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462A - 점자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점자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462A
KR20200076462A KR1020180165586A KR20180165586A KR20200076462A KR 20200076462 A KR20200076462 A KR 20200076462A KR 1020180165586 A KR1020180165586 A KR 1020180165586A KR 20180165586 A KR20180165586 A KR 20180165586A KR 20200076462 A KR20200076462 A KR 20200076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braille pin
pin portion
convers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은
Original Assignee
김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은 filed Critical 김주은
Priority to KR102018016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462A/ko
Publication of KR2020007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화 장치는 본체, 본체를 덮으며 설치되는 상판 및 하판,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따라 개별적으로 이동하며,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일측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점자핀부 및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점자핀부는, 바디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제1 돌기에 배치되며, 상기 점자핀부에 가해진 외력에 따라 상기 점자핀부가 상기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 제1 자성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점자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자성부재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점자를 특정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자 변환 장치{CONVERTING DEVICE FOR BRAILLE}
본 발명은 점자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된 점자를 특정 텍스트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점자는 지면 위에 도드라진 6개의 점자용 도트를 이용하여 문자의 초성, 종성, 모음, 약자 및 숫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시각 장애인 대부분이 점자를 사용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2014년 국립국어원에서 실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 1,000명 중 88.9%가 점자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 41.6%만이 점자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점자 교육이 실제로 필요한데도 점자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시각 장애인이 상당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우리나라 시각 장애인의 약 90%는 후천적 시각 장애인이다. 연령이 높을수록 시각장애 발생률은 높아지는 데 반해 점자 학습 기회는 줄어들었으며, 점자 사용자의 53%가 점자 정보 단말기를 읽기 도구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점자 정보 단말기는 가격이 고가이고, 쉽게 접하기 힘들며,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점자 교육을 위한 점자 교재도 충분하지 않아, 상당수의 시각 장애인들이 점자 교육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각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은 점자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점자 정보 단말기에 대한 필요성도 전혀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시각 장애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부족으로 적지 않은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각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누구나 점자를 편리하게 학습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점자의 사용, 점역, 교정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기, 서비스 등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17729호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점자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된 점자를 특정 텍스트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점자의 학습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점자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각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점자를 익힐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점자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자 변환 장치는 본체와 본체를 덮으며 설치되는 상판 및 하판; 상기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따라 개별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일측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점자핀부; 상기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재; 상기 점자핀부는 바디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에 배치되며, 상기 점자핀부에 가해진 외력에 따라 상기 점자핀부가 상기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1 자성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점자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자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기는 두 개이며, 상기 제1 돌기는 서로 반대측에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자핀부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관통공; 및 두 개의 제1 돌기 각각에 배치된 제2 자성부재를 연결하는 전력선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변환 장치는 각각의 점자핀부에 배치되는 전력선의 배치방향이 인접하는 점자핀부의 전력선의 배치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원통형이며, 상기 점자핀부는, 각각의 점자핀부의 제1 돌기가 인접하는 점자핀부의 제1 돌기와 최장거리가 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자핀부는 상기 제1 돌기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점자핀부의 이동시의 회전을 방해하며, 상기 바디에 돌출되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변환 장치는 상기 상판 또는 하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점자핀부의 제2 자성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점자핀부의 전력선에 전류가 흐르는 지 여부에 기초하여 점자핀부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자핀부는 2행 3열의 배열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변환 장치는 각각의 점자핀부의 상하위치조합을 기 설정된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변환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환하는 텍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텍스트종류선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변환 장치는 변환된 텍스트를 외부의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는 사용자가 점자를 능동적으로 학습하고,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점자 변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는 시각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누구나 점자를 쉽게 학습할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점자 변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자 변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자 변환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 상판(200), 하판(300), 점자핀부(400), 입력부(500) 및 출력부(60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점자 변환 장치(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점자 변환 장치(10)는 사각의 상자 모양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얼마든지 점자 변환 장치(10)가 다른 모양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에는 복수의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200) 및 하판(300)은 본체(10)를 덮으며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200)은 점자핀부(400)의 일부가 돌출되어 점자를 형성하는 쪽에 배치되며, 하판(300)은 상판(20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100)에서 상판(200)쪽 방향을 상부로 하판(300)쪽 방향을 하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의 일부는 상판(200) 또는 하판(3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핀부(400)는 관통공(110)에 가이드 되며 상하로 이동한다. 