 때에는 내부 심지(즉, EPi)를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전체 상호작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더 효율적이다. 즉, EPi는 EPo 안쪽에서 EPo가 안쪽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음으로써, EPo의 양쪽 모두의 탄성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EPi가 없다면, 홈부 내에서 보호부재가 겪는 압력(즉, 전방향으로 들어오는 압력)이 보호부재 내에서 분산될 우려가 커진다는 점을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EPi)를 레이어부(EPo)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레이어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되, 코어부는 반발탄성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낮거나 없는 나무재질 또는 자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자석으로 코어부를 형성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각편들과 보호부재간 전체 상호작용을 지지하는 역할을 달성함과 동시에 다른 완구와의 조립에 있어서 추가적인 결합력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보호부재(EP)는 복수의 조립각편들 사이의 공간들(G, 도 4)로 연장하는 날개부(W1, W2, W3)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는 조립각편들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술한 보호부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즉, 조립각편들이 홈부 내에서 상하좌우로 압박될 때 원주방향으로 오므려지는 방향에 반대되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홈부 내에서 조립각편에 가해지는 압력을 여러 방향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술한 복수의 조립각편들이 4개이므로, 조립각편들 사이의 공간들로 연장하는 날개부도 4개일 수 있다.
날개부는 다양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 낮은 높이로 마련된 날개부가 W1으로, 중간 높이로 마련된 날개부가 W2로, 높은 높이로 마련된 날개부가 W3(도 5 참조)로 참조된다. 어느 경우든 조립각편에 가해지는 압력을 여러 방향으로 분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날개부(W3)의 높이로 형성되는 경우 더욱 분배 역할을 더 잘 수행할 수 있으며, 조립각편들의 사이 공간으로 침입하는 뾰족한 물체에 의해 의도치 않게 조립각편이 손상되는 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계속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호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상술한 도 1의 정면도에 해당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EP)는 복수의 조립각편들 상부로 돌출하는 언덕부(EPm)를 포함할 수 있다.
언덕부는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덕부는 인접하는 조립각편들과 함께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조립각편(IP)은 바디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부분(IP1)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I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은 삽입부에서 모따기 된 부분에 해당한다. 즉, 보호부재의 언덕부는 조립각편들의 제2 부분들이 모따기 된 각도와 대체로 유사한 각도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언덕부(EPm)는 보호부재의 제조과정에서 수반될 수 있는 크기 편차를 보완한다. 처음부터 보호부재의 상부를 조립각편들의 상단부(IPt)보다 높게 형성시킴으로써 조립각편들 위쪽으로 침입하는 뾰족한 물체에 의해 의도치 않게 조립각편이 손상되는 일을 예방한다. 언덕부 없이 보호부재가 조립각편과 동일한 높이로 제조되는 경우, 제조 과정상 수반되는 크기 편차에 의해 간혹 조립각편보다 낮은 높이로 보호부재가 제조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뽀족한 물체가 조립각편들의 상단부(IPt)쪽으로 진입함으로써 보호부재를 손상시킬 우려가 존재함을 생각하면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조립각편들 사이의 공간(G)은 조립각편들의 제1 부분(IP1)들 사이의 공간(G1)과 조립각편들의 제2 부분(IP2)들 사이의 공간(G2)을 포함한다. 상술한 도 3의 날개부(W3)가 형성될 때에는 이러한 공간들(G1, G2)을 꽉 채우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이때에도 날개부(W3)는 제1 부분들 및 제2 부분들과 대체로 동일한 외주연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삽입부의 전체 외관은 매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때 외부로부터 의도치 않게 침입하는 뾰족한 물체에 의한 파손 예방 효과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 3에서의 날개부(W3)와 상술한 도 4에서의 언덕부(EPm)을 포함하는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에 해당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EP)의 날개부(W3) 표면에는 이탈방지돌기(AS)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는 아래로 꺾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래로 꺾여진 방향은 보호부재가 조립각편들 사이로 삽입되는 방향에 상응한다.
