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681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681A
KR20200075681A KR1020180164597A KR20180164597A KR20200075681A KR 20200075681 A KR20200075681 A KR 20200075681A KR 1020180164597 A KR1020180164597 A KR 1020180164597A KR 20180164597 A KR20180164597 A KR 20180164597A KR 20200075681 A KR20200075681 A KR 20200075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polarizer
dye
layer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460B1 (ko
Inventor
박세현
배창석
구영권
김나영
박지환
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4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최대흡수파장이 470nm 내지 530nm인 염료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경우에도 색상값의 변화량이 적어 내구성과 신뢰성이 우수하고 편광도 변화량이 낮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주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에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킨 후, 1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필름 즉 편광자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두께가 20㎛ 내지 150㎛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친수성이며, 높은 흡습성을 갖는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는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민감하고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해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편광자는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 특성 저하, 화상 품질 저하, 패널 휨 발생,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최근 편광판의 두께를 박형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편광자의 두께도 박형화되고 있다. 종래 두께가 두꺼운 편광자의 경우에는 편광자를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하는 경우 색상 변화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편광자의 두께가 박형이 되면서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하는 경우 편광도를 유지하면서도 색상 변화를 낮추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3497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에도 색상 변화가 낮아 내구 신뢰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에도 초기 상태 대비 편광도 변화량이 낮고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형의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술한 내구 신뢰성과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편광판이다.
1.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최대흡수파장이 470nm 내지 530nm인 염료를 포함한다.
2.1에서,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의 색변화값 △ab가 2.3 이하일 수 있다:
[식 1]
△ab = [{as(500hr) - as(0hr)}2 + {bs(500hr) - bs(0hr)}2]1/2
(상기 식 1에서,
as(0hr), bs(0hr)는 각각 편광판의 초기 as, bs,
as(500hr), bs(500hr)는 각각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as, bs).
3.1-2에서, 상기 편광판은 파장에 따른 상기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single transmittance, Ts) 곡선에서 파장 490nm 내지 540nm에서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4.1-3에서,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3에 따른 파장 460nm 내지 540nm에서 단판 투과율 변화량(△ST)의 총합이 11% 이하일 수 있다:
[식 3]
△ST = |ST2 - ST1|
(상기 식 3에서,
ST1은 측정 파장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ST2는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측정 파장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5.1-4에서, 상기 염료는 피로메텐계, 페리논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6.1-5에서,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40㎛일 수 있다.
7.1-6에서, 상기 편광자는 하기 식 5의 △ab가 1.0 내지 5.0일 수 있다:
[식 5]
△ab = [{as(500hr) - as(0hr)}2 + {bs(500hr) - bs(0hr)}2]1/2
(상기 식 5에서,
as(0hr), bs(0hr)는 각각 편광자의 초기 as, bs,
as(500hr), bs(500hr)는 각각 편광자를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as, bs).
8.1-7에서, 상기 편광자는 상기 식 4의 △ab가 2.3 초과 5.0 이하일 수 있다.
9.1-8에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10.9에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코팅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11.9에서, 상기 코팅층은 다른 일면에 기능성층이 형성된 보호 필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12.1-11에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13.12에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접착제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14.1-13에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15.14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점착제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16.1-15에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처리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17.16에서, 상기 표면 처리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표면 처리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18.16에서, 상기 표면 처리층은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안티 글레어층, 내지문성층, 광 확산층 또는 방오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에도 색상 변화가 낮아 내구 신뢰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에도 초기 상태 대비 편광도 변화량이 낮고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박형의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술한 내구 신뢰성과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개념을 보여준다.