한편, 관통공(110)의 단면의 형상은 점자핀부(400)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점자핀부(400)는 관통공(110)에 가이드 되며 이동하므로, 관통공(110)의 단면의 형상과 점자핀부(400)의 단면의 형상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자핀부(400)의 단면이 원형일때 관통공(110)의 단면 역시 원형일 수 있다. 이때, 단면의 형상은 점자핀부(400)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단면일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관통공(110)에 각각의 점자핀부(400)가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110)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관통공(110)의 직경은 점자핀부(400)의 바디와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도록 점자핀부(40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110)은 점자핀부(400)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핀부(400)의 일측은 반구형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점자핀부(400)의 반구형 일부는 상판(200)을 통해 돌출될 수도 있다. 상판(200)을 통해 일부가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점자핀부(400)를 통해 점자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판(200) 및 하판(300)에는 점자핀부(40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110)과 연결되는 개구부(210,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병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개구부(210,310)는 상판(200) 및 하판(300)에 형성되며, 본체(100)의 관통공(11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의 타측 역시 반구형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점자핀부(400)의 일측 및 타측이 반구형이 아닌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핀부(400)의 일측 및 타측은 바디로 연결될 수 있다. 점자핀부(400)의 바디는 본체(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공(110)에 삽입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핀부(400)의 바디는 원통형일 수 있다. 한편, 점자핀부(400)의 바디는 길이 방향의 중심축선에 대해 대칭구조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디가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대칭 구조인 경우 및 사각 기둥, 오각 기둥, 육각 기둥인 경우 등의 다양한 형태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는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는 제1 돌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점자핀부(400)에 형성되는 제1 돌기(410)는 두 개일 수 있으며, 서로 점자핀부(400) 바디의 반대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410)는 점자핀부(400) 바디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돌기(410)가 서로 180도 반대된 위치에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돌기(410)는 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20)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410)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기(410) 각각은 크기 또는 형태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돌기(410)에는 제1 자성부재(211,311)과 결합하는 제2 자성부재(411)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20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부재(211)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판(30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부재(311)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부재(211,311)는 영구자석 또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제1 자성부재(211,311)는 점자핀부(400)의 일부가 상판(200) 또는 하판(300) 중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자성부재(211,311)는 제2 자성부재(411)와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자성부재(411)는 점자핀부(400)가 상판(200) 또는 하판(300) 중 어느 일측으로 상하이동하여 일부가 돌출되는 경우, 상판(200)의 제1 자성부재(211) 및 하판(300)의 제1 자성부재(311)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자성부재(411)는 제1 돌기(40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성부재(411)는 영구자석 또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제1 자성부재(211,311)과 제2 자성부재(411)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자성부재(211,311)과 제2 자성부재(411)는 둘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일 수도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자석과의 인력을 갖는 물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는 제1 돌기(410)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돌기(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420)는 점자핀부(400)가 관통공(110)을 따라 상하이동을 하는 경우, 관통공(110)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점자핀부(400) 바디 외측에 돌출되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420)는 두 개일 수 있으며, 서로 점자핀부(400) 바디의 반대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기(420)는 점자핀부(400) 바디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돌출되거나, 180도 반대된 위치에 돌출될 수도 있다. 제2 돌기(430)는 제1 돌기(410)와 90도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돌기(410)와 다른 높이에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돌기(420)는 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20)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기(420)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구조일 수 있다. 