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522A - 휴대용 구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구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522A
KR20200076522A KR1020180165672A KR20180165672A KR20200076522A KR 20200076522 A KR20200076522 A KR 20200076522A KR 1020180165672 A KR1020180165672 A KR 1020180165672A KR 20180165672 A KR20180165672 A KR 20180165672A KR 20200076522 A KR20200076522 A KR 20200076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ube
gas
housing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413B1 (ko
Inventor
조연수
Original Assignee
조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연수 filed Critical 조연수
Priority to KR102018016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4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9/23Containers for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구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케이스들로 구성된 하우징, 압축 가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며 밀핀을 통해 가스 배출관을 개방하여 상기 압축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저장통, 상기 제공된 압축 가스를 수신하는 가스 유동 통로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을 삽입하는 하우징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스 저장통을 내부 방향으로 수용하는 튜브,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부에 노출되고 핸들을 통해 상기 밀핀을 동작시키는 트리거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하고 부피 및 무게가 작아 비치 및 휴대가 용이하다.

Description

휴대용 구명 장치 {PORTABLE LIFESA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구명튜브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비치가 용이한 팽창식 휴대용 구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놀이나 레저 스포츠와 같이 수중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남으로써,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중 안전사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수중 안전사고는 사고 발생 후 짧은 시간에 구조활동이 일어나야 하므로, 물놀이나 레저 스포츠를 하는 근처에는 항상 구명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구명 장치는 구명 튜브가 널리 사용된다. 구명튜브는 미리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제공되어 사고 발견자나 안전요원이 구난자에게 던져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명 튜브는 전달할 수 있는 거리에 한계가 있고, 원하는 방향으로 투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미리 공기가 주입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 휴대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미리 기체를 주입하지 않고 압축된 상태로 보관하는 구명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명 장치는 위급 상황 시 기체가 공급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고,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구명 장치가 팽창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화학적 반응을 통해 팽창되는 구명 장치의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착용이 간편하고, 높은 팽창 성능과 신뢰성을 가지며 사후 조치에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구명튜브 개발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0819(2010.08.18)호는 인명 구조용 튜브 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형의 볼 속에 구명 튜브를 장치하여 물에 빠진 사람에게 신속히 던져줌으로 인해서, 볼이 물에 닿자마자 구명 튜브로 완성되고,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형은 구체로 형성되고, 구체를 3 등분으로 형성하며, 3 등분의 한 부분을 중심으로 절개하여 절개한 양쪽 반원이 중심 부분의 양쪽에 경첩을 형성하여 완전히 열리기도 하고, 양쪽을 오므렸을 때, 완전한 구형이 되도록 형성하는 외부 구체인 구명 튜브 볼; 상기 외부 구체 내부에는 압축 공기 탱크 부; 상기 압축 공기 탱크 부에 직접 연결되어 충격에도 강하고 질긴 구명 튜브 부; 상기 외부 구체에 무게 중심이 구체 3 등분의 중심 부분으로 형성하여 오뚜기 같은 움직임 작용으로, 하단 무게 중심부에 물기 센서를 형성하는 물 감지 센서 부; 상기 물 감지 센서 외부 표면에 물기를 차단하는 투명막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안전 고리 핀 부; 로 형성 되어 구조 상황 발생시, 투척 전에 안전 고리핀을 뽑아서 제거 하고, 물 감지 센서의 투명막을 제거 하도록 형성 하고, 구명 튜브 볼을 물에 투척시 물 감지 센서의 작동으로 구명 튜브 볼에 공기가 차오르고, 구명 튜브 볼의 구체가 열리고, 완전히 압축공기가 구명 튜브에 공기를 완충하여 구명 튜브로써 완성되어 구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신속히 구명 튜브를 전하여 주어서 인명을 살리는데 도움을 주고, 물에 들어가지 않고, 멀리서도 구명 튜브를 던져서 구명함으로써 시간적, 물적, 인적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어느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고, 몇 가지 부품의 교체로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85724(2007.02.27)호는 신체의 일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홀이 형성되며 도넛 형상의 본체로 구비된 구명 튜브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 외주면의 어느 일 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단면은 밀폐된 원통형상의 방수 커버가 일체로 더 구비된다. 