도 2는 실시예 1의 편광판에 대해 0시간과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단판 투과율과 직교 투과율, 비교예 1의 편광판에 대해 0시간과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단판 투과율과 직교 투과율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의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염료의 "최대흡수파장"은 염료를 톨루엔 중 20mg/L 농도, path 1cm에서 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을 때 광 투과율이 최소가 되는 파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single trasmittance, Ts)"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JASCO 사의 V-7100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광 광도계로 측정 각도를 자동 변경하여 광 투과율이 가장 낮은 부분에서의 광 투과율을 TTD, 90° 회전하여 찍은 부분의 투과율을 TMD이고, Ts는 (TMD+TTD)/2의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의 "직교 투과율(cross transmittance, Tc)"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JASCO사의 V-7100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 또는 편광자의 색상값 "as(single a)", 색상값 "bs(single b)"는 R. S. Hunter가 1948년 제안한 Hunter Lab Color Space 방식으로 측정된 값이며, JASCO 사의 V-7100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편광판과 편광자의 색상값 as, bs 측정 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 기재시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X≤ 그리고 ≤Y)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편광판을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하는 경우 하기 식 1의 색변화값 △ab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종래 편광판 대비 파장에 따른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Ts)을 변화시킴으로써 하기 식 1의 색변화값 △ab를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하기 식 1의 색변화값 △ab가 낮은 편광판은 편광판을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에도 색상 변화량이 낮아 고온 내구 신뢰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하고, 하기 식 1의 색변화값 △ab가 2.3 이하, 예를 들면 2.3 미만, 0 이상 2.2 이하, 1 내지 2.2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을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경우에도 편광판의 색상값의 변화량이 적어 디스플레이의 색상 변화량이 적어짐으로써,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식 1]
△ab = [{as(500hr) - as(0hr)}2 + {bs(500hr) - bs(0hr)}2]1/2
(상기 식 1에서,
as(0hr), bs(0hr)는 각각 편광판의 초기 as, bs,
as(500hr), bs(500hr)는 각각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as, bs).
상기 식 1에서 "편광판의 초기 as, bs"는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기 전의 편광판의 as, bs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파장에 따른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Ts) 곡선에서 파장 490nm 내지 540nm에서 변곡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에서 변곡점은 파장 500nm 내지 535nm가 될 수 있다. 상기 변곡점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종래 편광판 대비 파장에 따른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Ts)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식 1의 색변화값 △ab를 낮출 수 있었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편광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점선, 1점 쇄선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점선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초기 단판 투과율과 초기 직교 투과율을 나타내고, 1점 쇄선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단판 투과율과 직교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1에서 2점 쇄선, 실선은 종래 편광판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2점 쇄선은 종래 편광판의 초기 단판 투과율과 초기 직교 투과율을 나타내고, 실선은 종래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단판 투과율과 직교 투과율을 나타낸다. 상기 종래 편광판은 하기 상술되는 최대흡수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편광판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편광판의 파장에 따른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은 파장 380nm에서 파장 420nm까지 급격히 증가하며 파장 420nm에서 파장 780nm까지 단판 투과율의 완만한 증가를 보인다. 이때, 종래 편광판의 경우 파장 490nm 내지 540nm에서 변곡점 없이 단판 투과율이 완만하게 증가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편광판은 파장 380nm에서 파장 420nm까지 급격히 증가하며 파장 420nm에서 파장 780nm까지 단판 투과율의 완만한 증가를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의 편광판은 파장 490nm 내지 540nm에서 단판 투과율이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변곡점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파장 460nm 내지 파장 540nm에서 편광판의 초기 단판 투과율 대비 편광판을 고온 에서 장기간 방치하였을 때 대비 단판 투과율의 차이를 낮춤으로써 상기 식 1의 색변화값 △ab 2.3 이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하기 식 2에 따른 파장 460nm 내지 파장 540nm의 각각의 파장에서 단판 투과율의 차이가 1.7% 이하, 예를 들면 1.5% 이하가 될 수 있다: 하기 식 2을 만족함으로써 상기 식 1의 색변화값 △ab 2.3 이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식 2]
단판 투과율의 차이 = |Ts[500hr] - Ts[0hr]|
(상기 식 2에서,
