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186A -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186A
KR20200076186A KR1020180165048A KR20180165048A KR20200076186A KR 20200076186 A KR20200076186 A KR 20200076186A KR 1020180165048 A KR1020180165048 A KR 1020180165048A KR 20180165048 A KR20180165048 A KR 20180165048A KR 20200076186 A KR20200076186 A KR 20200076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stle
onion
diabetes
weigh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672B1 (ko
Inventor
박연자
김순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Priority to KR102018016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6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당뇨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당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f diabetes mellitus comprising Milk thistle and Helianthus tuberosus}
본 발명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거나 인슐린의 기능이 저하되어 체내의 세포가 당을 이용하지 못하여 고혈당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을 비롯한 호르몬 불균형으로 탄수화물을 비롯한 단백질, 지질 및 전해질 대사 등 생리적 대사 조절 기능 이상으로 고혈당의 특징적인 증세를 나타내며, 이러한 고혈당 증세가 지속되면 혈액순환 장애, 망막손상, 신경세포 손상, 신장 기능 저하 및 혈관 합병증을 유발하고 심각한 만성적 합병증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 당뇨병은 보통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I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II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바이러스 감염 등이 원인이 되어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된 결과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발병하며, 주로 10 내지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 당뇨병이라고도 하는데, 인슐린이 외부에서 공급되지 않으면 생명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비만 등의 원인으로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그 양이 부족하고 그 작용력이 감소하여 발병하며, 주로 30대 이후에 발병하므로 성인형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생명유지를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인슐린을 반드시 공급할 필요가 없다고 하여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이라 불리고 있지만, 그렇다고 고혈당 치료를 위하여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는 아니다.
당뇨병 치료에는 비구아니드(biguanides), 티아졸리딘디온 (thiazolidinediones),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s), 벤조산(benzoic acid) 유도체,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약물을 이용한 당뇨병 치료는 많은 부작용이 따르고 있어, 세계보건기구(WHO)는 당뇨병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의 이용을 적극 추천하고 있다(Grover J.K., Vats. V., Rathi. S.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3, pp461-470, 2000).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제안된 천연물로는 뜸부기 추출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64815호), 잔나비걸상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아플아나산 유도체 화합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57690호), 헛개나무의 추출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17287호), 참당귀에서 분리한 다당류(국제공개특허 제2001-60386호), 반추동물의 담즙(미국 등록특허 제6451355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648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576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엉겅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돼지감자 50 내지 80 중량부, 양파 50 내지 80 중량부 및 여주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돼지감자와 양파가 1 : 1-2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꽃, 줄기와 잎의 혼합물, 및 뿌리가 1 : 14-25 : 0.1-0.9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줄기와 잎의 혼합물은 줄기와 잎이 1 : 1-4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엉겅퀴 혼합 추출물은 엉겅퀴의 꽃, 및 줄기와 잎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한 추출물과, 별도로 뿌리를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 뿌리를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한 후 남은 잔사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분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뇨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탁월한 혈당강하 효과가 있으므로 당뇨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엉겅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엉겅퀴는 흰무늬 엉겅퀴(Silybum marianum (L.) Gaertn.), 가시 엉겅퀴(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spinossimum Kitam.)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흰무늬 엉겅퀴 단독을 이용한다.
상기 흰무늬 엉겅퀴(Silybum marianum (L.) Gaertn.)는 우유같이 하얀 잎맥과 함께 깊고 반짝이는 녹색의 식물이며, 가장자리에는 물결무늬가 있고 가시도 있는 뿌리-잎사귀로 분할되는 가늘고 긴 식물이다. 이것은 제방 울타리와 버려진 땅에서 주로 발견된다. 식물의 유용한 부분은 허브 전체, 뿌리, 잎사귀, 씨, 그리고 겉껍질이며, 엉겅퀴 씨는 실리마린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엉겅퀴 씨 추출물에는 70~80%의 실리마린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는 엉겅퀴의 꽃, 줄기와 잎의 혼합물, 및 뿌리가 혼합된 혼합 추출물이다.