따라서, 구명튜브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하여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착용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또 구명튜브에 몸을 끼운 상태에서 조난당하더라도 그 몸에 대해 물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 체온에 의해 인명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0819(2010.08.18)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85724(2007.02.2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및 비치가 용이한 팽창식 휴대용 구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착용이 용이하고 부피 및 무게가 작아 비치 및 휴대가 용이하여 선박화재, 침몰 등의 비상시 골든타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휴대용 구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렴한 단가로 제조되면서 팽창이 빠르고 재활용이 가능한 휴대용 구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휴대용 구명 장치는 제1 및 제2 케이스들로 구성된 하우징, 압축 가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며 밀핀을 통해 가스 배출관을 개방하여 상기 압축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저장통, 상기 제공된 압축 가스를 수신하는 가스 유동 통로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을 삽입하는 하우징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스 저장통을 내부 방향으로 수용하는 튜브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부에 노출되고 핸들을 통해 상기 밀핀을 동작시키는 트리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휴대용 구명 장치는 휴대용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케이스는 상기 튜브의 팽창과 함께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부, 상기 가스 저장통을 체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가스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상기 튜브에 전달하는 상기 가스 유동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핸들과 끈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통해 상기 끈을 당기면 트리거 방향으로 회전하는 트리거 부재 및 상기 트리거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부재는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케이스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가스 저장통을 관통하는 상기 밀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구동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고,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직선형태의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분리 부재에서 상기 구동부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분리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들의 결합면에 상기 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은 상기 구동부의 외면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명 장치는 휴대 및 비치가 용이한 팽창식 구명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명 장치는 착용이 용이하고 부피 및 무게가 작아 비치 및 휴대가 용이하여 선박화재, 침몰 등의 비상시 골든타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명 장치는 저렴한 단가로 제조되면서 팽창이 빠르고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휴대용 구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휴대용 구명 장치의 하우징과 가스 저장통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하우징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A'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B'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B-B'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B'-B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A-A'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휴대용 구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휴대용 구명 장치의 하우징과 가스 저장통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휴대용 구명 장치(1)는 제1 및 제2 케이스들(10, 40)로 구성된 하우징(100), 가스 저장통(60), 튜브(70) 및 트리거 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부에 제1 케이스(10)와 하부에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1 및 제2 케이스들(10, 20)이 서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휴대용 구명 장치(1)의 본체에 해당할 수 있다. 가스 저장통(60)은 압축 가스를 저장하고 제2 케이스(40)의 측면에 결합되어 밀핀을 통해 가스 배출관을 개방하여 압축가스를 튜브 내부에 제공할 수 있다. 가스 저장통(60)은 휴대용 구명 장치(1)에서 교체가 가능한 장비로서, 소모품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구명 장치(1)를 사용한후 간편하게 가스 저장통(60)만 교체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튜브(70)는 내부에 압축 가스를 수신하는 가스 유동 통로(50)와 결합되고 하우징(100)을 삽입하는 하우징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가스 저장통(60)을 내부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튜브(70)는 하우징(100)과 가스 저장통(60)을 튜브 내부로 수용하거나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하우징 삽입 공간에 해당하는 단일의 구멍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구멍을 통해서 가스 저장통(60)을 상시 교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서, 튜브(70)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지만, 튜브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체에 착용하는 조끼, 가방 또는 벨트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또는, 도넛 모양, 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이 없이 설계자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 수단(300)은 핸들(2), 끈(3) 및 트리거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수단(300)은 제1 케이스(10)의 상부에 노출되고 끈(3)으로 연결된 핸들(2)을 통해 제2 케이스(40) 내부의 밀핀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수단(300)을 통해 사용자는 핸들(2)을 잡고 끈(3)을 튜브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트리거 부재(110)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가스 저장통(60)으로부터 압축가스를 배출시켜 튜브(70)를 팽창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있는 하우징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있는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A'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B'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B-B'에서 자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B'-B에서 자른 단면도이고, 도 11는 도 6에 있는 하우징의 A-A'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에서, 제1 케이스(10)는 하우징(100)의 뚜껑(덮개)에 해당하며,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케이스(40)와 달리, 튜브의 외부에 배치되어 튜브의 하우징 삽입공간(구멍)을 사이에 두고 제2 케이스(40)와 접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케이스(40)는 제1 케이스와 체결을 위해 접합하는 체결부(30), 체결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튜브(7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부(20), 가스 저장통(60)을 체결하는 브라켓(210) 및 가스 저장통(60)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튜브(70)에 전달하는 가스 유동 통로(5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0)는 제2 케이스의 상면에 해당하며, 제1 케이스와 접합되는 부위에 해당할 수 있다. 