Ts[0hr]은 파장 460nm 내지 파장 540nm 중 특정 파장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Ts[500hr]은 상기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Ts[0hr]을 측정한 파장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편광판의 파장에 따른 직교 투과율을 살펴본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편광판의 직교 투과율은 편광판의 편광도와 관련이 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파장 380nm 이하 약 720nm 이하에서 직교 투과율이 0.1% 이하이고, 파장 약 720nm 초과 약 760nm 이하에서 직교 투과율이 2% 이하, 파장 약 760nm 초과 780nm 이하에서 직교 투과율이 1% 내지 6%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 영역에서 우수한 편광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종래 편광판도 본 발명의 편광판과 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교 투과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판을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하는 경우 상기 식 1의 색변화값 △ab를 2.3 이하로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편광도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편광판은 하기 상술되는 최대흡수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편광판 대비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교 투과율을 나타내어 우수한 편광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도가 95% 이상, 예를 들면 98% 이상, 99% 이상, 99.5% 이상 10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서 편광판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판을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하였을 때 하기 식 3에 따른 고온 방치 전과 후의 파장 460nm 내지 540nm에서 단판 투과율 변화량(△ST)의 총합이 11% 이하, 예를 들면 8% 내지 10.5%가 될 수 있다: 상기 최대흡수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편광판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편광판은 단판 투과율 변화량이 낮으며,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고온 신뢰성이 우수하다:
[식 3]
△ST = |ST2 - ST1|
(상기 식 3에서,
ST1은 측정 파장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ST2는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측정 파장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은 85℃에서 500시간 경과한 후의 460nm 내지 540nm까지를 5nm 단위로 나눈 후 각각의 파장에서 상기 식 3의 단판 투과율 변화량(△ST)의 총합이 11% 이하, 예를 들면 10.5% 이하, 8% 내지 10.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판은 하기 식 4의 편광도 변화량이 1% 이하, 예를 들면 0% 내지 1%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식 4]
편광도의 차이 = |P[500hr] - P[0hr]|
(상기 식 4에서,
P[0hr]은 편광판의 편광도(단위:%),
P[500hr]은 상기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편광판의 편광도(단위:%)).
본 발명의 편광판은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한다. 상기 염료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술된 식 1, 식 2, 식 3, 식 4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염료는 편광판의 초기 상태 대비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 상기 식 1의 색변화값 2.3 이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470nm 내지 490nm, 490nm 내지 510nm, 또는 510nm 내지 530nm가 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를 갖는다면 염료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료는 피로메텐(pyrromethene)계, 페리논(perynone)계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염료는 본 발명의 편광판 중 임의의 위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편광판 중 상기 염료의 함량은 편광판 중 편광자의 색상값, 상기 염료가 포함되는 위치 및/또는 편광판에 포함되는 각종의 광학 소자(예: 접착층, 점착층, 보호필름, 표면 코팅층 등)의 적층 순서, 종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실시 형태의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편광자에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접착제층을 매개로 상기 편광자에 형성된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하여 제조되는 폴리엔계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40㎛, 예를 들면 5㎛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는 as값이 -2.0 내지 0, 예를 들면 -1.7 내지 -0.5가 될 수 있고 bs값이 1.0 내지 4.5, 예를 들면 1.7 내지 4.0이 될 수 있다.
편광자는 하기 식 5의 △ab가 1.0 내지 5.0, 예를 들면 1.5 내지 4.0, 예를 들면 2.3 초과 5.0 이하가 될 수 있다:
[식 5]
△ab = [{as(500hr) - as(0hr)}2 + {bs(500hr) - bs(0hr)}2]1/2
(상기 식 5에서,
as(0hr), bs(0hr)는 각각 편광자의 초기 as, bs,
as(500hr), bs(500hr)는 각각 편광자를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as, bs). 상기 식 5에서 "편광자의 초기 as, bs"는 각각 편광자를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기 전의 as, bs를 의미한다.
편광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된 필름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 염료로 염착, 연신, 가교, 색상 보정 등의 방법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염착, 연신, 가교, 색상 보정 등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각각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편광자의 상기 색상값 as, bs는 색상 보정을 하는 보색조의 KI 함량 및 건조 열량 등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자는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편광자는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코팅층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편광자를 보호한다.
코팅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코팅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 구체적으로 0.001중량% 내지 0.2중량% 더 구체적으로 0.01중량% 내지 0.2중량%, 가장 구체적으로 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식 1의 색변화값을 낮출 수 있다.
코팅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는 코팅층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용 조성물은 광경화형, 열경화형일 수 있으며,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 이외에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열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코팅층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성 화합물은 UV 경화성기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성 화합물은 2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이로부터 형성된 올리고머,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V 경화성 화합물은 2관능 내지 10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다.