마치 화살촉처럼 보호부재가 조립각편들 사이로 삽입된 이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는 억지끼움 결합방식의 제1 완구와 제2 완구를 포함한다. 이때, 억지끼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부는 복수의 조립각편들로 구성되되 그 안에 보호부재를 가짐으로써 완구들간 체결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각편들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 완구
110 : 바디부
120 : 삽입부
IP : 조립각편들
EP : 보호부재
G : 조립각편들 사이 공간
W1, W2, W3 : 날개부
EPi : 코어부
EPo : 레이어부
EPm : 언덕부
AS : 이탈방지돌기
200 : 제2 완구
210 : 바디부
220 : 홈부
110 : 바디부
120 : 삽입부
IP : 조립각편들
EP : 보호부재
G : 조립각편들 사이 공간
W1, W2, W3 : 날개부
EPi : 코어부
EPo : 레이어부
EPm : 언덕부
AS : 이탈방지돌기
200 : 제2 완구
210 : 바디부
220 : 홈부
Claims (8)
- 바디부 및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 완구; 및
상기 삽입부와 억지끼움 결합구조의 홈부를 포함하는 제2 완구;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경 및 내경을 정의하는 복수의 조립각편들 및 상기 조립각편들의 내부면에 면접하는 보호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외경은 상기 삽입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조립각편들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안쪽의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바깥쪽의 레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와 상기 레이어부의 재질은 서로 다른 크기의 반발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부의 반발탄성력이 상기 코어부의 반발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자석 또는 나무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어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복수의 조립각편들 사이 공간들로 연장하는 날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복수의 조립각편들 상부로 돌출하는 언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514A KR20220022394A (ko) | 2020-08-18 | 2020-08-18 | 조립식 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514A KR20220022394A (ko) | 2020-08-18 | 2020-08-18 | 조립식 완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394A true KR20220022394A (ko) | 2022-02-25 |
Family
ID=8049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3514A KR20220022394A (ko) | 2020-08-18 | 2020-08-18 | 조립식 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22394A (ko) |
-
2020
- 2020-08-18 KR KR1020200103514A patent/KR20220022394A/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08577B2 (en) | Wedge-lock building blocks | |
US3413752A (en) | Body having a snap-type fastener | |
US5871384A (en) | Block assembly and devices formed thereby | |
KR101414360B1 (ko) | 조립식 완구블록 | |
CA2569032C (en) | Toy construction system | |
JP7100621B2 (ja) | 玩具組立要素 | |
USD922499S1 (en) | 3D puzzle toy | |
JP5226858B2 (ja) | おもちゃブロック、おもちゃブロック接続要素、およびおもちゃブロ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おもちゃブロック要素 | |
WO2007021090A1 (en) | Wooden block set | |
US5601470A (en) | Toy building block puzzle | |
KR20210018213A (ko) | 정, 배면의 자유로운 조립이 가능한 다차원 블록완구조립 부품 및 조립 세트 | |
KR20170065212A (ko) |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 |
KR20220022394A (ko) | 조립식 완구 | |
KR102198828B1 (ko) | 블록 완구 | |
GB2552898A (en) | Fusible toy bead joint member | |
JP3706818B2 (ja) | 組立ブロック | |
US6648714B1 (en) | Toy brick | |
JP4644585B2 (ja) | 分解組み立て式人形玩具 | |
KR200466210Y1 (ko) | 칠교놀이 세트 | |
KR20210123517A (ko) | 메인 블록과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 시스템 | |
KR20180080027A (ko) | 조립블록완구 | |
JP2003126566A (ja) | 組立用ブロック | |
KR102623259B1 (ko) | 체인블럭완구의 연결부속 | |
JP6882586B1 (ja) | 玩具 | |
CA2244594C (en) | A two-piece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