제2 돌기(420) 각각은 서로 크기 또는 형태가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돌기(410)와 크기와 형태가 다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돌기(420) 각각은 크기 또는 형태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공(110)에는 복수의 걸림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120)은 점자핀부(400)가 상하이동을 하는 경우, 점자핀부(4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돌기(410) 또는 제2 돌기(420)는 걸림홈(120)에 삽입되며, 점자핀부(400)의 이동시 걸림홈(120)에 가이드 되어 이동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만일 점자핀부(400)가 회전하려 하는 경우, 걸림홈(120)에 삽입된 돌기가 걸림홈(120)에 걸림으로써, 점자핀부(400)을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관통공(110)에 제1 돌기(410) 또는 제2 돌기(420)가 삽입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120)은 관통공(11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점자핀부(400)의 상하이동 반경과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20)는 점자핀부(400)의 제1 돌기(410) 또는 제2 돌기(420)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고, 점자핀부(400)의 제1 돌기(410) 또는 제2 돌기와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크기가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걸림홈(120)은 점자핀부(400)의 상하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10)는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미도시)는 점자핀부(400)의 일부가 상판(200)으로 돌출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미도시)는 점자핀부(400)에 배치된 각각의 제2 자성부재(411)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하겠다. 판단부(미도시)는 점자핀부(400)의 전력선(431)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점자핀부(4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10)는 텍스트종류선택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종류선택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환 결과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점자핀부(400)를 통해 형성한 점자를 원하는 종류의 텍스트로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텍스트종류선택부(130)를 통해 선택 가능한 텍스트종류는 한글, 영어, 숫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점자 체계와 대응되는 다양한 텍스트종류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텍스트종류선택부(130)는 버튼 또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10)는 전원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40)는 점자 변환 장치(10)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10)는 전원 공급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50)는 점자 변환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50)는 점자 변환 장치(10)의 무선 동작이 가능하도록 배터리와 충전 모듈을 구비하며, 충전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에는 위에서 설명한 텍스트종류선택부(130), 전원부(140), 전원 공급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5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누름 또는 터치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입력부(500)는 버튼 또는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푸시락 버튼, 텍스위치, 터치 버튼 등 누름 또는 터치조작이 가능한 다양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입력부(500)는 점자 변환 장치(10) 상판(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설계상의 필요 등의 이유로 이와 다르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판(200) 또는 하판(300)에 입력부(500)가 배치되는 경우, 입력부(500)가 배치된 상판(200) 또는 하판(300)에는 사용자가 입력부(500)임을 알 수 있도록 표면에 입력부(500)가 근처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는 점자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600)는 점자의 변환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부(600)는 음성 또는 텍스트로 변환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에 마련된 장치로 변환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600)가 송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컴퓨터, 휴대폰, MP3플레이어 등 다양한 단말기과 연동하여 변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변환 결과를 수신한 단말기는 영상, 음성 또는 텍스트로 변환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변환 결과를 수신한 단말기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변환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600)는 입력부(500)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현재의 형성된 점자에 대한 변환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출력부(600)가 음성을 포함한 다양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과 도 2에는 출력부(600)가 스피커이고, 본체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판(200)을 통해 노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구조로 출력부(600)가 배치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변환 장치(10)는 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미도시)는 현재 각각의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변환부(미도시)는 각각의 점자핀부(400)의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점자핀부(400)의 위치 조합으로 형성된 점자를 특정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변환부(미도시)는 각각의 점자핀부(400)의 상하위치정보와 일치하는 점자를 기 설정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변환부(미도시)는 텍스트종류선택부(13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선택된 텍스트종류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텍스트종류선택부(130)의 현재 입력상태에 기초하여 출력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텍스트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판단부(미도시), 변환부(미도시)는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MCU(Micro Control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 다양한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점자 변환 장치(10)를 X-X' 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10)의 각각의 점자핀부(400)는 각각의 관통공(110)에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점자핀부(400)는 점자 체계와 일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2행 3열 또는 3행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의 제1 돌기(410)와 제2 돌기(420)는 본체(100)의 걸림홈(120)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 각각은 두 개의 제1 돌기(410)에 설치된 제2 자성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점자핀부(400)가 본체(100)에 배열되는 경우, 인접하는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로 인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점자핀부(400)간 제2 자성부재(411)는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느 한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와 인접하는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는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점자핀부(400)의 제1 돌기(410)는 인접하는 점자핀부(400)의 제1 돌기(410)와 최장거리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한 점자핀부(400)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제1 돌기(410)의 돌출 방향은 인접하는 점자핀부(400)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제1 돌기(410)의 돌출 방향과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의 점자핀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점자핀부(400) 간 제1 돌기(41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유로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는 인접하는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와 인접하는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와 