상기 엉겅퀴의 꽃은 꽃부리가 자주색 또는 적색이며 길이가 19-24 mm로서, 길이가 10 내지 15 mm인 것만 사용하고 그 이상 길이가 긴 것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독성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엉겅퀴 줄기와 잎은 1 : 1-4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2-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줄기를 기준으로 잎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쓴맛이 강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엉겅퀴 뿌리는 1년에 2번 수확하는 꽃, 줄기 및 잎과 달리 3년에 1번 수확하므로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엉겅퀴의 꽃, 줄기와 잎의 혼합물, 및 뿌리는 1 : 14-25 : 0.1-0.9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6-19 : 0.4-0.8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꽃을 기준으로 줄기와 잎의 혼합물, 및 뿌리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쓴맛이 강하고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추출물은 80 내지 100 ℃에서 20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8시간 동안 중탕 추출한 추출물이다. 중탕 추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탄맛이 강하고 영양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물을 사용하는 중탕 추출 외에 유기 용매 추출 등의 다른 방식으로 추출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대한 효과가 미미하며 쓴맛이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꽃, 및 줄기와 잎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중탕 추출하고, 별도로 뿌리를 중탕 추출하여 추후에 혼합한다. 본 발명과 달리, 꽃, 줄기와 잎의 혼합물 및 뿌리를 모두 혼합하여 중탕 추출하는 경우에는 쓴맛이 강하고 오히려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엉겅퀴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A) 엉겅퀴의 꽃, 및 줄기와 잎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엉겅퀴의 뿌리를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A)단계 및 (B)단계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 이후에, (D) 상기 (B)단계에서 추출하고 남은 잔사를 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 및 (E) 상기 (C)단계에서 혼합된 분말 100 중량부와 (D)단계의 분말 0.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및 (B)단계와 달리, 꽃, 줄기와 잎의 혼합물, 및 뿌리를 모두 혼합하여 중탕 추출하는 경우에는 쓴맛이 강하고 오히려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꽃, 줄기와 잎의 혼합물, 및 뿌리를 모두 각각 중탕 추출하는 경우에는 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뿌리 잔사 분말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뿌리 잔사 분말을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당뇨에 대한 효과가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돼지감자
상기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는 유럽에서 중국을 거쳐 17세기 이후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귀화식물로서, 들판이나 야산에 자생한다. 마른 줄기 아래를 파보면 돼지감자의 덩이줄기를 발견할 수 있으며, 가을에 피는 꽃이 아주 매력적이다. 최근에는 당뇨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자연산을 채취하거나 재배해 판매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80 내지 100 ℃에서 8 내지 15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돼지감자 추출물은 엉겅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부로 사용된다.
돼지감자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현저히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되고 각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양파
상기 양파(onion)는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알리신'을 함유하고 있어 맵고 단맛이 나며, 항산화 작용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파의 겉껍질을 제거한 후 알맹이만 80 내지 100 ℃에서 5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양파 추출물은 엉겅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부로 사용된다.
양파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각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과 양파 추출물은 1 : 1-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돼지감자 추출물을 기준으로 양파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향상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쓴맛이 강하고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각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낮을 수 있다.
여주
상기 여주(Momordica charantia Linnaeus)는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널리 이용하지만 임신부가 여주를 다량 복용할 경우 유산의 위험성이 있다. 잎을 짜서 낸 즙을 벌레 물린 데, 벌에 쏘인 데, 화상, 작은 상처, 피부 알레르기 등에 바르면 가려움증이 완화되고 상처가 남지 않는다. 잎과 열매의 추출물은 위통, 열, 관절염, 당뇨, 고혈압, 암, 전염병의 치료 등에 복용하며, 특히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주의 열매를 80 내지 100 ℃에서 5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여주 추출물은 엉겅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된다.
여주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향상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1.5 내지 20배로 낮은 효능을 보인다.
본 발명 조성물의 형태는 과립, 환, 분말, 즙, 티백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예로, 과립 또는 환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엉겅퀴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분말, 같은 방법으로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돼지감자 분만, 양파 분말 및 여주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반죽물을 이용하여 과립 또는 환의 형태로 성형한다.
다른 예로, 과립, 분말, 환 및 즙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엉겅퀴 추출물, 돼지감자 추출물, 양파 추출물 및 여주 추출물을 본 발명의 비율로 혼합하여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한 다음 상기 수득된 분말을 성형하여 과립 또는 환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과립, 분말, 환 및 청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본 발명의 비율로 혼합한 후 당류를 첨가하여 청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엉겅퀴 추출물, 돼지감자 추출물, 양파 추출물 및 여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농축한 농축물을 건조시켜 분말을 얻을 수 있고, 상기 농축물을 일부만 건조시켜 과립 또는 환의 모양으로 성형한 후 다시 건조시켜 완전한 과립 또는 환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원재료 분말을 사용하므로 부형제 등의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유효성분이 더욱 다량으로 수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티백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엉겅퀴 추출물, 돼지감자 추출물, 양파 추출물 및 여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분말을 80 내지 120 ℃에서 로스팅한 분말을 티백에 포장한다.