광경화성 화합물은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와 같은 다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가 알코올,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메트)아크릴산의 히드록시 에스테르로부터 합성되는 다관능의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관능의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메트)아크릴산의 히드록시 에스테르로부터 합성된다. 상기 폴리올은 방향족계 폴리올, 지방족계 폴리올, 지환족계 폴리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계 폴리올, 지환족계 폴리올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사방지 필름의 황변 발생이 적을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디올,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폴리올레핀 디올,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티오에테르 디올, 폴리실록산 디올, 폴리아세탈디올,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디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임의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2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난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3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나,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일부를 알킬기나 ε-카프로락톤으로 치환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광 개시제는 광 라디칼 개시제, 광 양이온 개시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 라디칼 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경화를 촉매하는 것으로, 인계, 트리아진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벤조인계, 옥심계, 페닐케톤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양이온 개시제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디페닐요오드늄, 4-메톡시디페닐요오드늄, 비스(4-메틸페닐)요오드늄, (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요오드늄, 비스(4-터트-부틸페닐)요오드늄,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 등의 디아릴요오드늄, 트리페닐술포늄,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술포늄 등의 트리아릴술포늄, 비스[4-(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 비스[4-(디(4-(2-히드록시에틸)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 (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1,2,3,4,5,6-η)-(1-메틸에틸)벤젠]철(1+)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의 구체예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F4 -),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F6 -),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SbF6 -),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AsF6 -),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SbCl6 -)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코팅층용 조성물은 열경화성 화합물과 열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열경화성 화합물은 에폭시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의 수지, 올리고머, 모노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열 개시제는 이미다졸계, 아민계, 유기 과산화물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코팅층용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층용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표면 조절제, 중합 금지제, UV 흡수제, 산화 방지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코팅층은 두께가 0.5㎛ 내지 20㎛, 예를 들면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식 1의 색변화값을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판은 보호 필름, 코팅층, 편광자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은 하기 제2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보호 필름의 일면 즉 코팅층과 접하지 않는 면에는 기능성층이 더 형성되어 편광판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성층은 예를 들면,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안티 글레어층, 내지문성층, 광 확산층, 방오층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2실시 형태의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편광자와 보호 필름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편광자를 보호한다.
보호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보호 필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 필름의 다른 일면 즉 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보호 필름 면에는 기능성 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기능성층은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내지문성층, 반사방지층, 초저반사층, 안티글레어층 등이 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두께가 5㎛ 내지 200㎛, 예를 들면 1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층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착시킨다. 접착제층은 수계 접착제, 광경화계 접착제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접착제층이 수계 접착제인 경우, 접착제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에틸렌이민계, 지르코늄계, 글리옥실산계 등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가교제를 포함한다.
접착제층이 광경화계 접착제인 경우, 접착제층은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광 라디칼 개시제, 광 양이온 개시제,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은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접착제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 구체적으로 0.001중량% 내지 0.2중량% 더 구체적으로 0.01중량% 내지 0.2중량%, 가장 구체적으로 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식 1의 색변화값을 낮출 수 있다.
접착제층용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층용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표면 조절제, 중합 금지제, UV 흡수제, 산화 방지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제층은 두께가 10nm 내지 20㎛, 예를 들면 50nm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제층의 역할을 하면서 상기 식 1의 색상값 2.3 이하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3실시 형태의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보호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보호 필름은 상기 제2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점착제층은 보호 필름의 일면 즉 보호 필름이 편광자와 접착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편광판을 피착체 예를 들면 유리판, 플라스틱 필름 등에 점착시킬 수 있다.
점착제층은 점착 수지, 가교제,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점착 수지, 실리콘계 점착 수지, 에폭시계 점착 수지, 우레탄계 점착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통상의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이민계, 금속 킬레이트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제층은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점착제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 구체적으로 0.001중량% 내지 0.2중량% 더 구체적으로 0.01중량% 내지 0.2중량%, 가장 구체적으로 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식 1의 색변화값을 낮출 수 있다.
점착제층용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층용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표면 조절제, 중합 금지제, UV 흡수제, 산화 방지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제층은 두께가 1㎛ 내지 20㎛, 예를 들면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층의 역할을 하면서 상기 식 1의 색상값 2.3 이하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4실시 형태의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보호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처리층은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보호 필름은 상기 제2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표면 처리층은 보호 필름의 일면 즉 보호 필름이 편광자와 접착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기능성 코팅층으로 편광판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처리층은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안티 글레어층, 내지문성층, 광 확산층, 방오층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면 처리층은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표면 처리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 구체적으로 0.001중량% 내지 0.2중량% 더 구체적으로 0.01중량% 내지 0.2중량%, 가장 구체적으로 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식 1의 색변화값을 낮출 수 있다.