최장거리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는 바디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관통공(4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430)은 점자핀부(4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430)은 제1 돌기(410) 각각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410)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력선(431)이 관통공(430)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력선(431)은 각각의 제1 돌기(410)에 설치된 제2 자성부재(411)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점자핀부(400)의 관통공(430)의 배치 방향은 인접하는 점자핀부(400)의 관통공(430)의 배치 방향과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90도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점자핀부(400)의 전력선(431)의 배치 방향은 인접하는 점자핀부(400)의 전력선(431)의 배치 방향과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90도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자핀부(400)의 제1 돌기(410), 제2 자성부재(411), 제2 돌기(420), 관통공(430), 전력선(431)의 상호 위치, 방향 및 거리를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점자 변환 장치(10) 내에서 자성부재들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점자 변환 장치(10)에 설치된 점자핀부(400)를 Y-Y' 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장치(10)의 점자핀부(400)는 관통공(110)에 가이드 되며, 상하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핀부(400)가 상판(200) 또는 하판(300) 중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제1 자성부재(211,311)와 제2 자성부재(411)가 서로 결합하여 점자핀부(4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자핀부(400)가 상판(200)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점자핀부(400)의 돌출된 일부에 외력을 가하게 될 경우, 점자핀부(400)는 관통공(110)을 따라 가이드 되어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와 하판(300)의 제1 자성부재(311)와 결합하여 점자핀부(400)는 하판(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점자핀부(400)의 일부가 하판(300)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반대로, 점자핀부(400)가 하판(300)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 방향으로 점자핀부(400)의 돌출된 일부에 외력을 가하게 될 경우, 점자핀부(400)는 관통공(110)을 따라 가이드 되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와 상판(200)의 제1 자성부재(211)와 결합하여 점자핀부(400)는 상판(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점자핀부(400)의 일부가 상판(200)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판단부(미도시)가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입력부(5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판단부(미도시)는 현재의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출력부(600)는 점자핀부(400)의 조합으로 형성된 점자의 변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미도시)는 각각의 점자핀부(400)의 각각의 전력선(431)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점자핀부(4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력선(431)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력선(431)과 연결된 제2 자성부재(411)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2 자성부재(411)와 연결된 어느 한 제1 자성부재(211,311)에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전력선(431)은 일종의 스위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원리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미도시)는 각각의 점자핀부(400)의 상하위치를 점자핀부(400)에 배치된 전력선(431)의 전류 발생여부, 각각의 제2 자성부재(411)의 전기적 연결 여부, 상판(200)에 배치된 제1 자성부재(211)의 전류 발생여부, 하판(300)에 배치된 제1 자성부재(311)의 전류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점자핀부(400) 각각의 상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부(미도시)는 전기적 연결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감지수단은 센서 또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적 연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 연결은 각각의 구성간 전류가 흐르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감지수단은 상판(200) 또는 하판(300)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거나, 양측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감지수단은 상판(200)과 하판(300)이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미도시)는 상판(200)을 기준으로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하거나, 하판(200)을 기준으로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하거나, 상하판(200,300) 모두를 기준으로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부(미도시)가 상판(200)을 기준으로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점자핀부(400)의 일부가 상판(200)으로 돌출되면, 점자핀부(400)는 상판(200)의 제1 자성부재(211)와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가 결합하여 상판(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판(200)의 점자핀부(400)의 각각의 제2 자성부재(411)와 결합하는 각각의 제1 자성부재(21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점자핀부(400)의 전력선(43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판단부(미도시)는 전력선(431)을 통해 각각의 제1 자성부재(21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감지하여, 점자핀부(400)가 상판(200)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하판(300)의 제1 자성부재(311)는 점자핀부(400)의 위치 여부와 관계없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판단부(미도시)는 점자핀부(400)의 전력선(431)에 전류가 통하는 경우, 점자핀부(400)가 상판(200)과 결합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전류가 통하지 않는 경우, 점자핀부(400)가 하판(300)과 결합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미도시)가 하판(300)을 기준으로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점자핀부(400)의 일부가 하판(300)으로 돌출되면, 점자핀부(400)는 하판(300)의 제1 자성부재(311)와 점자핀부(400)의 제2 자성부재(411)가 결합하여 하판(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판(300)의 점자핀부(400)의 각각의 제2 자성부재(411)와 결합하는 각각의 제1 자성부재(31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점자핀부(400)의 전력선(43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판단부(미도시)는 전력선(431)을 통해 각각의 제1 자성부재(31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감지하여, 점자핀부(400)가 하판(300)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판(200)의 제1 자성부재(211)는 점자핀부(400)의 위치 여부와 관계없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판단부(미도시)는 점자핀부(400)의 전력선(431)에 전류가 통하는 경우, 점자핀부(400)가 하판(300)과 결합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전류가 통하지 않는 경우, 점자핀부(400)가 상판(200)과 결합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미도시)가 상하판(200,300)을 기준으로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판(200)의 각각의 제1 자성부재(211)는 점자핀부(400)가 상판(200)에 결합하는 경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판(200)의 각각의 제1 자성부재(311) 역시 점자핀부(400)가 하판(300)에 결합하는 경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판단부(미도시)는 어느 측의 제1 자성부재(211,31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를 감지하여, 점자핀부(4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변환부(미도시)는 점자핀부(400)의 각각의 상하위치정보를 조합하여 분석하고, 점자핀부(400)의 상하위치조합을 기 설정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텍스트종류선택부(130)를 통해 텍스트종류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텍스트로 변환하여 출력부(600)를 통해 음성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로 마련된 저장부(미도시)에 점자핀부(400)의 상하위치조합과 특정 텍스트가 매칭되어 기 저장될 수도 있다. 