본 발명의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광의로는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의 혼합 가공물, 예컨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의 혼합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의 혼합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의 혼합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당뇨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당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엉겅퀴 및 양파를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엉겅퀴+돼지감자+양파+여주
엉겅퀴의 제조
엉겅퀴의 꽃 1 중량부, 줄기와 잎의 혼합물(줄기:잎=1:2 중량비) 18.6 중량부 및 물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95 ℃에서 24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A 추출물을 수득한 후 엉겅퀴 뿌리 0.4 중량부 및 물 45 중량부를 95 ℃에서 24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B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각각 동결건조시켜 A 분말과 B 분말을 제조하여 혼합함으로써 혼합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돼지감자의 제조
세척한 돼지감자 10 중량부를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그대로 물 40 중량부와 혼합하여 95 ℃에서 11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시켜 돼지감자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양파의 제조
껍질을 제거한 양파 10 중량부와 물 40 중량부를 혼합한 후 95 ℃에서 8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시켜 양파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여주의 제조
세척한 여주의 열매 10 중량부와 물 40 중량부를 혼합한 후 95 ℃에서 7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시켜 여주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엉겅퀴+돼지감자+양파+여주
상기 제조된 엉겅퀴 분말 100 중량부, 돼지감자 분말 62.5 중량부, 양파 분말 62.5 중량부 및 여주 분말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돼지감자 분말과 양파 분말은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2. 엉겅퀴의 뿌리 잔사 첨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엉겅퀴 분말을 제조 시 엉겅퀴 뿌리를 중탕 추출하고 남은 잔사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C 분말(뿌리 잔사 분말)을 수득한 후 상기 A 분말, B 분말 및 C 분말을 혼합(A 분말+B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C 분말 0.3 중량부)하여 엉겅퀴 혼합 추출물 분말을 제조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엉겅퀴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엉겅퀴를 생략하고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만 사용하여 중탕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돼지감자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돼지감자를 생략하고 엉겅퀴, 양파 및 여주만 사용하여 중탕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양파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양파를 생략하고 엉겅퀴, 돼지감자 및 여주만 사용하여 중탕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여주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여주를 생략하고 엉겅퀴, 돼지감자 및 양파만 사용하여 중탕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5. 돼지감자:양파 1:4의 중량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된 엉겅퀴 분말 100 중량부, 돼지감자 분말 62.5 중량부, 양파 분말 250 중량부 및 여주 분말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돼지감자 분말과 양파 분말은 1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시험예>
실험동물
비만이면서 당뇨병 증상이 나타나는 6주령의 수컷 db/db 마우스는 인위적으로 유전적변이를 일으켜 렙틴(leptin)의 피드백 신호전달을 차단하여 성장함에 따라 체중과다와 함께 제 2형 당뇨병이 유발되도록 한 실험용 생쥐로서 이 생쥐모델을 대상으로 약물을 경구투여 하였으며, 대조군에서도 동일한 양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실험군인 db/db 마우스는 각 군당 7마리씩을 무작위로 배정하고, 1개군은 비히클(saline)을, 양성대조군에는 바나바 추출물(banaba leaf extract, 웰리스 바나나) 100 mg/kg을, 실험군에는 상기에서 준비한 시료를 2 g/kg씩 각각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8시에 0.4 ml씩 경구투여(각 시료를 식염수에 현탁시켜 투입)하였다. 각 군의 사육조건은 예비 동물실험과 동일하게 온도 22±2 ℃, 습도 55±10% 및 12시간 간격의 명암으로 조절되는 SPF 환경에서 유지하면서 투여 0, 7, 14, 21일에 체중과 혈당 변화를 휴대용 혈당계(OneTouch TM, Johnson & Johnson, USA)를 사용하였고 실험군별로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혈액 분석
각 시료들을 db/db 마우스에 21일간 투여한 후 각 군의 동물들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여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 혈장을 분리하여 glucose 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대조군과의 차이를 통계학적 방법 (stu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처리
다양한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mean± standard error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시험예 1. 제2형 당뇨 동물모델인 마우스에서 항당뇨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의 시료들의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8: E510-E518(2005); Diabetologia 49: 1647-1655(2006); J. Ethnopharmacol. 103: 491-495 (2006); J. Med. Chem. 43: 3487-3494(2003); Metabolism 50:1049-1053(2001); Nutrition & Metabolism 53: 488-499(2004)].
1-1.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
6주령의 db/db생쥐모델에 각 시료를 오전과 오후에 일일 2회 3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주 1회 휴대용 혈당 측정기로 생쥐의 꼬리에서 혈액을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고, 측정 전날에 모든 생쥐의 diet를 제거하였다(약 12시간).
구분(단위: 혈당 mg/dL) 0일 7일 14일 21일
음성대조군 351.2 397.4 575.4 599.6
양성대조군 363.4 410.5 394.1 372.1
실시예 1 360.7 407.4 392.3 375.3
실시예 2 358.1 384.5 371.6 361.7
비교예 1 360.4 456.1 463.1 481.1
비교예 2 363.7 448.7 443.6 433.4
비교예 3 362.8 433.8 431.6 431.7
비교예 4 363.5 437.5 432.3 429.9
비교예 5 360.5 421.8 415.6 411.1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0일에서 21일까지 혈당이 우수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가 실시예 1에 비하여 혈당이 더욱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음성대조군 및 비교예 1은 혈당이 억제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교예 2 내지 5는 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혈당이 억제되지 못할 것을 확인하였다.