표면 처리층은 두께가 1㎛ 내지 20㎛, 예를 들면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코팅층의 역할을 하면서 상기 식 1의 색상값 2.3 이하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폴리비닐알코올 필름(VF-PE#3000, 쿠라레이社, 두께:30㎛)을 팽윤 공정으로 25℃의 수중에 1분간 침지하며 원래 길이의 2.3배로 길이 방향(MD)으로 1축 연신하였다. 30℃에서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이 용해된 수계에서 염색 공정을 진행하였고, 원래 길이의 3배로 길이 방향(MD)으로 1축 연신하였다. 세정 공정을 거친 후 58℃에서 연신 공정을 진행하였고, 원래 길이의 6배로 길이 방향(MD)으로 1축 연신하였다. 1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화칼륨이 수계에 용해된 용액을 통과시켜 보색 공정을 실시하여 편광자(두께: 12㎛ 내지 14㎛)를 제조하였다.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 UP111(Entis사) 17.8중량부,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SR454(Sartomer사) 9중량부, SR502(Sartomer사) 9중량부,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32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21중량부를 혼합하고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184(CIBA사) 1.1중량부, 염료 SK-PM4(SKC社, 피로메텐계, 적색 계열의 염료, 최대흡수피크: 507nm) 0.01중량부를 더 혼합하고 완전히 용해시킬 때까지 교반시켜 염료 함유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염료 SK-PM4(SKC社)의 최대흡수파장 영역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부면에 하드코팅층 처리된 COP 필름(COP25CM-HC, 일본제지, 두께:28㎛)의 하부면(하드코팅층이 처리되지 않은 COP 필름 면)에 상기 제조한 염료 함유 코팅층용 조성물을 건조시킨 후의 두께 5㎛가 되도록 코팅하고 80℃ 오븐에서 2분 동안 건조시킨 다음 질소 환경에서 120mJ/cm2 H bulb로 경화시켜 염료 함유 코팅층(두께:5㎛)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한 편광자의 상부면에 상기 하드코팅층 처리된 COP 필름(COP25CM-HC, 일본제지)을 접착제로 접착시키고, 상기 제조한 편광자의 하부면에 TAC 필름(ZRG20SL, 후지, 두께:20㎛)을 접착제로 접착시킴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은 총 두께 60㎛이고, 편광판은 하드코팅층 처리된 COP 필름 - 염료 함유 코팅층 - 편광자 - TAC 필름의 순서로 적층된 것이다.
해당 편광판 시편에 대해 as, bs 값을 JASCO사의 V-7100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각각 as[0hr], bs[0hr]이라고 하였다. 상기 편광판 시편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as, bs 값을 각각 측정하고 as[500hr], bs[500hr] 이라고 하였으며, 상기 식 1에 따라 △ab를 계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염료 함유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할 때 염료 SK-PM4(SKC社) 0.01중량부 대신에 염료 RED-A2G(멘도흐멘社, 페리논계, 적색 계열의 염료, 최대흡수피크: 480nm) 0.0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5㎛의 염료 함유 코팅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염료 RED-A2G(멘도흐멘社)의 최대흡수파장 영역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염료 함유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할 때 염료 SK-PM4(SKC社) 0.01중량부 대신에 염료 RED-H3G(멘도흐멘社, 페리논계, 적색 계열의 염료, 최대흡수피크: 520nm) 0.0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5㎛의 염료 함유 코팅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염료 RED- H3G(멘도흐멘社)의 최대흡수파장 영역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광라디칼 개시제, 광양이온 개시제를 혼합하고, 염료 SK-PM4(SKC社)를 더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접착제 조성물 중 고형분 기준으로 염료 SK-PM4(SKC社)는 0.02중량%로 포함된다.