체결부(30)는 제1 케이스와 정확한 체결을 위해 둘레를 제1 케이스의 둘레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30)는 제1 케이스(10)를 제2 케이스(40)에 체결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0)는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되어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40)를 서로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0)는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40)의 결합면(400) 사이에 튜브(70)를 배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30)는 중심에 구동부(20)를 포함하고 구동부(20)의 둘레방향으로 튜브(70)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2, 13)은 제1 및 제2 케이스들의 결합면(400)에 배치되어 튜브(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2, 13)은 구동부(20)의 외벽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구현되고, 튜브(70)를 고정시키기에 충분하고 적합한 크기의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2, 13)은 구동부(20)를 노출시키는 튜브(70)의 하우징 삽입 공간을 고정시킴으로써 튜브(70)와 하우징을 결합시킬 수 있다. 구동부(20)는 체결부(30)의 중심에 배치되고 튜브(7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는 핸들(2)과 끈(3)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가 핸들(2)을 통해 끈(3)을 당기면 특정 방향(트리거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용 구명 장치(1)를 동작(트리거)시키는 트리거 부재(110) 및 트리거 부재(110)의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 부재(110)는 회전축(310) 및 밀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축(310)은 상기 트리거 부재(110)에서 제2 케이스의 내부에서 하부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밀핀(320)은 회전축(310)과 결합하여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하여 가스 저장통(6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회전축(310)은 사용자가 핸들(2)을 통해 끈(3)을 잡아당김으로써 트리거 방향으로 회전하는 트리거 부재(11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밀핀(320)은 수평으로 이동하여 가스 저장통(60)의 가스 배출관(미도시됨)을 관통하여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 부재(110)는 밀핀(320)의 양 쪽으로 복수의 베어링(340)들을 배치할 수 있다.
구동부(20)는 제2 케이스(40)의 내부로 연장되어 제2 케이스의 바닥면과 고정되는 고정봉(미도시됨)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들(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10)은 가스 저장통(60)을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210)은 가스 저장통(60)의 가스 배출관(미도시됨)을 체결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산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저장통(60)은 나사산들(220)에 토크 결합될 수 있다. 가스 유동 통로(50)는 가스 저장통(60)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튜브(7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유동 통로(50)는 도 4 내지 11에서는 2개로 나타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 유동 통로(50)는 제2 케이스(40)의 벽면에 압축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0)는 구동부(20)의 외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체결부(30)와 체결되고, 그에 따라 구동부(20)를 위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케이스(10)는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직선 형태의 분리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0)는 분리 부재(150)를 통해서 제2 케이스(40)의 체결부(30)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0)는 분리 부재(150)가 뜯어져 나가면 체결부(30)에서 분리가 용이한 형태로 남게되고 사용자는 제2 케이스(40)에서 제1 케이스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케이스(10)의 분리에 의해 하우징(100)은 튜브(70)에서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케이스(10)는 분리 부재(150)를 통해 하우징(100)에서 쉽게 분리되는 소모품으로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0)는 분리 부재(150)에서 구동부(20)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분리 손잡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분리 손잡이(140)를 통해 분리 부재(150)를 용이하게 제1 케이스로부터 뜯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손잡이(140)는 내부에 구멍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송곳과 같이 뾰족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서 분리 부재(150)를 제1 케이스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분리 손잡이(140)는 분리 부재(150)에서 끊어지지 않도록 분리 부재(150)에서 단단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케이스(80)는 하우징(100), 가스 저장통(60) 및 튜브(7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케이스(80)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케이스(80)는 별도의 고정장치(밴드 등)를 이용하여 신체의 허리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케이스(80)는 튜브(70)의 팽창과 함께 개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케이스(80)는 평상시에는 내부에 튜브(70)를 배치하여 폐쇄된 형태를 유지하지만, 사용자의 트리거에 따라 튜브(70)가 팽창되는 순간, 압력에 따라 개방되어 팽창된 튜브(70)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휴대용 케이스(80)는 튜브(70)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시 내부에 결합하여 폐쇄시키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 케이스 20: 구동부
30: 체결부 40: 제2 케이스
50: 가스 유동 통로 60: 가스 저장통
70: 튜브 80: 휴대용 케이스
100: 하우징
110: 트리거 부재
140: 분리 손잡이 150: 분리 부재
210: 브라켓
310: 회전축
320: 밀핀