1-2. 혈청중 포도당(glucose) 변화 측정
21일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약 12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 ml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포도당(glucose)변화를 측정하였다.
구분 포도당 측정(mg/dL)
음성대조군 632.1
양성대조군 462.5
실시예 1 483.4
실시예 2 436.9
비교예 1 532.5
비교예 2 520.4
비교예 3 509.8
비교예 4 518.5
비교예 5 502.7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음성대조군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포도당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로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의 항당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체중과 식이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각 실험군의 마우스를 7마리씩으로 하여 일주일에 2회 체중의 변화를 측정했고, 3일 간격으로 식이 섭취량을 측정하여 각 실험군(7마리)의 하루 평균 식이 섭취량을 관찰하였다.
체중변화
구분
(단위: g)
0일 0.5일 7일 7.5일 14일 14.5일 21일
음성대조군 28.4 28.9 29.6 30.2 30.8 31.5 32.1
양성대조군 28.3 28.5 29.2 29.9 30.7 31.4 32.2
실시예 1 28.3 28.9 29.4 30.0 30.6 31.4 32.2
실시예 2 28.5 29.2 30.0 30.8 31.4 32.1 32.6
비교예 1 28.4 29.1 29.8 30.6 31.1 31.8 32.3
비교예 2 28.1 28.7 29.5 30.1 30.9 31.3 32.0
비교예 3 28.3 29.1 29.6 30.2 30.8 31.6 32.1
비교예 4 28.2 28.8 29.6 30.1 30.9 31.4 31.9
비교예 5 28.6 29.1 29.7 30.3 31.0 31.7 32.4
식이 섭취량
구분
(단위: g)
7일 14일 21일
음성대조군 33.4 38.4 38.7
양성대조군 33.0 38.3 38.9
실시예 1 33.2 38.2 38.3
실시예 2 33.3 38.3 38.4
비교예 1 33.0 38.4 38.2
비교예 2 33.1 38.1 38.1
비교예 3 33.4 38.2 38.4
비교예 4 33.2 38.5 38.6
비교예 5 33.1 38.2 38.3
위 표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비교예 1 내시 5와 유사하게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섭취량도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급성독성실험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당 2마리씩의 동물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1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5)

  1.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엉겅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돼지감자 50 내지 80 중량부, 양파 50 내지 80 중량부 및 여주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꽃, 줄기와 잎의 혼합물, 및 뿌리가 1 : 14-25 : 0.1-0.9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에 뿌리를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한 후 남은 잔사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분말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엉겅퀴, 돼지감자, 양파 및 여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165048A 2018-12-19 2018-12-19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33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48A KR102233672B1 (ko) 2018-12-19 2018-12-19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48A KR102233672B1 (ko) 2018-12-19 2018-12-19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86A true KR20200076186A (ko) 2020-06-29
KR102233672B1 KR102233672B1 (ko) 2021-03-30

Family

ID=7140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48A KR102233672B1 (ko) 2018-12-19 2018-12-19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6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90B1 (ko) 2003-01-29 2004-11-17 손성순 잔나비걸상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아플아나산 유도체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464815B1 (ko) 2003-08-20 2005-01-15 주식회사 월드씨그린 뜸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및 당뇨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60054055A (ko) * 2014-10-08 2016-05-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여주 및 산수유를 이용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80033781A (ko) * 2016-09-26 2018-04-04 김태완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90B1 (ko) 2003-01-29 2004-11-17 손성순 잔나비걸상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아플아나산 유도체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464815B1 (ko) 2003-08-20 2005-01-15 주식회사 월드씨그린 뜸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및 당뇨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60054055A (ko) * 2014-10-08 2016-05-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여주 및 산수유를 이용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80033781A (ko) * 2016-09-26 2018-04-04 김태완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자료, 당뇨에 좋은 특별한 식품, 인터넷 URL: http://m.blog.daum.net/tndnjsqjanfll/293?categoryId=9(2013.08.30.)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672B1 (ko)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976941B1 (ko) 토종 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02932B1 (ko) 엉겅퀴 및 흰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제거한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10209A (ko) 갈색거저리 단백질 및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또는 근위축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29547B1 (ko)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10898B1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292059B1 (ko)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10006921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33672B1 (ko)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02045B1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4781B1 (ko) 파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132349A (ko) 신품종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5011B1 (ko) 엉겅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724587B1 (ko)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2060B1 (ko)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610565B1 (ko) 포도씨 및 함초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 및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449272B1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