변환부(미도시)는 각각의 점자핀부(400)가 형성하는 상하위치조합을 기 매칭된 텍스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자 변환 장치(10)는 사용자가 점자핀부(40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점자를 조합하고, 조합된 점자와 대응되는 다양한 텍스트로 신속한 점자의 출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각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손쉽게 점자를 학습하고 휴대가 가능하므로 점자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점자 변환 장치 100 : 본체
110 : 관통공 120 : 걸림홈
130 : 텍스트종류선택부 140 : 전원부
150 : 전원 공급부 200 : 상판
210 : 개구부 211 : 제1 자성부재
300 : 하판 310 : 개구부
311 : 제1 자성부재 400 : 점자핀부
410 : 제1 돌기 411 : 제2 자성부재
420 : 제2 돌기 430 : 관통공
431 : 전력선 500 : 입력부
600 : 출력부

Claims (11)

  1. 본체;
    상기 본체를 덮으며 설치되는 상판 및 하판;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따라 개별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일측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점자핀부; 및
    상기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핀부는,
    바디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에 배치되며, 상기 점자핀부에 가해진 외력에 따라 상기 점자핀부가 상기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1 자성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점자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점자 변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두 개이며, 각각의 제1 돌기는 서로 반대측에 돌출되는, 점자 변환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핀부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각각의 제1 돌기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관통공; 및
    두 개의 제1 돌기 각각에 배치된 제2 자성부재를 연결하는 전력선을 더 포함하는, 점자 변환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점자핀부는,
    각각의 점자핀부에 배치되는 전력선의 배치방향이, 인접하는 점자핀부의 전력선의 배치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점자 변환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원통형이며,
    각각의 점자핀부는,
    각각의 점자핀부의 제1 돌기가 인접하는 점자핀부의 제1 돌기와 최장거리가 되도록 배치되는 점자 변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핀부는,
    상기 제1 돌기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점자핀부의 이동시의 회전을 방해하며,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점자 변환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또는 하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점자핀부의 제2 자성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점자핀부의 전력선에 전류가 흐르는 지 여부에 기초하여 점자핀부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점자 변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핀부는,
    2열 3행의 배열로 배치되는, 점자 변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점자핀부의 상하위치조합을 기 설정된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점자 변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환하는 텍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텍스트종류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점자 변환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변환된 텍스트를 외부의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점자 변환 장치.
KR1020180165586A 2018-12-19 2018-12-19 점자 변환 장치 KR20200076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86A KR20200076462A (ko) 2018-12-19 2018-12-19 점자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86A KR20200076462A (ko) 2018-12-19 2018-12-19 점자 변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462A true KR20200076462A (ko) 2020-06-29

Family

ID=7140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586A KR20200076462A (ko) 2018-12-19 2018-12-19 점자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4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729A (ko) 1999-08-13 2001-03-05 정선종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729A (ko) 1999-08-13 2001-03-05 정선종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911B1 (ko)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1774707B1 (ko) 사용자별 커스텀 키보드 매핑이 가능한 블루투스 IoT 키보드
US9108114B2 (en) Tangible user interface and a system thereof
KR101894006B1 (ko) 스마트 점자 학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학습방법
KR101713085B1 (ko) 스마트 블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시스템
US8425232B2 (en) Braille-character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JP2005122686A (ja)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KR20200076462A (ko) 점자 변환 장치
KR100466874B1 (ko)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180057951A (ko)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함양시켜 주는 학습용 전자펜 시스템.
US20040063086A1 (en) Interactive learning computer system
KR20170112132A (ko) 블록 인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502270B1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78344B1 (ko) 시각 장애인용 학습 도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1898227B1 (ko)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368770B1 (ko) 학습용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US11033187B2 (en) Text to braille converter
CN116134505A (zh) 用于视障人士的触觉绘画和书写设备
KR20190035194A (ko) 잠금 기능을 제공하는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bler et al. Hedgehog: Handheld spherical pin array based on a central electromagnetic actuator
KR101956002B1 (ko) 점자 입력기를 이용한 학습 가이드 시스템
TW201329926A (zh) 盲文讀寫裝置
Macik et al. Interactive modular tactile maps of rooms for older adults with vision impairments
KR20200109922A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점자 교육 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30089780A (ko)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