편광자의 양면에 상기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을 각각 두께 2㎛로 코팅하고 보호필름으로 상부의 경우 시클로올레핀 필름(COP25ST-HC, 일본제지, 두께: 28㎛), 하부의 경우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ZRG20SL, 후지, 두께:20㎛)를 합지한 다음 자외선 경화시켜 접착제층에 염료를 함유하는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편광자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층 처리된 COP 필름(COP25CM-HC, 일본제지)을 접착시키고, 상기 제조한 편광자의 하부면에 TAC 필름(ZRG20SL, 후지, 두께:20㎛)을 접착시켰다. 상기 TAC 필름의 하부면에 점착층을 합지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점착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제(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염료 및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었다. 해당 점착층의 두께는 10㎛이다. 점착층 중 염료 SK-PM4(SKC社)는 0.03중량%로 포함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염료 함유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할 때 염료 SK-PM4(SKC社) 0.01중량부를 포함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처리된 COP 필름 - 염료 함유하지 않는 코팅층 - 편광자 - TAC 필름의 순서로 적층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염료 함유하지 않는 코팅층은 두께가 5㎛이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염료 함유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할 때 염료 SK-PM4(SKC社) 0.01중량부 대신에 염료 Lumaplast Yellow GG(멘도흐멘社, 퀴노프탈론(quinophthalone)계, 노란색 계열, 최대흡수피크: 446nm) 0.0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처리된 COP 필름 - 염료 함유하는 코팅층 - 편광자 - TAC 필름의 순서로 적층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염료 함유하는 코팅층은 두께가 5㎛이다. 염료 Lumaplast Yellow GG(멘도흐멘社)의 최대흡수파장 영역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염료 함유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할 때 염료 SK-PM4(SKC社) 0.01중량부 대신에 염료 Violet-R(멘도흐멘社,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계, 보라색 계열, 최대흡수피크: 558nm) 0.0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처리된 COP 필름 - 염료 함유하는 코팅층 - 편광자 - TAC 필름의 순서로 적층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염료 함유하는 코팅층은 두께가 5㎛이다. 염료 Violet-R(멘도흐멘사)의 최대흡수파장 영역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에 대해 하기 표 1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도 2에 나타내었다.
(1)편광판의 색상값: 분광 광도계 JASCO사의 V-7100를 사용해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의 as, bs 값을 각각 측정하고 각각 as(0hr), bs(0hr)이라고 하였다.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의 as, bs 값을 측정하고 각각 as(500hr), bs(500hr)이라고 하였다.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ab를 계산하였다.
(2)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분광광도계 JASCO사의 V-7100를 사용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의 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단판 투과율(Ts[0hr]), 교차 투과율(Tc[0hr])을 측정하였다.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단판 투과율(Ts[500hr]), 교차 투과율(Tc[500hr])을 측정하였다.
(3)편광판의 변곡점 영역: (2)에 따라 파장에 따라 단판 투과율(Ts[0hr])을 얻었을 때 파장에 따른 단판 투과율의 변화 곡선에서 변곡점 영역의 파장을 구하였다.
(4)편광판의 파장 460nm 내지 540nm에서 단판 투과율의 변화량의 총합(단위:%): 분광광도계 JASCO사의 V-7100를 사용하여 파장 460nm 내지 540nm에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파장 460nm 내지 540nm에서 단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각 파장대의 투과율은 MD, TD 투과율로 나오며, 두 값을 더한 후 2로 나누어 단판 투과율을 얻는다. 파장 460nm 내지 540nm까지에서 5nm 단위로 나눈 후 각각의 파장에서 상기 식 3에 따른 단판 투과율 변화량(△ST)을 계산하고 합하여, 편광판의 파장 460nm 내지 540nm에서 단판 투과율의 변화량의 총합을 구하였다.