Claims (8)

  1. 제1 및 제2 케이스들로 구성된 하우징;
    압축 가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며 밀핀을 통해 가스 배출관을 개방하여 상기 압축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저장통;
    상기 제공된 압축 가스를 수신하는 가스 유동 통로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을 삽입하는 하우징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스 저장통을 내부 방향으로 수용하는 튜브;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부에 노출되고 핸들을 통해 상기 밀핀을 동작시키는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구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휴대용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케이스는 상기 튜브의 팽창과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부;
    상기 가스 저장통을 체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가스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상기 튜브에 전달하는 상기 가스 유동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핸들과 끈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통해 상기 끈을 당기면 트리거 방향으로 회전하는 트리거 부재; 및
    상기 트리거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케이스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가스 저장통을 관통하는 상기 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명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구동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고,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직선형태의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분리 부재에서 상기 구동부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분리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들의 결합면에 상기 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은 상기 구동부의 외면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명 장치.

KR1020180165672A 2018-12-19 2018-12-19 휴대용 구명 장치 KR10222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672A KR102226413B1 (ko) 2018-12-19 2018-12-19 휴대용 구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672A KR102226413B1 (ko) 2018-12-19 2018-12-19 휴대용 구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522A true KR20200076522A (ko) 2020-06-29
KR102226413B1 KR102226413B1 (ko) 2021-03-10

Family

ID=7140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672A KR102226413B1 (ko) 2018-12-19 2018-12-19 휴대용 구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4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605A (en) * 1982-07-29 1985-02-12 Halkey-Roberts Corporation Automatic inflator
KR100685724B1 (ko) 2005-09-05 2007-02-27 안미영 구명 튜브
KR20100090819A (ko) 2009-02-09 2010-08-18 양승석 투척식 구명 튜브 볼
KR20140002679U (ko) * 2012-10-29 2014-05-09 오윤석 휴대용 자동 팽창식 구명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605A (en) * 1982-07-29 1985-02-12 Halkey-Roberts Corporation Automatic inflator
KR100685724B1 (ko) 2005-09-05 2007-02-27 안미영 구명 튜브
KR20100090819A (ko) 2009-02-09 2010-08-18 양승석 투척식 구명 튜브 볼
KR20140002679U (ko) * 2012-10-29 2014-05-09 오윤석 휴대용 자동 팽창식 구명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413B1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629B2 (en) Throwable emergency response automatic infla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US9853360B2 (en) Inflatable radar signal device
US20150360759A1 (en)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US20120214371A1 (en) Inflatable Rescue Device
WO2017202182A1 (zh) 一种救生绳索装置及救生衣、水上救生设备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KR20140002679U (ko) 휴대용 자동 팽창식 구명환 어셈블리
US7004807B1 (en) Throwable emergency response automatic infla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KR102226413B1 (ko) 휴대용 구명 장치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US4219819A (en) Safety devices
WO2005109982A2 (en) Breathing recycling lifebuoy apparatus
KR102101816B1 (ko) 해상 구조용 무인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방법
US20120171911A1 (en) Inflatable diving safety marker
JP2009083850A (ja) 水難救助装置
KR101555939B1 (ko) 인명구조장치
KR102640453B1 (ko) 휴대용 구명백
US9522717B2 (en) Emergency signaling device
CA2720574C (en) Electronic aquatic survival device
US11623717B2 (en) Emergency flotation device with chemical reaction chamber
WO2012017100A1 (es) Dispositivo señalizador de emergencia portátil
KR200490451Y1 (ko) 팽창형 구명 부이
WO2017060307A1 (en) Rescue system
JP2000126320A (ja) 可動球体ピン付小型ガス発生装置
KR20200017148A (ko) 탄성 팽창 부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