염료 최대흡수파장
영역
(nm)
변곡점 영역 as
[0hr]
bs
[0hr]
as
[500hr]
bs
[500hr]
△ab △ST의 총합
실시예1 490 ~ 510 520 -0.87 3.4 -1.45 5.24 1.93 9.71
실시예2 470 ~ 490 500 -1.11 3.05 -1.54 5.18 2.17 9.62
실시예3 510 ~ 530 534 -0.91 3.35 -1.36 5.38 2.08 9.84
실시예4 490 ~ 510 520 -0.89 3.5 -1.21 5.65 2.17 9.77
실시예5 490 ~ 510 520 -0.85 3.46 -1.04 5.41 1.96 10.04
비교예1 x - x -1.3 3.29 -1.89 5.65 2.43 11.35
비교예2 430 ~ 450 455 -1.66 3.98 -2.22 6.23 2.32 11.65
비교예3 540 ~ 560 560 -0.33 2.74 -0.94 5.13 2.47 11.27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에도 색상 변화가 낮아 내구 신뢰성이 우수하였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에도 초기 상태 대비 편광도 변화량이 낮고 편광 성능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염료를 아예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은 편광도는 실시예 대비 유사하지만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 색상 변화량이 높아서 내구 신뢰성이 낮았다. 또한, 본 발명의 최대흡수파장 영역을 벗어나는 염료를 포함하는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 색상 변화가 2.3을 초과하여서 내구 신뢰성이 낮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9)

  1.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최대흡수파장이 470nm 내지 530nm인 염료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의 색변화값 △ab가 2.3 이하인 것인, 편광판:
    [식 1]
    △ab = [{as(500hr) - as(0hr)}2 + {bs(500hr) - bs(0hr)}2]1/2
    (상기 식 1에서,
    as(0hr), bs(0hr)는 각각 편광판의 초기 as, bs,
    as(500hr), bs(500hr)는 각각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as, bs).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파장에 따른 상기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single transmittance, Ts) 곡선에서 파장 490nm 내지 540nm에서 변곡점을 갖는 것인, 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3에 따른 파장 460nm 내지 540nm에서 단판 투과율 변화량(△ST)의 총합이 11% 이하인 것인, 편광판:
    [식 3]
    △ST = |ST2 - ST1|
    (상기 식 3에서,
    ST1은 측정 파장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ST2는 편광판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측정 파장에서 편광판의 단판 투과율(단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피로메텐계, 페리논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40㎛인 것인, 편광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하기 식 5의 △ab가 1.0 내지 5.0인 것인, 편광판:
    [식 5]
    △ab = [{as(500hr) - as(0hr)}2 + {bs(500hr) - bs(0hr)}2]1/2
    (상기 식 5에서,
    as(0hr), bs(0hr)는 각각 편광자의 초기 as, bs,
    as(500hr), bs(500hr)는 각각 편광자를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as, bs).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상기 식 4의 △ab가 2.3 초과 5.0 이하인 것인, 편광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코팅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다른 일면에 기능성층이 형성된 보호 필름이 더 형성된 것인, 편광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접착제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점착제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처리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층은 상기 최대흡수파장 470nm 내지 530nm을 갖는 염료를 상기 표면 처리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층은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안티 글레어층, 내지문성층, 광 확산층 또는 방오층인 것인, 편광판.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80164597A 2018-12-18 2018-12-18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424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97A KR102424460B1 (ko) 2018-12-18 2018-12-18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97A KR102424460B1 (ko) 2018-12-18 2018-12-18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681A true KR20200075681A (ko) 2020-06-26
KR102424460B1 KR102424460B1 (ko) 2022-07-22

Family

ID=7113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597A KR102424460B1 (ko) 2018-12-18 2018-12-18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4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147A (ko) * 2006-08-02 2008-02-11 삼성코닝 주식회사 기능성 디스플레이용 필름 조성물
WO2018110503A1 (ja) * 2016-12-12 2018-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
WO2018164062A1 (ja) * 2017-03-06 2018-09-1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機能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147A (ko) * 2006-08-02 2008-02-11 삼성코닝 주식회사 기능성 디스플레이용 필름 조성물
WO2018110503A1 (ja) * 2016-12-12 2018-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
WO2018164062A1 (ja) * 2017-03-06 2018-09-1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機能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460B1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4665B2 (ja) 偏光板、複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8139358A1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I660851B (zh) 附黏著劑之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KR10178054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27505B1 (ko) 편광판
KR10168525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19152880A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586174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0525A (ko) 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적층 광학 부재
WO2020196306A1 (ja) 反射防止用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0039298A (ja) 偏光板、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420673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20173458A (ja) 偏光板
JP5985145B2 (ja) 光学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CN107407769B (zh) 偏光板及包含其的光学显示器件
JP2018063432A (ja) 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80058124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KR10242446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7130656A1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4224852A (ja) 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220144876A (ko)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및 해당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21117500A (ja) 光学積層体
KR102375634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90080662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4024890A1 (ja) 光学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